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P Removal

검색결과 691건 처리시간 0.027초

하수처리를 위한 막결합형 $A_2O$공정에서 최적 내부 순환율 및 MLSS 농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Optical Internal Recycle Rate and MLSS Concentration of Membrane Coupled $A_2O$ Process for Wastewater Treatment)

  • 김관엽;김진모;김형수;이상백;박유진;배성수
    • 멤브레인
    • /
    • 제15권2호
    • /
    • pp.114-120
    • /
    • 2005
  • 본 연구의 목적은 도시 하수처리를 위한 막결합형 $A_2O$공정에 관해 실제적인 정보를 얻고자 하는 것이다. 공경 $0.25\;{\mu}m$의 평판형 정밀여과막을 공기가 주입되는 호기조에 침지시켜 처리수는 저압으로 여과된다. 인공폐수를 대상으로 최적의 처리수질과 장기운전의 안정성 확보를 위한 내부반송율과 MLSS 농도 등의 최적 운전인자를 산정하고자 하였다. 내부반송은 각각 호기조에서 무산조로 반송한 것을 type 1, 무산조에서 혐기조로 반송한 것을 type 2라고 규정지었다. 플럭스는 15 LMH, type 1을 2Q로 고정하고 실험하였을 때 최적의 운전 조건은 MLSS 농도는 11,000 mg/L, type 2가 IQ로 나타났다. 이때, BOD $COD_{cr}$, T-N, T-P의 제거율이 각각 $97.3\%,\;94.2\%,\;64.0\%,\;63.0\%$로 타 내부반송율보다 효과적이었다.

MPTP-induced vulnerability of dopamine neurons in A53T α-synuclein overexpressed mice with the potential involvement of DJ-1 downregulation

  • Lee, Seongmi;Oh, Seung Tack;Jeong, Ha Jin;Pak, Sok Cheon;Park, Hi-Joon;Kim, Jongpil;Cho, Hyun-seok;Jeon, Songhee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and Pharmacology
    • /
    • 제21권6호
    • /
    • pp.625-632
    • /
    • 2017
  • Familial Parkinson's disease (PD) has been linked to point mutations and duplication of the ${\alpha}$-synuclein (${\alpha}$-syn) gene. Mutant ${\alpha}$-syn expression increases the vulnerability of neurons to exogenous insults. In this study, we developed a new PD model in the transgenic mice expressing mutant hemizygous (hemi) or homozygous (homo) A53T ${\alpha}$-synuclein (${\alpha}$-syn Tg) and their wildtype (WT) littermates by treatment with sub-toxic (10 mg/kg, i.p., daily for 5 days) or toxic (30 mg/kg, i.p., daily for 5 days) dose of 1-methyl-4-phenyl-1,2,3,6-tetrahydropyridine (MPTP). Tyrosine hydroxylase and Bcl-2 levels were reduced in the ${\alpha}$-syn Tg but not WT mice by sub-toxic MPTP injection. In the adhesive removal test, time to remove paper was significantly increased only in the homo ${\alpha}$-syn Tg mice. In the challenging beam test, the hemi and homo ${\alpha}$-syn Tg mice spent significantly longer time to traverse as compared to that of WT group. In order to find out responsible proteins related with vulnerability of mutant ${\alpha}$-syn expressed neurons, DJ-1 and ubiquitin enzyme expressions were examined. In the SN, DJ-1 and ubiquitin conjugating enzyme, UBE2N, levels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in the ${\alpha}$-syn Tg mice. Moreover, A53T ${\alpha}$-syn overexpression decreased DJ-1 expression in SH-SY5Y cell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vulnerability to oxidative injury such as MPTP of A53T ${\alpha}$-syn mice can be explained by downregulation of DJ-1.

