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2NO stage

검색결과 556건 처리시간 0.028초

Trichoderma속의 염색체(染色體)에 관한 연구(硏究) (Chromosomal Studies on the Genus Trichoderma)

  • 민병례;채영규;최영길
    • 한국균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221-224
    • /
    • 1985
  • ATCC로 부터 구입한 11종(種)과 우리나라의 토양에서 분리 동정한 6종(種)의 Trichoderma를 실험(實驗) 재료(材料)로 하였다. 2% malt extract agar 배지(培地)에서 배양(培養)하면서 균사의 영양핵에서의 핵분열을 관찰하였다. 염색(染色)은 Giemsa staining solution으로 염색(染色)하였고 그들의 염색체(染色體) 수(數)를 세었다. 염색체의 형태(形態)는 다른 균류와 마찬가지로 점(點) 모양(dot-like)의 것이 대부분(大部分)이었다. 염색체(染色體)의 크기는 매우 작아서 $0.2{\sim}0.3\;{\mu}$정도이다. 염색체(染色體)의 수는 $5{\sim}10$개로서 n=5인 종(種)이 2종(種)(Trichoderma pseudokoningil, T. saturnisporum)이고, n=6인 종(種)은 8종(種)(T. koningil, T. viride, T. hamatum, T. longibranchiatum, T. sp. No.40, T. sp. No.58 T. sp. No.237, T. sp. No.241)으로 가장 많았다. n=7인 종(種)은 2종(種)(T. reesei, T. harzianum, T. polysporium, T. virigatum, T. sp. No.196)으로 관찰되었다. 이상의 17종(種)을 비교 검토하여 보면 Trichoderma속의 기본(基本) 염색체(染色體) 수(數)는 $4{\sim}10$개 사이에 있을 것으로 생각되며 그 중에서 가장 많은 수(數)를 나타탠 n=6을 기본(基本) 염색체수(染色體數)로 추론하였다.

  • PDF

병기 IIIB 비소세포암 환자에서의 수술 성적 (Surgical Results of Selected Stage IIIB Non-small Cell Lung Cancer)

  • 민호기;김형수;유정우;최용수;김관민;김진국;장봉현;심영목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6권3호
    • /
    • pp.157-163
    • /
    • 2003
  • 전통적으로 병기 IIIB 비소세포암은 낮은 장기 생존율로 인해 수술이 불가능하다고 여겨져 왔다. 그러나 최근의 몇몇 보고에서는 병기 IIIB 중 74 병변에서 수술 후 좋은 장기 생존율을 보고하고 있다. 본원에서 일부 선택된 병기 IIIB 환자에서의 수술 경험을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1994 년부터 2001년 12월까지 본원에서 원발성 폐암으로 진단을 받고 수술을 시행한 936명의 환자 중 수술 후 조직 검사상 병기 IIIA 및 IIIB로 진단받은 환자에서 수술 전 항암치료나 방사선치료를 받은 환자를 제외한 각각 109명과 59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TNM 병기에 따른 분류상 병기 IIIA의 경우 T3Nl이 13예, T1N2가 12예, T2N2가 73예였으며 T3N2가 11예였다. 그리고 병기 IIIB의 경우는 T4N0가 26예, T4Nl이 18예, T4N2가 14예였으며 T4N3가 1예였다. 결과: 수술 관련 사망률은 병기 IIIA에서는 4.58%였고 병기 IIIB에서는 5.08%였다. 병기 IIIA와 IIIB의 1년, 2년, 3년, 5년 생존율은 각각 69.1%, 53.7%, 41.6%, 30.7%였고 68.9%, 55.6%, 42.9%, 35.9%였다. T4 병변에 의한 병기 IIIB 폐암에서 같은 엽에 소결절이 있는 군을 다시 림프절 전이가 없는 군과 림프절 전이가 있는 군으로 나누어 생존율을 구하였을 때 림프절 전이가 없는 군에서 유의하게 생존율이 높았다(p=0.0118). 결론: 림프절의 전이가 없고 완전 절제가 가능한 병기 IIIB 환자에서 수술적 절제를 적극적으로 고려하여야겠고 특히 림프절 전이가 없는 한 엽에 여러 소결절이 있는 환자에서는 수술적 치료를 요한다 하겠다.

