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NF

검색결과 4,157건 처리시간 0.037초

TNF-α 신호에서 AIMP2와 TRAF2의 구조적 및 기능적 역할 (Structural and Functional Roles of AIMP2 and TRAF2 in TNF-α Signaling)

  • 김현진;정미숙;장세복
    • 생명과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106-112
    • /
    • 2020
  • 아미노아실-트랜스퍼 리보핵산 합성효소-상호작용 다기능 단백질 2(AIMP2)는 여러 tRNA 합성효소들과의 결합체를 이루게 하는 기능을 하며, DNA 손상에 대한 반응으로 세포사멸 활성을 나타낼 수 있다. DNA에 손상이 발생하면 AIMP2는 MDM2 공격으로부터 p53을 보호하기 위해 MDM2에 결합한다. TGF-β 신호에서 AIMP2는 세포 핵으로 들어가 FUSE 결합 단백질(FBP)과 결합하여 c-myc을 억제한다. TNF 수용체 관련 인자 2(TRAF2)는 c-Jun N-말단 키나아제(JNK), NF-κB 및 p38 미토겐 활성화 단백질 키나아제(MAPKs)의 신호에서 실행되는 두 수용체, TNF 수용체 1과 2 사이의 중요한 중재자이다. TARF2는 TNF-α 신호에서 JNK와 NF-κB의 활성화에 필요하며, 세포사멸 신호를 막는 중재자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TNF-α 신호에서 AIMP2는 세포사멸을 향상시킨다. 이 신호에서, AIMP2는 TRAF2를 분해하는 것으로 잘 알려진 E3 유비키틴 효소인 c-IAP1과의 결합을 향상시킨다. AIMP2, TRAF2 및 c-IAP1을 포함한 복합체의 형성은 proteasome을 매개로 하여 TRAF2의 분해를 초래한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AIMP2가 TNF-α 신호에서 직접적인 상호작용을 통해 TRAF2를 하향 조절시켜 세포사멸을 유도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한국인에서의 TNF-α 유전자 다형성과 HLA/TNF-α 일배체형의 분포 (Polymorphisms in the TNF-α Gene and Extended HLA and TNF-α Haplotypes in Koreans)

  • 박윤준;박혜진;박명희
    • IMMUNE NETWORK
    • /
    • 제2권4호
    • /
    • pp.242-247
    • /
    • 2002
  • Background: Tumor necrosis factor-alpha (TNF-$\alpha$) is known to play an important role in various conditions such as inflammation, autoimmunity, apoptosis, insulin resistance and sleep induction. Five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s (SNPs) have been known to affect the transcriptional activities of TNF-$\alpha$: -1,031T/C, -863C/A, -857C/T, -308G/A and -238G/A. Methods: We have investigated 5 SNPs of the promoter region of TNF-$\alpha$ gene, the distribution of 5-locus TNF-$\alpha$ haplotypes, and their haplotypic associations with previously typed HLA-A, -B and -DRB1 loci in 107 healthy unrelated Koreans. TNF-$\alpha$ SNPs were typed using PCR-single-strand conformation polymorphism (SSCP) and PCR-restriction fragment length polymorphism (RFLP) methods. Results: The allele frequencies of -1,031C, -863A, -857T, -308A, and-238A, which are known as the high-producer-type, were 19.3%, 15.9%, 14.0%, 5.9%, and 2.9%, respectively. The frequency of -308A allele, known to be associated with autoimmune diseases, was 5.9% in Koreans which was lower than Caucasians (14~17%) and somewhat higher than Japanese (1.7%). Five most common TNF-$\alpha$ haplotypes (-1,031/-863/-857/-308/-238) comprised over 95% of total haplotypes: TCCGG (58.4%), CACGG (14.8%), TCTGG (13.7%), TCCAG (5.3%), and CCCGA (3.1%). Strong positive associations (P<0.001) were observed between TCCGG and B62; between CACGG and B51, $DRB1^*0901$; between TCTGG and B35, B54, B59, $DRB1^*1201$; and between TCCAG and A33, B58, $DRB1^*0301$, $DRB1^*1302$. Five most common extended haplotypes (>3%) comprised around 16% of total haplotypes: A33-B58-TCCAG-$DRB1^*1302$, A24-B52-TCCGG-$DRB1^*1502$, A33-B44-TCCGG-$DRB1^*1302$, A24-B7-TCCGG-$DRB1^*0101$, and A11-B62-TCCGG-$DRB1^*0406$. The distribution of extended HLA and TNF-$\alpha$ haplotypes showed that most of HLA haplotypes were almost exclusively associated with particular TNF-$\alpha$ haplotypes. Conclusion: The results obtained in this study would be useful as basic data for anthropologic studies and disease association studies in Koreans.