스마트 글래스를 활용한 동공 데이터 수집과 사회 감성 추정 기술 (Pupil Data Measurement and Social Emotion Inference Technology by using Smart Glasses)

  • 이동원;문성철;박상인;김환진;황민철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25권6호
    • /
    • pp.973-979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동공 반응 데이터를 수집하여 공감의 사회 감성을 객관적이고 정량적으로 추정하는 데 목적이 있다. 52명(남 26명, 여 26명)의 피험자가 실험에 참여하였다. 실험은 30초의 참조 데이터 측정 후, 공감 유무에 따라 얼굴 표정 모방 과제와 자발적 표현과제로 구분되어 두 사람은 상호작용하였고 동공을 촬영하였다. 이진화 및 원형 윤곽선 검출법의 영상처리를 활용하여 동공 데이터를 수집하였고, 이상 데이터 제거 기법을 활용해 눈 깜빡임 노이즈를 제거하였다. 공감 유무에 따른 동공 크기 데이터는 정규성 검증 및 독립표본 t 검정을 통해 통계적 유의성을 확인하였다. 분석 결과, 공감하는 경우(M ± SD = 0.050 ± 1.817)와 공감하지 않은 경우(M ± SD = 1.659 ± 1.514) 동공 크기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t(92) = -4.629, p = 0.000). 판별분석을 통해 동공 크기에 따른 공감 유무를 추정하는 규칙을 정의하였고, 새로운 실험참가자 12명(남 6명, 여 6명, M ± SD = 22.84 ± 1.57세)을 대상으로 규칙을 검증(추정 정확도 75%)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동공 크기 데이터를 이용한 공감의 사회 감성 추정 기술은 비접촉식 카메라 기반의 기술로 스마트 글래스와 접목되어 다양한 가상 현실 분야에 활용도가 높을 것으로 기대된다.

오존처리와 생물활성탄 공정에 의한 상수원수 중의 용존유기물 제거 (Removal of Dissolved Organic Matter by Ozone-biological Activated Carbon process)

  • 이상훈;문순식;신종철;최광근;심상준;박대원;이진원
    • KSBB Journal
    • /
    • 제18권3호
    • /
    • pp.211-216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오존과 생물활성탄 연계공정의 효율성을 비교하고자 원수, 원수오존처리, 원수오존응집 침전 공정 처리수를 생물확성탄에 유입시켜 용존 유기물질의 제거효과를 비교ㆍ연구하였다. 또한 생물활성탄의 생물학적 처리능을 조사하기 위하여 총질소, 총인, 암모니아성 질소의 제거경향을 파악하였으며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오존 생물활성탄 처리시의 평균 제거율은 30.7%로 다른 처리 공정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용존 유기물질 제거율을 나타냈는데, 이것은 생물황성탄 컬럼 상에서 용존산소의 농도를 증가시킴과 오존의 산화로 인하여 유기물의 생분해도를 증가시킴으로서 활성탄 컬럼 내의 용존 유기물질 제거를 증가시킨 것으로 사료되며, 생물활성탄 컬럼의 DOC 저감율이 가장 높은 EBCT 10분을 최적의 EBCT로 판단하였다. 또한 각 공정별 유기물의 성상변화를 살펴보기 위하여 specific ultra violet adsorbance 성상 변화를 조사하였으며 오존처리에 의해 다량의 hydrophobic 성분이 hydrophilic 성분으로 전환되었으며 생물활성탄 처리에 의해 28%의 SUVA 값의 제거가 발생하였다. 이것은 오존 처리에 의해 다량의 hydrophobic 성분이 hydrophilic 성분으로 전환되었으며, 이러한 hydrophilic 성분이 생물활성탄 처리에 의해 제거된 것으로 사료된다. 원수를 유입시킨 생물 활성탄 처리수는 45.3%, 오존 처리수를 유입시킨 컬럼에서는 44.6%, 오존응집ㆍ침전처리수를 유입시킨 컬럼에서 58.4%의 UV$_{254}$ 제거율을 나타내었으며, 암모니아성 질소의 경우 66%, 81%, 29%의 제거율을 나타내어 생물학적 제거가 활발함을 관찰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하여 오존산화처리와 황성탄의 연계처리는 용존 유기물질의 저감 뿐만 아니라 생물활성탄의 생물학적 처리능을 향상시키는 효율적인 공정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id의 효과와 거의 대등한 것을 나타났다. 이것으로 쇠비름 조추출물이 항산화효과 (in vitro)가 있음이 증명되었으며, 이 항산화활성은 극성이 비교적 큰 화합물들에 의한 것임을 추정할 수 있다. 현재 쇠비름 추출물로부터 항산화활성성분을 분리하기 위한 연구가 진행 중이다.는 exp-onential phase 동안 급격한 균체성장으로 용존산소가 부족하여 NADH balance에 의해 astaxanthin 생합성 경로 중 탈수소화 단계가 저해되기 때문으로 사료되었다. 최종 세포농도는 43.3 g/L, 단위부피당 carotenoids 함량은 149.4 mg/L, astaxanthin 함량은 110.6 mg/L로서 산업적인 생산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연구를 통하여 개발된 변이주 B76 및 이의 대량 발효를 위한 최종조건의 정립은 향후 astaxanthin의 산업적 생산공정에 필요한 기초자료로 이용될 것으로 기대된다.색총말내에 소형의 도형, 소형의 장형 연접소포 및 DENSE CORE VESICLE의 3가지 연접소포를 가지고 있었고 출현빈도수는 촉각엽에서 가장 큰 33%이었다. 제5형 신경연접은 축색종말내에 중등도크기의 원형, 대형의 원형연접소포 및 DENSE CORE VESICLE을 포함하였고 13%의 출현빈도수로 관찰되었다. 배추횐나비의 촉각에 있는 지각신경세포가 뇌의 촉각엽으로 뻗어 들어가 위의 5가지 신경연접중 어느 형을 형성하는지를 관찰하기 위하여 좌측 촉각의 기부를 제거하여 지각신경세포를 절단하였는데 그 결과, 좌측 촉각엽에서 제4형의 신경연접이 퇴행성 변화를 나타내었다. 그러므로 촉각의 지각신경세포는 뇌의 같은 족 촉각엽에 뻗어와 제4형 신경연접을 형성한다고 결론되었다.$/ 값이 210 $\mu\textrm{g}$/$m\ell$로서 효과적인 저해 활성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빈랑으로부터 분리한 phenol 성 물질은 피부

