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MAO

검색결과 126건 처리시간 0.023초

새우젓의 정미성분에 관한 연구 (THE TASTE COMPOUNDS FERMENTED ACETES CHINENSIS)

  • 정승용;이응호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79-110
    • /
    • 1976
  • In Korea fermented fish and shellfish have traditionally been favored and consumed as seasonings or further processed for fish sauce. Three major items in production quantity among more than thirty kinds which are presently available in the market are fermented anchovy, oyster and small shrimp. They are usually used as a seasoning mixture of Kimchi in order to provide a distinctive flavor. Fermented small shrimp, Acetes chinensis is most widely and largely used ana occupies an important position in food industry of this country. But no study on its taste compounds has been reported. This study was attempted to establish the basic data for evaluating taste compounds of fermented small shrimp. The changes of such compounds during fermentation as free amino acids, nucleotides and their related compounds, TMAO, TMA, and betaine were analysed. In addition, change in microflora during the fermentation under the halophilic circumstance was also investigated. The samples were prepared with three different salt contents of 20, 30 and $40\%$ to obtain the proper degree of fermentation at a controlled tempeature of $20{\pm}2^{\circ}C$.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Volatile basic nitrogen increased rapidly until 108 days of fermentation and afterwards it tended to increase slowly. Amino nitrogen also increased rapidly until 43 days of fermentation and then increased slowly. Extract nitrogen increased and marked the maximum value at 72 day fermentation and then decreased slowly. ADP, AMP and IMP tended to degrade rapidly while hypoxanthine increased remarkably at 27 day fermentation but slightly decreased at 72 day fermentation. It is presumed that the characteristic flavor of fermented small shrimp might be attributed to the relatively higher content of hypoxanthine. In the free amino acid composition of fresh small shrimp abundant amino acids were proline, arginine, alanine, glycine, lysine, glutamic acid, leucine, valine and threonine in order. Such amino acids like serine, methionine, isoleucine, phenylalanine, aspartic acid, tyrosine and histidine were poor. In small shrimp extract, proline, arginine, alanine, glycine, lysine and glutamic acid were dominant holding $18.5\%,\;14.6\%,\;10.8\%,\;8.7\%,\;8.1\%\;and\;7.7\%$ of total free amino acids respectively. The total free amino acid nitrogen in fresh small shrimp was $63.9\%$ of its extract nitrogen. The change of free amino acid composition in the extract of small shrimp during fermentation was not observed. Lysine, alanine glutamic acid, proline, glycine and leucine were abundant in both fresh sample and fermented products. The increase of total free amino acids during 72 day fermentation reached approximately more than 2 times as compared with that of fresh sample and then decreased slowly. Fermented small shrimp with $40\%$ of salt was too salty to be commercial quality as the results of organoleptic test showed. It is found that 72 day fermentation with $20\%\;and\;30\%$ of salt gave the most favorable flavor. It is convinced that the characteristic flavor of fermented small shrimp was also attributed to such amino acids as lysine, proline, alanine, glycine and serine known as sweet compounds, as glutamic acid with meaty taste, and as leucine known as bitter taste. The amount of betaine increased during fermentation and reached the maximum at 72 day fermentation and then decreased slowly TMA increased while TMAO decreased during fermentation. The amount of TMAO nitrogen in fermented small shrimp was $200mg\%$ on moisture and salt free base. Betaine and TMAO known as sweet compounds were abundant in fermented small shrimp. It is supposed that these compounds could also play a role as important taste compounds of fermented small shrimp. At the initial stage of fermentation, Achromobacter, Pseudomonas, Micrococcus denitrificans which belong to marine bacteria were isolated. After 40 day fermentation, they disappeared rapidly while Halabacterium, Pediococcus, Sarcian, Micrococcus morrhuae and the yeasts such as Saccharomyces sp. and Torulopsis sp. dominated. It is concluded that the most important taste compounds of fermented small shrimp were amino acids such as lysine, proline, alanine, glycine, serine, glutamic acid, and leucine, betaine, TMAO and hypoxanthine.