Fucoidan에 의한 개 말초혈액 단핵구세포에서 생산된 TNF-${\alpha}$의 다형핵백혈구에 대한 탐식능과 순간산소과소비력의 증가효과 (Fucoidan Increases Phagocytic Capacity and Oxidative Burst Activity of Canine Peripheral Blood Polymorphonuclear Cells Through TNF-${\alpha}$ from Peripheral Blood Mononulear Cells)

  • 김수현;강지훈;양만표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183-189
    • /
    • 2011
  • 개 말초혈액 다형핵 백혈구(PMNs)의 탐식능력과 순간산소과소비력 (OBA) 에 대한 fucoidan의 효과를 검토하였다. Fucoidan 그 자체는 PMNs의 탐식능력과 OBA에 직접적인 효과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fucoidan으로 배양한 PBMCs의 배양상층액은 PMNs의 탐식능력과 OBA를 농도의존적으로 증가시켰다. 또한, TNF-${\alpha}$에 의한 PMNs의 탐식능력과 OBA의 측정 결과도 fucoidan으로 배양한 PBMCs 배양상층액의 그것과 유사하였다. 이러한 탐식능력과 OBA의 활성은 anti-TNF-${\alpha}$ pAb를 처리했을 때 억제되었다. PBMCs 배양 상층액 속의 TNF-${\alpha}$의 양을 정량한 결과 대조군에 비해 증가되었으며, PBMCs의 TNF-${\alpha}$ mRNA 발현 정도도 fucoidan을 첨가한 경우 증가되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fucoidan은 개 말초혈액 PMNs의 탐식능력과 OBA에 대하여 면역자극 작용을 가지고 있으며, 이것은 fucoidan의 자극에 의해 PBMCs에서 생산되어 분비되는 가용성 물질인 TNF-${\alpha}$에 의해 나타나는 것으로 사료되었다.

호중구를 매개하는 백서의 급성 폐손상의 병리가전에 있어 기도내로 투여한 히스타민의 역활에 관하여 (The study for the roles of intratracheally administered histamine in the neutrophil-mediated acute lung injury in rats:)

