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C

검색결과 5,711건 처리시간 0.041초

선천성 거대신배증과 거대뇨관증을 가지나 요로폐쇄가 없는 환아의 Tc-99m DPTA 및 Tc-99m DMSA 신장스캔 소견 (Tc-99m DTPA and Tc-99m DMSA Renal Scan findings in Patients with Congenital Megacalyces and Megaureter without Urinary Tract Obstruction)

  • 안병철;배진호;정신영;이재태;이규보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202-205
    • /
    • 2003
  • A 10 days old male infant with congenital megacalyces and megaureter, diagnosed by prenatal ultrasonographic screening, underwent Tc-99m DTPA renal scan for evaluation of urinary tract patency, Tc-99m DMSA scan for evaluation of renal cortical damage. He also underwent intravenous urography(IVU) and renal ultrasonography. Tc-99m DTPA renal scan demonstrates intense tracer accumulation in enlarged both renal pelvocalyses and ureters, which rapidly washout without diuretics administration. Tc-99m DMSA renal cortical scan shows no remarkable photon defect in both renal cortices and visible tracer uptake in both megaureter areas. Ultasonographic and IVU studios show enlarged both renal calyses and bullously dilated ureters, but no dilatation in renal pelvis. Follow up Tc-99m DTPA renal scan, peformed at one year later, also reveals intense tracer accumulation in enlarged both urinary tracts which rapidly washout without diuretics, and shows no significant change compare to the previous Tc-99m DTPA renal scan. Urinary tract obstruction and renal cortical damage can be easily evaluated with Tc-99m DTPA and Tc-99m DMSA scans in patiens with megacalyces and megaureter.

Biodistribution of 99mTc Tricarbonyl Glycine Oligomers

  • Jang, Beom-Su;Lee, Joo-Sang;Rho, Jong Kook;Park, Sang Hyun
    • Toxicological Research
    • /
    • 제28권4호
    • /
    • pp.235-240
    • /
    • 2012
  • $^{99m}Tc$ tricarbonyl glycine monomers, trimers, and pentamers were synthesized and evaluated for their radiolabeling and in vivo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We synthesized a $^{99m}Tc$-tricarbonyl precursor with a low oxidation state (I). $^{99m}Tc(CO)_3(H_2O)_3^+$ was then made to react with monomeric and oligomeric glycine for the development of bifunctional chelating sequences for biomolecules. Labeling yields of $^{99m}Tc$-tricarbonyl glycine monomers and oligomers were checked by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The labeling yields of $^{99m}Tc$-tricarbonyl glycine and glycine oligomers were more than 95%. We evaluated the characteristics of $^{99m}Tc$-tricarbonyl glycine oligomers by carrying out a lipophilicity test and an imaging study. The octanol-water partition coefficient of $^{99m}Tc$ tricarbonyl glycine oligomers indicated hydrophilic properties. Single-photon emission computed tomography imaging of $^{99m}Tc$-tricarbonyl glycine oligomers showed rapid renal excretion through the kidneys with a low uptake in the liver, especially of $^{99m}Tc$ tricarbonyl triglycine. Furthermore, we verified that the addition of triglycine to prototype biomolecules (AGRGDS and RRPYIL) results in the improvement of radiolabeling yield. From these results, we conclude that triglycine has good characteristics for use as a bifunctional chelating sequence for a $^{99m}Tc$-tricarbonyl-based biomolecular imaging probe.

Synthesis of $^{99m} Tc$-tricarbonyl Precursors for Labeling of Bioactive Molecules

  • Jang, Beom-Su;Kim, Yong-Mi;Cho, Sang-Mu;Shin, Byung-Chul;Park, Sun-Ju;Hong, Young-Don;Gwon, Hui-Jeong;Park, Kyung-Bae;Yun, Hyo-In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34권2호
    • /
    • pp.146-153
    • /
    • 2002
  • To radiolabel bioactive molecules, we synthesized $^{99m}$Tc-tricarbonyl precursor, [$^{99m}$Tc(CO)$_3$($H_2O$)$_3$]$^{+}$ with a low oxidation state ( I ). The [$^{99m}$Tc(CO)$_3$($H_2O$)$_3$]$^{+}$ was prepared by low pressure carbonylation (1 atm of CO) of [$^{99m}$Tc $O_4$)]$^{[-10]}$ in the presence of NaB $H_4$ resulting in higher than 98% of labeling yield and stability up to 8 hrs. We evaluated the characteristics of $^{99m}$Tc- tricarbonyl labeled bioactive molecules by carrying out in vitro and in vitro study. Prepared [$^{99m}$Tc(CO)$_3$($H_2O$)$_3$]$^{+}$ was then reacted with some ligands of significance in modem diagnostic nuclear medicine and some amino acids. Labeling yields were checked by HPLC and found to be usually high, excluding $^{99m}$Tc-tricarbonyl-MDP, -EDTMP and -mIBG. And the biodistribution properties of $^{99m}$Tc-tricarbonyl complexes applied in rabbit showed different appearance comparing with that of the $^{99m}$Tc-labeling by conventional means. From these results, we conclude that [$^{99m}$Tc(CO)$_3$($H_2O$)$_3$]$^{+}$ is a potential precursor for development of radiopharmaceuticals, especially for labeling of biomolecules.

