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BA method

검색결과 175건 처리시간 0.025초

천마의 무기성분 및 항산화 작용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Mineral Component and Antioxidative Activity of Gastrodia elata Blum)

  • 김진구;차원섭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4권3호
    • /
    • pp.317-321
    • /
    • 1997
  • The mineral components of the Gastrodia elata Blum were determined by inductively coupled plasma-atomic emission spectrophtometry. The mineral component contents of the Gastrodia elata Blum were greater in the order of Fe < Na < Mg < Ca < P < K. The antioxidative effects of the Gastrodia elata Blum extracts on refined perilla oil were investigated by the rancimat method, peroxide value and TBA value. The antioxidative effects of Gastrodia elata Blum added to the refined perilla oil was increased with dose-dependent fashion in concentration of Gastrodia elata Blum extracts. The peroxide value and TBA value for their antioxidation stability were also lower than that of control. Antioxidation stability was increased in a dose-dependent manner.

  • PDF

마디풀(Polygonum aviculare L.)의 전초가 지질과산화(脂質過酸化) 및 간기능(肝機能)에 미치는 영향 (Anti-lipid Peroxidation and Liver Protective Effects of Polygonum aviculare L.)

  • 이정기;김남재;홍남두;권창호
    • 생약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59-69
    • /
    • 1994
  • Polygonum aviculare L. was extracted by methanol and then fractionated systematically with solvents and column chromatographic method in order to isolate ingredients with anti-lipid peroxidation and liver protectective effects. Among these fractions, ethylacetate soluble part(MWE) showed the strongest in the anti-lipid peroxidation. Furthermore, the crude subtraction(MWE 4) with Rf value near 0.42, which is separated from MWE by column chromatography using a solvent system, inhibited the lipid peroxidation of rat liver in vitro. Moreover, MWE 4 decreased GOT, GPT and TBA value compared with control and suggested high protective effects against hepatotoxicity induced by carbon tetrachloride in mice. The active compounds in MWE 4 were assumed to be flavonoid glucosides.

  • PDF

코오지를 이용한 속성 저식염 멸치젓의 성분 (Studies on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in Processing of Accelerated Low Salt-Fermented Anchovy by adding koji)

  • 백승화;임미선;김동한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385-391
    • /
    • 1996
  • 저식염 멸치젓을 속성으로 제조하기 위하여 Asporyzae와 Bacillus sp.로 제조한 코오지를 첨가하고 숙성 중 이화학적 성분 변화를 비교 검토하였다. 멸치젓의 수분, 조단백질, 회분 및 식염 함량은 각각 62.5~63.8%, 12.0~14.1%, 12.8~13.5%, 12.8~13.8%로 숙성중의 변화는 미미하였고, 조지방은 담금 직후 15.5~15.8%에서 60일 숙성후 13.1~13.9%로 감소하였다. 젓갈 숙성중 pH는 숙성 50일까지 완만히 저하하다 증가하였으나 산도는 숙성 10일경에 급격히 증가하고 이후 완만한 증감을 보였고, Asp. oryzae koji 첨가구에서 초기 증가가 심하였다 아미노태질소는 숙성 20일경까지 686.0~756.0mg%로 급격히 증가하다 완만한 증가를 보였고 암모니아태 질소는 코오지 첨가구는 40~50일경까지 증가하다 감소하였으나 대조구는 숙성 60일까지 증가하였다. TBA값은 숙성 20~30일 경에 가장 높은 값을 Q이다 감소하였고, Bacillus sp. 코오지 첨가구가 Asp. oryzae 코오지 첨가구보다 암모니아태질소와 TBA값이 높았다. 멸치젓의 알코올은 숙성 10일경에 약간 RKAT하다 서서히 증가하다가 60일경에는 감소하였으며 코오지첨가구에서 높았다.

