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P제거

검색결과 557건 처리시간 0.025초

팔당호 인공 수초재배섬에서 수생식물의 생장 및 영양염류 제거 효율 (The Growth and Nutrient Removal Efficiency of Hydrophytes at an Artificial Vegetation Island, Lake Paldang)

  • 최명재;변명섭;박혜경;전남희;윤석환;공동수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348-355
    • /
    • 2007
  • We investigated temporal changes of composition, habitat area, growth rate and elements content of hydrophytes at the artificial vegetation island (AVI) in Kyungan Stream within Lake Paldang. We also assessed nutrient removal rate through cutting off the emergent part of hydrophytes. The kinds of hydrophytes have increased from four species (P. australis, P. japonica, T. angustifolia and the Z. latifolia) at initial stage of installation to more than 29 species for 6-year operation. P. japonica was most dominant species at the AVI in 2006. The habitat area of have increased about 2.5 times compared to the initial planting area, occupying 63% of AVI's vegetation area. The incoming species of S. fluviatilis and B. frondosa have adapted successively and expanded habitat area in the AVI. The relative growth rate of P. japonica and P. australis was highest in spring sprouting period. Their hights and weights have increased until summer, by the time they were cutting off the emergent part. They started regrowth immediately after cutting and continued to grow until September and withered away in November. The carbon contents of P. japonica and P. australis have increased during growth phase, on the contrary, the nitrogen and phosphorus contents have decreased. By cutting off and removing the emergent part (leaves and branches) of hydrophytes twice from AVI, $17.6gN/m^2/y$ of nitrogen and $1.3gP/m^2/y$ of phosphorus was removed from AVI in 2006.

독말풀(Datura stramonium var. tatula Torr.) 모상근의 성장과 tropane alkaloid 생성에 미치는 pH, 서당 및 비타민의 영향 (Effects of pH, Sucrose and Vitamins on the Growth and Tropane Alkaloid Production of Hairy Roots of Datura stramonium var. tatula Torr.)

  • 양덕조;강현미;이강섭;김용해;양덕춘
    • 식물조직배양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143-148
    • /
    • 1997
  • 모상근의 성장 및 tropane alkaloids의 생성에 미치는 pH, 서당, 비타민의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독말풀(Datura stramonium var. tatula Torr.)의 잎에 Agrobacterium tumefaciens $A_4$T를 접종하여 모상근을 유도하였다. 유도된 모상근 중 성장률이 양호한 clone (DTLA9)을 선발하고, 이를 pH, 서당, 비타민을 각각 여러 농도로 처리한 SH(Schenk and Hildebrandt, 1972) 기본배지에 배양하였다. 모상근의 성장에 있어 최적 pH는 6.3이었으며, 최적 서당농도는 3.0%이었다. Tropane alkaloids의 함량에 있어 최적 PH는 6.5이었으며, 최적 서당농도는 2.8%이었다. 한편, 비타민이 제거된 SH기본배지에 ascorbic acid, D-pantothenate, nicotinic acid, pyridoxine, riboflavin. 그리고 thiamine을 각각 농도별로 첨가하여 배양한 경우에, 모상근의 성장에 있어 비타민의 최적 농도는 각각 0.1, 0.003, 0.07, 0.002, 0.025, 0.01 mM이었다. Tropane alkaloids의 함량은 0.1 mM의 ascorbic acid 단독처리구에서 대조구(vitamin-free구) 및 SH기본배지에서의 경우에 비하여 가장 높게 나타났다.

  • PDF

뇌혈류 단일광자방출단층촬영 영상 품질 향상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Quality Improvement of Brain Perfusion SPECT Image)