  • PDF

형질 전환 Aspergillus oryzae의 첨가가 산란계의 생산성, 계란 품질 및 장내 미생물 변화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the Transgenic Aspergillus oryzae Supplementation on Performance, Egg Quality and Intestinal Microflora of Layers)

  • 정병윤;박세원;백인기;조경진;이상석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7권4호
    • /
    • pp.547-554
    • /
    • 2005
  • 본 연구는 메주에서 순수 분리된 메주곰팡이의 대표적 균종인 황국균(Aspergillus oryzae; AO)으로 만든 AO culture와 Salmonella 병원특이 유전자를 삽입한 형질전환 AO(TAO) culture가 산란계의 생산성, 계란 품질 및 장내 미생물 균총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실시하였다. 39주령 산란계 Hy-line Brown 840수를 공시하여 대조구, AO culture 0.2%와 0.5%, TAO culture 0.2%와 0.5%, UV를 조사하여 단백질 분해효소를 감소시킨 mutant에 Salmonella 병원 특이 유전자를 삽입한 형질전환 AO(TMAO) culture 0.2%와 0.5% 첨가구들을 비교하였다. 각 첨가구는 6반복, 반복당 20수씩, 한 케이지 당 2수씩 배치하여 8주간 사양시험을 실시하였다. 사양시험 결과 모든 산란 생산성 및 계란 품질 관련 조사항목에서 처리간에 유의한(P<0.05) 차이가 있었다. TAO culture 0.2% 첨가구가 산란 생산성에 있어서 유의적으로 가장 높았으며, 난중은 모든 AO 첨가구들이 대조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거나 낮아지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연파란율은 TMAO culture 0.5% 첨가구가 가장 낮았다. 사료섭취량과 사료요구율은 대조구와 모든 AO 첨가구들간에 유의적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난각 강도는 대조구 보다 모든 AO 첨가구들에서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난황 색도는 TMAO culture 0.5% 첨가구에서 가장 높았다. 난각 색도와 Haugh unit은 대조구와 모든 AO 첨가구들간에 유의적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장내 미생물 균총(Salmo- nella spp., E. coli. Lactobacilli spp.)에서는 유의적(P<0.05) 차이가 있었다. AO culture 첨가에 의해서 Lactobacilli spp.의 수는 증가되고, E. coli 및 Salmonella spp.의 수는 감소되었다. 특히 TAO와 TMAO culture 첨가구에서는 AO culture 첨가구보다 Salmonella spp. 및 E. coli 억제효과가 컸으며 첨가수준(0.5% vs 0.2%)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적으로 TAO culture 0.2% 첨가는 산란 생산성 증가에 효과가 있었으며 TAO 및 TMAO culture 0.2% 첨가는 장내 E. coli 및 Salmonella spp.의 감소에 유의한 효과가 있었다.

국내산과 수입산 시판 홍어회의 이화학적 및 미생물학적 품질 특성에 관한 연구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mmercial Slices of Skate Raja kenojei)