분화 갑상선암 환자의 수술후 잔여갑상선조직 및 전이병소의 진단: Tc-99m Pertechnetate 스캔과 고용량 옥소 치료 후 I-131 스캔의 비교 (Detection for Residual Thyroid Tissue and Metastatic Lesion after Total Thyroidectomy in Patients with Differentiated Thyroid Cancer: Comparison between Tc-99m Pertechnetate Sean and High Dose I-131 Therapy Sean)

  • 이주령;안병철;정신영;이재태;이규보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120-127
    • /
    • 2003
  • 목적: 갑상선 절제술을 받은 분화 갑상선암 환자의 경우 잔여 갑상선 조직이나 전이 병소를 찾기 위해서는 진단적 I-131 스캔이 주로 사용되고 있으나, I-131 스캔은 갑상선 호르몬 중지가 필요하고, 방사성 옥소 투여후 $2{\sim}3$일에 영상을 얻어야 하며, 기절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는 점 등의 단점이 있다. 이에 비하여 Tc-99m 스캔은 검사가 용이하고 영상의 질이 좋아 진단적 I-131 스캔을 대체할 수 있을 지에 대한 논란이 있다. 이에 저자들은 고용량 방사성 옥소 치료 후 시행한 I-131 스캔을 기준으로 하여 치료전 시행한 Tc-99m 스캔의 진단성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갑상선 절제술을 받은 분화 갑상선암 환자 135명을 대상 (여: 114, 연령: $45{\pm}15.3$세)으로 하였고, 방사성옥소 치료 병력이 있는 환자는 23명 (1회 16명, 2회 4명, 3회 3명)이었다. 갑상선 호르몬 복용을 4주간 중단한 후 370 MBq의 Tc-99m pertechnetate를 정맥주사 한 20분 후에 전경부의 평면 및 바늘구멍 Tc-99m 스캔 영상을 얻었고, $3.7{\sim}7.4GBq$의 I-131 옥소를 경구 복용한 3일후 전경부 평면 및 바늘구멍 I-131 스캔 영상을 얻었다. Tc-99m 스캔과 I-131 스캔은 최대 7일 간격 이내에 시행되었다. 영상의 판독은 두명의 핵의학 전문의가 함께 합의에 의하여 시각적으로 섭취여부 및 섭취부위의 개수를 구하였다. 결과: 대상 환자 모두는 혈청 TSH는 30 mlU/L 이상으로, 갑상선 기능저하증 상태에 있었다. 전체 환자 135명 가운데 65명 (48.1%)에서 Tc-99m 스캔과 I-131 스캔이 불일치 소견을 보였다. 두 스캔사이에 불일치를 보인 환자 가운데 23명 (35.4%)은 Tc-99m 스캔에서는 전경부 방사능 섭취부위가 발견되지 않았으나 I-131 스캔에서 옥소 섭취부위가 발견된 경우이며, 42명 (64.6%)은 Tc-99m 스캔보다 I-131 스캔에서 전경부 옥소 섭취부위가 더 많이 발견되었다. 방사성 옥소 치료병력이 없는 환자 112명 가운데 51명 (45.5%)은 Tc-99m 스캔과 I-131 스캔이 불일치 소견을 보였다. 이들 가운데 Tc-99m 스캔에서 전경부 방사능 섭취부위가 발견되지 않았던 11명 가운데 9명 (81.8%)은 I-131 스캔에서 옥소 섭취부위가 발견되었다. 수술후 방사성옥소 치료를 받은 병력이 있는 전체 23명은 Tc-99m 스캔상 전경부 섭취부위가 발견되지 않았으나, 이들 중 14명 (60.9%)은 I-131 스캔에서 전경부의 옥소 섭취부위가 나타났었다. 결론: 이상의 결과로 보아 분화 갑상선암 환자의 수술 후 잔여 갑상선조직이나 전이병소를 평가시 Tc-99m 스캔은 고용량의 방사성 옥소 치료후 얻은 I-131 스캔을 기준으로 볼때 진단적 예민도가 낮았으며, 특히, 방사성 옥소 치료병력을 가진 환자의 경우, 진단적 유용성이 없는 것으로 생각된다.

