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MR feed

검색결과 165건 처리시간 0.023초

가열온도, 가열시간 및 부형제의 첨가량이 도축 반추위 내용물의 자일란, 셀룰로오스 및 전분 분해효소 활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emperature and Time for Heating and Filler Content on the Activities of Xylanase, Cellulase and Amylase in Slaughterhouse Rumen Content)

  • 원미영;이도형;김은중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58-66
    • /
    • 2013
  • 본 연구는 도축장에서 폐기되는 도축 반추위 내용물을 사일리지 혹은 TMR (total mixed ration) 사료 첨가용 효소제로 개발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도축 반추위 내용물에는 상당한 수분이 함유되어 있어, 적절한 건조과정을 거치지 않고서는 그 활용이 원활하지 않다. 그러나 효소는 열에 민감한 단백질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적절한 건조 조건의 개발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통계적 방법을 이용하여 가열온도(60, 75, $90^{\circ}C$), 가열시간(12, 30, 48 시간) 및 부형제의 비율(12, 22.5, 33%)이 도축 반추위 내용물에 함유된 다양한 효소활성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였다. 총 3가지 효소, xylan 분해효소, 셀룰로오스 분해효소 및 전분 분해효소를 검토하였고, 각 효소활성들에 대한 각 요인들의 효과가 매우 다양하게 나타났다(p<0.05). 셀룰로오스 분해효소와 전분 분해효소의 활성은 가열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으며(p<0.05), xylan 분해해소는 열에 대한 안전성이 다른 효소들에 비하여 우수하였다. 자일란, 셀룰로오스, 전분 분해효소를 증가시키는 적정 부형제의 비율은 22.5, 12 그리고 33%로 나타났다. 비록 3가지 효소들의 제형화에 있어 공통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최적점을 도출하지는 못하였으나, 본 연구결과에서 얻어진 효소들의 반응 값들을 이용하여 목적하는 효소에 따라서 다양한 방법으로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육계분-제과부산물 혼합사료 급여가 육성 거세 한우의 생산성, 경제성 및 육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Feeding Broiler Litter and Bakery By-product Ration on Production, Economy and Meat Quality of Growing Hanwoo Steers)

  • 곽완섭;윤정식;정근기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5권5호
    • /
    • pp.797-804
    • /
    • 2003
  • 본 연구는 개발된 육계분(64%)-제과부산물(36%) 혼합사료 90%와 볏짚 10%로의 기존의 배합사료와 볏짚 완전 대체 시 육성 거세 한우의 생산성, 경제성 및 육 특성에 미치는 효과를 구명하고자 실시하였다. 동일 열량 기준으로 설계된 대조구와 시험구 사료를 육성 한우 총 20두에게 12주간 급여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제조된 혼합사료의 성분 변이도는 배합사료보다 높은 편이었으며, 혼합사료의 기호성 문제는 없었다. 혼합사료 90%-볏짚 10% 급여구(시험구)는 기존의 배합사료-볏짚 급여구(대조구)와 비교해서 사료 DM 섭취량은 높았고(P〈0.05), OM 섭취량은 동일하였으며, 일당증체율(0.75 vs 0.64 kg/d)과 DM(10.1 vs 12.5), OM(9.0 vs 10.6) 사료 효율 또한 비슷하였다. 혼합사료 급여는 증체 당 사료비용을 약 45% 절감시켰으며, 육 특성에는 전혀 나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들은 육계분-제과부산물 혼합사료는 한우 육성용으로서 성공적으로 이용될 수 있는 잠재적 가능성을 시사하고 있다.

미생물제제의 첨가가 면양의 반추대사 및 젖소의 유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Microbial Additives on Metabolic Characteristics in Sheep and Milking Performance of Lactating Dairy Cows)