  • 길상형;임영현;박광열;조성묵
    • 핵의학기술
    • /
    • 제23권2호
    • /
    • pp.13-19
    • /
    • 2019
  • 뇌혈류 영상용 방사성의약품 Tc-99m HMPAO는 방사분해에 의해 발생하는 중간산물 때문에 화학적으로 불안정하고, 불순물 생성이 많아 표지효율 저하가 나타나기 쉽다. 과산화테크네슘(free pertechnetate)은 뇌혈류장벽을 통과하지 못하고 침샘과 구강 점막에 집적되며, 불순물이 제거되지 않으면 영상 품질이 저하되어 시각적 평가에 오류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Tc-99m HMPAO를 이용한 뇌혈류 단일광자방출단층촬영(brain perfusion SPECT)에서 타액분비촉진제(sialogogues) 투여가 침샘 및 구강 점막에 집적된 불순물을 줄여 영상 품질 향상에 유용한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뇌혈류 단일광자방출단층촬영을 시행한 환자 중 연구에 동의한 30명을 대상으로 침샘 섭취계수(uptake coefficient)와 뇌혈류 영상을 비교 분석 하였다. 방사성의약품 Tc-99m HMPAO 555 MBq을 투여 후 기저(basal) 두 경부 전면 영상과 뇌혈류 투사상(projection view)을 획득하였다. 타액분비촉진제 구연산(citric acid)을 사용하여 침샘을 자극시킨 후 기저영상 획득 방법과 동일하게 침샘 자극 후 영상(post-citric acid image)을 얻었다. Siemens사의 영상처리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좌 우 침샘부위에 관심영역을 설정한 다음 타액분비촉진제 투여 전 후 침샘 섭취계수의 평균차이를 분석(paired t-test)하였으며, 뇌혈류 영상 비교는 획득한 투사상을 반복적재구성(iterative reconstruction) 방법으로 영상을 재구성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두 경부 전면 영상의 침샘 섭취계수를 비교 분석한 결과 구연산 투여 전 섭취계수의 평균값은 $12900{\pm}3101$, 투여 후 섭취계수의 평균값은 $10677{\pm}2742$였다. 타액분비촉진제 투여 후 불순물이 많이 감소되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t = 10.78, P < 0.05). 뇌혈류 영상을 비교 한 결과 침샘과 구강점막에 집적되었던 불순물이 제거되어 이미지 품질이 크게 향상되었다. 타액분비촉진제를 투여하면 침샘 및 구강 점막에 집적된 불필요한 불순물이 제거되어, 생리적 섭취에 따른 영상 품질저하를 줄일 수 있어 정확한 뇌혈류 평가에 도움이 될 것이다.

미취학 어린이에서 음파 칫솔과 일반 칫솔의 효과 (Effectiveness of Sonic and Manual Toothbrush in Preschool Children)

  • 신영섭;이효설;송제선;이제호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3권4호
    • /
    • pp.374-381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L{\ddot{o}}e$ & Silness의 치태지수를 사용하여 음파 칫솔과 일반 칫솔의 효과를 비교하는 것이다. 연세대학교 치과대학병원 소아치과에 내원한 전신질환이 없는 3-6세 어린이 34명을 대상으로 교차설계, 연구자에 대한 눈가림법을 사용한 무작위 대조군 연구가 진행되었다. 연구 참여자는 2개의 군으로 무작위로 나누어져 음파 칫솔과 일반 칫솔을 번갈아 2주씩 사용하였고, 칫솔질 전후 구강위생상태를 $L{\ddot{o}}e$ & Silness의 치태지수를 사용하여 측정하여 차이를 비교하였다. 음파 칫솔 사용 후 $0.26{\pm}0.28$, 일반 칫솔 사용 후 $0.09{\pm}0.22$의 치태지수 감소를 보였고, 이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 < 0.05). 성별과 나이에 따른 음파 칫솔의 치태 제거 효과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 > 0.05). 연구 결과, 3-6세 어린이에서 음파 칫솔이 일반 칫솔에 비해 치태 제거 효과는 좋았고, 성별과 연령에 따른 치태 제거 효과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전기화학적 방법과 활성오니 공정의 병합에 의한 농공단지폐수 처리 (Treatment of Wastewater from Agricultural Industrial Complex by Combination of Electrochemical and Activated Sludge Process Systems)