  • 고윤석;;;김미정;이인철;임채만;이상도;김동순;김원동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3권3호
    • /
    • pp.308-322
    • /
    • 1996
  • 연구배경 : 히스타민은 폐혈관주위의 비만 세포내에 풍부하게 분포하니 아직까지 급성 폐손상의 병리기전에 있어 히스타민의 역할에 대해서는 규명되어 있지 않았다. 히스타민은 IL-1 이나 IL-8과 같은 cytokine 사이에 상호작용이 있고 혈관내피 표면상에 P-selectin의 표현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저자들은 건강한 백서의 기도내로 침윤이 증가되며 히스타민과 TNF를 병용 투여서는 TNF 단독 투여사보다 폐장내 호중구의 침윤이 증폭되고 폐손상의 정도가 증가 될 것으로 가정하였다. 방법 : 몸무게 270-370gm인 Sprague-Dawley 쥐를 사용하여 정상군은 생리식염수 0.5mL을, 치료군은 체증 1Kg 당 $1.1{\mu}g$, $11{\mu}g$$55{\mu}g$의 히스타민을 단독 혹은 TNF 500ng과 함께 병용하여 기도로 투여하거나 히스타민 $55{\mu}g$과 IL-1 50ng을 병용투여 한 뒤 5시간 뒤 에 폐조직 내 myeloperoxidase(MPO) 활성도와 폐포액내 호중구 수 및 쥐의 IL-8으로 고려되는 cytokine-induced neutrophil chemoattractant(CINC)의 활성도 그리고 폐혈관내 알부민의 폐조직내로의 누출을 측정하였다. 또한 TNF와 히스타민을 병용투여한 뒤 TNF와 히스타민 병용치료군에 항히스타민제를 경정맥내로 주입한 뒤 동일한 방법으로 각 지표들을 측정하여, 관찰된 상승효과가 차단되는지를 보았다. 곁과 1) TNF치료군은 정상군에 비하여 폐장내 MPO 활성도, 기관폐포액내 홍중구수 및 폐혈관의 누출이 더 높게 나타났으며(각 p<0.001), 히스타면 투여군은 11 및 $55{\mu}g/kg$ 투여군에서 정상군에 비해 MPO 활성도만이 높게 나타났다(p<0.05) 2) 폐장내 MPO 활성도는 기도내로 TNF와 병용투여한 히스타민 $1.1{\mu}g$군, $11{\mu}g$군 및 $55{\mu}g$ 군 모두에서 정상군에 비해 증가되어 나타났으며(각 p<0.001) 히스타민 $11{\mu}g/kg$ 병합투여군에서는 TNF 단독치료군에 비해서도 높게 나타났다(p=0.0251). 기관폐포액내 호중구의 수는 히스타민 1.1, 11 및 $55{\mu}g/kg$군 모두에서 정상군(p<0.05)에 비해 증가되어 나타났으며 $1.1{\mu}g/kg$군은 TNF 단독치료군에 비해서도 높았다(p=0.0367). 급성 폐혈관 히스타민 $1.1{\mu}g$군, $11{\mu}g$$55{\mu}g$군에서 정상군에 비해 증가되었으나(p<0.001), TNF 치료군과는 차이가 없었다. 3) TNF와 히 스타민 1.1, 11 및 $55{\mu}g/kg$이 병용투여된 군 모두에서 정상군에 비해 폐포 세척액내 CINC 활성도가 유의하게 증가되었다(각각 p-값<0.01 및< 0.05) 4) $H_1$ 수용체차단제인 mepyramine과 $H_2$ 수용체차단제인 ranitidine 세척액내 증폭되었던 호중구 수 및 CINC의 활성도를 감소시켰다(각각 p-값>0.05) 5) IL-1과 병용 투여한 히스타민은 정상군에 비해 MPO 활성도 및 급성 폐혈관 누출이 증가되었으나(p<0.05), IL-1 치료군과는 차이가 없었다. 결론 : 본연구의 결과로서 백서의 기도내로 국소적으로 히스타민을 투여시 5시간 이내에 폐조직내 호중구의 침윤이 증가되고 TNF로 유도된 폐조직내 MPO 활성도 및 기관폐포액 내 호중구 수의 증가가 증폭되나 폐혈관내 알부민의 폐장내 누출의 증폭작용이 없고 IL-1으로 유도된 폐손상에도 급성 폐손상의 증폭작용이 관찰되지 않으므로 TNF나 IL-1으로 유도되는 급성 폐손상에 히스타민 병용 투여에 의한 폐손상의 증폭작용은 없을 것으로 사료되었다.

  • PDF

Regulation of Preimplantation Development of Mouse Embryos by Insulin and Tumor Necrosis Factor alpha

  • Gye, Myung-Chan;Han, Hyun-Joo
    • 한국발생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발생생물학회 2001년도 후기 제12차 학술대회 논문집
    • /
    • pp.45-47
    • /
    • 2001
  • 생쥐 착상전 초기배아에서 insulin과 tumor necrosis factor $\alpha$ (TNF$\alpha$)에 의한 배아의 형태 발생, 세포증식, apoptosis 및 MAPK활성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Insulin에 의해 형태발생 및 포배당 세포수가 증가되었으며 TNF $\alpha$ 처리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TNT$\alpha$ 전처리시 insulin에 의한 발생 및 세포수 증가 촉진효과가 상쇄되었으며 TNF$\alpha$는 배아내 caspase-3의 활성을 증가시켰다. Insulin은 단시간내에 포배에서 mitogen activated protein kinase (MAPK or Erk1/2)의 활성을 증가시켰다. TNF$\alpha$는 포배내 MAPK의 활성을 감소시켰다. Insulin 처리 전 TNF $\alpha$를 전처리한 경우 insulin에 의한 MAPK 활성의 증가가 상쇄되었다. 배발생을 촉진하는 인슐린 신호전달 과정은 MAPK cascade를 경유하며 TNF $\alpha$를 경유한 신호전달과 Crosstalk이 존재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 PDF

Natural TACE (TNF-$\alpha$ Convertase) Inhibitor, Gelastatin Hydroxamate: Biological Evaluation and Target Validation