  • 김광림;최선규;최성호;송만강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9권6호
    • /
    • pp.819-828
    • /
    • 2007
  • 지난 20여년 동안 항생제나 화학 요법의 문제점을 줄이고 외부 환경의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장내 미생물들의 균총을 유지시켜주기 위해 살아있는 미생물제제(direct-fed microbial agents, DFM)를 반추가축의 사료에 직접 첨가하고 있다. 반추동물 사료에도 생산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여러 종류의 DFM이 널리 이용이 되고 있는데, DFM은 건물섭취량(dry matter intake, DMI)의 증가 및 반추위내에서의 영양소 분해율 향상 그리고 유생산량의 증가와 체온감소 등에 효과적이다(Piva 등, 1993; Higginb- otham 등, 1994; MacGilliard와 Stallings, 1998; Nocek와 Kautz, 2006). 대표적인 DFM으로는 효모균, 곰팡이, 박테리아 및 세포 구성물질 등이 이에 속한다(Beharka와 Nagaraja, 1993; Sullivan과 Martin 1999). 효모 및 효모배양물은 대표적인 DFM의 한 종류인데, 반추가축에게 효모(yeast) 및 효모 배양물(yeast culture)을 급여하였을 때 반추위 내 발효 특성을 변화시키고(Harrison 등, 1988; Martin과 Nisbet, 1990) 반추위 내에서 조단백질과 조섬유의 반추위내 분해율을 개선시키며(Gomez-Alarcon 등, 1990; Williams 등, 1991), 체내 전장소화율(Gomez-Alarcon 등, 1990; Wiede- mier 등, 1987)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고 보고된 바 있다. 한편, 일반적으로 대부분의 Clostridium 균들은 독소를 생산하거나 인체에 유해한 물질들을 생산하여 사람과 가축에게 좋지 않은 영향을 주고 있으나, Clostridium butyricum은 장내 유익한 균으로서 유산균과의 공생이 가능하고 반추위 내에서 주요 VFA 생산에 관여하기도 하며(Araki 등, 2002a, 2002b) 많은 종류의 비타민 B군을 생산하여 유산균이 이용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생산되어진 acetic acid와 butyric acid는 장관 상피세포를 흡수되어 상피세포에서 에너지원으로 사용되어진다고 하였다(김 등, 2001). 낙산균은 주로 단위동물에서 사용되어 왔는데, 일부 복합생균제의 형태로 사용하였을 경우 유해세균이 장 점막을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고(Fuller와 Brooker, 1974), butyric acid를 생산하여 장내 pH를 저하시키며 항균작용(Under-dahl 등, 1982)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S. cerevisiae는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균주로써 이의 효과와 효능에 관한 연구는 비육우와 착유우를 대상으로 많이 이루어져 왔지만, 낙산균은 일부 국내 젖소 사육농가에서 사용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연구는 단위동물 및 어린송아지의 경우(최 등, 1991)를 제외하고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S. cerevisiae 및 C. butyricum을 단독으로 또는 혼합하여 급여할 때 면양에서의 반추위내 발효성상과 소화율, 그리고 젖소를 이용한 사양시험을 통해 산유량과 유조성에 미치는 효과를 비교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Effect of Particle Size of Forage in the Dairy Ration on Feed Intake, Production Parameters and Quantification of Manure Index

  • Moharrery, A.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3권4호
    • /
    • pp.483-490
    • /
    • 2010
  •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measure particle size and evaluate the effect of increasing alfalfa hay particle size on production characteristics in lactating Holstein dairy cows. Ninety multiparous Holstein cows in early to mid-lactation were randomly assigned in a complete randomized design for a 30-day period. Animals were offered one of the three diets, which were identical in energy, protein, and chemical composition, but differed only in particle size of alfalfa hay. The treatments were A) total mixed ration (TMR) in which only fine chopped alfalfa hay was incorporated in the ration, B) the same diet in which half of the alfalfa hay was fine chopped and incorporated in the mixed ration and half was long hay and offered as a top dressing, and C) the same diet with long hay alfalfa offered as a top dressing. Distribution of particle size of rations was determined through 20,000, 8,000 and 1,000 ${\mu}m$ sieves. The new method of quantitative determination of manure index was examined for each cow on different treatments. The geometric mean length of particle size in the rations was 5,666, 9,900 and 11,549 ${\mu}m$ for treatments A, B and C, respectively. Fat corrected milk (4%), milk fat percentage and production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p<0.05) in treatment A versus B and C (fat corrected milk (FCM, 4%)) 28.3 vs. 35.2 and 32.3 kg/d, fat percentage 2.89, 4.04 and 3.62; but the change of ration particle size had no significant effect on milk production (p>0.05). Blood concentration of cholesterol in treatment A was significantly higher (p<0.05) than treatment B and C (181.0 vs. 150.0 and 155.2 mg/dl). Manure index in treatment C was significantly different (p<0.05) from treatment B (15.86 vs. 17.67). Based on these experimental findings, it is concluded that an increase in the ration particle size can increase milk fat percentage due to providing more physically effective fiber, which in turn could effect changes in manure consistency.

