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BHQ

검색결과 50건 처리시간 0.026초

항산화제가 바이오디젤유의 산화안정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ntioxidants on the Oxidative Stability of Biodiesel Fuels)

  • 유경현
    • 한국자동차공학회논문집
    • /
    • 제15권6호
    • /
    • pp.81-86
    • /
    • 2007
  • Biodiesel fuel that consists of saturated and unsaturated long-chain fatty acid alkyl esters is an alternative diesel fuel produced from vegetable oils or animal fats. However, air causes autoxidation of biodiesel fuel during storage, which can reduce fuel quality by adversely affecting its properties, such as the kinematic viscosity and acid value. One approach for improving the resistance of fatty derivatives to autoxidation is to mix them with antioxidant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iveness of five such antioxidants in mixtures with biodiesel fuels produced by three biodiesel manufacturers : tert-butylhydroquinone (TBHQ), butylated hydroxyanisole (BHA), butylated hydroxytoluene (BHT), propyl gallate (PrG) and $\alpha$-tocopherol. Oxidation stability was determined using Rancimat equipment. The results show that TBHQ, BHA, and BHT were the most effective and $\alpha$-tocopherol was the least effective at increasing the oxidation stability of biodiesel. This study recommends that TBHQ and PrG be used for safeguarding biodiesel fuel from the effects of autoxidation during storage.

Caramel 갈색화 반응 생성물의 항산화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ntioxidant activity of products of caramel-type-browning reaction)

  • 신민자;안명수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6권6호
    • /
    • pp.629-639
    • /
    • 2000
  • 10$0^{\circ}C$ 이상에서 당단독, 당과 유기산 또는 유기산염의 caramel 갈색화 반응과 당과 아미노산의 Maillard 갈색 화 반응의 갈색화 물질의 항산화성을 측정하고자 0.1M 의 xylose(XY), glucose(GL), sucrose(SU)를 단독으로, 0.1M glucose에 0.02M의 citric acid를 혼합한 glucose-citric acid(GLCA), 0.02M의 sodium citrate를 혼합한 glucose-sodium citrate(GLSC)와 0.1M의 glycine을 혼합한 glucose-glycine(GLGC)을 80, 120 및 14$0^{\circ}C$에서 12, 24시간 가열하여 얻은 갈색화 반응 생성물의 수소공여능(HDA)에 의한 항산화성을 측정하였으며 이들의 무수 ethanol 추출물의 옥배유 기질에 대한 항산화 효과를 측정하여 기존 항산화제(TBHQ, TOCO)와 비교, 고찰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1. Caramel 갈색화 반응 생성물의 수소공여능(HDA)에 의한 환원력은 갈색화 반응온도 및 시간의 경과에 따라 대체적으로 증가되었으며 갈색도가 큰 반응계일수로 환원력이 크게 나타났다. XY, GL, SU, GLCA, GLSC 및 GLGC 갈색화 반응액의 수소공여능은 8$0^{\circ}C$에서 24시간 반응 후 각각 0.290, 0.299, 0.281, 0.301, 0.362 및 0,387로 그 크기는 GLGC > GLSC > GLCA > GL > XY > SU 순이었다. 12$0^{\circ}C$에서 24시간 반응 후의 GLCA와 GLGC에서 갈색도의 증가와는 달리 HDA는 오히려 낮아졌으며, 14$0^{\circ}C$ 에서는 대부분의 갈색화 반응액의 HDA는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높아졌지만 GLCA와 GLGC의 HDA는 낮아져서 각각 0.275 및 0.305로 된 반면에 GLSC의 HDA는 계속 증가하여 0.543으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때의 HDA는 GLSC > SU > GL > GLGC > XY > GLCA 순이었다. 2. 갈색화 반응 생성물의 무수 ethanol 추출물을 첨가한 옥배유의 항산화 효과는 TBHQ에는 못미치나 TOCO 보다는 우수한 항산화력을 나타내는 것도 있었다. 8$0^{\circ}C$에서 24시간 진행된 갈색화 반응 생성물의 경우는 TBHQ > GLCA > GLGC > TOCO > SU > XY > GL > GLSC > control의 순으로 8$0^{\circ}C$에서는 갈색화 반응 중간생성물은 모두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GLCA의 항산화 효과는 TBHQ 보다는 크게 떨어지나 GLGC, TOCO보다는 높은 항산화력을 보여주었다. 또한 120및 14$0^{\circ}C$에서 24시간 진행된 갈색화 반응생성물의 항산화 효과는 SU, GLCA에서만 보였으며 이들의 항산화 효과는 Maillard형 갈색화 반응액인 GLGC의 항산화 효과 보다 높았다. 그 크기는 TBHQ > SU > TOCO > GLCA > control > GLSC > GLGC > XY > GL의 순으로 80, 120및 14$0^{\circ}C$에서의 갈색화 반응 생성물의 항산화성은 8$0^{\circ}C$에서 가장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으로 볼 때 각종 갈색화 반응 생성물의 수소공여능에 의한 환원력과 항산화 효과의 관계는 환원력이 증가함에 따라 항산화 효과는 증가하지 않고 감소하여 갈색화 반응물의 항산화 효과와 환원력 사이에는 뚜렷한 상관관계가 없는 것 같았다.

