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TMCP 강

Search Result 31, Processing Time 0.023 seconds

Effects of TMCP on the microstructure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low carbon HSLA steels (저탄소.저합금 강의 미세구조 및 기계적 성질에 미치는 가공 열처리 조건의 영향)

  • Kang, J.S.;Huang, Yusen;Lee, C.W.;Park, C.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Technology of Plasticity Conference
    • /
    • 2006.05a
    • /
    • pp.172-175
    • /
    • 2006
  • Effects of deformation at austenite non-recrystallization region and cooling rate on the microstructure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low carbon (0.06 wt. %) high strength low alloy steels have been investigated. Average grain size decreased and polygonal ferrite transformation promoted with increasing deformation amount due to increase of ferrite nucleation site. As cooling rate increased, the major microstructure changed from polygonal ferrite to acicular ferrite and the fraction of M/A constituents gradually increased. Discontinuous yielding occurred in highly deformed specimen due to the formation of polygonal ferrite. However, small grain size of highly deformed specimen caused lower ductile-to-brittle transition temperature than slightly deformed specimen.

  • PDF

Characteristic of Corrosion Fatigue of High Strength Steel for Marine Structures (해양 구조물용 고장력강의 부식피로특성)

  • ;T. Kubo;H. Misawa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ecis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2003.06a
    • /
    • pp.409-412
    • /
    • 2003
  • Fatigue strength. especially crack initiation behavior of high strength steel under marine water environment was investigated. Marine structures were usually constructed by lot of weld joints and were designed by basis of the fatigue strength of weld joints.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mini. The fatigue initiation behavior is more important rather than crack propagation behavior under the design of marine structures, because it is very difficult to find out the crack propagation phenomena and repair the damaged part of welded joints in sea water Then, the new configuration specimen for fatigue crack initiation tests was proposed. Using this new specimen, it is easy to carry out the crack initiation tests with relatively low cycling loading and clearly find out a crack initiation fatigue life.

  • PDF

Development of Preheat-free 800 MPa GMA Welding Consumable (800MPa급 무예열 GMA 용접재료 개발)

  • Kim, Hee-Jin;Seo, J.S.;Park, H.K.;Park, C.K.
    • Proceedings of the KWS Conference
    • /
    • 2009.11a
    • /
    • pp.39-39
    • /
    • 2009
  • 고강도강의 용접성은 저온균열 저항성으로 대변되는데, TMCP강과 HSLA강 등이 개발되면서 고강도강의 저온균열저항성이 크게 향상되어 무예열 용접성이 확보되었다. 그러나 용접재료 측면에서는 그에 상응하는 재료의 개발이 지연되어 용착금속부에서의 저온균열이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는 800 MPa급인 HY-100강재를 HSLA-100강으로 대체하는 과정에서 현실적인 문제로 제기 되었다. 즉 HSLA강은 용접 예열이 필요치 않았으나 기존의 용접재료, 즉 HY-100 강재에 사용하던 용접재료를 사용하게 되면 용착금속부에서 저온균열이 발생하여 용접예열을 생략할 수 없다는 판단에 이르게 되었던 것이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HSLA-100강을 무예열 용접할 수 있는 GMA 용접와이어 개발하는 것이며, 구체적인 개발 목표는 무예열 용접조건에서 800 MPa 이상의 인장강도를 가지며 $-50^{\circ}C$에서의 충격인성이 50 J 이상인 GMA 용접와이어 개발하는 것이다. 이러한 용접재료를 합금설계함에 있어 무예열 용접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용접재료의 탄소함량을 0.01% 수준으로 하고, 용착금속의 인장강도와 저온 충격치에 미치는 Mn과 Mo 함량의 영향을 검토하고 각각의 조성을 실험계획법으로 확정하였다. 그리고 확산성수소량에 따른 저온균열 발생 여부를 확인하여 무예열용접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확산성수소량이 3ml/100g 이하가 되어야 한다는 사실을 실험적으로 확인하였다. 그리고 이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원자재인 와이어로드의 표면 품질이 중요하다는 사실도 확인할 수 있었다. 다음으로는 실험계획법에 의거하여 선정된 합금조성의 신뢰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800kg 중량의 시제품을 생산하였으며, 생산된 시제품에 대해서는 실험계획법에서 사용한 Ar+5%CO2외에도 Ar+20%CO2를 적용하여 보호가스의 영향을 검토하였다. 검토 과정에서 Ar+20%CO2용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용접재료의 Si 및 Mn 함량이 상향조정되어야 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탄소함량을 0.05% 수준으로 증가시키면 Mo 함량을 크게 저하시킬 수 있음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개발된 GMA 용접재료는 무예열 용접조건에서 저온균열이 발생하지 않았으며, 인장강도는 830 MPa이었으며 $-50^{\circ}C$에서의 충격치는 90 J 이상이었다.

