• 제목/요약/키워드: TNF-alpha

검색결과 3,255건 처리시간 0.042초

생쥐 초기배아에서 Insulin과 Tumor Necrosis Factor $\alpha$에 의한 발생의 조절 (Regulation of Preimplantation Development of Mouse Embryos by Insulin and Tumor Necrosis Factor alpha)

  • 계명찬;한현주;최진국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5권2호
    • /
    • pp.101-106
    • /
    • 2001
  • Insulin과 tumor necrosis factor alpha(TNF-$\alpha$)에 의한 초기 배아 발생의 조절기작을 알아보고자 생쥐의 상실배를 대상으로 이들이 첨가된 배양액에서 형태발생, 세포증식을 조사하고, 포배에서 mitogen activated protein kinase(MAPK, ERK1/2)의 활성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Insulin은 상실배의 체외발생 및 포배내 할구 수를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증가시켰으며, TNF-$\alpha$는 발생율을 유의하게 감소시켰다. Insulin은 TNF- $\alpha$에 의한 배아 발생율 감소를 완화하였다. TNF-$\alpha$는 농도에 의존적으로 MAPK 활성을 감소시켰으며, insulin은 포배에서 MAPK의 활성을 유의하게 증가시킨 반면 TNF-$\alpha$는 처리농도에 의존적으로 MAPK 활성을 감소시켰다. 50 ng/ml 농도의 TNF-$\alpha$를 전처리한 포배에서는 insulin에 의한 MAPK 활성의 증가가 저해되었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생쥐의 착상전 초기 배아 발생조절에 insulin과 TNF-$\alpha$ 사이에 MAPK를 경유하는 cross talk이 존재함을 확인하였고 insulin은 TNF-$\alpha$ 에 의한 배아의 손상을 억제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 PDF

결핵성 및 악성흉수의 감별에 있어 흉수 내 TNF-α의 유용성 (TNF-α in the Pleural Fluid for the Differential Diagnosis of Tuberculous and Malignant Effusion)

  • 김혜진;신경철;이재웅;김규진;홍영훈;정진홍;이관호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59권6호
    • /
    • pp.625-630
    • /
    • 2005
  • 배 경 : 삼출성흉수의 원인질환 중 흉수 내 림프구가 우세한 경우는 결핵성흉수와 암성흉수가 가장 흔하다. 그러나 두 질환의 감별은 흉막생검을 비롯한 침습적 방법이 필요하며 약 20% 정도는 진단을 명확하게 내릴수 없다. TNF-${\alpha}$는 종양세포나 다른 염증성세포들과 작용하여 숙주의 면역체계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감염성 혹은 악성흉수인 경우 흉수 내 TNF-${\alpha}$는 증가한다. 저자들은 결핵성흉수와 악성흉수를 구분하는데 세포성 면역에 관계하는 TNF-${\alpha}$의 유용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방 법 : 삼출성 흉수로 입원한 환자 46 예(암성흉수 13 예, 결핵성흉수 33 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혈청과 흉수의 TNF-${\alpha}$를 ELISA법으로 측정하였으며, 혈청에 대한 흉수의 TNF-${\alpha}$ 농도의 비(TNF-${\alpha}$ 비)를 구하였다. 결 과 : 결핵성흉수 및 악성흉수의 혈청 내 TNF-${\alpha}$는 차이가 없었으나, 흉수 내 TNF-${\alpha}$는 결핵성흉수가 유의하게 높았으며(p<0.01), TNF-${\alpha}$ 비 역시 결핵성흉수가 높았다(p<0.05). 그러나 두 질환의 혈청 및 흉수 내 TNF-${\alpha}$의 상관관계는 없었다. ROC 곡선을 이용하여 이들 질환의 감별할 수 있는 기준치를 구하였는데 흉수 내 TNF-${\alpha}$의 절사값을 136.4 pg/mL로 하였을 때 민감도 81%, 특이도 80% (p<0.005), TNF-${\alpha}$ 비는 절사값을 6.4로 하였을 때 민감도 76%, 특이도 70% (p<0.05) 이었다. 곡선밑면적은 흉수 내 TNF-${\alpha}$가 TNF-${\alpha}$ 비보다 유의하게 넓었다. 결 론 : 흉수 내 TNF-${\alpha}$측정과 TNF-${\alpha}$ 비는 결핵성흉수와 암성흉수를 감별진단 하는데 이용될 수 있으며, 흉수 내 TNF-${\alpha}$가 TNF-${\alpha}$ 비보다 더 유용한 지표로 판단된다.

