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MA T-loop spring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17초

Segmented TMA T-loop spring에 의한 견치 후방이동시의 응력분포에 관한 광탄성법적 분석 (A photoelastic study of the stress distribution on canine retraction by segmented TMA T-loop spring)

  • 윤영주;김광원;유필식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1권2호통권85호
    • /
    • pp.199-207
    • /
    • 2001
  • 본 연구는 교정치료를 시행함에 있어 전치부 crowding을 해결하기 위한 견치의 단독견인 방법중 새로운 segmented TMA T-loop spring으로 견치 후방견인시 치근단과 그 주위 치조골에서의 응력상태를 알아보기 위해 시행되었다. PL-3 epoxy resin으로 광탄성 모형을 제작하여 B/L ratio가 0.25, 0.5, 0.75인 위치로 T-loop을 위치시키고 각 위치에서 5mm, 3mm, 1mm activation하였다. 이후 광탄성 응력 해석장치를 이용하여 견치견인시 치근단과 그 주위 치조골에서의 초기 응력 상태를 광탄성법으로 분석한 바,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T-looP 위치에 상관없이 activation량이 감소할수록 상악 1소구치 발치부위에 응력이 감소하였고 상악 1대구치의 함입응력은 증가하였다. 2. 5mm activation시 T-loop위치가 구치부쪽으로 이동할수록 상악 1소구치 발치부위에 응력이 증가하였다. 3. 3mm activation시 T-loop위치가 구치부쪽으로 이동할수록 상악 1소구치 발치부위와 상악 1대구치 협측 근심치근 근심면하방 1/2부위에 응력이 증가하였다. 4. 1mm activation시 T-loop위치가 견치쪽으로 이동할수록 상악 견치의 근심치근면 상방과 치근첨 하방의 응력이 증가하였다. 5. B/L ratio가 0.25이고 3mm activation시 상악견치의 치체이동이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볼 때 segmented T-loop spring의 근, 원심 위치 와 activation량을 조절하여 원하는 치아이동과 고정원 조절이 가능하다고 사료된다.

  • PDF

Preangulated TMA T-loop spring의 적용 위치 변화에 따른 견치의 초기 응력 분포에 대한 유한 요소법적 연구 (A FEM study about the initial stress distribution on canine altered by the application point of preangulated TMA T-loop spring)

  • 김정민;차경석;이진우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9권5호
    • /
    • pp.521-534
    • /
    • 1999
  • 본 연구는 상악 견치, 상악 제 2 소구치, 상악 제 1 대구치의 유한요소 모델을 제작하였고, $0.018{\times}0.025$ 인치 Stainless steel wire를 고정원 강화를 위해 상악 제 2소구치와 제 1대구치에 위치시켰다. $0.017{\times}0.025$ 인치 T-loop spring의 전후방적 위치에 따른 응력 분포를 알아보기 위해 T-loop spring의 중간이 견치와 제 1대구치 거리의 중간에 위치하는 것과, 2mm전방에 위치하는 것, 2mm후방에 위치하는 것의 3가지 유한 요소모델을 제작하였다. 이 T-loop spring을 6mm 강제변위시켜 발생하는 힘을 각 치아에 적용시켰으며, 견치에서 발생하는 힘과 응력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3가지 형태 모두에서 유사한 크기의 후방견인력을 보였다. 2. 3가지 형태 모두에서 유사한 크기와 비슷한 형태의 응력 분포를 보였다. 3. 3가지 형태 모두에서 회전 중심은 치근단 2/3 부분에 보였다. 4. 2mm 전방 위치된 T-loop spring과 2mm 후방 위치 된 T-loop spring에 각각 함입력과 정출력을 보이지만 그 크기가 작아서 응력 양상에 영향을 주지 못한다.

  • PDF

3종류의 구치부 Uprighting Spring의 초기응력분포에 관한 광탄성학적 연구 (A PHOTOELASTIC STUDY ON THE INITIAL STRESS DISTRIBUTION BY 3 TYPES OF MOLAR UPRIGHITNG SPRING)

  • 전윤식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709-719
    • /
    • 1994
  • The aim of this investigation was to identify which suing is more suitable for uprighting of the 30 degree inclined lower second molar in different situations. Between four different molar uprighting springs which were A, B, C type and T-loop spring, the author tested T-loop suing as a control material and the other springs were experimental group. Each spring was fabricated from .017' $\times$ .025' TMA wire and preactivated with 40 degree tip-back bend. Stabilizing unit included from the lower right central incisor to the lower right second premolar which were made by acrylic resin. The photoelastic overview of the lower right quadrant showed that stress concentrations were observed in its photoelastic model. The obtained results were as follows. 1. Higher concentration of compression can be seen clearly at the distal curvature than the mesial of the lower second molar when A type uprighting spring was applied, which can be used as a space regainer. 2. Higher level compression was presented at the mesial root apex area than the distal of the lower second molar in B type uprighting spring, which can be used as a space closer. 3. Areas of higher compression and tension were observed about the mesial and distal root of the lower second moalr than A and B type in C type uprighting spring, which can be used as a partial space regainer.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