SBR을 이용한 소규모 오수처리시설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mall sewerage system using SBR process)

  • 박민정;김동석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427-437
    • /
    • 2003
  • An evaluation of the application of SBR and biofilm en small sewerage system was conducted. A newly developed small sewerage system, using SBR, was successfully applied to the nutrient treatment using municipal wastewater. The system was consisted of 6 compartments. Two systems, with SBR (A type) or without SBR (B type), were compared by several parameters (COD, SS, T-N, NH$_4$$\^$+/-N, NO$_3$$\^$-/-N, NO$_2$$\^$ -/-N, alkalinity, pH, DO) in all experimental periods. Also, the time variation of several parameters (DO, pH, NH$_4$$\^$+/-N, NO$_3$$\^$-/-N NO$_2$$\^$-/-N) was examined in a SBR applied sewerage system. T-N removal efficiency of B type Was higher than that Of A type by the effect of nitrification and denitrification even though the COD removal efficiencies were similar. In aeration stage, the pH was decreased from 6.4 to 6.3 within 1 h and increased to 6.65 at the end of aerobic stage, and pH was decreased to 6.2 in non-aeration stage, and these phenomena were explained. The effects of nitrification and denitrification were compared in A type and B type sewerage system, and the typical nitrification and denitrification were observed in B type sewerage system.

비인강암의 방사선 치료 (Radiation Therapy of Nasopharyngeal Carcinoma KCCH Experience ($1964\~1984$))

  • 고경환;박우윤;조철구;류성렬;심윤상;오경균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8권1호
    • /
    • pp.29-34
    • /
    • 1990
  • 1964년부터 1984년까지 원자력병원 치료방사선과에서 비인강암으로 근치적 목적의 방사선치료를 받은 154명의 환자에 대한 임상적 특성과 치료결과를 분석하였다. 생존자의 최소추적기간은 3년이었다. 환자의 $13\%$$T_4$의 원발병소를 가졌고, $65\%$가 AJCC병기 제 4 기였다. 병소부위의 총방사선량은 82명에서 $1550\~1750$ret였고, 72명에서 1750ret이상이었다. 국소적 완전관해율은 $79\%$이었다. 유의한 예후인자로는 방사선량(1750ret이상 또는 이하), 나이 (30세이하 또는 이상), 병기 (AJCC 제 $1\~3$기 또는 제 4기), 원발병 소정도 ($T_1$ 또는 $T_2\~T_4$병기), 경부임파절유무 (NO 또는 $N^+$)이었다.

  • PDF

Oncologic Feasibility of Proximal Gastrectomy in Upper Third Advanced Gastric and Esophagogastric Junctional Cancer

  • Yun, Won-Gun;Lim, Myung-Hoon;Kim, Sarah;Kim, Sa-Hong;Park, Ji-Hyeon;Kong, Seong-Ho;Park, Do Joong;Lee, Hyuk-Joon;Yang, Han-Kwang
    • Journal of Gastric Cancer
    • /
    • 제21권2호
    • /
    • pp.169-178
    • /
    • 2021
  •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oncologic safety and identify potential candidates for proximal gastrectomy (PG) in upper third advanced gastric cancer (AGC) and esophagogastric junction (EGJ) cancers. Materials and Methods: Among 5,665 patients who underwent gastrectomy for gastric adenocarcinoma between January 2011 and December 2017, 327 patients who underwent total gastrectomy with standard lymph node (LN) dissection for upper third AGC and Siewert type II EGJ cancers were enrolled. We analyze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metastatic rates of distal LNs (No. 4d, 5, 6, and 12a) around the lower part of the stomach and the clinicopathological characteristics. We identified subgroups with no metastasis to the distal LNs. Results: The metastatic rate of distal LNs in proximal AGC and Siewert type II EGJ cancers was 7.0% (23 of 327 patients). On multivariate analysis, pathological T stage (P=0.001), tumor size (P=0.043), and middle third invasion (P=0.003)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distal LN metastases. Pathological 'T2 stage' (n=88), or 'T3 stage with ≤5 cm tumor size' (n=87) showed no metastasis in distal LNs, regardless of middle third invasion. Pathological T3 stage with tumor size > 5 cm (n=61) and T4 stage (n=91) had metastasis in the distal LNs. Conclusions: In the upper third AGC and Siewert type II EGJ cancer, pathological T2 and small-sized T3 stage groups are possible candidates for PG in cases without distal LN metastasis. Further validation studies are required for clinical application.