The Ability of Anti-$TNF-{\alpha}$ Antibodies Produced in Sheep Colostrums

  • Yun, Sung-Seob
    • Journal of Dairy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25권2호
    • /
    • pp.1-4
    • /
    • 2007
  • 본 연구는 양(羊)의 초유(初乳)에 발현시킨 $TNF-{\alpha}$ 항체를 이용하여 염증반응에서 생성된 $TNF-{\alpha}$의 활성억제를 통한 염증반응 완화능을 세포단계의 생물검정과 장 염증이 유도된 동물모델을 통해 검증하였다. 실험 결과, 면역반응을 통해 생성된 양(羊)의 초유(初乳)에 함유된 $TNF-{\alpha}$ 항체는 WEHI-13 VAR 세포의 $TNF-{\alpha}$ 활성을 유의적으로 억제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동물실험 1의 경우, 예상되는 $TNF-{\alpha}$ 항체의 염증반응 억제 효과보다 유도된 염증반응의 정도가 강하였고, 동물실험 2의 경우 대장염 유도에 대해 실험동물간의 민감성 차이를 나타내었다.

  • PDF

Fusobacterium nucleatum 추출물이 사람 치은 섬유아세포와 HOS 941세포의 성장과 마우스 비장세포의 TNF-α 생성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Extracts from Fusobacterium nucleatum on the Growth of Human Gingival Fibroblasts and HOS 941 Cells, and on the TNF-α Production of Mouse Splenocytes)

  • 오희명;송요한;신금백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24권4호
    • /
    • pp.361-374
    • /
    • 1999
  • F. nucleatum is a gram-negative obligate anaerobe which is the principal and most frequent cause of gingival inflammation and is the predominant pathogen isolated in subsequent periodontal breakdown. It is also one of the most numerous bacteria found in subgingival plaque samples from healthy sites; its numbers are about 10-fold greater in plaque from periodontally diseased sit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outer membrane(OM), outer membrane vesicle(OMV), and lipopolysaccharide(LPS) from F. nucleatum ATCC 25586 strain on the growth of human gingival fibroblasts and HOS 941 cells, and on the $TNF-{\alpha}$ production / $TNF-{\alpha}$ mRNA expression of mouse splenocytes. For the examination of cytotoxic effects, $TNF-{\alpha}$ production and $TNF-{\alpha}$ mRNA expression, the MTT assay, the ELISA and the RT-PCR were performed, respectively. All extracts of F. nucleatum tested were cytotoxic to both of human gingival fibroblasts and HOS 941 cells, and the significant difference of cytotoxic activity among the extracts was not observed. In the effects of these extracts on the $TNF-{\alpha}$ production / $TNF-{\alpha}$ mRNA expression of mouse splenocytes, all extracts of F. nucleatum tested also stimulated the $TNF-{\alpha}$ production / $TNF-{\alpha}$ mRNA expression, but the effects of the OM extracts on the $TNF-{\alpha}$ production / $TNF-{\alpha}$ mRNA expression were higher than those of the OMV and the LPS extracts. The pattern of the $TNF-{\alpha}$ mRNA expression was similar to that of the $TNF-{\alpha}$ production. These results indicate that F. nucleatum seems to contribute to the pathogenesis of periodontal diseases at least by its cytotoxicity, directly and its $TNF-{\alpha}$ production, indirectly.