  • PDF

Dielectric Properties of Ca0.8Sr1.2Nb3O10 Nanosheet Thin Film Deposited by the Electrophoretic Deposition Method

  • Yim, Haena;Yoo, So-Yeon;Choi, Ji-Won
    • 센서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1-5
    • /
    • 2018
  • Two-dimensional (2D) niobate-based nanosheets have attracted attention as high-k dielectric materials. We synthesized strontiumsubstituted calcium niobate ($Ca_{0.8}Sr_{1.2}Nb_3O_{10}$) nanosheets by a two-step cation exchange process from $KCa_{0.8}Sr_{1.2}Nb_3O_{10}$ ceramic. The $K^+$ ions were exchanged with $H^+$ ions, and then H+ ions were exchanged with tetrabutylammonium ($TBA^+$) cations. The $Ca_{0.8}Sr_{1.2}Nb_3O_{10}$ nanosheets were then exfoliated, decreasing the electrostatic interaction between each niobate layer. Furthermore, $Ca_2Nb_3O_{10}$ nanosheets were synthesized in same process for comparison. Each exfoliated nanosheet shows a single-crystal phase and has a lateral size of over 100 nm. The nanosheets were deposited on a $Pt/Ti/SiO_2/Si$ substrate by the electrophoretic deposition (EPD) method at 40 V, followed by ultraviolet irradiation of the films in order to remove the remaining $TBA^+$ ions. The $Ca_{0.8}Sr_{1.2}Nb_3O_{10}$ thin film exhibited twice the dielectric permittivity (~60) and lower dielectric loss than $Ca_2Nb_3O_{10}$ thin films.

Allelopathic Potential and Antioxidant Activity of Leaf Extracts from Several Wild Plant Species

  • Chon, Sang-Uk;Cha, Young-Ju
    • Plant Resources
    • /
    • 제7권1호
    • /
    • pp.47-53
    • /
    • 2004
  • Several wild plant species are known to contain biologically active substances that are allelopathic to weed species as well as antioxidant to foods. Plant extracts or residues from leaves of 4 species, Achyranthes japonica (speedwell), Cucumis sativus (Cucumber), Trifolium repens (white clover), and Vicia angustifolia (narrowleaf vetch) were bioassayed against Medicago sativa (alfalfa) or Echinochloa crus-galli (barnyard grass) to determine their allelopathic effects, and used for measurement of antioxidant activities. The aqueous extracts applied on filter paper significantly inhibited root growth of alfalfa. Aqueous extracts or residues from V. angustifolia showed the most inhibitory effect on alfalfa or barnyard grass seedling growth and followed by A. japonica and T. repens. Oxidative stability by Rancimat method, antioxidant activity by TBA (2-thiobarbituric acid) method and DPPH (1,1-diphenyl-2-picrylhydrazyl) radical scavenging activity for the ground samples or methanol extracts were the greatest in V. angustifolia, although were less than those of commonly used antioxidants, BHT (butylated hydroxytoluene) and ascorbic acid.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wild plant species had potent allelopathic and antioxidant activities, and that their activities differed depending on plant species.

  • PDF

Bacillus sp. FF-7에 의한 항산화물질 생산조건과 항산화 활성 (Antioxidative Activity and Produced Condition of Antioxidative Substance by Bacillus sp. FF-7)