원격 전이 여부에 따른 4기 위암의 세분류(IVa 및 IVb) (Subclassification of Stage IV Gastric Cancer According to the Presence of Distant Metastasis (IVa and IVb))

  • 하태경;권성준
    • Journal of Gastric Cancer
    • /
    • 제6권3호
    • /
    • pp.173-180
    • /
    • 2006
  • 목적: 위암 병기 4기는 다른 병기에서와 같이 여러 T인자 및 N인자로 구성되어 있으며, 특히 원격 전이가 존재하는 경우가 포함되어 있다. 4기에 속하는 위암 중 원격 전이군(M1)의 경우는 근치적 절제가 불가능한 경우로서 비 원격 전이군(M0)과 함께 동일 병기로 분류되어 있어 원격 전이 유무에 따라 환자의 생존율에 의미있는 차이가 있을 수 있다는 가능성을 가지고 비교 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2년 6월부터 2005년 12월까지 본원에서 위암으로 수술한 1,630명 가운데 위절제술이 가능했던 4기 환자 308명을 대상으로 원격 전이 유무에 따른 여러 임상병리학적 인자들의 특성과 생존율을 비교 분석하였으며 추적기간의 중앙값은 43개월(범위, $1{\sim}154$개월)이었다. 결과: M0군의 5년 생존율은 35%, M1군은 16%로 M0군의 생존율은 M1군에 비해 의미 있게 높았으며(P=0.0000), M0군 중 T1-3N3M0군과 T4N1-2M0군간의 생존율은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 현재의 TNM 분류법상 4기로 구분되는 예들을 비교 분석한 결과 M0군은 M1군에 비해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예후가 좋으므로 M0군은 stage IVa로, M1군은 stage IVb로 세분류하는 것이 타당하겠다.

  • PDF

호남평야지에서 벼 건답직파 조기파종재배에 알맞은 질소 분시방법 (Reasonable Split Application Method of Nitrogen Fertilizer for Early Dry Seeding Culture of Rice in Honam Plain Area)

  • 김상수;최원영;백남현;최민규;박홍규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0권6호
    • /
    • pp.460-464
    • /
    • 2007
  • 호남평야지에서 건답직파 조기파종재배에 알맞은 질소 분시방법을 구명하고자 '97~'98년에 호남농업시험장 수도포장인 전북통(미사질양토)에서 동진벼를 공시하여 시험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질소분시방법간 토양 중 암모니아태 질소 함량을 보면 5엽기에는 관행(T1, 기비시용)보다 추비중점시비(T2, T3)에서 많았고 그 이후는 점차 줄어들어 출수기에는 질소 분시방법간에 차이가 적었다. 엽면적 및 지상부 건물중은 생육초기에는 차이가 없었으나 최고분얼기 이후에는 3엽기:7엽기:수비=40:30:30%로 분시 한 처리에서 가장 많았다. 질소 흡수량과 질소 이용율은 관행 분시방법보다 추비중점시비에서 높았는데, 2차 추비시기 간에는 5엽기보다 7엽기에 시비한 처리에서 높았다. 수량구성요소 중 등숙비율과 현미천립중은 질소 분시방법간에 별 차이가 없었으나 $m^2$당 수수는 T3 > T2 > T1 순으로 많아, 쌀 수량은 관행에 비하여 3엽기:5엽기:수비=40:30:30%로 분시한 처리에서 3%, 3엽기:7엽기:수비=40:30:30%로 분시한 처리에서 6% 증수되었다. 따라서 벼 건답직파 조기파종재배에 알맞은 질소분시방법은 3엽기:7엽기:수비로 각각 40:30:30%로 분시하는 것이 적당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Effect of Nitrogen Levels and Harvest Intervals on Dry Matter Yield of Barnyard Millet