  • 이홍재;서동철;조주식;박현건;이춘식;허종수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289-296
    • /
    • 2001
  • 농공단지 폐수의 효과적인 처리를 위하여 스테인레스 전극판을 이용한 전기화학적 방법에 의한 pilot 실험 및 pilot 전기화학반응조를 생물공정의 전처리 과정으로 도입하여 이들 두 공정을 연계처리 실험을 하여 오염물질 제거효율을 조사하여, 이들 두 공정의 연계가능성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전기화학방법에 의한 pilot 실험장치에서의 체류시간별 유출시간에 따른 COD 처리율은 체류시간 30분 및 60분에서 유출시간 8시간 이후부터 약 $78{\sim}81%$로 체류시간 15분으로 하였을 경우에 비해 그 처리율이 높았고, 탁도 처리율은 모든 조건에서 전기반응시간 초기부터 90%이상이었다. T-N 및 T-P 처리율은 체류시간 30 및 60분에서 유출 전 기간 동안 처리율이 각각 약 $71{\sim}74$$85{\sim}98%$로서 체류시간 15분에 비해 약간 높았다. 전기화학적 처리공정을 생물학적 처리공정의 전처리과정으로 도입한 실험과 단독 생물학적 처리공정의 실험을 동시에 실시한 결과에서의 SVI 및 MLSS의 농도변화는 유출 전 기간 동안 두 처리 공정 모두 각각 약 $82{\sim}112$$1,230{\sim}1,750$ mg/L로서 전반적으로 안정한 경향이었으며, SVI는 안정범위인 $50{\sim}150$을 충족시켰다. COD 처리율은 두 처리공정 모두 유출초기에 약 90%로 높았고 유출시간이 경과할수록 단독 활성슬러지 공정에서는 처리율이 미미하게 감소하였으나 전기화학반응조와 활성슬러지 공정을 연계한 처리공정에서는 미미하게 증가하여, 유출시간 72시간 후 COD 처리율은 각각 약 87 및 95%로서 전기화학반응조와 활성슬러지 공정을 연계한 처리공정에서 약 8% 증가하였다. 탁도 처리율은 두 처리공정 모두 유출 전 기간 동안 약 95%이상 높게 처리되었다. T-N 처리율은 유출 전 기간 동안 단독 활성슬러지 공정 및 전기화학반응조와 활성슬러지 공정을 연계한 처리공정에서 각각 약 $62{\sim}74$$72{\sim}86%$로서 연계한 공정에서 T-N 처리율이 10%이상 증가되었다. T-P 처리율은 전기반응조와 활성슬러지 공정을 연계한 처리공정에서 단독 활성슬러지 공정에 비해 유출 72시간후에는 각각 약 97 및 82%로서 전기화학반응조와 활성슬러지 공정을 연계한 처리공정이 약 15%이상 높았다.

  • PDF

Phanerochaete chrysosporium PSBL-1의 배양조건 최적화를 통한 Lignin Peroxidase의 과량생산 (Overproduction of Lignin Peroxidase from Phanerochaete chrysosporium PSBL-1)

  • 정병철;한윤전;장승욱;정욱진;원유정
    • 미생물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228-235
    • /
    • 2000
  • 지금까지의 Phanerochaete chrysosporium을 이용한 Lignin Peroxidase(LiP) 의 생산은 최적화 되지 못한 배양 조건으로 인해 매우 낮은 활성만을 얻을수 있었으며. 그 배양조건 또한 100% 산소의 주입을 요하는 일반적으로는 재현하기 어려운 조건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Phanerochaete chrysosporium PSBL-1 균줄르 이용, 다양한 배양조건의 변화를 통해 LiP의 과량생산과 그에 따른 isozyme 조성의 변화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최종적으로 $Mn^{2+}$를 제거한 배지에 질소 원인 diammonium을 48mM 로 첨가하고, 안정제로서 veratryI alcohol을 2 mM로 첨가하여, sponge에 의한 고착배양을 실시한 결과 1,800 units/l의 LiP가 생산되었다. 이러한 활성의 증가는 기존에 보고된 PSBL-1 균주의 LiP 최대 생산량인 700units/l와 비교 , 약 2.57배의 생산량 증대를 나타낸다. 생산된 LiP isozyme 분석결과 $Mn^{2+}$(2.73 mM)와 diammonium(48 mM)을 첨가하였을 경우 H1 isozyme의 과량 생산이 확인되었다. 생산된 LiP(0.4 units)를 이용하여 각각의 아조계 염료(acid yellow 9, congo red, orange II; each 50$\mu$M)에 대한 탈생능을 확인한 결과, 2분 이내에 이들 염료에 대한 탈색이 이루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분해 산물이 축적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스마트 글래스를 활용한 동공 데이터 수집과 사회감성 추정 기술 (Pupil Data Measurement and Social Emotion Inference Technology by using Smart Glasses)

  • 이동원;문성철;박상인;김환진;황민철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 2019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4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적외선 카메라 기반의 비접촉식 측정 방법을 이용하여 동공 반응 데이터를 수집하여 공감의 사회감성을 객관적이고 정량적으로 추정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실험에는 10명(남 6명, 여 4명, M ± SD = 24.17 ± 2.16세)의 피험자가 참여하였다. 30초의 참조 데이터 측정 후, 공감 유무에 따라 과제는 얼굴 표정 모방 과제와 얼굴 표정 자발적 표현 과제로 구분되어 두 사람은 표정으로 상호작용하였고, 2번씩 반복 진행하며 적외선 카메라를 통해 동공을 촬영하였다. 이진화 및 원형 윤곽선 검출법의 영상처리를 활용하여 동공 데이터를 수집하였고, 이동 평균 기법을 활용해 눈깜빡임 노이즈를 제거하고 동공 크기 개인차로 데이터 표준화를 진행하였다. 공감 유무에 따른 동공 크기 데이터는 정규성 검증 및 독립표본 t검정을 통해 통계적 유의성을 확인하였다. 분석결과, 공감하는 경우(M ± SD = 0.508 ± 1.278)와 공감하지 않은 경우(M ± SD = 1.681 ± 0.968) 동공 크기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t(18) = -2.313, p = 0.033). 판별분석을 통해 동공 크기에 따른 공감의 유무를 추정하는 규칙을 정의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동공 크기 데이터를 이용한 공감의 사회감성 추정 기술은 비접촉식 카메라 기반의 기술로 스마트 글래스와 접목되어 다양한 분야에 활용도가 높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섬모상담체를 이용한 혐기, 무산소, 호기공정(CNR공법)의 온도변화에 따른 하수의 질소, 인의 제거특성 (Nitrogen and Phosphorus Removal of Municipal Wastewater with Temperature in CNR Process)