  • 차재영;김효정;전방실;박진철;옥민;조영수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6권3호
    • /
    • pp.165-170
    • /
    • 2003
  • 발효식품 시료로부터 분리된 세균을 $DPPH({\alpha},{\alpha}'-diphenyl-{\beta}-picrylhydrazyl)$ 전자공여능으로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여 가장 활성이 강한 균주를 선별하여 형태학적, 생화학적, 생리학적 특성 및 165 rRNA 염기서열을 조사한결과 Bacillus sp.으로 판명되어 FF-7로 명명하였다. DPPH 전자공여능법에 의한 Bacillus sp. FF-7이 생산하는 항산화물질의 최적 생산 배지조건은 탄소원 2% galactose와 질소원 1% tryptone 첨가였다. Bacillus sp. FF-7에 의해 생성된 항산화 물질의 활성을 DPPH 전자공여능, 흰쥐 각 조직 microsomal 실험계 및 linoleic acid 과 산화지질 실험계에서 malondialdehyde를 thiobarbituric acid(TBA)방법으로 측정하였다. 흰쥐 각 조직 microsomal 실험계에서 지질과산화에 대한 항산화 효과는 뇌(97.50%) >심장(79.95%) >신장(77.84%) >비장(77.47%) >고환(69.96%) >간장(62.45%) 순이였다. Linoleic acid의 과산화지질를 TBA법으로 측정한 결과 반응 4일째까지 억제 효과가 강하게 나타났으며, 동시에 대조구로 사용한 0.05% BHT 첨가구에서도 실험종료시까지 항산화 활성이 강하게 나타났다.

냉각방식에 따른 반냉동 돼지고기, 쇠고기와 참치의 신선도 변화 (Effects of Sub-freezing Systems on the Freshness of Pork Loin, Beef Loin and Tuna)

  • 김돈;장영기;박기환;이영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341-348
    • /
    • 2000
  • 기존 냉장고의 특선실과 새로운 냉각방식의 냉장고에 돼지고기, 쇠고기, 냉동참치를 저장하면서 그들의 품질을 비교하여 각 냉각방식의 차이가 부분 냉동식품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일반 냉장고 특선실$(-1^{\circ}C)$, 강제순환식 저장방법$(-5^{\circ}C)$, 그리고 자연대류식 저장방법$(-5^{\circ}C)$으로 저장하면서, 돼지고기와 쇠고기는 VBN, TBA, 및 수분함량을, 냉동참치는 K-value와 VBN값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저장 기간 중 모든 시료에 대해서 강제순환식 저장방법에서 수분함량이 급격히 감소하였으며 VBN의 경우도 수분함량에 영향을 받아서 강제순환방식이 다른 저장방법들보다 높은 수치를 보였다. 돼지고기의 경우 TBA값에 대한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으며 쇠고기의 경우는 VBN에 대하여 유의적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TBA값은 일반 특선실과 자연대류식 저장방법에 대하여 유의적 차이를 보였다. 반면 포장을 한 경우는 일반 특선실과 강제순환 및 자연대류 저장방법에서 돼지고기의 품질의 차이가 발생하였다. 냉동참치는 VBN과 K-value에 대하여 일반 특선실과 자연대류식에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다. 따라서 cold chamber의 온도를 $-5^{\circ}C$ 정도인 subfreezing온도로 유지하고, 자연대류 냉각방식을 적용하면 가정용 냉장고를 사용하여 육류 및 어류의 신선도를 현저히 연장시킬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 PDF

첨가당과 건조방법이 육포의 품질과 저장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addition of kinds of sugar and drying method on Quality and Storage Characteristics of Beef jerky)

  • 조은자;이정은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6권6호
    • /
    • pp.511-520
    • /
    • 2000
  • 약포의 첨가당과 건조방법이 육포의 품질과 저장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저장상, 기계적 특성과 관능검사를 실시하였다 육포의 저장 기간 중에 수분활성 도는 경시적으로 감소경향을 나타내었고 저장 5주에는 꿀과 조청을 첨가한 천연건조시료(N-H, N-R)가 모두 0.71로 가장 낮은 값을 보였다. 모든 시료의 pH는 저장에 따라 감소하였으며 꿀을 첨가하여 열풍 건조한 육포(H-H)가 5.22로 가장 낮았다. 색도의 L, a, b값은 저장기간 중에 모두 감소 경향을 보였다. 저장기간 중 모든 시료에 있어서 TBA값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설탕시립첨가육포(N-S, H-S, S-S)는 건조방법과 관계없이 가장 낮은 값을 보였으며 꿀첨가육포(N-H, H-H, S-H)가 가장 높았다. 모든 시료의 총미생물수와 젖산균수는 저장 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저장 5주시 설탕시럽첨가 열풍건조한 육포(H-S)가 가장 낮았다. 모든 시료의 기계적 조직특성은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증가하였다. 탄력성과 응집성은 대체로 꿀첨가시료가 가장 높았고 씹힘성과 점착성·견고성은 설탕시럽첨가 천연건조 시료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천연건조시료는 포장방법에 관계없이 거의 모든 항목에 걸쳐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관능점수가 감소하였고, 열풍건조시료들의 관능점수는 포장방법에 관계없이 천연건조시료들에 비해 현저히 높은 점수를 나타내었다.