  • PDF

Role of p38 MAPK in the Regulation of Apoptosis Signaling Induced by TNF-α in Differentiated PC12 Cells

  • Park, Jung-Gyu;Yuk, Youn-Jung;Rhim, Hye-When;Yi, Seh-Yoon;Yoo, Young-Sook
    • BMB Reports
    • /
    • 제35권3호
    • /
    • pp.267-272
    • /
    • 2002
  • TNF-$\alpha$ elicits various responses including apoptosis, proliferation, and differentiation according to cell type. In neuronal PC12 cells, TNF-$\alpha$ induces moderate apoptosis while lipopolysarccaharide or trophic factor deprivation can potentiate apoptosis that is induced by TNF-$\alpha$. TNF-$\alpha$ initiates various signal transduction pathways leading to the activation of the caspase family, NF-${\kappa}B$, Jun N-terminal kinase, and p38 MAPK via the death domain that contains the TNF-$\alpha$ receptor. Inhibition of translation using cycloheximide greatly enhanced the apoptotic effect of TNF-$\alpha$. This implies that the induction of anti-apoptotic genes for survival by TNF-$\alpha$ may be able to protect PC12 cells from apoptosis. Accordingly, Bcl-2, an anti-apoptotic genes for survival by TNF-$\alpha$ may be able to protect PC12 cells from apoptosis. Accordingly, Bcl-2, an anti-apoptotic Bcl-2 family member, was highly expressed in response to TNF-$\alpha$.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anti-apoptotic role of p38 MAPK that is activated by TNF-$\alpha$ in neuronal PC12 cells. The phosphorylation of p38 MAPK in response to TNF-$\alpha$ slowly increased and lasted several hours in the PC12 cell and DRG neuron. This specific inhibitor of p38 MAPK, SB202190, significantly enhanced the apoptosis that was induced by TNF-$\alpha$ in PC12 cells. This indicates that the activation of p38 MAPK could protect PC12 cells from apoptosis since there is no known role of p38 MAPK in resoonse to TNF-$\alpha$ in neuron. This discovery could be evidence for the neuroprotective role of the p38 MAPK.

$TNF-{\alpha}$가 토리 상피세포의 투과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Tumor Necrosis Factor-Alpha on Glomerular Epithelial Cells in Glomerular Permeability)

  • 조민현;이지혜;구자훈;고철우
    • Childhood Kidney Diseases
    • /
    • 제8권1호
    • /
    • pp.1-9
    • /
    • 2004
  • 목 적 : 미세변화신증후군은 소아의 원발성 신증후군의 주요 원인질환이다. 미세변화증후군의 정확한 병인기전은 아직까지 알려져 있지 않으나, 최근 $TNF-{\alpha}$가 이 질환의 병인기전과 관련된다는 보고가 있었다. 이에 저자들은 환아의 혈청과 요에서 $TNF-{\alpha}$의 변화를 살펴보고, $TNF-{\alpha}$가 이 질환의 표적세포인 토리 상피세포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을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 2-15세의 미세변화신증후군 환아에게서 혈청과 요에서 $TNF-{\alpha}$치를 측정하였고, 토리 상피세포로 도포된 Millicell system을 사용하여 $TNF-{\alpha}$가 토리 상피세포에 의하여 형성되는 투과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또한 $TNF-{\alpha}$가 토리 상피세포에서 생성되어 토리 기저막의 투과성을 결정하는 물질인 heparan sulfate proteoglycan의 유전자 발현과 생성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하였다. 결 과 : 미세변화신증후군의 재발시 요중 $TNF-{\alpha}$치 (ng/mg cr)는 $364.4{\pm}51.2$로서 관해와 대조군의 $155.3{\pm}20.8$$36.0{\pm}4.5$에 비하여 유의하게 증가되어 있었다 (P<0.05). 그러나 $TNF-{\alpha}$가 토리 상피세포의 투과성 검사와 토리 상피세포의 heparan sulfate proteoglycan의 유전자 발현과 생성에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결 론 : $TNF-{\alpha}$는 토리 상피세포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으므로 미세변화신증후군에서의 요중 $TNF-{\alpha}$치의 증가는 질병으로 인한 이차적인 변화일 것으로 생각된다.