  • 김영규;양익배;김인배;이영준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112-118
    • /
    • 2001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on the removal effect of total nitrogen and phosphorus in municipal wastewater with temperature change from 1$0^{\circ}C$ to 24$^{\circ}C$ in CNR(Cilia Nutrient Removal) process. CNR process is the process combining $A^2$/O process with cilium media of H2L company. The removal efficiencies for T-N were found to be 57.9% at 1$0^{\circ}C$ below, 53.7% at 10-2$0^{\circ}C$, 52.2%at 20-24$^{\circ}C$ and 44.4% over 24$^{\circ}C$ respectively. The removal efficiencies for T-P were 53.3% at 1$0^{\circ}C$ below, 59.1% at 10-2$0^{\circ}C$, 72.4% at 20-24$^{\circ}C$ and 50.0% over 24$^{\circ}C$ respectively. The specific nitrification rate (kg NH$_3$-N/kg MLSS.d) of Oxic basin was 0.088 and 0.053 at 1$0^{\circ}C$ below, 0.077 at 10-2$0^{\circ}C$, 0.097 at 20-24$^{\circ}C$ and 0.088 over 24$^{\circ}C$ respectively. The specific denitrification rate (kg NH$_3$-N/kg MLSS.d) in anaerobic and anoxic was 0.013, 0.008 respectively.

  • PDF

진동막 분리장치를 이용한 축산폐수의 질소.인 제거에 관한 연구 (The removal of nitrogen & phoshorus for the swine wastewater by VSEP membrane system)

  • 지은상;김재우;신대윤
    • 환경위생공학
    • /
    • 제15권3호
    • /
    • pp.31-36
    • /
    • 2000
  • Conventional membrane systems was difficults to treatment for the swine waste water. Technological advances in membrane filtration systems have created opportunity for the swine wastewater to treat effluent streams in order to meet stricter environmental constraints. "Vibratory Shear Enhanced Processing(VSEP)" developed by new logic international makes it possible to filter effluent streams without the fouling problem exhibited by conventional membrane systems. Various kinds of waste water occurred to and swine wastewater experiment with "VSEP" set up conventional reverse osmosis membrane (ACM-4, ESPA, BW-30). The results were as followes : Treatment efficiency for the input COD(From $332mg/{\ell}$ to $4,968mg/{\ell}$) was 98%. Treatment efficiency for the input SS(From $140mg/{\ell}$ to $4,040mg/{\ell}$) was 100%(All together). Treatment efficiency for the input T-N(From $155mg/{\ell}$ to $934mg/{\ell}$) was 97%~99.8%. Treatment efficiency for the input T-P(From $28.6mg/{\ell}$ to $132mg/{\ell}$) was 99.7% and up. ESPA membrane excels three types of reverse osmosis membranes applied VSEP in removal efficiency.

  • PDF

발포기술을 이용한 폐 LCD유리 여재의 수질정화능력 평가 (Evaluation of the Water Purification Efficiency of Waste LCD Glass Media by Using Foaming Technology)

  • 안태웅;최이송;오종민
    • 상하수도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369-376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process Waste-LCD(Liquid Crystal Display), to widely increase specific surface-area by foaming agent in the process of reprocessing and to use as a substrate of water treatment which is increased the ability of biological treatment, as well as to control non-point source pollutants produced by surface run off during rainfall with using this substrate, and to improve water quality of public watershed as developing substrate for water treatment to be able to purify second treated water which is exhausted at the wastewater treatment plant. The average removal efficiency of Waste-LCD that using the foaming technology was SS 71.2%, BOD 55.7%, COD 58.4%, T-N 29.5% and T-P was 50.3%. Almost Media, early stage showed low removal efficiency of SS and BOD. However, it became high when the microorganism adhered the Media. The variation of SS removal efficiency was high by inflow concentration of SS. The reason for the Media 4 showed high SS removal efficiency is that it has wide specific surface-area, and also it has a pore. All in all, it shows floating matter treatment ability not only inside but it also works outside of the substra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