토끼 경골에서 hydroxyapatite 코팅의 면적에 따른 임프란트의 뒤틀림 제거력과 조직계측학적 분석 (Removal Torque and Histometric Evaluations of Implants with Various Area of Hydroxyapatite Coating Placed in the Rabbit Tibia)

  • 문상권;조규성;안세영;이훈;김한성;심준성;최성호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33권4호
    • /
    • pp.625-641
    • /
    • 2003
  • Background: This study presents a biomechanical and histometric comparison of bone response to implants with various area of hydroxyapatite(HA) coating. Methods: The implants were placed in the tibia of 10 rabbits weighing 2.5-3.5kg. The control group had a machined surface, the experimental group 1 had 50${\mu}m$ thick HA coated in a band form, and the experimental group 2 had 50${\mu}m$ thick HA coated on the entire surface. 8 weeks after implantation, the animals were sacrificed. Removal torque was measured and histologic preparation was also performed for histologic and histometric analysis. Bone to implant contact as well as percentage of bone area inside threads were measured. ANOVA post hoc, and t-test were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with p-value p<0.05. Results: 1. The removal torques were 9.36${\pm}$5.64 Ncm, 48.40 ${\pm}$ 16.66 Ncm, and 82.37${\pm}$22.56 Ncm for the control, exp. 1, and exp. 2 group respectively.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ere found among all the groups(p<0.05). 2. Bone to implant contact in the cortical bone were 38.94${\pm}$10.9 %, 66.90${\pm}$14.1 %, 73.00${\pm}$19.4 %, in the marrow bone, 8.30${\pm}$5.4%, 14.59${\pm}$5.9%, 18.54${\pm}$11.8%, and in total, 22.40${\pm}$10.1%, 31,17${\pm}$7.5%, 41.41${\pm}$12.2% for the control, exp. 1, and exp. 2 group respectively . In the cortical bone, exp. 1, and exp. 2 group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ly higher contact compared to control group. Total contact and in the marrow bone, only exp. 2 group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ly higher contact compared to control group(p<0.05). In all the groups significantly higher contact were observed in the cortical bone compared to the marrow bone(p<0.05). 3. Percentage of bone area inside threads in the cortical bone were 55.68${\pm}$7.25%, 55.19${\pm}$13.19%, 57.04${\pm}$13.33%, in the marrow bone, 12.34${\pm}$14.61%, 17.56${\pm}$20.04%, 20.26${\pm}$12.83%, and in total, 30.30${\pm}$12.46%, 31.57 ${\pm}$15.15%, 34.25${\pm}$12.56% for the control, exp.1, and exp. 2 group respectively. There was no statistical difference among the groups. In all the groups significantly higher bone area were observed in the cortical bone compared to the marrow bone(p<0.05)