  • PDF

The effect of heat input and PWHT on the mechanical properties and microstructure of HSB600 steel weldments with GMAW (HSB600강 가스메탈아크용접부에서 입열량과 용접후 열처리가 기계적 특성과 미세조직에 미치는 영향)

  • Ju, Dong-Hwi;Jang, Bok-Su;Lim, Young-Min;Koh, Jin-Hyun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3 no.5
    • /
    • pp.1939-1946
    • /
    • 2012
  • High performance steel for bridges requires higher performance in tensile and yield strength, toughness, weldability, etc.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weldability of HSB 600 steel. The effects of heat input (1.4~3.2kJ/mm) and postweld heat treatment (PWHT, $600^{\circ}C$, 40hr.) on the TMCP HSB600 steel weldments made by GMAW process were investigated. The tensile strength and hardness of as-welded specimens decreased with increasing heat input. Charpy V-notch impact energy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difference by postweld heat treatment. The fine-grained acicular ferrite was mainly formed in the 2.1kJ/mm of heat input while polygonal and side plate ferrites were dominated in the high inputs. Meanwhile, tensile strength and hardness of PWHT weldments decreased due to the coarsening and globularization of ferrite microstructure and reduction of residual stresses with increasing heat inputs.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impact energy absorption.

Effects of Al Contents on Toughness of High Strength GMA Weld Metal (고강도 GMA 용착금속의 충격인성에 미치는 Al의 영향)

  • Park, Hyoung-Keun;Kim, Hee-Jin;Seo, Jun-Seok;Ryoo, Hoi-Soo;Ko, Jin-Hyun
    • Proceedings of the KWS Conference
    • /
    • 2010.05a
    • /
    • pp.30-30
    • /
    • 2010
  • 고강도강의 용접성은 저온균열 저항성으로 대변되는데, TMCP강과 HSLA강 등이 개발되면서 고강도강의 저온균열저항성이 크게 향상되어 무예열 용접성이 확보되었다. 그러나 용접재료 측면에서는 그에 상응하는 재료의 개발이 지연되어 강재 개발로 인한 우수한 성능을 충분히 발휘하지 못하고 있으며 용접부의 건전성 문제가 심각하게 인식되고 있다. 이로 인해 고강도강에 적용시킬 수 있는 무예열 용접재료의 필요성이 대두되어 개발이 진행되고 있으며 상용화를 앞두고 있다. 이러한 용접재료의 개발단계에서 합금설계는 가장 중요한 항목으로 합금 조성에 따라 용착금속의 강도 및 인성에 상당한 변화를 가져오기 때문이다. 합금원소 중 Al은 강재의 탈산을 돕기 때문에 가능한 많은 양의 첨가를 요구하지만 적정량 이상을 초과하게 되면 오히려 용착금속의 저온인성 특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고강도 GMA 용착금속의 Al함량을 단계적으로 변화시켜 용착금속 내 최적의 Al의 함량을 찾고자 하였다. 또한 높은 비용 및 많은 시간을 필요로 하는 와이어로드를 제작하지 않고도 Al함량을 조절 할 수 있는 방법을 고안하고자 하였다. 실험의 모재는 HSLA-100강을 사용하였으며 용접재료는 ER120S-G급의 GMA용접 재료를 사용하였다. 모재 성분과의 희석을 방지하기 위해 V-Groove 가공 후 6패스 Buttering 용접을 실시하였고, 다시 Buttering용접부에 V-Groove 가공을 하여 최종 용접을 실시하였다. 이 때 Al함량을 조절하기 위해 최종 용접 개선부 밑면에 홈을 판 후 Al fiber(직경 0.3mm)를 깔고 용접(입열량 20kJ/cm)하여 Al함유량을 총 3가지(0.003~0.04% Al)로 제어하였다. 용접 후 각각의 시편에 대해 미세조직, 충격시험, O/N분석, 성분분석 등의 시험을 수행하여 저온인성과의 상관관계를 알아보았다.