  • PDF

초고압과 식품첨가물 병용을 이용한 세균 포자의 살균 (Inactivation of Bacterial Spores by High Pressure and Food Additive Combination)

  • 정윤경
    • 생명과학회지
    • /
    • 제21권8호
    • /
    • pp.1094-1099
    • /
    • 2011
  • 초고압의 미생물에 대한 살균 효과는 다른 제어 방법을 더 적용함으로써 증대 될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식품 산업에서 중요한 세균 포자들을 tert-butylhydroquinone (TBHQ)를 처리하여 초고압 살균효과를 증진시킴을 알아보고자 한다. Clostridium sporogenes, Bacillus cereus, Bacillus subtilis의 포자를 준비하였다. Dimetylsulfoxide(DMSO)에 용해시킨 TBHQ 200 ppm을 함유한 포자액을 650 또는 700 MPa로, 54-72$^{\circ}C$에서 5분간 처리하였다. 세균 포자의 사멸은 초고압 처리 이후에만 일어났다. Bacillus subtilis 포자가 B. cereus나 C. sporogenes 포자보다 초고압에 의해 더 많이 사멸되었다. C. sporogenes 포자의 사멸은 Bacillus 포자에 비해서 초고압에 의한 germination이 더 일어나면서 이루어 졌다. Bacillus 포자는 54$^{\circ}C$에서 초고압 처리 때 보다 72$^{\circ}C$에서 처리했을 때 더 많이 사멸되었다. 하지만 germination에 의한 사멸은 70$^{\circ}C$에서 감소되었다. 포자를 DMSO와 초고압, TBHQ와 초고압의 병용 처리를 했을 때, 특히 54$^{\circ}C$에서는 포자 사멸이 덜 일어났다. 세균 포자의 사멸에 대한 좀 더 나은 이해를 위해서는 초고압에 의한 germination 과 다른 포자 억제 물질과의 상호 작용에 대한 메커니즘 연구들이 필요하다.

튀김유에 첨가된 산화방지제가 라면의 저장 중 Flavor 화합물 생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ntioxidants in the Frying Oil on the Flavor Compound Formation in the Ramyon during Storage)

  • 최은옥;이영수;최수복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5권5호
    • /
    • pp.444-448
    • /
    • 1993
  • ${\alpha}-Tocopherol$, BHA, TBHQ, rosemary extract나 defatted ricebran extract가 첨가된 팜유에서 튀겨진 라면을 $65^{\circ}C$에 저장하는 동안 생성되는 flavor 화합물(pentane, hexane, hexanal 및 total volatile)을 static headspace gas chromatography법에 의해 살펴보았다. 사용된 산화방지제의 농도는 튀김유를 기준으로 100 또는 200ppm이었으며 tocopherol의 경우 300ppm이 추가되었다. Tocopherol은 100 또는 200ppm 농도로 사용되었을 때 라면에서의 모든 flavor 화합물 생성을 억제하였으며 그 정도는 100ppm이 200ppm에 비하여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300ppm tocopherol은 오히려 $65^{\circ}C$에 저장중인 라면에서의 flavor 화합물 생성을 촉진하였다. BHA와 TBHQ는 100ppm 농도로 첨가된 경우 라면의 flavor 화합물 생성억제에 기여를 하였으나 200ppm 경우 오히려 촉진하였다. Rosemary extract와 defatted ricebran extract는 100 혹은 200ppm 농도에 상관없이 라면에서의 flavor 화합물 생성을 억제하였는데 억제효과는 tocopherol과 비슷하고 TBHQ 보다 우수하여 새로운 천연 산화방지제로서의 가능성을 기대한다.