  • PDF

Differential Effects of TNF-${\alpha}$ on the Survival and Apoptosis of Human Granulocytes and the Human Myeloid Leukemia Cell Line

  • Yang, Eun Ju;Chang, Jeong Hyun
    • 대한의생명과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18-123
    • /
    • 2013
  • Tumor necrosis factor-alpha (TNF-${\alpha}$) is a proinflammatory cytokine that mediates the inflammatory response and immune functions, and modulates the proliferation, differentiation and cell death of cancer cells. The differential functions of TNF-${\alpha}$ in various human cells due to the formation of different stimulating pathway upon the binding of TNF-${\alpha}$ to its receptors. In the present study, we examined the different effects of TNF-${\alpha}$ on the survival and apoptosis between normal granulocytes and human myeloid leukemia HL-60 cells. Although TNF-${\alpha}$ did not affect on the constitutive apoptosis of granulocytes, TNF-${\alpha}$ strongly induced the apoptosis of HL-60 cells in a dose- and a time-dependent manner. TNF-${\alpha}$-induced apoptosis was occurred via the activation of caspase 8, caspase 9 and caspase 3/7 and the induction of ROS production in HL-60 cells. Also, BAY-11-7085, a NF-${\kappa}B$ inhibitor, blocked the TNF-${\alpha}$-induced apoptosis in HL-60 cells. NF-${\kappa}B$ may be involved in TNF-${\alpha}$-induced apoptotic signaling pathway in HL-60 cell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NF-${\alpha}$ activates apoptotic pathways and its process depends on cell type and many cellular factors.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differential effect of TNF-${\alpha}$ on cell apoptosis and survival may provide important information that can be used to elucidate the specific inhibitory effect of TNF-${\alpha}$ on the cancer dis.

미세변화신증후군 환아에서 Tumor Necrosis Factor-${\alpha}$의 혈중 및 요중 변화와 알부민 투과성에 미치는 영향 (Changes of Plasma and Urinary $TNF-{\alpha}$ in Children with Minimal Change Nephrotic Syndrome and Its Role in Albumin Permeability)

  • 조민현;이환석;오현희;정기영;구자훈;고철우
    • Childhood Kidney Diseases
    • /
    • 제7권1호
    • /
    • pp.16-22
    • /
    • 2003
  • 목적 : 미세변화신증후군은 소아 원발성 신증후군의 가장 흔한 원인이다. 최근 $TNF-{\alpha}$가 미세변화신증후군의 병인기전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고 보고되고 있다. 이에 저자들은 미세변화신증후군 환아에서의 $TNF-{\alpha}$의 변화를 살펴보고 $TNF-{\alpha}$가 사구체 기저막의 투과성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법 : 대상 환아는 신생검으로 미세변화신증후군이 확진된 만 2-15세 사이의 소아로서 이들에게서 혈액과 요를 채취하여 ELISA 방법으로 $TNF-{\alpha}$를 측정하였고, Millicell system을 사용하여 알부민에 대한 투과성을 측정하였다. 결과 : 재발시에 요중 $TNF-{\alpha}$는 대조군과 관해시에 비하여 유의하게 증가되어 있었으나(P<0.01), 혈중 $TNF-{\alpha}$는 유의한 변화를 보여주지 않았다. Millicell system을 이용한 알부민 투과성에 대한 실험결과 생리적인 농도 이상의 $TNF-{\alpha}$에서 알부민에 대한 투과성에 특이한 변화가 관찰되지 않았다. 결론 : 이상의 결과를 종합할 때 $TNF-{\alpha}$는 미세변화신증후군의 발병기전에서 일차적인 역할을 한다기 보다는 아마도 질환자체에 의한 이차적인 현상에 의하여 요중에서 증가된 것으로 생각된다.

