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BTO

검색결과 26건 처리시간 0.036초

해조류 추출물로부터 홍합(Mytilus edulis)의 부착 저해물질 정제

  • 조지영;홍용기
    • 한국어업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어업기술학회 2000년도 춘계수산관련학회 공동학술대회발표요지집
    • /
    • pp.155-156
    • /
    • 2000
  • 연안 해역에서 해조류와 부착패류는 양식장 시설 뿐만아니라 수취구 어선바닥 등에서 그 피해는 심각한 실정이다. 해조류에 의한 부착은 잎파래 가시파래 등이 주가 되고 패류로는 홍합과 따개비가 주를 이룬다 이들의 부착방지를 위해서 염소살균, TBTO (Tributyltin oxide), CuSO$_4$등의 처리를 하고 있지만 이러한 처리에 의해서는 또다른 환경 문제가 야기되고 있다. 이같은 부착방지 물질 탐색의 일환으로 흥합을 탐색 대상종으로 선택하여 각종 해조류 추출물들로부터 부착 방지 효과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고리매(Sytosimphon lomentaria)로부터 가장 높은 활성을 확인 하였고, TLC, silica-gel chromatography, Ion-exchange, HPLC를 통해 정제 하였다. (중략)

  • PDF

Bis(tri-n-butyltin)oxide (TBTO)에 대한 넙치 (Paralichthys olivaceus)의 조직학적 반응

  • 이정식;마경화;강주찬;신윤경;진평
    • 한국어업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어업기술학회 2001년도 춘계 수산관련학회 공동학술대회발표요지집
    • /
    • pp.532-533
    • /
    • 2001
  • 여러 가지 화학물질이나 중금속 등에 의한 생물학적 피해가 오랜 기간에 걸쳐 연구 되어 왔는데, 최근 들어 화학물질 가운데 TBTs, PCBs, DBTs 등이 내분비계 장애물질로 분류되어 여러 가지 환경적인 규제의 대상이 되었다. 이 가운데 TBTs는 살충제로서 개발되어 선박 등의 방오도료에 이용되고 있으며, 이들 물질에 장기간 노출된 수 서생물은 생식 및 생리대사에 영향을 받게된다 (Piver, 1973). (중략)

  • PDF

참굴, Crassostrea gigas의 hemolymph에 미치는 TBTO의 영향

  • 조규석;민은영;지정훈;안철민;강주찬
    • 한국어업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어업기술학회 2001년도 춘계 수산관련학회 공동학술대회발표요지집
    • /
    • pp.536-537
    • /
    • 2001
  • 수생생물에 관한 유기 주석 화합물 (TBT)의 독성적인 영향은 널리 연구되어왔다(Horiguchi et al., 1994). 패류는 어류나 다른 무척추동물에 비해 활동범위가 제한되어 있으며, 굴 종류는 연안에 서식하기 때문에 해양오염의 감시를 위한 수단으로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으며 (Lee, 1994), 특히 참굴의 hemolymph는 여러 가지 스트레스 요인에 의해서 그 구성성분이 변동되므로, 연안환경의 오염수준을 감시하는 유용한 수단으로 활용되고 있다 (Xue and Tristan, 2000). (중략)

  • PDF

미세조류, Skeletonema costatum의 성장에 미치는 유기주석 화합물들의 급성 및 만성 독성효과 (The Acute and Chronic Toxicity Effects of Triorganotins on the Growth of Microalgae, Skeletonema costatum)

