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MJ Osteoarthritis

검색결과 60건 처리시간 0.027초

턱관절 장애로 인한 청각장애의 치료: 증례보고 (Treatment of hearing loss due to temporomandibular joint disorders: Case Report)

  • 강동우;김영균
    • 대한치과의사협회지
    • /
    • 제57권4호
    • /
    • pp.204-212
    • /
    • 2019
  • Introduction : Patients with temporomandibular disorder may have various ear-related symptoms. If an excessive load is applied to the ear area due to the skeletal shape of the mandibular condyle or malposition of the disc, an auditory problems may occur. Case report : The patient was referred to our clinic due to the suspicion of temporomandibular disorder from the local otorhinolaryngology clinic. A few days ago, his right ear could not be heard. MRI showed that the left TMJ disc was anterior displacement with reduction, the right TMJ disc was anteromedial displacement without reduction. Also Right mandibular condyle showed sclerotic bone change, subchondral cyst and was compressing the frontal wall of the ear on MRI view. Right TMJ arthroplasty was done under the diagnosis of right TMJ osteoarthritis and osteochondroma. Postoperative intermaxillary fixation was done with SAS screw and elastics for 2 weeks. One month after the operation, hearing and TMJ discomfort were recovered without any complications. Conclusions As seen in this case, hearing loss due to benign tumor-like lesions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 should be treated surgically to restore the TMJ function and hearing.

  • PDF

측두하악관절 골관절염 진단에 있어 전산화 단층촬영의 유용성 (The Validity of Computed to Mography in Diagnosis of Temporomandibular Joint Osteoarthritis)

  • 전영미;최종훈;김성택;권정승;안형준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33권2호
    • /
    • pp.195-204
    • /
    • 2008
  • 골관절염은 관절 연골의 점진적인 소실, 연골하 골의 재형성 및 경화, 골증식체 형성을 포함하는 일련의 퇴행 과정에 의해 야기되는 질환으로, 측두하악관절의 과도한 사용이나 전신 질환에 의해서 야기될 수 있다. 측두하악관절 골관절염은 임상적으로는 통증으로 인한 하악운동제한, 염발음, 관절 촉진시 국소적 압통 등의 특징적 소견을 나타내며 방사선 사진 상으로 구조적 골변화가 포함되어야 확진을 내릴 수 있다. 일반적으로 측두하악관절의 평가를 위해 이용할 수 있는 기본적인 방사선 사진은 파노라마 방사선 사진, 횡두개 방사선 사진, 횡인두 방사선 사진 등의 단순 촬영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단순 촬영은 측두하악관절의 골구조를 평가하는 데 있어 여러 한계점을 지니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임상 검사 및 파노라마 방사선 사진을 통한 측두하악관절 퇴행성 관절질환의 진단과 전산화 단층촬영 상에 나타나는 퇴행성 골변화를 비교해보고, 하악과두의 골변화 유무를 파노라마 방사선 사진과 전산화 단층촬영을 비교하여 확인함으로써 측두하악관절 퇴행성 관절질환의 진단에 있어 임상 진단 및 파노라마 방사선 사진의 한계와 전산화 단층촬영의 유용성을 알아보았다. 측두하악관절 골관절염은 병인이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으며 진단 및 치료에 어려움이 있다. 측두하악관절 골관절염의 확진을 위해서는 임상 검사 뿐 아니라 방사선 사진 촬영을 통해 골변화를 확인하는 것이 필요하며 단순 촬영은 여러 가지 제한점과 한계를 가지므로 측두하악관절의 골변화 유무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전산화 단층촬영이 유용할 것으로 사료된다.

측두하악관절의 골관절염에 대한 교합안정장치의 치료효과 (Effect of Occlusal Stabilizing Splint for Osteoarthritis of Temporomandibular Joint)

  • 김지현;전혜미;옥수민;허준영;정성희;안용우;고명연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37권2호
    • /
    • pp.113-123
    • /
    • 2012
  • 2009년부터 2011년까지 부산대학교병원 구강내과에 측두하악관절장애를 주소로 내원한 환자 중 임상검사와 방사선 검사 및 전산화 단층(Cone beam Computed tomographic view)촬영으로 측두하악관절의 골관절염으로 진단된 76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초진 시와 교합안정장치 장착 전까지 물리치료 및 약물치료를 시행하고 교합안정장치 장착 시부터 최종 내원 시까지 월 1회 장치조정을 시행하여 시기별 치료결과를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초진 시와 교합안정장치 장착 시와 최종 내원 사이에 모든 증상의 변화가 유의한 차이가 있게 개선되었다. 2. 교합안정장치 치료 전까지 치료에서는 급성군에서 통증과 관절잡음이 유의하게 개선되었고, 만성군에서 통증, 관절잡음, 개구제한 및 최대편이개구량이 모두 개선되었다. 3. 교합안정장치 장착 후에는 급성군에서 통증, 개구제한과 최대편이개구량이 유의하게 개선되었고, 만성군에서 통증, 관절잡음과 개구제한이 유의하게 개선되었다.

