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ANK 모형

검색결과 394건 처리시간 0.03초

이동하는 수중 물체 탐지를 위한 축소모형실험 시스템 개선 (Enhancement of Physical Modeling System for Underwater Moving Object Detection)

  • 김예솔;이효선;조성호;정현기
    • 지구물리와물리탐사
    • /
    • 제22권2호
    • /
    • pp.72-79
    • /
    • 2019
  • 최근 전기비저항 탐사의 정밀 계측기술을 활용한 수중 물체 탐지방법이 제시되었고, 변화하는 해양환경에 대응할 수 있는 자료처리 기술 고도화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이 연구에서는 효율적인 실험과 검증을 위한 개선된 축소모형실험 시스템과 그 운용 결과를 제시한다. 이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진다. 1) 실시간 실험영상과 계측자료의 동시 수집 및 분석과 같은 모든 프로세스가 5 Hz의 속도로 이루어진다. 2) 두 개 탐지선 자료의 실시간 계측 및 처리로 수중물체의 이동방향 파악이 가능하다. 3) 저장된 자료를 이용한 반복실험이 가능하여 획득된 자료의 다각도 반복분석이 가능하다. 4) 모니터링 화면을 통해 수중물체가 이동하는 모습과 두 탐지선 자료를 동시에 직관적으로 파악 가능하다. 개선된 시스템을 이용한 실험 결과, 모든 시스템이 정상 작동하고 효율적 실험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파랑-흐름의 상호작용 하에서 지형변동에 관한 3차원 연성 수치모델의 개발 (Development of a 3-D Coupled Hydro-Morphodynamic Model between Numerical Wave Tank and Morphodynamic Model under Wave-Current Interaction)

  • 이우동;허동수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4권5호
    • /
    • pp.1463-1476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파랑과 흐름이 공존하는 하구 주변의 수리특성 및 지형변동특성을 이해하기 위하여 새롭게 3차원 지형변동 모델을 개발함과 더불어 3차원 파동장 모델과 양방향 연성 수치모델을 제안하였다. 그리고 파랑-흐름 공존장에서의 파고분포, 연직유속분포, 해저파이프라인 저면의 지형변동 및 고립파 내습 시에 해빈 저면 부유사 농도의 시간분포에 관한 수리모형실험결과들과 비교 분석하여 개발한 연성 수치모델을 검증하였다. 이로써 본 연구에서 개발한 연성 수치모델의 타당성 및 유효성을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 연성 수치모델이 파랑과 흐름이 공존하는 하구지역의 지형변동 예측에 적용이 가능한 것을 확인하였다.

주변토양의 지구화학적 특성과 잠재적 오염원이 도서지역 저수지의 오염부하에 미치는 영향(II) - 강우 유출 모형을 이용한 유입경로별 유출량 평가 - (Impact of the Ge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Potential Contaminants Source of Surrounding Soil on Contamination of a Reservoir in an Island (II) - Appraisal of flow categorized by Incursion Using Rainfall-Runoff Model -)

  • 박선환;박완섭;전영봉;김창균;김성규;강선홍;장윤영;정정호;정종암
    • 환경영향평가
    • /
    • 제19권3호
    • /
    • pp.215-222
    • /
    • 2010
  • This research aims to gain the result of assessment of inflow categorized by runoff path using DIROM (Daily Irrigation Reservoir Operation Model) for Baengnyeong-myeon reservior which was built for residents of Baengnyeong island to solve the shortage of drinking water and stable supply of domestic water. The simulation results of DIROM and actual hydrograph of the reservoir show very low correlation with geological characteristics. The simulation results by DIROM after adjusting with modified Tank III model which considers all outflow from Tank II model as interflow among 3 level tanks show good correlation of its regional runoff and inflow characteristics with $R^2$=0.9058. In the study area, diffluence of 37% of rain fall of the study year has been simulated, which shows low result compared to the average river runoff of national water resource. In addition, 34.5% of total inflow to the study reservoir is mainly interflow and baseflow among expected several channels.

공업용수 공급시스템의 효율적인 운영을 위한 시스템다이내믹스 모형의 개발 (Development of a System Dynamics Computer Model for Efficient Operations of an Industrial Water Supply System)

  • 김봉재;박수완;김태영;전대훈
    • 상하수도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383-397
    • /
    • 2012
  • In this study, a System Dynamics (SD) simulation model for the efficient operations of an industrial water supply system was developed by investigating the feedback loop mechanisms involved in the operations of the system. The system was modeled so that as demand is determined the water supply quantity of intake pumping stations and dams are allocated. The main feedback loop showed that many variables such as the combinations of pump operation, unit electric power(kWh/$m^3$), unit electric power costs(won/$m^3$), water level of water way tunnel, suction pressure and discharge of pumping station, and tank and service reservoir water level had causal effects and produced results depending on their causal relationship. The configurations of the model included an intake pumping station model, water way tunnel model, pumping station model (including the tank and service reservoir water level control model), and unit electric power model. The model was verified using the data from the case study industrial water supply system that consisted of a water treatment plant, two pumping stations and four dams with an annual energy costs of 5 billion won. It was shown that the electric power costs could have been saved 7~26% during the past six years if the operations had been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방류 흐름제어를 위한 투과성 잠제의 적용성 분석 (Applicability of Permeable Submerged Breakwater for Discharged Flow Control)