  • PDF

천년초 선인장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Antioxidative Effect of the Fractions Extracted from a Cactus Cheonnyuncho (Opuntia humifusa))

  • 이경석;오창석;이기영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474-478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천년초 손바닥 선인장 추출분획물의 항산화 활성을 비교, 검토하고자 하였다. 추출용매별 수율 및 항산화 활성을 알아본 결과 70% ethanol로 추출 하였을 경우 추출 수율 및 항산화 활성이 우수하게 나타났다. 70% ethanol 추출물을 hexane, chloroform, ethyl acetate, butanol, water로 순차 분획하여 BHA, ${\alpha}$-tocopherol과 항산화 활성을 비교하여 보았다. DPPH를 측정하여 free radical 소거활성을 검토한 결과 ethyl acetate 분획물이 가장 우수한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고 BHA와 ${\alpha}$-tocopherol 활성과 견줄만한 효과를 보여주었다. 항산화 활성이 높게 나타난 ethyl acetate 분획물을 취하여 촉진된 자동산화조건에서 AV, POV, TBA 등을 측정하여 항산화 활성을 비교하였다. BHA, ${\alpha}$-tocopherol과 비교하여 AV와 POV 측정결과 BHA가 가장 우수한 활성을 보여주었으며 ${\alpha}$-tocopherol과 ethyl acetate 분획물은 비슷한 정도의 항산화 활성이 나타났다. TBA가에 의한 지질 과산화를 측정한 결과 BHA가 가장 우수한 활성을 보여주었으며 ethyl acetate 분획물은 ${\alpha}$-tocopherol 보다 우수한 활성을 보여주었다. 전체적으로 천년초의 ethyl acetate 분획물은 ${\alpha}$-tocopherol과 비슷한 항산화 활성을 보여주었다.

녹차 물추출물의 조미오징어 갈변억제 효과 (Anti-browning Activities of Green Tea Water Extracts on Seasoned Squid)

  • 양승용;김동수;오세욱;방현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361-367
    • /
    • 1999
  • 항산화작용 및 항균작용이 있다고 알려져 있는 녹차 물추출물을 이용하여 조미오징어의 품질을 개선하기 위하여 분무하여 수분함량을 조정한 후 $30^{\circ}C$에서 보관하면서 저장중 갈색도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갈색도의 측정으로는 물추출색소, 5% KOH-methanol 추출색소, 색차계 등의 방법을 사용하였다. 물추출색소 및 5% KOH-methanol 추출색소를 이용하여 측정하였을 경우 처리구간의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어 적절한 갈색도 측정방법으로 생각되었다. 녹차의 물추출물을 분무한 처리구의 경우 저장기간에 따라 TBA가의 변화속도가 대조구보다 다소 느리게 측정되었으며 총미생물수도 낮게 측정되어 조미오징어 제조시에도 항산화작용 및 항균작용이 존재함을 알 수 있었다. 녹차 물추출물을 분무하여 조미오징어를 제조할 경우 수분함량을 다소 높여 조직감 개선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었으며 갈변도 억제하므로 품질개선에 유효함을 알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