  • 함경훈;김무상;이형호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5권5호
    • /
    • pp.534-541
    • /
    • 2002
  • 살충제, 살균제 그리고 antifouling 약품 등으로써의 triorganotin의 사용은 지난 30년간 놀라울 정도로 증가해왔다. 이 보고에서는 미세조류 Skeletonema costatum의 성장에 미치는 여러 triorganotin (TBTO, TBTF, CTPT, TBTCI)들의 급성 및 만성 독성효과를 조사하기 위하여, 단기 및 장기 독성실험을 각각 수행하였다. 단기 독성실험에서, 여러 triorganotin들의 S. costatum에 대한 성장저해 효과는 처리농도에 비례하여 증가하였으며, 이 성장저해는 시간 경과에 따라 회복되었다. 그러나 여러 triorganotin의 독성의 성장저해 효과가 접종한 S. costatum의 세포밀도에 따라 다름을 보였다. 접종 세포농도가 높을수록 triorganotin의 독성효과는 감소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triorganotin의 S. costatum에 의한 분해에 의한 것이라고 판단된다. 장기 독성실험에서는 단기 독성실험에서와는 달리 1 $\mu$g/L의 triorganotin의 농도에서도 S. costatum이 사멸하였다. 이러한 사실은 낮은 밀도의 식물성 플랑크톤이 존재하는 해수에서 지속적으로 존재하는 triorganotin의 독성은 훨씬 더 강하게 나타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넙치, Paralichthys olivaceus의 생존, 성장 및 대사율에 미치는 Phenol과 TBTO의 만성독성

  • 진평;신윤경;강주찬;이정식;이정아;김경선
    • 한국어업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어업기술학회 2000년도 추계수산관련학회 공동학술대회발표요지집
    • /
    • pp.256-257
    • /
    • 2000
  • 해양의 생물자원 또는 수산생물에게 저해영향을 미치는 오염물질의 농도를 결정하는 수단으로서 현재 전세계적으로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것은 표준실내 생물검정시험(Standard Laboratory Bioassay)을 들 수 있다. ASTM(American Society for testing and Materials), OECD(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USEPA(Unated State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와 같은 단속기관에서는 연안에 방출되는 오염물질에 대한 허용한계농도를 정하기 위하여 급성 독성 결과를 기준으로 하고 있으며, ASTM과 OECD에서는 생육초기독성 시험을, USEPA에서는 생육초기 독성시험과 만성독성을 채택하고 있다. (중략)

  • PDF

국내 유통중인 어패류 섭취에 따른 유기주석화합물의 인체 위해성 평가 (A Health Risk Assessment of Tributyltin Compounds in Fishes and Shellfishes in Korea.)

  • 최시내;최혜경;송훈;오창환;박종세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137-145
    • /
    • 2002
  • 국내 6개 주요도시에서 조사된 어패류 오염도 현황을 토대로 우리나라 사람들의 어패류 섭취를 통한 유기주석화합물 인체노출량을 예측하고, 이에 따른 위해도를 추계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갈치의 경우, 성인이 식품수급표에서 제시하는 일일섭취량 3.02g/day를 평생 섭취한다는 노출시나리오하에 평균일일노출량은 확률분포로 나타냈을 때 그 중간값이 6.48$\times$ $10^{-7}$ mg/kg/day, 상한치 95th percentile값이 8.78$\times$$10^{-7}$ mg/kg/day로 나타났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비발암독성영향을 평가하기 위하여 BMD$_{10}$ 을 활용한 참고치(Reference dose)를 예측하였다. 이 때 BMD$_{10}$은 10% 비교변화를 BMR으로 하였을때 해당하는 용량의 95% 하한치이다. 본 연구에서 활용한 BMD는 digestion에 의한 근육내의 IgE titer, T.spiraris larvae와 조직학에 의한 근육내 T.spiraris larvae에 근거하여 예측된 것으로 0.03 mg/kg/day이다. 참고치는 BMD$_{10}$ 0.03 mg/kg/day에 불확실성 계수 100을 고려한 값으로 0.003 mg/kg/day이며, 이 때 활용한 불확실성계수는 실험동물에서 인체로의 외삽과정에서 고려한 계수 10과 인구집단 내 민감그룹 고려를 위한 계수 10을 적용한 것이다. 각 어패류의 위험지수(50th percentile)를 살펴보면 고등어에서 2.04$\times$ $10^{-2}$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소라에서 2.70$\times$ $10^{-5}$으로 가장 낮은 값을 나타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