수질정화를 위한 다기능 인공식물섬의 개발과 적용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Multi-Functional Floating Wetland Island for Improving Water Quality)

  • 윤영한;임현만;김원재;정진홍;박재로
    •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 /
    • 제3권4호
    • /
    • pp.221-230
    • /
    • 2016
  • 유속이 낮은 정체수역에 대하여 부영양화에 의한 녹조발생을 미연에 방지하고 수질개선을 도모하기 위하여 기존 인공식물섬 운영기술에 다양한 요소기술을 도입한 다기능 인공식물섬을 개발하였고 개발기술에 대한 성능검증을 위하여 경기도에 소재하는 하천에서 여름철과 겨울철 동안에 모니터링 하였다. 본 연구의 다기능 인공식물섬은 수질정화 기능을 높이기 위해서 정수식물 기반의 식생여과 공정 위주의 일반 인공식물섬 기술에 미세기포 공정과 인공여재에 의한 인 흡착/여과 공정을 추가하여 운영하였다. 개발기술에 대한 계절에 따른 오염물질 (COD, T-P) 제거율 변화로부터 오염부하가 낮은 겨울철 (15.9%, 20.0%)보다는 부하가 높은 여름철 (40.9%, 45.7%)에 높은 처리효율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고 공정별 제거율 (SS, Chl-a)에서는 미세기포 공정은 여름철 (33.1%, 39.2%)에, 인 흡착/여과 인공여재 및 식생여과 공정은 겨울철 (76.5%, 59.5%)에 높은 제거효율을 갖는 것으로 분석되어 다기능 인공식물섬의 정화능은 계절별 변화 또는 오염부하 정도에 따라서 적용 기술별로 제거능을 나타내어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또한, 인공식물섬 주변의 생태변화 분석결과, 식물섬 저부에 미세기포의 공급으로 용존산소가 증가됨으로써 혐기화에 의한 물질환원 현상을 방지하고 수류순환을 유도하여 친환경적인 새로운 수생태계가 조성되는 것을 확인하였고 이러한 결과들을 통하여 다기능 인공식물섬에 의하여 정체수역의 수질이 개선되고 다양한 동식물의 성장으로 정체수역 저부의 물질순환이 개선될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고도산화기술 공정을 이용한 페놀 제거 특성 연구 (The Study on the Phenol Removal Characteristics by using AOP Processes)

  • 김성준;곽규동;원찬희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303-310
    • /
    • 2010
  • Recently distinguished AOP means technology resolving organic compounds in water to harmless compounds such as $CO_2$ and $H_2O$ by creating OH radical ($OH{\cdot}$) with more powerful oxidation than general oxidants. It has merits which the 2nd pollution is not caused since it uses solar energy, sludge doesn't take place, it can be applied to high-density waste water and it oxidizes non-biodegradable organic compounds more easily.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amine about removable characteristics of phenol which was a non-biodegradable organic matter with UV/$O_3$/Catalyst processes which is one out of AOP and to present applicability of photocatalyst and the optimum conditions of treatment. The study regarded initial phenol concentration, initial pH, photocatalyst amount and flow as its conditions. As the results, the test had the highest removable efficiency (92%) when initial phenol concentration was 100 mg/L, initial pH 7, photocatalyst amount 6L and flow 1.5 mg/min. The removable efficiency was increased as much as initial phenol concentration was increased, when initial pH was 7 (neutrality), photocatalyst amount was increased and flow was increased. It was checked that the optimum HRT was 12 hours. Therefore, phenol is enough removable with UV/$O_3$/Catalyst process and its prospect in the future is expected.