  • Lee, Bae Hun;Choi, Ki Choon;Yang, Seung Hak;Oh, Mirae;Park, Hyung Soo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42권3호
    • /
    • pp.176-182
    • /
    • 2022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dry matter productivity and nitrate nitrogen content in the growth stages of barnyard millet (Echinochloa esculenta) cultivated for feed, which was treated with different nitrogen fertilization levels. An early variety of barnyard millet (cv. Shirohie) was used for the test, and the different treatments with nitrogen fertilizer were as follows: 50% (N-40 kg/ha, T1), 100% (N-80 kg/ha, reference amount, T2), 150% (N-120 kg/ha, T3), 200% (N- 160 kg/ha, T4), 250% (N-200 kg/ha, T5), and 300% (N-240 kg/ha, T6). Sowing was done on May 13, 2021 and plants were harvested for four stage; vegetative stage, elongation stage, heading stage, and milk stage. The length of the millet increased significantly as the amount of nitrogen fertilization increased during the harvest period (p<0.05), but the difference was insignificant during the milk stage (p>0.05). Moreover, barnyard millet dry matter yield increased significantly as the levels of nitrogen fertilization increased (p<0.05),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dry matter yield among nitrogen fertilization levels during the heading stage (p>0.05). Chlorophyll also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5 (250%) at all harvesting times, whereas nitrate nitrogen content was highest at the vegetative stage, gradually decreased as growth progressed, and lowest at the milk stage. Finally, as the nitrogen fertilization levels increased, the nitrate nitrogen content was significantly higher in all treatment groups (p<0.05). Therefore, our results suggest that the most appropriate nitrogen fertilizer levels is between 150%-200%, considering the dry matter yield, feed ingredients and nitrate nitrogen content in barnyard millet for feed.

기관세지폐포암의 장기결과분석 (Long-term Survival Analysis of Bronchioloalveolar Cell Carcinoma)