  • 조희숙;김경희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214-220
    • /
    • 2008
  • 향토전통식품에 대한 체계적인 위생적 품질을 평가하기 위한 기초 연구로, 국내에서 시판되는 홍어회의 품질 특성을 조사하였다. 홍어회의 pH는 국내산이 9.0, 수입산은 8.9${\sim}$9.1이었다. 홍어회의 휘발성 염기질소는 국내산은 46.3 4mg%, 칠레산은 45.43 mg%, 아르헨티나산은 51.61 mg% 및 중국산은 52.14 mg%로 나타났다. 아미노태 질소는 칠레산이 가장 많았고, 중국산이 가장 적게 나타났다. TMAO 함량은 국내산이 수입산보다 더 많았다. 국내산 홍어회의 총균수는 6.6 log CFU/g 수준이었고, 수입산의 경우에는 5.1${\sim}$6.5 log CFU/g 수준이었다. 홍어회의 대장균은 모든 시료에서 검출되지 않았다. 국내산, 칠레산, 아르헨티나산 및 중국산은 각각 25종, 24종, 23종 및 24종의 유리아미노산이 검출되었으며, 총 함량은 579.7 mg, 398.1 mg, 387.6 mg 및 496.3 mg이었다. Taurine의 함량이 가장 많이 검출되었고, 그 다음으로는 anserine, lysine, alanine, glycine, proline, ${\beta}$-alanine, histidine 순 이었다. 국내산 홍어회에서 포화지방산 11종, 불포화지방산 16종이 분석되어, 총27종이 분석되었다. 칠레산은 총 18종이 분석되었으며, 아르헨티나산은 총 25종이 분석되었고, 중국산에서는 총 18종이 분석되었다. 한편, 불포화지방산 중 특히 $C_{18:1}$의 경우는 아르헨티나산이 국내산보다 훨씬 많이 들어있었다. Trienoic unsaturated fatty acid는 국내산 홍어회에 더 많이 함유되었으며, penta, hexa unsaturated fatty acid에서는 아르헨티나산의 함량이 가장 많았다. 필수지방산의 경우는 국내산 홍어회가 더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로 미루어 볼때 국내산이 수입산에 비하여 총 균수 및 유리아미노산의 함량이 많고, 지방산의 경우도 n-3와 n-6지방산이 많이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미루어 좋은 단백질과 지방 공급식품임을 알 수 있었다.

  • PDF

적색육 어류의 저장 및 가공중의 Amine류의 변화 2. 꽁치$\cdot$삼치 염장 및 건제품의 DMA와 TMA 함량 (Changes in Contents of Amines in the Dark-fleshed Fish Meat During Processing and Storage. 2 Formation of Dimethylamine and Trimethylamine in Salted and Dried Mackerel pike and Spanish mackerel)

  • 박영호;최수안;안철우;양영개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7-14
    • /
    • 1981
  • 꽁치($2^{\circ}C$$10^{\circ}C$) 및 삼치육($2^{\circ}C$$15^{\circ}C$)은 저장하였을 때의 육중의 TMAO-N, TMA-N 및 TMA-N의 경시적인 변화와 아울러 이들 어육을 저장, 열풍건조 및 일건하였을 때의 변화에 대하여 실험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TMAO의 변화에 있어서 5일간 저장하였을 때 $2^{\circ}C$의 경우, 꽁치 몇 삼치육은 각각 생시료때의 $48\%$$41\%$의 잔존율을 나타내었고 $10^{\circ}C$의 꽁치육과 $15^{\circ}C$의 삼치육의 경우는 각각 $39\%$$18\%$였다. 2. TMA의 변화는 5일간의 저장에서, $2^{\circ}C$의 경우 꽁치 및 삼치육은 각각 생시료때의 6.5배양 및18배양의 증가를 보었고, $10^{\circ}C$의 꽁치와 $15^{\circ}C$의 삼치육의 경우는 각각 28.8배양 및 77.7배양이었다. 3. DMA의 변화는 5일간의 저장에서, $2^{\circ}C$의 경우 꽁치 및 삼치육은 각각 생시료때의 2.5배양 및 5.4배양의 증가를 나타냈고, $10^{\circ}C$의 꽁치와 $15^{\circ}C$의 삼치육의 경우는 각각 4배양 및 8배양이었다. 4. 제품별 TMAO의 함양은 꽁치의 경우, 염장품 > 열풍건조품 > 일건품의 순이었고 삼치의 경우는 염장품 > 일건품열풍건조품의 순이 있다. 5. 제품별 TMA의 합양은 꽁치의 경우, 열풍건조품 > 일건품 > 염장품의 순이였고 삼치의 경우는 일건품 > 열풍건조품 > 염장품의 순이었다. 6. 제품별 DMA의 함양은 모든 시료가 열풍건조품 > 일건품 > 염장품의 순이었다. 본 연구의 실험을 도와 준 성혜경 선생에게 감사를 드리는 바이다.