비소세포 폐암의 국소화 및 방사선치료 판정에 있어 Tc-99m MIBI SPECT의 유용성 (The Usefulness of Tc-99m MIBI SPECT in the Localization and the Assessment of Radiotherapy in Non-Small Cell Lung Cancer)

  • 범희승;송호천;김지열;남택근;안정자;정웅기;나병식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186-191
    • /
    • 1994
  • Tc-99m methoxyisobutyisonitrile(이하 MIBI)는 지용성양이온으로 심근혈류검사에 널리 쓰이고 있으나, 갑상선암, 폐암, 유방암 등 각종 암조직에도 섭취된다고 보고되었으며, 일부에서는 치료에 의한 반응을 판정하는데도 유용하다고 보고하고 있으나, 폐암에서 방사선치료에 의해 암부위의 섭취가 어떻게 변하는지에 대한보고는 찾아보기 힘들다. 이에 저자들은 한국에서 그 빈도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폐암 병소의 국소화 및 방사선치료의 경과를 판정하는데 있어 Tc-99m MIBI SPECT가 유용한지 검토하기 위해 본 연구를 시도하였다. 조직학적으로 확진된 폐암환자 20예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이 중 11예에서는 방사선 치료 전후에 검사할 수 있었다. 대상환자의 평균연령은 59세(범위 45-66세), 남녀비는 19 : 1이었고, 조직학적 진단명은 편평상피세포암(squamous cell ca, 이하 SCC) 16예, 선암(adenoca, 이하 AC) 4예였다. 대상환자는 별다른 전처치를 하지 않은 상태에서 Tc-99m $MIBI740MB_q$(20mCi)를 정맥주사하고, 1시간 후에 감마카메라(Sopha DSX, Sopha Medical, France)를 이용하여 $256{\times}256$매트릭스, 50만 카운트의 흉부 전면상을 얻었다. 이어 환자의 흉부를 360 도에 걸쳐 12도 간격으로 10초씩 $64{\times}64$ 또는 $128{\times}128$ 매트릭스로 단층촬영을 시행하였으며, 얻어진 영상자료는 감마카메라에 접속된 핵의학전용 컴퓨터(Sopha GX, Columbia, USA)에 수면상에서 폐암병소와 반대측 정상체에 관심구역을 설정하고, 이곳의 방사능을 측정하였다. 폐암병소와 Tc-99m MEBI 섭취율은(폐암병소의 방사능/정상 폐의 방사능)${\times}100$으로 계산하였다. 방사선치료 전후에 Tc-99m MIBI SPECT를 시행하였던 11예(남 : 여=10 : 1, 평균 연령 59세, 범위 50-66세, SCC 8예, AC 3예)에서는 단순흉부방사선 검사 및 CT 촬영결과와 Tc-99m MIBI SPECT결과를 비교하였다. 평균 6453cGy의 조사를 하였으며, 조사전 및 조사후 1개월째 단순흉부 촬영 및 CT를 하여 치료반응을 평가하였다. 통계학적 분석을 위해 조직학적 소견별 Tc-99m MIBI 섭취율의 비교는 student's t-test를 이용하였고, 방사선 치료전후 Tc-99m MIBI 섭취율의 변화는 paired t-test를 이용하여 검정하였다. P값 0.05미만을 유의한 것으로 판정하였다. 대상환자 전례에서 폐암병소에 뚜렷한 Tc-99m MIBI의 섭취가 관찰되었으며, SCC환자의 Tc-99m MIBI 섭취율은 평면상에서 $1.50{\pm}0.16$, 단면상에서 $2.73{\pm}0.46$였으며, AC환자의 섭취율은 각각 $1.45{\pm}0.15,\;2.54{\pm}0.37$으로 양군간에 유의한 차이를 인정 할 수 없었다. 방사선학적으로 호전된 예는 11예 중5예(45.5%, SCC 4예, AC 1예)였으며, 11예 중 9예(81.8%)에서 방사선학적 검사결과와 Tc-99m MIBI섭취율의 변화가 일치하였다. 결론적으로, Tc-99m MIBI SPECT는 폐암병소의 국소화 및 방사선치료 효과의 판정에 어느정도 유용하리라 사료되었다.