Effectiveness of digital subtraction radiography in detecting artificially created osteophytes and erosions in the temporomandibular joint

  • Kocasarac, Husniye Demirturk;Celenk, Peruze
    • Imaging Science in Dentistry
    • /
    • 제47권2호
    • /
    • pp.99-107
    • /
    • 2017
  • Purpose: Erosions and osteophytes are radiographic characteristics that are found in different stages of temporomandibular joint (TMJ) osteoarthritis. This study assessed the effectiveness of digital subtraction radiography (DSR) in diagnosing simulated osteophytes and erosions in the TMJ. Materials and Methods: Five intact, dry human skulls were used to assess the effectiveness of DSR in detecting osteophytes. Four cortical bone chips of varying thicknesses (0.5 mm, 1.0 mm, 1.5 mm, and 2.0 mm) were placed at the medial, central, and lateral aspects of the condyle anterior surface. Two defects of varying depth (1.0 mm and 1.5 mm) were created on the lateral, central, and medial poles of the condyles of 2 skulls to simulate erosions. Panoramic images of the condyles were acquired before and after artificially creating the changes. Digital subtraction was performed with Emago dental image archiving software. Five observers familiar with the interpretation of TMJ radiographs evaluated the images.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ROC) analysis was used to evaluate the diagnostic accuracy of the imaging methods. Results: The area under the ROC curve (Az) value for the overall diagnostic accuracy of DSR in detecting osteophytic changes was 0.931. The Az value for the overall diagnostic accuracy of panoramic imaging was 0.695. The accuracy of DSR in detecting erosive changes was 0.854 and 0.696 for panoramic imaging. DSR was remarkably more accurate than panoramic imaging in detecting simulated osteophytic and erosive changes. Conclusion: The accuracy of panoramic imaging in detecting degenerative changes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accuracy of DSR (P<.05). DSR improved the accuracy of detection using panoramic images.

측두하악 관절원판 후조직의 MMP(matrix metalloproteinase)-1과 MMP-2 mRNA의 발현 (EXPRESSION OF MATRIX METALLOPROTEINASE-1 AND -2 MRNA IN RETRODISCAL TISSUE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

  • 허종기;박광균;최민아;김형곤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 /
    • 제29권4호
    • /
    • pp.212-218
    • /
    • 2003
  • Matrix metalloproteinases (MMPs)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normal morphogenesis, maintenance, and repair of matrix and also have important functions in pathologic conditions characterized by excessive degradation of extracellular matrix, such as rheumatoid arthritis, osteoarthritis, periodontitis and in tumor invasion and metastasis. In this study, expression of MMP-1 and -2 mRNA in retrodiscal tissue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 (TMJ) was examined and compared with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and surgical findings. MMP mRNAs in the retrodiscal tissue samples were detected by reverse transcription - polymerase chain reaction. TMJ internal derangement (ID) was categorized as normal disc position, disc displacement with reduction, early stage of disc displacement without reduction (DDsR) and late stage of DDsR. TMJ osteoarthrosis (OA) was classified with normal, mild and advanced OA. The amount of synovial fluid collection was divided into not detected, small, large and extremely large amount on MR T2-weighted imaging. Perforation and adhesion were examined during open surgery of the TMJ. Six out of 37 samples were excluded because of little amount of extracted total mRNA. MMP-2 mRNA was detected whole joints, and so the MMP-2 mRNA seems to be expressed normally in retrodiscal tissue. However, MMP-1 mRNA was expressed in 8 of 31 joints. Frequencies of MMP-1 mRNA expression according to the TMJ IDs, amount of synovial fluid and surgical findings made no significant difference. MMP-1 mRNA was detected more frequently in OA groups (7/16 joints, 43.8%) than in normal bony structure group (1/15 joints, 6.7%). Expression of MMP-1 mRNA in retrodiscal tissue might be related with OA of the TMJ.

측두하악관절에서의 골관절염 유도 동물모델 비교연구 (A Comparison Study on Animal Models for Osteoarthritis in Temporomandibular Joint)