Development of Appropriate Fibrolytic Enzyme Combination for Maize Stover and Its Effect on Rumen Fermentation in Sheep

  • Bhasker, T. Vijay;Nagalakshmi, D.;Rao, D. Srinivasa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6권7호
    • /
    • pp.945-951
    • /
    • 2013
  • In vitro studies were undertaken to develop an appropriate fibrolytic enzymes cocktail comprising of cellulase, xylanase and ${\beta}$-D-glucanase for maize stover with an aim to increase its nutrient utilization in sheep. Cellulase and xylanase added individually to ground maize stover at an increasing dose rates (0, 100, 200, 400, 800, 1,600, 3,200, 6,400, 12,800, 25,600, 32,000, 38,400, and 44,800 IU/g DM), increased (p<0.01) the in vitro dry matter digestibility and in vitro sugar release. The doses selected for studying the combination effect of enzymes were 6,400 to 32,000 IU/g of cellulase and 12,800 to 44,800 IU/g of xylanase. At cellulase concentration of 6,400 IU/g, IVDMD % was higher (p<0.01) at higher xylanase doses (25,600 to 44,800 IU/g). While at cellulase doses (12,800 to 32,000 IU/g), IVDMD % was higher at lower xylanase doses (12,800 and 25,600 IU/g) compared to higher xylanase doses (32,000 to 44,800 IU/g). At cellulase concentration of the 6,400 to 32,000 IU/g, the amount of sugar released increased (p<0.01) with increasing levels of xylanase concentrations except for the concentration of 44,800 IU/g. No effect of ${\beta}$-D-glucanase (100 to 300 IU/g) was observed at lower cellulase-xylanase dose (cellulase-xylanase 12,800 to 12,800 IU/g). Based on the IVDMD, the enzyme combination cellulase-xylanase 12,800 to 12,800 IU/g was selected to study its effect on feed intake and rumen fermentation pattern, conducted on 12 rams (6 to 8 months; $20.34{\pm}2.369$ kg body weight) fed 50% maize stover based TMR. The total volatile fatty acids (p<0.01) and ammonia-N concentration was higher in enzyme supplemented group, while no effect was observed on dry matter intake, ruminal pH and total nitrogen concentration.

천연 사료첨가제 Nattokinase 공급에 따른 젖소의 산유능력 및 혈액성상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Feeding Nattokinase as Natural Feed Additives on Milk Production and Blood Metabolites in Lactating Dairy Cows)

  • 임동현;박중국;김현섭;기광석;이현준;권응기;;김창현;김상범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553-563
    • /
    • 2011
  •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effect of nattokinase (NK) additives on milk production and composition, and blood metabolites in dairy cows. The two kinds of nattokinase with high fibrinolytic activity were produced by two strains of bacteria, Bacillus amyloliquefacines (NK1) and Bacillus subtilis (NK2). Total fifteen Holstein cows (average $1.83{\pm}0.37$ parity; average milk yield $23.2{\pm}3.2$ kg/d) were randomly assigned to three treatments (5 animals per treatment). Cows were fed TMR supplemented with 0g, 100g and 100g for control, NK1 and NK2 treatment, respectively for 4 weeks. Milk yield was significantly higher (p<0.05) for NK1 (22.89 kg/d) than for control (21.07 kg/d) and NK2 (21.36 kg/d). Somatic cell counts in NK treatments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in control group (58,000 vs. 21,000 and 35,000 cells/ml, control vs. NK1 and NK2). Serum ALT levels in all treatment were similar to the range of 32.00~35.83 IU/L, but AST levels in NK1 (85.67 IU/L) was significantly decreased compared with those in control and NK2 (121.67 and 117.67 IU/L respectively). Serum T-CHO levels in NK1 (145.33 mg/dl) was significantly decreased (p<0.05) compared with that in control (179.00 mg/dl) and NK2 (176.17 mg/dl). This finding showed that NK1 additives could possibly have a positive effect in lactation performance of mid-lactation dairy cows by increasing milk yield, reducing somatic cell count, improving liver function and decreasing cholesterol in blood.