  • PDF

감염병소 영상을 위한 $^{99m}Tc$-Transferrin 개발 (Development of $^{99m}Tc$-Transferrin as an Imaging Agent of Infectious Foci)

  • 김성민;송호천
    • Nuclear Medicine and Molecular Imaging
    • /
    • 제40권3호
    • /
    • pp.177-185
    • /
    • 2006
  •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99m}Tc$-방사성표지 트렌스페린 ($^{99m}Tc$-transferrin)을 개발하여 감염/염증병소의 진단에 이용할 수 있는지 알아보고, 이를 $^{67}Ga$-Citrate 영상과 비교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Succinimidyl 6-hydrazino-nicotinate hydrochloride -chitosan -transferrin (Transferrin)을 합성하고, 여기에 $^{99m}Tc$ 방사성 표지를 시행하였다. $^{99m}Tc$-transferrin의 방사성표지효율은 표지 후 10분, 30분, 1시간, 2시간, 4시간, 8시간에 측정하였다. 포도상구균(ATCC 25923, $2{\times}10^8$ colony forming unite, 0.2 ml)을 접종한 쥐농양모델에서 $^{99m}Tc$-transferrin과 $^{67}Ga$-citrate의 생체내 분포를 평가하고 영상 검사를 실시하였다. 결과: 질량분석계를 이용하여 Transferrin이 성공적으로 제조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99m}Tc$-transferrin의 방사성표지효율은 10분, 30분, 1시간, 2시간, 4시간, 8시간에 각각 $96.2{\pm}0.7%,\;96.4{\pm}0.5%,\;96.6{\pm}1.0%,\;96.9{\pm}0.5%,\;97.0{\pm}0.7%\;and\;95.5{\pm}0.7%$ 이었다. $^{99m}Tc$-transferrin의 단위섭취량은 감염병소에서 $0.18{\pm}0.01\;and\;0.18{\pm}0.01$, 정상근육에서 $0.05{\pm}0.01\;and\;0.04{\pm}0.01$이었고, 감염병소 대 정상근육 섭취비는 30분과 3시간에 각각 $3.7{\pm}0.6\;and\;4.7{\pm}0.4$이었다. $^{99m}Tc$-transferrin 영상에서 10분, 30분, 1시간, 2시간, 4시간 그리고 10시간에서의 병소/배후방사능비는 각각 $2.18{\pm}0.03,\;2.56{\pm}0.11,\;3.08{\pm}0.18,\;3.77{\pm}0.17,\;4.70{\pm}0.45$ 그리고 $5.59{\pm}0.40$이었고, $^{67}Ga$-citrate의 경우 2시간, 24시간, 48시간에 $3.06{\pm}0.84,\;4.12{\pm}0.54\;4.55{\pm}0.74 $이었다. 결론 : Transferrin에 $^{99m}Tc$을 이용한 방사성표지가 성공적으로 이루어졌고, $^{99m}Tc$-transferrin의 표지효율은 8시간까지 95% 이상의 안정된 방사성표지효율을 보였다. $^{99m}Tc$-transferrin을 이용한 감염영상을 성공적으로 얻을 수 있었으며, $^{67}Ga$-citrate 영상과 비교하여 더 빠른 시간 안에 우수한 영상을 얻을 수 있었다. 그러므로 $^{99m}Tc$-transierrin이 감염 병소의 영상진단에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감마선 순환 처리에 의한 Centipedegrass (Eremochloa ophiuroides)의 유전변이 유도 (Induction of Genetic Variation with Recurrent Gamma Radiation in Centipedegrass (Eremochloa ophiuroides))

  • 임근발;;임용우;김영진;한학석;성병렬;김준식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351-354
    • /
    • 1998
  • Centipedegrass는 미국 동남부지역에서 잔디용으로 많이 이용하고 있는데 토양을 가리지 않고 잘 자라며 잎이 연녹색이어서 잔디로서 선호도가 높다. 그러나 이 식물의 유전자원이 지니고 있는 유전변이 폭이 매우 한정되어 있어 활용 가능한 유전변이의 폭을 확대하기 위해 Centipedegrass의 종자에 감마선 10Kr을 조사한 뒤 계통을 조성하고 이를 다시 감마선 10Kr을 조사하여 계통을 조성하는형태로 순환 조사하여 순환 처리회수를 각각 0회, 4회, 5회, 6회, 8회 하여 얻은 계통집단 TC 201, TC 202, TC 241, TC 306, TC 318에 대하여 이들 계통집단이 지니고 있는 식물 형태적 특성의 평균과 변이의 범위 폭을 측정하여 비교한 결과 이미 품종으로 고정되어 있는 TC318을 제외하고 감마선을 종자에 순환처리한 계통집단에서 총지하경수, 총지하경길이, 최장지하경장, 엽장 및 엽폭의 변이폭이 감마선 조사로 확대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변이의 범위 확대 정도는 지하경과 같은 생식기관에서 뚜렷하였는데 방사선 순환조사 정도와 관련하여 일정한 방향성은 인정되지 않았다.