  • 허동수;이우동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9권1호
    • /
    • pp.51-60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투과성 잠제의 형상 및 평면배치에 따른 방류 흐름제어 기능을 분석하기 위하여 유체 투과성 구조물 해저지반의 비선형 상호간섭을 직접해석 할 수 있는 PBM (Porous Body Model) 기반의 3차원 수치파동수조(NWT; numerical water tank) LES-WASS-3D를 이용하였다. 먼저 이용하는 LES-WASS-3D의 타당성 및 유효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투과성 구조물를 통과하는 댐 붕괴파의 전파특성에 관한 수리모형실험과 계산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투과성 잠제를 고려한 방류시뮬레이션으로부터 투과성 잠제의 적절한 형상 및 평면배치는 방류유속을 저감하고 흐름을 유도하는 데 상당히 효과적인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투과성 잠제의 형상 및 평면배치에 따른 흐름제어에 대한 적용성은 평균류분포, 연직유속분포를 통하여 확인할 수 있었다.

입자영상유속계를 이용한 자항상태 모형선의 프로펠러 후류 계측 (Propeller Wake Measurement of a Model Ship in Self Propulsion Condition using Towed Underwater PIV)

  • 서정화;유극상;임태구;설동명;한범우;이신형
    • 대한조선학회논문집
    • /
    • 제51권2호
    • /
    • pp.171-177
    • /
    • 2014
  • A two-dimensional particle image velocimetry (2D PIV) system in a towing tank is employed to measure a wake field of a very large crude oil carrier model with rotating propeller in self propulsion condition, to identify characteristics of wake of a propeller working behind a ship. Phase-averaged and time-averaged flow fields are measured for a horizontal plane. Scale ratio of the model ship is 1/100 and Froude number is 0.142. By phase-averaging technique, trajectories of tip vortex and hub vortex are identified and characteristic secondary vortex distribution is observed in the hub vortex region. Propeller wake on the starboard side is more accelerated than that on the port side, due to the difference of inflow of propeller blades. The hub vortex trajectory tends to face the port side. With the fluctuation part of the phase-averaged velocity field, turbulent kinetic energy (TKE) is also derived. In the center of tip vortex and hub vortex region, high TKE concentration is observed. In addition, a time-averaged vector field is also measured and compared with phase-averaged vector field.

슬로싱 충격현상 해석을 위한 모형실험과 수치해석 적용에 관한 비교 연구: PIV vs. CFD (Comparative Study on Sloshing Impact Flows between PIV and CFD)

  • 양경규;김지응;김상엽;김용환
    • 한국해양공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154-162
    • /
    • 2015
  • In this study, experimental and numerical methods were applied to observe sloshing impact phenomena. A two-dimensional rectangular tank filled with water and air was considered with a specific excitation condition that induced a hydrodynamic impact without an air pocket at the top corner of the tank. High-speed cameras and a pressure measurement system were synchronized, and a particle image velocimetry (PIV) technique was applied to measure the velocity field and corresponding pressure. The experimental condition was implemented in a numerical computation to solve incompressible two-phase flows using a Cartesian-grid method. The discretized solution was obtained using the finite difference and constraint-interpolation-profile (CIP) methods, which adopt a fractional step scheme for coupling the pressure and velocity. The tangent of the hyperbola for interface capturing (THINC) scheme was used with the weighed line interface calculation (WLIC) method to capture the interface between the air and water. The calculated impact pressures and velocity fields were compared with experimental data,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ocal velocity and pressure was investigated based on the computational results.

연직인장계류된 원형부유체의 파랑응답에 관한 연구 (A Study on Wave Responses of Vertical Tension-Leg Circular Floating Bodies)