  • Chun, Tae-Gyu;Lee, Jin-Ha;An, Mi-Hyun;Park, Song-Kyu;Lee, Hee-Yeon;Han, Gyoon-Hee
    • 대한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약학회 2003년도 Proceedings of the Convention of the Pharmaceutical Society of Korea Vol.2-2
    • /
    • pp.173.1-173.1
    • /
    • 2003
  • One of attractive target for Rheumatoid Arthritis (RA) therapy is the cytokine, tumor necrosis factor-alpha (TNF-$\alpha$), which has been shown to be overproduced in the joint of RA patients. The clinical success of anti- TNFR biologics has validated TNF-$\alpha$ as a drug discovery target. Thus, inhibiting of formation of TNF-$\alpha$ has been emerged to an intriguing approach for RA therapy. TNF-$\alpha$ is processed from its membrane bound precursor by the metalloprotease TNF-$\alpha$ converting enzyme (TACE), Here, biological evaluation, mode of action of natural TACE inhibitor, Gelastatin hydroxamate, are addressed. (omitted)

  • PDF

사람의 치수, 치은, 치주인대 세포에 tumor necrosis factor (TNF)-α로 자극 시 matrix metalloproteinase (MMPs)의 분비에 관한 연구 (The effect of tumor necrosis factor (TNF)-α to induce matrix metalloproteinase (MMPs) from the human dental pulp, gingival, and periodontal ligament cells)

  • 임은미;박상혁;김덕수;김선영;최경규;최기운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6권1호
    • /
    • pp.26-36
    • /
    • 2011
  • 연구목적: 본 연구는 in vitro 상에서 치수, 치은, 치주인대 세포를 neuropeptide (substance P, Calcitonin gene related peptides (CGRP))및 inflammatory cytokine (TNF-$\alpha$)으로 자극 시 matrix metalloproteinase (MMPs)의 생성 및 발현을 관찰한 것으로 치아와 치아 주변 조직에 염증이 존재할 경우 neuropeptide 및 inflammatory cytokine과 치아 경조직 혹은 치조골의 remodeling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matrix metalloproteinase (MMPs)와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연구 재료 및 방법: 시편으로는 우식이 없는 건전한 제3대구치(n = 10)를 사용하였으며, 발거 후 즉시 Phosphate buffered saline (PBS)에 보관하고 치아에서 치은과 치주인대 조직을 채취하였다. 치아를 종축으로 절단하고 치수 조직을 채취하여 조각으로 분리한 후 시편을 PBS에서 세 번 세척하였다. Plate에 치수, 치은, 치주인대 시편 조각을 위치시켜 Dulbecco's Modified Eagle Medium (DMEM)을 첨가하여 세포를 배양하였다. 치수, 치은, 치주인대 세포를 culture dish에서 confluence에 도달할 때 까지 배양하여 Fetal Bovine Serum (FBS)가 포함되지 않은 배지로 교환하여, $37^{\circ}C$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한 후 Phosphate buffered saline (PBS)로 1회 세척하고 Substance P ($10^{-8}\;M$, $10^{-5}\;M$)가 포함된 배양액과 Mock (배양액만 포함됨)으로 4시간, 24시간동안 자극하였다. CGRP ($10^{-6}\;M$)을 함유한 배양액 및 TNF-$\alpha$(2 ng/mL)를 포함한 배양액으로 각각 24시간동안 세포를 자극하였다. 각각 다른 농도의 TNF-$\alpha$(2 ng/mL, 10 ng/mL, 100 ng/mL)를 포함한 배양액으로 24시간 동안 세포를 자극 한 후 RNase protection assay 및 Enzyme linked immunosorbent assay를 시행하였다. 결과: SP와 CGRP는 치수, 치은, 치주인대 세포의 MMPs발현에 관여 하지 않았다. TNF-$\alpha$로 24시간 자극 시 치수, 치은, 치주인대 세포에서 MMP-1,-12, -13의 발현을 증가시켰다. 반면, TNF-$\alpha$는 치수, 치은, 치주인대 세포들에서 TIMP-3의 발현을 감소시켰다. 서로 다른 농도의 TNF-$\alpha$(2 ng/mL, 10 ng/mL, 100 ng/mL)로 24시간 자극 시 MMP-1과 MMP-13의 발현이 증가하였다. 결론: 치아와 치아 주변 조직에 염증이 존재 시 TNF-$\alpha$가 증가함에 따라 치수, 치은, 치주인대로부터의 치아의 경조직 혹은 치조골의 remodeling에 관여하는 matrix metalloproteinase (MMPs)가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Hep G2 세포에서 간염제1탕의 에탄올에 의한 세포독성 억제효과 (The Effect of Hepatitis Treatment-Tang No.1 on Ethanol-Induced Cytotoxicity of Hep G2 Cells)