  • PDF

The effect of Heat input, Shielding Gas(Ar80% + $CO_2$20%), PWHT on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HSB600 steel Weldments (HSB600강 용접에서 입열량, 보호가스, 용접후 열처리가 미세조직과 기계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 Ju, Dong-Hwi;Lim, Young-Min;Kim, Nam-Hoon;Koh, Jin-Hyun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11.12b
    • /
    • pp.394-397
    • /
    • 2011
  • The effects of heat input(1.4~3.2kJ/mm), shielding gas(Ar80%+$CO_2$20%) and postweld heat treatment(PWHT, $600^{\circ}C$, 40hr.) on the TMCP HSB600 steel weldments made by GMAW process were investigated. The tensile strength and CVN impact energy of as-welded specimens decreased with increasing heat input. The fine-grained acicular ferrite was mainly formed in the low heat input while polygonal and side plate ferrites were dominated in the high inputs. High performance steel for bridges requires higher performance in tensile and yield strength, toughness, weldability, etc. Thus, the purpose of the experiment is to study HSB 600 in GMAW.

  • PDF

HAZ Microstructure and Toughness in High Heat Input Welding (대입열용접 열영향부의 조직과 인성)

  • 방국수;이종봉;장래웅
    • Journal of Welding and Joining
    • /
    • v.10 no.1
    • /
    • pp.12-19
    • /
    • 1992
  • 용접능률의 향상을 위한 대입열용접법의 적용은 과도한 입열량으로 인하여 용접부의 인성이 저 하한다는 점에서 그 적용에 주의를 요한다. 본 보에서는 대입열용접시 열영향부의 인성 저하의 원인과 그 대책을 강재의 측면에서 검토하였다. 고장력강을 용접하면 입열량이 증가함에 따라 오스테나이트 결정립이 조대화되고 상부 베이나이트와 도상 마르텐사이트가 생성되어 인성이 저하한다. 그 대책으로서는 용접 열싸이클과정중 안정한 질화물, 산화물등을 모재에 미세분산시켜 오스테나이트 결정립 성장을 억제하고, 페라이트, 펄라이트 변태를 촉진시킨다. 이러한 석출물의 형성을 위해서는 주로 Ti, Ca, REM, B등의 합금원소가 이용된다. 소입성이 높은 주질고장력 강에서는 석출물의 분산에 의한 페라이트의 변태 촉진 보다는 Mn, Ni, Cr, Mo, V등의 합금원 소를 첨가하여 소입성을 높여 인성이 우수한 하부 베이나이트 조직을 형성하든가, 탄소량을 저 감시켜 도상 마르텐사이트의 생성을 억제하므로서 인성을 확보한다. 현재 국내에서 제조되고 있는 대입열용접용강중 인장강도 50kgf/mm$^{2}$급강은 기본적으로 용접부 인성이 우수한 TMCP법으로 제조되며, Ti등을 첨가하여 석출물의 효과를 이용하고 N을 억제하여 기지의 인 성을 향상시키는 등의 방법을 병용하고 있다. 인장강도 60kgf/mm$^{2}$ 급강은 조질처리에 의하여 제조되며, 50kgf/mm$^{2}$급강과 같이 Ti, B등의 첨가에 의한 석출물의 효과를 이용 하고 있다.