  • PDF

적색육 어류의 저장 및 가공중의 Amino류의 변화 (I) 고등어${\cdot}$전어${\cdot}$정어리 염장 및 건제품의 DMA와 TMA함량 (CHANGES IN CONTENTS OF AMINES IN THE DARK-FLESHED FISH MEAT DURING PROCESSING AND STORAGE)

  • 안철우;최수안;박영호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245-253
    • /
    • 1979
  • 고등어, 전어 및 정어리육을 $10^{\circ}C$$25^{\circ}C$에서 저장하였을 때의 육중의 TMAO-N, TMA-N 및 DMA-N의 경시적인 변화와 아울러 이들 어육을 염장, 열풍건조, 일건 및 자건하였을 때의 변화에 대하여 실험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TMAO의 변화에 있어서, $10^{\circ}C$, 5일 저장의 경우 고등어, 전어 및 정어리는 각각 생시료때의 $15\%\;20\%$$10\%$의 잔재율을 나타내었고 $25^{\circ}C$ 1일 저장의 경우 각각 $30\%,\;26\%$$30\%$ 였다. 2. TMA의 변화는 $10^{\circ}$, 5일 저장의 경우, 고등어, 전어 및 정어리가 각각 생시료때의 4.1배, 24배 및 9.5배의 증가를 보였고 $25^{\circ}C$, 1일 저장의 경우는 각각 2.7배, 11배 및 5배였다. 3. DMA의 변화는 $10\%$, 5일 저장의 경우 고등어, 전어 및 정어리가 각각 생시료때의 7배, 25배 및 8배의 증가를 나타냈고 $25^{\circ}C$, 1일 저장의 경우는 각각 7배, 21배 및 2배였다. 4. 제품별 TMAO의 함량은 고등어, 전어의 경우 염장품>일건품>열풍건조품의 순이 였고 정어리의 경우는 자건품>염장품>열풍건조품>일건품의 순이 였다. 5. 제품별 TMA의 함량은 고등어, 전어의 경우 일건품>열풍건조품>염장품의 순이었고 정어리의 경우는 일건품>열풍건조품>염장품>자건품의 순이였다. 6. 제품중의 DMA의 함량은 고등어, 전어의 경우 일건품>염장품>열풍건조품>자건품의 순이였다. 본 연구의 실험을 도와 준 공양숙, 오영선 양에게 감사를 드리는 바이다.

  • PDF

밴댕이 및 주둥치젓의 정미성분(呈味成分) (Taste Compounds of Salted and Fermented Big Eyed Herring and Slimy)

  • 구재근;이응호;안창범;차용준;오광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283-288
    • /
    • 1985
  • 밴댕이 및 주둥치젓의 정미성분(呈味成分)에 관한 자료(資料)를 얻고자 유리(遊離)아미노산(酸), 핵산관련물질(核酸關聯物質), 유기염기(有機鹽基) 및 무기질(無機質)을 분석(分析)하였다. 유리아미노산은 밴댕이젓의 경우 lysine, alanine, leucine, isoleucine valine순(順)으로 함량(含量)이 많아 이들의 전체 유리아미노산의 88.6%를 차지하였고, 주둥치젓은 alanine, leucine, isoleucine, Iysine순(順)으로 함량(含量)이 많아 전체 유리아미노산의 84.4%를 차지하였다 핵산관련물질(核酸關聯物質)의 함량(含量)은 밴댕이 및 주둥치젓 모두 hypoxanthine이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유기염기(有機鹽基)는 양시료 모두 총(總)creatinine, betaine, TMA순(順)으로 많았으며. TMAO는 흔적량에 불과했다. 무기염류(無機鹽類)의 함량(含量)도 Na 및 Ca가 각각37,471$\sim$45,000. 8.ppm, 14,117.1$\sim$ 19,948.1ppm으로 월등히 많았으며, 다음으로 K, Mg 순으로 많았다. 관능검사결과(官能檢査結果) 밴댕이젓은 아미노산 및 핵산관련물질(核酸關聯物質)이, 그리고 주둥치젓은 아미노산이 이들의 맛에 가장 중요한 구실을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PDF

개불의 함질소 엑스성분 (Extractive Nitrogenous constituents of Echiuroid Urechis unichinctus)