재고미의 가공처리에 따른 in vitro, in situ 소화율 및 발효성상 평가 (Nutritional Evaluation of Rice with Different Processing Treatments on in vitro Rumen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and in situ Degradation)

  • 양성재;정은상;김한빈;신택순;조병욱;조성근;김병우;서자겸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281-296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재고미의 사료가치 평가를 위해 무처리(Control)를 비롯한 Extruding, Roasting, Steam 처리구들의 영양소 성분분석, in vitro 소화율, in situ 소화율을 분석하였다. In vitro 실험에서 Extruding은 건물 소화율과 gas 발생량이 타 처리구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았고, 가장 낮은 pH를 보였으며, 특히 배양 시간 초기에 소화가 신속히 발생하였다. $NH_3-N$ 함량은 배양 6 h 이후에서 Control이 Extruding, Roasting, Steam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은 값을 보였고, 이는 가열처리된 단백질의 반추위 미생물의 이용성 저하에 따른 결과로 보이나, 더 정확한 결과를 위해 건물 소화율 분석뿐 아니라 CP 소화율 분석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VFA 발생량에서는 Extruding이 다른 처리구들에 비해 배양 6, 12 h에서 유의적으로 높았는데 이는 Extruding 처리구의 분해가 배양 초기에 주로 이어져 발생한 결과로 추정된다. 전분을 발효시키는 박테리아에 의해 높은 비율로 생산되는 propionate 증가 폭에서도 같은 경향을 보였다. In situ 소화율은 in vitro의 소화율과는 다소 차이가 있는 것으로 여겨지나, 이는 실험 방법에 대한 오차로 여겨질 수 있으며, ED(유효분해율)를 통해 in vitro 시험과 소화율의 경향성이 유사한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를 근거로 상대적으로 적합한 사료가공 처리방법은 무처리, Roasting 및 Steaming인 것으로 보여진다. 또한 무처리(control)의 경우 가공처리에 따른 추가비용 발생이 없으므로 경제적으로 유리할 것으로 판단된다. 재고미가 TMR의 원료로 이용될 수 있다면 국내에서 자급 가능한 사료원료로써 우수한 경제성을 지닐 수 있을 것이다.

Quercetin의 급여가 산양의 사료이용성, 혈액상 및 육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etary Quercetin on the Feed Utilization, Blood Parameters, and Meat Quality in Korean Native Goats)

  • 조성경;조철훈;정사무엘;김민규;오현민;이봉덕;이수기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2권4호
    • /
    • pp.297-304
    • /
    • 2010
  • 본 실험은 quercetin의 급여가 우리나라 재래 산양의 사료이용성, 혈액 성상 및 육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실시하였으며, 공시동물로 체중 15 kg 정도의 우리나라 재래산양 16두(2처리 8 반복)를 공시하여 TMR 사료에 quercetin을 0 및 200 mg/kg씩 첨가하여 사양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결과로서, 재래산양의 사료섭취량, 음수량, 배뇨량 및 배분량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조지방, NDF 및 ADF의 소화율도 처리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건물 및 조단백질의 소화율은 첨가구가 무첨가구에 비하여 유의하게 높은 결과였다(P<0.05). 그리고 반추위액의 pH는 처리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total VFA, 프로피온산 및 낙산의 농도는 첨가구가 유의하게 높았다(P<0.05). 그러나 초산, 이소 낙산, 이소 발레린산 및 발레린산은 처리구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A/P비는 첨가구가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다. BUN BUN/ creatinine은 quercetin 첨가구가 무첨가구에 비하여 유의하게 높았으나, ALT AST Creatinine Albumin ${\gamma}$-GT Ca Pi의 농도는 유의한 영향을 관찰할 수 없었다. 재래산양육의 pH, 보수력 및 총 페놀 함량은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ABTS^+$ radical소거 능력은 첨가구가 무첨구에 비하여 도축 후 0시 간에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으나 일수가 경과함에 따라 유의한 차이는 없어졌다. 관능검사에서는 quercetin을 섭취한 산양의 육에서 색과, 조직감과 전반적인 부분의 선호도에서 유의적으로 높은 결과를 보였다. 결론적으로 건물과 조단백질 소화율, 반추위 발효성상 및 관능검사에서 긍정적인 결과를 얻었지만 육질 평가에 있어 pH, 보수력, 전자공여능 및 지방산패도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재래산양육의 ABTS 환원력이나 관능적 특성에서 긍정적인 결과를 나타내어 quercetin 급여가 육질 향상에 효과적일 수 있는 가능성은 제시되었다. 따라서 추후 quercetin 급여가 육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하겠다.