  • PDF

Impact Toughness and Softening of the Heat Affected Zone of High Heat Input Welded 390 MPa Yield Strength Grade TMCP Steel (항복강도 390 MPa급 가공열처리강 대입열용접 열영향부 충격인성 및 연화현상)

  • Bang, Kook-Soo;Ahn, Young-Ho;Jeong, Hong-Chul
    • Korean Journal of Metals and Materials
    • /
    • v.56 no.11
    • /
    • pp.796-804
    • /
    • 2018
  • The Charpy impact toughness of the heat affected zone (HAZ) of electro gas welded 390 MPa yield strength grade steel, manufactured by a thermo mechanically controlled process, was investigated. The effects of added Nb on the toughness of the steel and the factors influencing scatter in toughness are discussed in the present work. It was observed that adding Nb to the steel led to the deterioration of HAZ toughness. The presence of soluble Nb in the HAZ increased its hardenability and resulted in a larger amount of low toughness bainitic microstructure. Microstructural observations in the notch root area revealed the significant role of different microstructures in the area. In the presence of a larger amount of bainitic microstructures, the HAZ exhibited a lower Charpy toughness with a larger scatter in toughness. A softened zone with a lower hardness than the base metal was formed in the HAZ. However, theoretical analysis revealed that the presence of the zone might not be a problem in a real welded joint because of the plastic restraint effect enforced by surrounding materials.

The effect of Heat input and PWHT on the microstructure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HSB600 steel weldments (HSB600강 GMA 용접부에서 입열량과 용접후 열처리가 미세조직과 기계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 Koh, Jin-Hyun;Kim, Nam-Hoon;Jang, Bok-Su;Ju, Dong-Hwi;Lim, Young-Min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2 no.12
    • /
    • pp.5405-5411
    • /
    • 2011
  • The effects of heat input (1.5~3.6 kJ/mm) and post weld heat treatment (PWHT, $600^{\circ}C$, 40hr.) on the TMCP HSB600 steel weldments made by GMAW process were investigated. The tensile strengths and hardness of as-welded specimens were decreased as heat input increased, but CVN (Charpy V-Notch) impact energy did not show any differences. The fine-grained acicular ferrite was mainly formed in the low heat input while polygonal and side plate ferrites were dominated in the high heat inputs. Meanwhile, tensile strength and hardness of PWHT weldments were decreased due to the coarsening and globular of microstructure as well as reduction of residual stresses.

A Study of Fatigue Crack Growth Behaviour for Ferrite-Bainite Dual Phase Steel (Ferrite-Bainite dual phase 강의 피로균열진전 특성 평가)

  • Kim, Deok-Geun;Cho, Dong-Pil;Oh, Dong-Jin;Kim, Myung-Hyun
    • Journal of Welding and Joining
    • /
    • v.34 no.1
    • /
    • pp.41-46
    • /
    • 2016
  • With the recent increase in size of ships and offshore structures, there are more demand for thicker plates. As the thickness increases, it is known that fatigue life of the structures decrease. To improve the fatigue life, post weld treatments techniques, such as toe grinding, TIG dressing and hammer peening, are typically employed. However, these techniques require additional construction time and production cost. Therefore, it is of crucial interest steels with longer fatigue crack growth life compared to conventional steels. This study investigates fatigue crack growth rate (FCGR) behaviours of conventional EH36 steel and Ferrite-Bainite dual phase EH36 steel (F-B steel). F-B steel is known to have improved fatigue performance associated with the existence of two different phases. Ferrite-Bainite dual phase microstructures are obtained by special thermo mechanical control process (TMCP). FCGR behaviours are investigated by a series of constant stress-controlled FCGR tests. Considering all test conditions (ambient, low temperature, high stress ratio), it is shown that FCGR of F-B steel is slower than that of conventional EH36 steel. From the tensile tests and impact tests, F-B steel exhibits higher values of strength and impact energy leading to slower FCG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