  • 이광호;김창훈;김도삼
    • 한국해안·해양공학회논문집
    • /
    • 제23권3호
    • /
    • pp.248-257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규칙파동장에 있어서 인장계류된 원형부유체의 파랑응답해석에 2차원 Navier-Stokes solver에 기초한 새로운 수치파동수조모델을 제안하였다. 본 수치파동수조모델에서는 이동구조물과 유체와의 상호작용을 해석하기 위하여 직각좌표계에서 임의형상의 불투과경계를 갖는 구조물과 유체와의 연성해석이 가능한 IBM(Immersed Boundary Method)과 자유수면 추적을 위한 VOF(Volume of Fluid)법을 결합하였다. 부유체운동에 대한 수치결과를 기존의 FAVOR(Fractional Area Volume Obstacle Representation)법에 의한 계산결과 및 수리실험과 비교하였다. 게다가, 수치모델의 보다 자세한 검증을 위하여 원형부유체의 동요 및 자유수면변동에 관한 수리모형을 추가로 실시하였고, 제안된 수치모델의 범용성과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직사각형부유체에 대한 수치 및 수리실험도 병행하였다. 이로부터 추정된 수치계산결과는 실험결과를 잘 재현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산업단지 종말처리장 방류수 유입에 따른 소류지 부영양화 제어 가능성 연구 (Feasibility study on the control of the eutrophication by flowing the industrial wastewater effluents to the lake)

  • 이지선;장인성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1권11호
    • /
    • pp.4649-4655
    • /
    • 2010
  • 본 논문은 A 시의 산업단지 종말처리장의 방류수 유입에 따른 K 소류지의 녹조 제어 가능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완전혼합연속반응기로 모형화한 호소를 총인과 엽록소-a의 농도를 예측하였다. 정상상태일 때 총인과 엽록소-a 농도는 각각 $0.29\;/m^3$$4.0\;g/m^3$를 나타났고 실측치와 유사한 결과를 보였다. 비정상상태에서 종말폐수방류수가 최소유량 또는 최대유량으로 소류지로 유입될 때 시간경과에 따른 총인과 엽록소-a 농도 변화를 예측하였다. 또한, 현재 심각한 부영양화 단계에 있는 소류지를 중영양 또는 빈영양 단계로 전환하기 위해 소류지로 유입되는 총인부하량 ($L_p$)과 호소깊이/체류시간 ($H/{\tau}w$)값의 변화를 통해 현실적으로 적용 가능한 제어방법을 제안하였다. 이와 같은 분석기법이 소류지내 총인농도의 제어전략을 수립하기에 적합한 도구로 사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둑높이기 저수지의 가변 홍수기 제한수위 적용에 따른 홍수조절효과 분석 (Analysis of flood control effect by applying variable restricted water level on rehabilitated agricultural reservoir)

  • 류정훈;송정헌;강문성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7년도 학술발표회
    • /
    • pp.369-369
    • /
    • 2017
  • 농업용저수지는 이수 목적으로 비홍수기 농업용수 공급을 위한 용수 확보를 주요 목적으로 하고 있다. 한편, 농업용저수지가 홍수조절능력 또한 지니고 있음이 다수의 연구를 통해 제기되고 있으며, 이에 치수 목적으로 홍수기 홍수피해 저감을 위한 치수 대책 또한 수립할 필요가 있다. 현재 우리나라 농업용저수지의 홍수기 운영은 제한수위 방식을 기준으로 하되 필요에 따라 예비방류를 허용하는 조합 형태를 취하고 있다. 이러한 운영 방식은 홍수기 이후 상시만수위로 복귀하지 못하면 해당 년도 잔여 비홍수기 혹은 다음 년도 영농 시작 시기의 농업용수 공급에 차질이 생길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홍수기 농업용저수지의 운영은 홍수조절과 함께 상시만수 위로의 복귀를 동시에 고려하여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가변 홍수기 제한수위 (Variable Restricted Water Level, VRWL) 방식은 홍수 발생빈도와 규모를 고려하여 단위기간별 (일별 혹은 순별) 제한수위를 차등 부여하는 방식으로, 한정된 저수공간의 효율적 재할당에 따라 이수와 치수의 효율을 증대시키는 방안이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농업용저수지를 대상으로 저수지 유입량 빈도해석을 수행하고 순별 가변 홍수기 제한수위를 산정한 후 가변 홍수기 제한수위 적용에 따른 홍수조절효과를 평가하고자 한다. 연구대상지는 전국 110개 둑높이기 농업용저수지 중 가능최대홍수량 대상저수지 (유역면적 2,500 ha 이상, 총 저수량 500만 톤 이상) 12개소로 선정하였고, 저수지별 기상자료와 지형자료를 구축하였다. 저수지 유입량 모의를 위하여 장기유출량 산정 모형인 TANK를 이용하였으며, 구축된 저수지 유입량 자료를 토대로 순별 유입량 빈도해석을 수행하고 홍수기 저수지 유입량의 이론적 확률분포형을 선정하였다. 선정된 확률분포형을 토대로 초과확률 10%에 따른 순별 저수지 수위로서 가변 홍수기 제한수위를 산정하였다. 산정된 가변홍수기 제한수위 적용 효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홍수조절용량을 산정하였고, 유역비 홍수량을 지표로 하여 홍수조절능력을 평가하였다. 향후 본 연구의 결과는 둑높이기 농업용저수지의 홍수기 제한수위 설정 및 관리, 운영 지침 개선에 있어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