  • 이승현;김용희;문혜원;김동관;김종욱;박승일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9권2호
    • /
    • pp.106-110
    • /
    • 2006
  • 배경: 기관세지페포암종은 흔치않은 폐암으로 $2{\~}14\%$의 유병률을 보인다. WHO의 분류에 따르면 일종의 선암으로 분류되며 최근의 정의에 의하면 흉강내 일차 원발성 선암병변이 없어야 하며, 중심기관지내의 원발병변이 없고, 말초기관에 국한되어야 하며 폐간질의 침범이 없고 암종의 실장이 폐포격막을 따라서 성장해야 한다. 또한 동일병기의 다른 비소세포폐암보다 술 후 생존율이 좋은 것으로 보고된다. 이에 기관세지폐포암의 장기결과에 대한 분석을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서울아산병원 흉부외과학교실에서 1990년 1월부터 2002년 12월까지 술 후 기관세지폐포암으로 병리 진단을 받은 31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환자의 나이, 성별, 발생부위, 조직학적 병기, 술 후 부작용, 술 후 재발여부, 술 후 항암화학요법, 방사선요법 여부와 술 후 생존여부를 의무기록을 토대로 조사하였다. 결과: 환자의 평균연령은 61.09$\pm$10.63세($31{\~}79$세)이고 남녀의 성비는 12 : 19였다. 발병부위는 우상엽 7예, 우중엽 1예, 우하엽 4예, 좌상엽 8예, 좌하엽 11예였다. 수술은 엽절제술 28예, 전폐절제술 2예였고, 술 후 병리학적병기는 TIN0M0 (stage Ia) 12예($38.70\%$), T2N0M0 (stage Ib) 15예($48.38\%$), T1N1M0 (stageIIa) 1예($3.22\%$), T1N1M0 (stageIIb) 1예($3.22\%$), T2N2M0 (stage IIIa) 1예 ($3.22\%$), T1N0M1 (stage IV) 1예($3.22\%$)였다. 술 후 경과 추적 중에 사망은 4예($12.90\%$)였다. 한 명(T1N0M0, stage Ib)은 술 후 퇴원하였다가 2개월 후에 재발 없이 전신상태 악화에 의한 사망이었고, 한 명(T2N2M0, stage IIIa)은 술 후 29개월째에 우측 늑골 전이로 항암화학요법 중에 사망하였다. 한 명(T1N1M0, stage IIa)은 술후 항암화학요법 중 34개월에 뇌전이가 있었으나 치료거부 후 퇴원하였다가 사망하였다. 한 명(T1N0M0, stage Ib)은 술 후 방사선요법 중에 21개월 째에 양측폐에 다발성 결절을 보이는 전이로 치료 중 사망하였다. 술 후 평균 추적기간은 50.87$\pm$24.77개월이었다. 전체 생존율을 분석해보면 3년에 $97.1\%$, 5년에 $83.7\%$였다. 병기1기 환자의 경우 2년에 $96.3\%$, 5년에 $96.3\%$로 나왔다. 전체 환자의 재발 없는 생존율을 분석해보면 1년에 $100\%$, 2년에 $90\%$, 5년에 $76\%$이고 병기 1기의 경우 2년에 $96.4\%$, 5년에 $90.6\%$였다. 술 후 항암화학요법을 시행한 환자는 7명으로 $22.58\%$이고, 술 후 항암방사선요법을 시행한 환자는 1명으로 $3.22\%$, 2가지 모두 시행한 환자는 2명으로 $6.45\%$였다. 재발부위는 폐전이 3예, 골전이가 1예, 뇌전이가 1예였다. 결론: 기관세지폐포암은 동일병기의 다른 비소세포암보다 수술 절제 후에 비교적 재발률이 적고 병기가 초기인 경우 생존율이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저작권법의 시각에서 본 연극연출의 창작성과 법적 지위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the Creativity and Legal Status of Directing from Copyright Law Point of View)

  • 정영미
    • 한국연극학
    • /
    • 제40호
    • /
    • pp.401-450
    • /
    • 2010
  • This thesis purposes to suggest that creative stage directors have copyright ownership and we make them create high-quality of theatre direction. Stage directors are sincere creator of the theatre stage today. We have little judicial precedents about stage directors, no artistic examination related directing. Stage directors are performers who have neighboring rights, there is a problem that they won't have the exclusive right of making derivative works in this country. Others will make creation (such as cinemas, animations, novels) based on stage expression without permission, because stage directors don't have exclusive right of making derivative works. Copyright law can't protect the concept of stage directors and building blocks of them which are drama text, actors and theatre space, because copyright law don't protect idea according to idea/expression dichotomy. The expression of stage direction is belong to five fundamentals which are composition, picturization, movement, rhythm, pantomimic dramatization that are come from Dean & Carra's work. Directors' work is to make theatrical works based on literary works. Therefore, theatrical works are derivative works which based on drama texts. Also, theatrical works are able to be joint works. In the case of that stage directors write drama text and create expression on the stage, they have to own authorship of both works. Merger doctrine should not apply theatre directors' works strictly like any other functional works because stage directors usually create noble expression which have been not before. We need shift of the definition of theatrical works which are derivative works or joint works to protect theatre directors' creativity. Hereafter, the special legal section for dramatic(theatrical) works including the flexible legal definition for performing arts should be established, and 'contract form' for stage directors should be made. Acting edition(literary works) should be published to grant creative directors compensation. I emphasize to grant ownership of copyright to creative stage directors, to encourage directors' works. Therefore, copyright law will be the support for development of cultural arts institutional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