  • 박용권;김강산;강병기;나기웅
    •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79-85
    • /
    • 2001
  • Object : Hepatitis Treatment-tang No.1 has been used for the treatment of Liver disease and Jaundice. Long-term EtOH exposure leads to immunoregulatory and detoxification impairment. This study aimed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NF-${\alpha}$ production and expression, and EtOH-induced cytotoxicity on Hep G2 cells. Method : Cells were incubated with EtOH in the presence or absence of HT. The cells were tested after 24 hours and, again, after 48 hours. Cytoviability and TNF-${\alpha}$ release were analyzed by MTT assay and enzyme linked immunosorbent assay (ELISA), respectively. After 24 hours of EtOH exposure, the cytoviability decreased, and the release of TNF-${\alpha}$ was increased. Increased amounts of TNF-${\alpha}$ contribute to EtOH-induced cytotoxicity. The Anti-TNF-${\alpha}$ antibody almost abolished it. Interestingly, EtOH-induced cytotoxicity and TNF-${\alpha}$ production were inhibited by HT. Moreover, when HT was used in combination with the anti-TNF-${\alpha}$ antibody, there was a marked inhibition of EtOH-induced cytotoxicity. Results : These results suggest that HT may prevent the cytotoxicity through partial inhibition of the TNF-${\alpha}$ secretion.

  • PDF

저 농도의 전자선을 조사한 전골수구성 백혈병 세포 죽음에서의 TNF-α 작용 효과 (Cell Death of Human Promyelocytic Leukemia Cell after Low Dose of Electron Beam Irradiation with TNF-α)

  • 김동현;고성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6호
    • /
    • pp.241-246
    • /
    • 2014
  • 급성전골수구성 백혈병(Acute promyelocytic leukemia, APL)은 혈액암으로 치료가 쉽지 않을 뿐만 아니라 항암치료에 가장 효과가 좋다는 방사선 치료를 해도 오히려 정상세포에도 작용하여 부작용을 초래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전자선(EB)을 TNF-${\alpha}$와 같이 처리하였을 경우 정상세포와 암세포의 세포 죽음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였다. HL-60세포는 APL세포주로서 사용하였고 DMSO를 처리하여 분화시킨 HL-60세포는 정상과립구의 성질을 나타내어 정상대조군으로 이용하였다. 그 결과 TNF-${\alpha}$를 전자선을 처리한 HL-60세포에서만 세포독성효과를 나타내었고 이 과정에서 TNF-${\alpha}$는 caspase3를 활성화 시켜서 세포자멸사를 유도하여 세포가 죽음에 이르게 하였다. 결론적으로 TNF-${\alpha}$는 항암치료의 부작용을 없애기 위해 저농도의 전자선 치료 시 함께 사용하여 암 세포의 제거를 증가시켜 암의 치료효율을 높일 수 있는 유효물질로 사료된다.

Conditioned Medium from Dying Smooth Muscle Cell Induced Apoptotic Death

  • Bu, Moon-Hyun;Lee, Kyeong-Ah;Kim, Koan-Hoi;Rhim, Byung-Yong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and Pharmacology
    • /
    • 제9권6호
    • /
    • pp.315-322
    • /
    • 2005
  • In this study, the authors investigated whether death of vascular smooth muscle cell (VSMC) had a pathological pertinence. Conditioned media obtained from rat aorta smooth muscle cell (SMC) that were induced death by expressing FADD in the absence of tetracycline (FADD-SMC) triggered death of normal SMC. DNA fragmentation and caspase-3 activation were observed in dying SMC by conditioned media. FADD-SMC showed transcriptional activation of tumor necrosis factor $(TNF)-{\alpha}$. Conditioned medium contained $TNF-{\alpha}$, indicating secretion of the cytokine from dying FADD-SMC. It was investigated if secreted $TNF-{\alpha}$ was functional. Conditioned medium activated ERK and p38 MAPK pathways and induced MMP-9 expression, whereas depletion of the cytokine with its soluble receptor (sTNFR) remarkably inhibited induction of MMP-9 by conditioned medium.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NF-{\alpha}$ in conditioned medium seems to be active. Then, contribution of $TNF-{\alpha}$ on death-inducing activity of conditioned medium was examined. Depletion of $TNF-{\alpha}$ with soluble $TNF-{\alpha}$ receptor decreased the death activity of conditioned medium by 35%, suggesting that $TNF-{\alpha}$ play a partial role in the death activity. Boiling of medium almost completely abolished the death-inducing activity, suggesting that other heat labile death inducing proteins existed in conditioned medium. Taken together, these results indicate that SMC undergoing death could contribute to inflammation by expressing inflammatory cytokines and pathological complications by inducing death of neighboring cel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