Postmortem analysis of a failed liquid nitrogen-cooled prepolarization coil for SQUID sensor-based ultra-low field magnetic resonance

  • Hwang, Seong-Min;Kim, Kiwoong;Yu, Kwon Kyu;Lee, Seong-Joo;Shim, Jeong Hyun
    • 한국초전도ㆍ저온공학회논문지
    • /
    • 제16권4호
    • /
    • pp.44-48
    • /
    • 2014
  • A liquid nitrogen-cooled prepolarization ($B_p$) coil made for ultra-low field nuclear magnetic resonance and magnetic resonance imaging (ULF-MR) designed to generate 7 mT/A was fabricated. However, with suspected internal insulation failure, the coil was investigated in order to find out the source of the failure. This paper reports detailed build of the failed $B_p$ coil and a number of analysis methods utilized to figure out the source and the mode of failure. The analysis revealed that pyrolytic graphite sheet linings put on either sides of the coil for better thermal conduction acted as an electrical bridge between inner and outer layers of the coil to short out the coil whenever a moderately high voltage was applied across the coil. A simple model circuit simulation corroborated the analysis and further revealed that the failed insulation acted effectively as a damping resistor of $R_{d,eff}=6{\Omega}$ across the coil. This damping resistance produced a 50 ms-long voltage tail after the coil current was ramped down, making the coil not suitable for use in ULF-MR, which requires complete removal of magnetic field from $B_p$ coil within milliseconds.

폐패각을 이용한 수처리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Water Treatment using Shell Waste)

  • 이민호;정태섭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6권3호
    • /
    • pp.28-35
    • /
    • 1997
  • 조개껍질(굴, 고막)을 수처리재로 활용하기 위한 기초 실험으로 중금속(Cd, Cu, Fe, Mn, Pb, Zn)과 유기성분(TCE(Trichlo-roethylene)와 PCE(Tetrachroethylene))의 흡착능을 조사했다. 수산화칼슘으로 이루어진 굴과 고막껍질의 소성 분말 주입에 따른 중금속 제거효율은 Mn, Zn, Fe, Cd, Cu, Pb의 순이었다. 우수한 중금속 흡착능은 조개껍질의 $Ca(OH)_2$ 성분에 의한 높은 pH유지에 따른 중금속 탄산염과 수산화물의 형성에 의한 침전작용, 조개껍질의 칼슘 매트릭스 구조에 의한 중금속의 고정화와 잔존하는 불용성 유기물의 결합 등의 작용이라고 본다. 이와 같은 굴껍질은 침출수의 중화작용과 동시에 우수한 중금속 흡착능을 가지고 있어, 이것을 수처리로 활용될 경우, 저렴한 재료의 확보와 더욱이 부가가치가 높은 폐부산자원을 활용한 정화용 세라믹스 담체의 개발로 폐부산자원 폐기처리 문제 이외의 환경정화용 세라믹스 및 담체 등의 환경분야 사업으로 확장 발전시킬 수 있다고 본다.

  • PDF

사백산 추출물의 지방장벽 생성을 통한 Th2 분화 조절 (Th2 Differentiation Control through Formation of Skin Fat Barrier of Sabaek-san extract)

  • 안상현;정아람;김기봉
    • 대한한방소아과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57-64
    • /
    • 2022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firm the regulate effect of T helper (Th) 2 differentiation that Sabaek-san extract may produce to improves skin lipid barrier damage. Methods Four-weeks-old NC/Nga mice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control group (Ctrl, n=10), lipid barrier eliminated group (LBE, n=10), Dexamethasone treatment after lipid barrier elimination group (DXT, n=10), and Sabaek-san extract treatment group after lipid barrier elimination (SBT, n=10). Sabaek-san extract was administered for 3 d after removal of the skin fat barrier in SBT group. Then, we identified changes in external symptoms of the skin, factors affecting skin barrier such as potential of hydrogen (pH), filaggrin, transepidermal water loss (TEWL) and Th2 differentiation factors like Interleukin (IL)-4, Kallikrein Related Peptidase 7 (KLK7), and protease activated receptor 2 (PAR-2) through our immunohistochemistry. Results After lipid barrier elimination, the reduction of morphological skin inflammations was less in SBT group than in LBE and DXT group. Also, pH and TEWL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with SBT group. However, filaggrin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SBT group compared to LBE, DXT, and Ctrl group. All kinds of Th2 differentiation factors (IL-4, KLK7 and PAR-2) were also decreased in SBT compared to the LBE and DXT. Conclusions As a result of this study, SBT administration decreased pH, TEWL, and increased filaggrin, thus participating in recovering damaged skin barrier. Since Th2 differentiation factors were decreased as well, SBT's regulatory effect in sequential immune reactions may be a possible explanation of how it enhances recovery of the damaged lipid barri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