  • PDF

항산화제 또는 팜유로 보강된 미강유를 이용한 라면의 산화안정성 (Oxidative Stability of Deep-Fried Instant Noodle Prepared with Ricebran Oil Fortified by Adding Antioxidants or by Blending with Palm Oil)

  • 강동호;박혜경;김동훈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409-418
    • /
    • 1989
  • 본 실험에서는 라면제조시 미강유를 튀김유로 사용했을 때, 그 산화 안정성에 대한 ${\alpha}-tocopherol$, BHA, TBHQ, ascorbyl palmitate+구연산의 첨가효과와 미강유에 팜유를 가각 30, 50, 70%(w/w) 혼합한 혼합유의 경우 그 혼합효과 등에 대해서 조사하고자 했다. 이상의 항산화제들은 미강유에 0.02%의 수준으로 첨가했으며, 혼합유의 경우에는 전술한대로 혼합하여 실험에 사용했다. 이상의 기름으로 튀긴 시제라면들을 각각 30분식을 무색, 투명의 polypropylene 봉지에 넣어 $35.0{\pm}0.5^{\circ}C$의 항온기내에서 90일간 저장했다. 일정기간마다 각 시료구와 실험대조구에서 라면시료를 채취한 후 그 속의 유지를 추출하여, 추출유지의 과산화물가, 산가, 요오드가, 유전항수, 지방산조성 등을 측정했다. 그리고 이상의 측정치들의 변과를 토대로 추출유지의 산화 안정성과 시제라면의 저장 안정성을 추정했다. 이상의 결과들을 종합해 보면 다음과 같다. 1. 실험대조구와 각 항산화제 첨가구에서 추출한 유지의 과산화물가, 산가, 유전항수, 지방산 조성의 변화 등에서 판단할 때 ${\alpha}-tocopherol$은 항산화효과가 거의 없었으며, 한편 BHA는 약간의 효과가 있었다. 이에 반해서, ascorbyl palmitate와 구연산을 병용한 경우와 TBHQ의 경우에는 상당한 항산화효과를 보였다. 특히, TBHQ를 0.02% 첨가한 미강유를 사용했을 경우의 그 산화 안정성은 팜유를 사용했을 경우와 거의 같았다. 2. 혼합유 시료구들의 경우, 튀김에 사용한 혼합유 중의 팜유의 비율이 커질수록 그 산화 안정성은 증가했다. 즉, 팜유가 30% 혼합된 혼합유로 만든 시제라면의 추출유지의 산화 안정성은 미강유를 단독 사용했을 경우에 비해서 현저히 증가했다. 그리고 팜유가 70% 함유된 혼합유를 사용했을 경우 그 산화 안정성은 함유를 단독 사용했을 경우의 안정성과 거의 같았다.

  • PDF

합성페놀성 산화방지제의 티아민 분해능 (Antithiamin Activities of Synthetic Phenolic Antioxidants)

  • 한명규;김준환;신효선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411-414
    • /
    • 1990
  • 합성 페놀성 산화방지제인 BHA, BHT, PG 및 TBHQ의 티아민 분해능에 대한 pH 및 온도의 영향을 연구하였다. 모든 산화방지제는 pH4의 $38^{\circ}C$에서는 대조군과 같이 티아민 분해능이 거의 없었으나, 같은 pH의 $60^{\circ}C$에서는 $38^{\circ}C$때 보다 그 분해능이 더 컸다. 한편, pH7의 $38^{\circ}C$에서는 같은 온도의 pH4 때 보다 티아민 분해능이 더 빨랐고, 또 pH7의 $60^{\circ}C$에서는 같은 pH의 $38^{\circ}C$에서 보다 그 분해능이 더 컸다. 합성 산화방지제 중 BHA와 BHT의 티아민 분해능은 대조군과 비슷한 수준으로 거의 없거나 가장 낮았고, PG는 그 분해능이 비교적 컸으며, TBHQ는 그 분해능이 가장 컸다.

  • PDF

마늘 Oleoresin의 제조 및 저장안정성에 관한 연구 (Preparation and Keeping Quality of Garlic Oleoresin)

  • 조길석;김현구;권동진;박무현;신효선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2권7호
    • /
    • pp.846-851
    • /
    • 1990
  • 마늘의 이용성 증진에 관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마늘로부터 oleoresin을 제조하고, 아울러 저장안정성 시험을 실시하였다. 물, 인산, 마늘 extract 및 poly sorbate를 혼합하고 antifoam agent인 KM-72을 가하여 거품의 생성을 방지한다. 여기에 lecithin을 첨가한 후 온도를 $50{\sim}55^{\circ}C$에서 7분간 유지한 다음, 다시 온도를 $25^{\circ}C$ 이하로 냉각하고, 최종적으로 TBHQ 및 마늘 정유물을 혼합하여 마늘 oleoresin을 제조하였다. 마늘 oleoresin 제조를 위한 적정 조성은 정유물 1.0%, extract 10.5%, poly sorbate 10.0%, KM-72 0.01%, lecithin 18.0%, TBHQ 0.05%, 인산용액 0.15% 및 물 60.0% 였다. 저장 60일 동안 thiosulfinate과 pyruvate 함량 및 관능검사를 기준으로 마늘 oleoresin의 품질을 판정할 때 $55^{\circ}C$ 저장 처리구의 품질저하는 거의 일어나지 않았으나 $25^{\circ}C$ 저장의 경우는 크게 일어났다.