  • 유선녕;이영철;박혜련;유미현;전혜미;김광연;김상헌;옥수민;고명연;안용우;안순철;정성희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36권4호
    • /
    • pp.261-271
    • /
    • 2011
  • 측두하악관절에서 발생하는 골관절염은 저작시 통증, 개구제한, 관절잡음, 교합변화를 유발하여 환자의 삶의 질을 저하시키는데 관여하는 주요한 질환이다. 골관절염의 진행과정과 그에 따른 제어방법을 연구하기 위하여 다양한 연구방법이 시도되고 있다. 이 중 골조직면에서의 조직변화, 활막액의 성분변화, 활막의 조직변화, 주변조직의 변화, 통증에 대한 반응을 확인할 수 있는 동물모델이 주로 많이 이용된다. 본 연구에서는 실험동물에서 다양한 방법으로 측두하악관절 골관절염을 유도하여 하악관절표면에서 일어난 조직변화를 비교 관찰하였으며 각 동물모델의 연구 활용방안에 대하여 탐색하였다. 측두하악관절의 관절강에 monosodium iodoacetate (MIA) 와 interleukin-$1{\alpha}$(IL-$1{\alpha}$)를 직접 주입하여 약물로 관절염을 유도하여 관절조직면을 관찰하였다. 또한 여성호르몬인 에스트로겐에 의한 골변화를 확인하기 위하여 난소절제술로 인한 골다공증 유발모델에서의 하악관절을 관찰하였으며, 노화된 백서의 관절면을 확인함으로써 노화로 인한 골변화를 관찰하였다. Safranin-O 염색 법과 Masson's trichrome 염색법을 이용하여 각각의 관절면에서 세포배열의 변화, 콜라겐의 변화, 골조직의 변화 및 파괴양상에 대하여 확인하였고 Safranin-O의 양성반응을 확인하여 proteoglycans (PGs)의 조직내 분포를 추적하였다.

턱관절의 골관절염을 동반한 신성골이영양증 환자 증례보고 (A Case Report : TMJ Osteoarthritis in a Patient with Renal Osteodystrophy)

  • 이기호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38권3호
    • /
    • pp.247-253
    • /
    • 2013
  • 신성골이영양증 (Renal osteodystrophy)은 만성 신질환 환자에서 관찰되는 골격성 변화를 특징으로 하는 질환으로 칼슘과 인 대사의 변화, 그리고 이차성 부갑상선 기능항진증의 결과로 나타난다. 방사선학적으로 지골의 말단, 장골과 악골 부위의 골막하 부위의 침식을 흔하게 관찰할 수 있다. 악안면 영역에서 골변화는 골밀도의 감소, 방사선 투과성 병소 (갈색 종양 : brown tumor), 피질골의 비박화와 치조백선의 소실을 보인다. 그러나 이러한 골변화가 악관절에 발생하는 것은 흔치 않은 일이다. 본 증례는 양측 하악 과두의 골변화를 보인 신성골이영양증 환자를 보고하고자 한다. 지난 10년 간 혈액 투석 치료와 3개월 전 신장암 수술 병력이 있는 41세 남자 환자가 좌측 턱의 통증을 주소로 2011년 2월 단국대학교 치과대학부속 치과병원 구강내과에 내원하였다. 양측 악관절의 골관절염과 유사한 방사선학적 소견을 보였고, 전치부 개방교합이 관찰되었다. CBCT를 이용한 방사선학적 특징과 생화학적 지표를 통해 신성골이영양증으로 인한 양측 턱관절의 골관절염으로 진단 되어 환자는 내과에서 신성골이영양증의 치료 방법의 하나인 칼슘 및 비타민 D 복용고 부갑상선 절제술을 시행 받았고, 그 동안 턱관절의 통증 조절을 위해 본원에서는 행동 요법과 약물 치료, 물리치료만 시행하였다. 약 1년 3개월 후 재검사에서 하악골의 골밀도와 피질골 두께가 증가하였고, 하악 과두 외형이 비교적 명확하게 바뀌었다. 골변화는 만성 신장 질환의 초기 단계부터 시작되므로 치과의사는 이러한 질환의 징후 및 가능성을 신속히 감별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골관절염과 신성골이영양증의 치료 프로토콜이 다르기 때문에 두 질환을 감별하는 것이 중요하다.

비구이형성증에 의한 고관절염과 요추 척추관 협착증 환자의 턱관절자세 음양교정술을 이용한 치험 1례 (A Case Report on a Patient with Osteoarthritis of the Hip Caused by Hip Dysplasia and Lumbar Spinal Stenosis, Treated by Postural Yinyang Correction of Temporomandibular Joint)

  • 임재은;김경민;장선희;박은진;이영준;홍누리;장영숙;양수현;최윤영;오다윤;이수진;김철홍
    • 턱관절균형의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12-17
    • /
    • 2019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port the effect of Postural Yinyang Correction of Temporomandibular Joint (Functional Cerebrospinal Therapy, FCST) on a patient with Osteoarthritis of the hip caused by Hip dysplasia and Lumbar spinal stenosis. Methods: A patient with Osteoarthritis of the hip caused by Hip dysplasia and Lumbar spinal stenosis was treated at Dept. of Acupuncture & Moxibustion, ○○ University Korean Medicine Hospital from Nov 8th, 2019 to Dec 6th, 2019 and received a Korean-Western medical treatment mainly managed with FCST. This study was measured with VAS (Visual Analogue Scale), ODI (Oswestry Disability Index) and questionnaire. Results: After treatment, the patient's pain was controlled and gait ability was improved, also VAS, ODI and questionnaire score were improved. Conclusions: Korean-Western Medical Treatment mainly managed with FCST may be helpful in controling pain with Osteoarthritis of the hip caused by Hip dysplasia and Lumbar spinal stenosis, but the further researches are needed.