근적외선분광법을 이용한 수입 건초의 사료가치 평가 (Evaluation of Feed Values for Imported Hay Using Near Infrared Reflectance Spectroscopy)

  • 박형수;김지혜;최기춘;오미래;이기원;이배훈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39권4호
    • /
    • pp.258-263
    • /
    • 2019
  • 본 연구는 근적외선분광법을 이용한 수입 건초의 신속한 품질 평가를 위하여 2016년부터 2019년까지 전국 건초 수입상, TMR 회사와 축산 농가에서 화본과와 두과 수입 목건초 392점을 수집하여 수입 건초의 품질평가 NIR-DB를 구축하고 구축된 DB를 바탕으로 최적의 품질평가 검량식을 개발하고 검증하였다. 수집된 건초 시료는 근적외선 분광기를 이용하여 스펙트라를 측정한 후 측정된 스펙트라와 실험실 분석값간에 상관관계를 이용한 다변량회귀분석법을 통하여 검량식을 작성한 다음 각 성분별로 예측 정확성을 평가하였다. 수입건초의 수분함량 평가에 대한 예측 능력은 각각 SEC 0.50%(R2=0.92)와 SECV 0.61%(R2=0.87)로 나타났으며 ADF와 NDF 함량의 예측능력은 각각 SEC 0.56% (R2=0.98), SECV 0.65%(R2=0.97) 및 SEC 0.36%(R2=0.97), SECV 0.40%(R2=0.95)로 나타났다. 조단백질 함량은 각각 SEC 0.04%(R2=0.99)와 SECV 0.06%(R2=0.98)로 조사료의 사료가치 평가 성분 중 가장 우수한 예측능력을 나타내었으며 총가소화양분 (TDN)과 건초의 품질 등급인 상대사료가치 (RFV)의 예측 능력은 각각 SEC 0.44%(R2=0.98), SECV 0.51%(R2=0.96) 및 SEC 2.63% (R2=0.97), SECV 3.04%(R2=0.96)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근적외선분광법을 이용하여 국내에 수입된 외국 건초의 수분함량과 각종 영양성분을 적은 오차범위에서 분석·평가가 가능하였다.

근적외선분광법을 이용한 수입건초의 Ca과 P 함량 예측 (Predicting Calcium and Phosphorus Concentrations in Imported Hay by near Infrared Reflectance Spectroscopy)

  • 이배훈;김지혜;오미래;이기원;박형수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41권1호
    • /
    • pp.29-34
    • /
    • 2021
  • 본 연구는 근적외선분광법을 활용한 조사료의 Ca과 P 함량의 분석 가능성을 검토하고 예측 정확성이 높은 검량식을 개발하기 위하여 전국 건초 수입상, TMR 회사와 축산 농가에서 수집한 수입 화본과와 두과 목건초 392점 중에서 무작위로 126점을 선택하여 검량식 개발에 이용하였다. 선택된 시료는 시료측정 전처리 방법을 생시료 처리와 건조분쇄 처리구로 나누어 근적외선 스펙트라를 측정하고 근적외선 파장대역을 가시영역, 근적외선, 전파장영역으로 구분하여 검량식을 개발하여 예측 정확성을 평가하였다. 수입건초의 Ca과 P 함량에 대한 예측 정확성은 시료 전처리 방법과 파장대역별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났으며, 시료전처리 방법은 건조하여 분쇄하는 방법과 파장대역별로는 근적외선 파장(1,100~2,500 nm)대역에서 예측 정확성이 높게 나타났다. 수입건초의 Ca 함량 예측 정확성은 근적외선 파장대역에서 건조분쇄 측정이 SEC 292.3 mg/kg(R2=0.99)와 SECV 468.6 mg/kg(R2=0.98)로 가장 정확한 예측능력을 나타냈다. 수입건초의 P 함량은 근적외선 파장대역에서 건조분쇄 측정이 SEC 204.4 mg/kg(R2=0.91)과 SECV 224.7 mg/kg(R2=0.89)로 가장 정확한 예측능력을 나타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근적외선분광법을 이용하여 조사료의 주요 광물질인 Ca과 P 함량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분석이 가능하였으며, 시료 측정시 건조하여 분쇄하는 전처리 방법과 근적외선 파장대역에서 검량식을 개발하는 것이 예측 정확성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