  • PDF

Retinol에 대한 항산화 연구 (The Study on Antioxidation of Retinal)

  • 조춘구;한창규;홍우진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58-70
    • /
    • 2002
  • Retinol에 대한 합성물질과 천연물질의 항산화력을 비교하였다. 수용성 합성 항산화제 tertiary butylhydroquulone(TBHQ)와 수용성 천연 항산화제 $\alpha$-glycosyl rutin($\alpha$-G rutin), licorice, pycnogenol, 지용성 합성 항산화제 butylated hydroxytoluene(BHT)와 지용성 천연 항산화제 $\alpha$-lipoic acid, ferulic acid, natural concentrated tocopherol(no-tocopherol)를 각각 0.0, 0.0l, 0.02, 0.05, 0.l0wt% 사용하여 리포좀에 봉입하였으며, 4$^{\circ}C$, $25^{\circ}C$, 5$0^{\circ}C$에서 8주 동안 retinol의 잔류량 변화를 HPLC로 측정하였다. 사용된 항산화제는 retinol에 대하여 모두 산화억제효과를 나타내었으며, 수용성 항산화제는 licorice>pycnogenol>TBHQ>$\alpha$-G rutin 순으로, 지용성 항산화제는 $\alpha$-lipoic acid>BHT>no-tocopherol>ferulic acid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alpha$-lipolc acid, BHT, licorice, pycnogenol을 흔합하여 retinol에 대한 항산화력 상승효과를 알아보았다. $\alpha$-lipoic acid와 BHT를 혼합하여 사용하였을 때 retinol에 대한 항산화력이 가장 좋게 나타났다.

합성항산화제 항Thiamin성에 대한 연구 (Study on the Antithiamin Activities of Synthetic Antioxidants)

  • 한명규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310-314
    • /
    • 1997
  • Antithiamin activities of BHA, BHT, PG and TBHQ of synthetic antioxidants on the effect of temperature and pH was determined by means of HPLC. The influence of synthetic antioxidants on the degration of thiamin was found to be dependent on temperature and pH. The degradation of thiamin was considerably more rapid at pH 7 than pH 4. The influence on the heat of synthetic antioxidants at pH 4 and 38* was extremely slight, but the degradation of thiamin at pH 7 was much more rapid at 60* than at 38*. After 24 hours of incubation both PG and TBHQ at pH 7 and 60* nearly completely destroyed thiamin. Tests of antithiamin activities showed that TBHQ, which was decomposed completely in 72 hours, was more effective than PG at pH 7 and 38* but BHA and BHT hardly had antithiamin activities which was evaluated under various reactions of pH and temperature. Thiamin degradation, at pH 7 and 6$0^{\circ}C$, was proportional to the concentration of PG. When the ratio of PG to thiamin was increased from 0.15:1 to 2:1, the degradation rate also increased. However, the change between ratio of 1:1 and 2:1 was negligible.

  • PDF

탈지들깨박 중 페놀산의 대두유에 대한 항산화 효과(I) (Antioxidative Effect of Phenolic Acids in Defatted Perilla Flour on Soybean Oil)

  • 조희숙;안명수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55-60
    • /
    • 1999
  • 탈지들깨박 methanol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를 시판 합성항산화제인 BHA, AP, TBHQ와 비교하였다. 탈지들깨박 중 페놀산 추출물은 유리형, 에스터형, 불용성페놀산이 각각 213, 133.1, 89.4mg/100g으로 유리형이 가장 높았으며, 유리형 페놀산에는 6종류의 페놀산이 다량 함유되어 있었고 에스터형과 불용성 페놀산에는 각각 3종류와 2종류의 페놀산이 함유되어 있었다. 탈지들깨박 중의 3가지 형태의 페놀산의 항산화력은 유리형이 가장 켰고 에스터형, 불용성 순으로 나타났는데 이것은 유리형 페놀산 group의 종류와 함량이 가장 많은 것에 기인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탈지들깨박 페놀산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는 TBHQ 보다 약했으나 BHA나 AP(0.02%) 보다는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