  • PDF

측두하악장애 환자에서 하악과두의 퇴행성 변화의 발생 양상에 대한 연구 (The Occurrence of Degenerative Change in the Mandibular Condyles of Korean Patients with Temporomandibular Disorders)

  • 조정환;박민우;김영구;이정윤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36권1호
    • /
    • pp.53-63
    • /
    • 2011
  • 골관절염은 관절의 연조직, 관절연골 및 연골하 골조직의 합성과 분해 사이의 불균형으로 인한 조직의 변성을 야기하는 관절의 질환이다. 일반적으로 골관절염은 연령에 따라 급격히 증가하고, 여성에서 호발하는 특징을 보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측두하악관절에서의 골관절염의 유병률에 관한 연구는 측두하악관절의 독특한 특성에도 불구하고 정확한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측두하악관절에서 발생하는 골관절염의 실제 성별, 연령별 분포 및 임상적 특징을 알아봄으로 써 병인의 이해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2007년 1월부터 12월까지 1년 동안 서울대학교 치과병원에 측두하악장애를 주소로 처음 내원한 4327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측두하악장애의 진단을 위해 촬영된 orthopantomogram, TMJ tomogram, transcranial radiograph를 이용하여 측두하악관절의 퇴행성 변화를 조사하였으며, 성별, 연령, 골변화 양상에 따른 분포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측두하악장애 증상을 호소하는 환자 4327명 중 883명 (20.4%)에서 퇴행성 변화가 관찰되었고, 남성에서는 177명 (12.6%), 여성에서는 706명 (24.1%)에서 관찰되어 여자에서 호발하는 것으로 관찰되었으며, 이러한 여성 우위의 호발 양상은 모든 연령대에서 관찰되었다. 2. 측두하악장애 증상을 호소하는 환자 중 하악과두의 퇴행성 변화를 보이는 환자의 비율은 연령대가 증가함에 따라 완만하게 증가하였고, 연령별로 구분하여 볼 때에는 여성에서는 연령대별 발생비율의 증가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으나 (P < 0.001), 남성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3. 퇴행성 변화 환자군에서 나타나는 퇴행성 변화의 유형 중, 발생빈도가 가장 높은 형태는 sclerosis였고 (84.6%), 발생 환자 의 평균연령이 가장 높은 형태는 osteophyte였다 (44.8세). 4. 퇴행성 변화의 좌, 우 발생 분포를 보면 좌측에서 호발하였고, 남성 내에서는 좌측, 여성 내에서는 양측에서 모두 발생한 비율이 가장 높았으나, 전체적인 좌, 우 발생 양상은 남녀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측두하악장애 환자에서 나타나는 측두하악관절의 퇴행성 변화는 여성에서 호발하고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완만한 증가를 보이며 젊은 연령층의 환자에서도 높은 비율로 발생함을 알 수 있다. 측두하악장애가 젊은 연령층에서 호발한다는 이전의 보고들을 토대로 볼 때 측두하악관절의 퇴행성 변화는 타관절에서 발생하는 퇴행성 변화와는 다른 역학적 특징을 가지고 있을 가능성이 크며, 이러한 사실은 측두하악관절에서 발생하는 퇴행성 변화의 병인을 이해하고 그 치료법을 개발하는데 있어서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측두하악장애 재발환자의 임상양태에 관한 연구 (Clinical Features of the Recurred Patients with Temporomandibular Disorders)

  • 고명연;박준상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23권4호
    • /
    • pp.369-377
    • /
    • 1998
  • A patient with TMJ osteoarthritis and anterior open bite was treated with an intermaxillary traction device. Pretreatment examination revelaed a pain in both TMJ during mouth opening, moderate tendernesso f left sternocleidomastoid and right trapezius muscles. Anterior open Bite was aobserved with interincisal distance of 2mm. Tomograms and MRI showed anterior disc displacement withouit reductoin of both temporomandibular joints, and the condyles were flattened and slightly eroded. A pair of full-coverage occlusal appliances was made on both maxillary and mandibular dentition, with pivoting fulcrum on the site of the second moalr. Traction force was gained by the intermaxillary orthodontic elastics which were hooked by orthodontic brackets on the labial surfaces of the upper and lower anterior and premolar teeth. After 8 weeks of traction treatment, the joint pain was subsided completely and the anterior open bite was closed to get an edge to edge relationship of anterior teeth.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