  • PDF

한반도 태풍강우 추출기법 비교 평가 (Comparative Assessment of a Method for Extraction of TC-induced Rainfall Affecting the Korean Peninsula)

  • 손찬영;권현한;김종석;문영일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7권12호
    • /
    • pp.1187-1198
    • /
    • 2014
  • 서북태평양에서 발생하는 태풍은 돌풍 및 강우를 동반하여 한반도뿐만 아니라 동아시아에 상당한 인적 및 물질피해를 야기함에 따라 이에 대한 수방대책 및 치수정책 수립이 시급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태풍의 경로 및 규모를 고려한 태풍강우량 추출기법을 제안하고 과거 태풍 감시구역을 이용한 태풍강우 추출기법과 비교하여 적용성을 검토하였다. 태풍규모를 결정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평균 태풍강우량을 산정하였으며, 산정결과 태풍 규모가 반경 700 km일때 평균 태풍강우량이 최대로 나타났다. 또한,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태풍의 경로 및 규모를 이용한 태풍강우량 추출기법은 과거 태풍 감시구역을 이용한 강우량 추출기법의 한계를 보완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며, 유역별, 행정구역별로 태풍이 야기한 직접적인 강우를 추출할 수 있으며 주관적인 판단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태풍강우의 과대 및 과소평가의 위험성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태풍과 집중호우의 특성분석과 기상인자를 활용한 강우예측, 수공구조물 설계, 산사태, 토석류에 대한 사전 대비책 등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In vitro Anticancer Activity of Paclitaxel Incorporated in Low-melting Solid Lipid Nanoparticles

  • Lee, Mi-Kyung;Yang, Jae-Heon
    • Journal of Pharmaceutical Investigation
    • /
    • 제39권3호
    • /
    • pp.201-205
    • /
    • 2009
  • Triglyceride solid lipid with medium chain fatty acid, tricaprin (TC), was used as a core matrix of lipid nanoparticles (LN) to solubilize water-insoluble paclitaxel and enhance the stability of nanoparticles by immobilization of incorporated drug in the solid core during storage at low temperature. In the present study, TC-LN containing paclitaxel was prepared by hot melt homogenization method using TC as a core lipid and phospholipids as stabilizers. The particle size of TC-LN containing paclitaxel was less than 200 nm and its zeta potential was around -40 mV. Calorimetric analysis showed TC core could be solidified by freezing and thawing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in which the hot dispersion should be prepared at elevated temperature and subsequently cooled to obtain solid lipid nanoparticles. The melting transition of TC core was observed at $27.5^{\circ}C$, which was lower than melting point of TC bulk. The particle size of TC-LN remained unchanged when kept at $4^{\circ}C$. Paclitaxel containing TC-LN showed comparable anticancer activity to the Cremophore ELbased paclitaxel formulation against human ovarian (OVCAR-3) and breast (MCF-7) cancer cell lines. Thus, lipid nanoparticles with medium chain solid lipid may have a potential as alternative delivery system for parenteral administration of paclitaxel.

구리(II)의 2-피리딘카르복살데히드 티오카르보히드라존 착물의 합성과 분석적 응용 (Synthesis and Analytical Application of Copper(II) Complex of 2-Pyridinecarboxaldehyde Thiocarbohydrazone)

  • 김차식;김창수
    • 분석과학
    • /
    • 제11권5호
    • /
    • pp.341-346
    • /
    • 1998
  • $Cu^{2+}$을 2-피리딘카르복살데히드(PyTC)와 반응시켜 $[Cu(PyTC)H_2O)]SO_4$를 얻었다. 이화합물은 1:1 전해질이며 물과 극성 유기 용매에 아주 잘 녹았다. 이 착물의 원소분석, 전기전도도 및 분광학적 데이터에서 이화합물의 구조는 사각평면임을 제시하였다. PyTC를 이용한 Cu(II)의 정량 가능성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구리(II)의 PyTC용액은 pH 4에서 $2.9{\times}10^{-4}M$까지 Beer의 법칙에 따랐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