  • 박춘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13-19
    • /
    • 1999
  • 신선한 개불 U. unicinctus의 맛 성분 조성을 구명하기 위하여 1988년 4월 어시장에서 살아있는 시료를 구입하여 체중에 따라 중형과 대형으로 나누고 가식부의 엑스분질소, 유리아미노산, oligopeptide류, 핵산관련물질, betaine류, TMAO, TMA, creatine 및 creatinine 등 함 질소 엑스성분을 분석하였다. 엑스분질소는 $601{\sim}610\;mg100g$이었고, 유리아미노산은 32종이 검출되었으며 총량은 $2,437{\sim}2,609mg/100g$이었다. 함량이 많고 중요한 유리아미노산으로는 glycine, alanine, taurine, serine 등이었다. Oligopeptide에서 유래한 아미노산은 유리아미노산 총량의 $28.6{\sim}30.4%$ 수준이었다. 핵산관련물질로서 ATP 관련물질 총량은 $3.04{\sim}3.12\;{\mu}mol/g$이었으며 그 중 AMP가 $87.2{\sim}89.4%$로서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개불 중에는 adenine nucleotides 이외에도 GTP, UTP, CTP 관련물질 등 11종의 핵산성분이 검출되었으며 그 총량도 ATP 관련물질에 버금가는 량이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Betaine류로서는 Homarine과 trigonelline이 미량검출되었다. 그리고, TMAO, TMA, creatine도 함량이 낮았다. 개불 엑스분 중의 질소분포 특징은 glycine함량이 $1,075{\sim}1,171\;mg$에 달하여 단일 성분으로 유리아미노산 총량의 $50.6{\sim}51.6%$, 그리고 엑스분질소의 $33.4{\sim}35.9%$를 차지하여 단맛의 중요한 성분으로 판단되었다. 분석된 성분에 의한 엑스분질소의 회수율은 $92.3{\sim}96.4%$ 범위였다. 체중에 따른 맛 성분의 차이는 발견 할 수 없었다.

  • PDF

오징어의 건조방법이 N-Nitrosamine의 생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rying Method on N-Nitrosamine Formation in Squid during Its Drying)

  • 성낙주;이수정;신정혜;김정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614-619
    • /
    • 1997
  • 건조 오징어 중 N-nitrosamine(NA)의 생성 경로를 밝히고져 오징어의 건조방법을 달리하여 NA의 주요 전구물질인 질산염과 아질산염, DMA, TMA, TMAO 및 betaine질소 등을 정량하였고, Thermal Energy Analyzer(TEA)를 Gas Chromatography(GC)와 결합시켜 NA를 분석하였다. 오징어 건조 중 질산염 질소는 생시료에서 불검출~0.3mg/kg였으나 천일건제품에서는 최고 1.9mg/kg, 열풍건제품은 2.3mg/kg, 재래식으로 건조한 시료에서는 5.2mg/kg 검출되었다. 그리고 아질산염 질소 역시 질산염 질소와 비슷한 증가 양상을 보여 생시료에서는 전혀 검출되지 않았으나 재래식 건제품에서는 최고 2.7mg/kg으로 정량되었다. 오징어 건조 중 TMAO 및 betaine질소는 감소하였으나 TMA 및 DMA질소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여 건제품에서 각각 27.8~29.2mg%, 10.4~12.3mg/kg였다. 건조 오징어 중 휘발성 NA는N-nitrosodimethylamine(NDMA)만이 검출되었고, NDPA를 이용하여 회수율을 검토한 결과는 81.0~100.0%였다. 생시료 중에는 NDMA가 불검출 내지 흔적 량에 불과하였으나 건조시료에서는 2.7~42.7$\mu\textrm{g}$/kg였다. 건조방법에 따라 NDMA의 함량에 대차를 보여 재래식 방법으로 건조할 경우 천일건조에 비해 11~16배, 열풍건조에 비해 3~4배나 높게 정량 되었다. 이처럼 재래식 방법으로 건조한 시료에서 NDMA가 높게 검출된 것은 건조시 사용한 연탄불로부터 생성된 산화질소 유도체가 오징어육에 존재하는 아민류와의 상호반응으로 인한 것이 주된 인자로 추정된다.