  • PDF

펩티도글리칸에 의한 단핵세포의 Tumor necrosis factor-α 발현 기전 연구 (Molecular Mechanisms Involved in Peptidoglycan-induced Expression of Tumor Necrosis Factor-α in Monocytic Cells)

  • 정지영;손용해;김보영;김관회
    • 생명과학회지
    • /
    • 제29권11호
    • /
    • pp.1251-1257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펩티도글리칸이 단핵세포의 $TNF-{\alpha}$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고, 또한 펩티도글리칸에 의한 $TNF-{\alpha}$ 발현에 관련된 세포의 요소들을 연구하였다. 사람의 단핵세포주인 THP-1 세포를 펩티도글리칸에 노출시키는 경우 $TNF-{\alpha}$ 분비 증가뿐만 아니라 $TNF-{\alpha}$ 유전자 전사를 유도하는 결과를 가져왔다. TLR-2/4의 억제제인 OxPAPC은 펩티도글리칸에 의한 $TNF-{\alpha}$의 발현을 저해하였다. 그리고 U0126, SB202190, SP6001250, LY294002, Akti IV, rapamycin, NAC, DPI 같은 약리학적 저해제 또한 $TNF-{\alpha}$ 발현을 유전자/단백질 수준에서 상당히 약화시켰다. 그러나 polymyxin B는 $TNF-{\alpha}$ 발현에 영향을 주지않았다. 따라서 펩티도글리칸이 TLR-2, PI3K, Akt, mTOR, MAPKs, ROS 등을 통하여 단핵세포의 $TNF-{\alpha}$ 발현을 증가시킴을 확인하였다.

Tumor Necrosis Factor-α가 골대사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UMOR NECROSIS FACTOR-α ON THE BONE METABOLISM)

  • 김상섭;이수종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24권1호
    • /
    • pp.187-199
    • /
    • 1999
  • Bone remodeling is characterized by the continuing processes of osteoblast-mediated bone formation and osteoclast-mediated bone resorption. Bone metabolism is tightly regulated at the local level by networks of hormones, cytokines, and other factors. In pathological conditions of bone remodeling, including osteoporosis and periodontal diseases, inflammatory cytokines and local mediators are responsible for enhancement of osteoclast resorption and inhibition of repair at the sites of bone resorption. TNF-${\alpha}$ is a pleiotropic hormone with actions on the differentiation, growth, and functional activities of normal and malignant cells from numerous tissues. TNF-${\alpha}$ has been proposed as a local mediator of the control of bone turnover in situations of chronic inflammation, and it has been assumed that the local source of TNF-${\alpha}$ is the monocyte in the adjacent bone marrow or the local circulation. TNF-${\alpha}$ is a potent inducer of bone resorption. TNF-${\alpha}$ is known to induce the activation of apoptotic signaling pathway, which leads to the apoptosis of bone cells. We demonstrated that treatment of murine osteoblastic MC3T3E1 cells with TNF-${\alpha}$ decreases proliferation as well as alkaline phosphatase (ALP) activity in a dose depenent manner. In addition, TNF-${\alpha}$ increases osteoclast-like cell formation in $1{\alpha}$, 25(OH)2D3 or PGE2-treated bone marrow cell culture. When cells were cultured in TNF-${\alpha}$ free ${\alpha}$-MEM, this inhibitory effect of ALP activity was reversible up to 10 ng/ml TNF-${\alpha}$, in contrast, at the 20 ng/ml TNF-${\alpha}$, irreversible. In this concentration, TNF-${\alpha}$ may induce apoptosis in MC3T3E1 cells. In this study, TNF-${\alpha}$ induces apoptosis resulting in chromosomal DNA fragmentation, preceded by JNK/SAPKs and caspase-3 activation. Our present results show that JNK/SAPKs and caspase-3 are activated by TNF-${\alpha}$, suggesting that the JNK/SAPKs and caspase-3 participate in the bone resorption, associated with apoptosi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