  • PDF

멸치젓 첨가 김치 숙성중 제 2급, 제 3급 아민 및 제 4급 암모늄 화합물의 함량 변화와 N-Nitrosamine의 생성 (Changes of Secondary, Tertiary Amines and Quarternary Amminium Compounds, and Formation of N-Nitrosamine during Fermentation of Kimchi with Anchovy Sauce)

  • 김수현;현재석;오창경;오명철;박제석;강순배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704-710
    • /
    • 1994
  • 멸치젖 첨가 김치 숙성 중 제2급 및 제3급, 제4급 암모늄 호합물의 함량변화 및 N-nitrosamine 생성에 대해 연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질산염 질소는 발효 숙성 중 대조구와 멸치 첨가구에서 점차적으로 증가하였으나, 아질산염을 검출한계 미만이었다. 제2급 아민은 발효숙성 중 계속적으로 증가하다가 숙성 60일 이후에 급격히 증가하였다. TMA-N는 발효 중 거의 변화가 없는 반면, TMAO-N는 약간 감소하였다. Betaine-N는 숙성 초기에 상당히 증가한 반면 숙성 60일 이후 감소하였다. Cholin-N는 숙성 초기에 감소하다가 중기에는 증가하였으며, 숙성 말기에는 다시 감소하는 현상을 보였다. Creatinine-N는 발효 숙성 중에 변화가 거의 없었다. N-Nitrosamine은 숙성 초기에 수 $\mu\textrm{g}/kg$에서 $45\mu\textrm{g}/kg$까지 검출되었다. 검출되었다.

  • PDF

시판 토화젓의 정미성분에 관한 연구 (The Taste Compounds in Commercial Toha-jeot)

  • 이응호;이정석;주동식;박중제;김희경;장석준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325-330
    • /
    • 1996
  • 전남지방의 전통 수산발효식품인 토하젓의 인지도 향상 및 국가경쟁력을 갖춘 지역특산품으로 발전시키기 위한 일련의 연구로써, 식품학적 기초자료를 얻기위하여 숙성기간이 다른 시판 토하젓을 구입하여 정미성분을 분석.검토하였다. 저온(5$\pm$2$^{\circ}C$)에서 90일간숙성시킨 토하젓의 전체 유리아미노산 함량은 건물당 1873.0mg/100g)보다 2배이상 많았다. 한편 숙성된 토하젓의 주요 유리아미노산(719.4mg/100g) 보다 2배 이상 많았다. 한편 숙성된 토하젓의 주요 유리아미노산은 glutamic acid, alanine, leucine, valine 및 phenylalanine으로 전체 유리아미노산에 대해 58.6%를 차지하였다. 핵산 관련물질은 담금 직후 및 숙성된 토하젓 모두 hypoxanthine의 함량이 월등히 많았으며, 그 다음으로 AMP 및 IMP순이였다. 그리고 숙성된 토하젓은 담금 직후의 토하젓과 비교해서 AMP 및 IMP는 적었으나, hypoxanthine의 함량은 많았다. 불휘발성 유기산을 GC분석한 결과, 담금 직후 및 숙성된 제품 모두에 lactic acid가 가장 많아 각각 건물당 389.3mg/100g 및 752.3mg/100g이였고, succinic acid는 미량 함유되어 있었다. 90일간 숙성된 TMAO, betaine 및 total creatinine 함량은 건물량 기준으로 각각 63.6mg/100g, 179.1mg/100g 및 123.7mg/100g이었다. Omission test를 이용하여 각정미성분을 관능검사한 결과, 유리아미노산 및 불휘발성 유기산이 토하젓의 맛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밝혀졌으며, 핵산 관련물질은 그다지 맛에 대한 기여도가 높지 않았다. 따라서 시판 토하젓의 맛에는 유리 아미노산 및 불휘발성 유기산이 중요한 역할을 하며, 핵산 관련물질이나 TMAO, betaine 및 total creatinine은 보조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