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형 강판

검색결과 9건 처리시간 0.024초

와이어로프 기반 비부착 보강된 RC 기둥의 내진거동에 대한 T형 강판 정착의 영향 (Influence of Anchorage of T-Plate on the Seismic Performance of RC Columns Strengthened with Unbounded Wire Rope Units)

  • 심재일;양근혁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14권1호
    • /
    • pp.133-140
    • /
    • 2010
  • 와이어로프와 T형 강판을 이용한 비부착공법의 내진성능을 평가하기 위해 중심 축하중과 반복 횡하중을 받는 5개의 보강된 기둥과 무보강 기둥을 실험하였다. 주요 변수는 T형 강판의 정착방법과 피복 모르터의 유 무이다. 실험결과 T형 강판이 정착된 기둥의 하중분배로 인한 휨 내력 및 연성 증가를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T형 강판이 정착되지 않은 기둥은 연성 증가에는 효과적이지만 T형 강판으로 하중이 분배되지 않았다. 피복 모르터가 있는 보강된 기둥은 효과적인 초기 강성 및 휨 내력 증가를 보였지만 연성증가에는 불리하였다. 단면분할법을 이용해 예측한 보강된 기둥의 최대 휨 내력은 등가응력블럭을 사용하여 예측한 ACI 318-05 기준보다 실험결과를 예측하였다.

와이어로프로 보강된 철근콘크리트 기둥의 휨 거동에 대한 강판 정착의 영향 (Effect of T-Plate Anchorage on the Flexural Behavior of Reinforced Concrete Columns Strengthened with Wire Rope Units)

  • 심재일;양근혁;변항용
    • 한국콘크리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크리트학회 2009년도 춘계 학술대회 제21권1호
    • /
    • pp.493-494
    • /
    • 2009
  • 와이어로프 유닛으로 보강된 철근콘크리트 기둥의 T형 강판 정착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중심축하중과 횡하중을 동시에 받는 3개의 기둥 시험체가 휨 실험되었다. 주요변수는 T형 강판의 정착 유무이다. 실험된 기둥의 연성비는 기존 연구자들의 띠철근의 실험결과와 비교되었다. 실험결과 T형 강판의 정착으로 횡하중 내력 및 연성비는 각각 무보강 기둥에 비해 40%와 130% 향상되었다. 특히, 동일한 유효횡보강지수에서 T형 강판이 정착된 보강기둥의 연성비는 띠철근 기둥에 비해 현저히 높았다.

  • PDF

와이어로프와 T형 플레이트에 의해 보강된 RC 기둥의 휨 거동에 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Flexural Behavior of Reinforced Concrete Columns Strengthened with Wire Rope and T-Shape Steel Plate units)

  • 심재일;양근혁;오승진;변항용
    • 한국콘크리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크리트학회 2008년도 춘계 학술발표회 제20권1호
    • /
    • pp.153-156
    • /
    • 2008
  • 본 연구의 목적은 와이어로프와 T형 강판으로 비부착 외부 보강된 기둥의 휨 거동을 평가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중심축하중과 횡하중을 동시에 받는 보강된 기둥 3개와 무보강 기둥 1개가 실험되었다. 모든 기둥 시험체의 단면 크기 및 주철근과 내부 띠철근 배근 특성은 동일하게 하였다. 와이어로프의 배근 간격은 ACI 318-05 설계기준에서 제시하는 최소 띠철근 배근간격의 1.0 $^{\sim}$ 0.5배인 40 $^{\sim}$ 80mm로 조절하였다. 실험 결과 와이어로프와 T형 강판으로 비부착 보강된 철근콘크리트 기둥은 무보강 기둥과 비슷한 휨 내력을 보였지만, 연성적 거동에서는 와이어로프와 T형 강판이 피복 콘크리트를 구속하여 뛰어난 효과를 보였다.

  • PDF

주기하중을 받는 세장한 이중강판합성벽의 비선형해석 (Nonlinear Analysis of Slender Double Skin Composite Walls Subjected to Cyclic Loading)

  • 엄태성;박홍근
    • 한국강구조학회 논문집
    • /
    • 제20권4호
    • /
    • pp.505-517
    • /
    • 2008
  • 휨지배 거동을 나타내는 세장한 이중강판합성벽의 비탄성 거동을 예측하기 위하여 비선형 수치해석 모델이 연구되었다. 수치해석의 편리를 위하여, 제안된 모델은 비교적 단순한 모델을 가지고 비탄성 거동을 근사적으로 예측할 수 있는 거시적 모델로 개발되었다. 휨지배 거동을 나타내는 벽체에 대해서는 다중평행요소 모델이 사용되었으며, 깊은 연결보의 전단거동을 위하여 X형 대각요소 모델이 사용되었다. 각 요소의 주기거동을 예측하기 위하여 콘크리트 및 강판 요소에 대한 간략화된 일축의 주기모델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해석모델은 1자형 및 T형 단일벽과 병렬벽에 적용하였으며, 그 결과는 기존의 실험결과와 비교되었다.

주기하중을 받는 이중강판합성벽의 실험연구 (Experimental Study on Double Skin Composite Walls Subjected to Cyclic Loading)

  • 엄태성;박홍근;김진호;장인화
    • 한국강구조학회 논문집
    • /
    • 제20권2호
    • /
    • pp.289-301
    • /
    • 2008
  • 이중강판합성벽은 타이바로 연결된 강판외피 사이에 콘크리트를 충전시킨 구조벽으로서, 벽체의 구조성능을 향상시키고, 벽체의 두께를 줄이며, 별도의 거푸집 및 배근 공사없이 시공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개발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주기하중을 받는 이중강판합성벽의 비탄성거동특성 및 내진성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직사각형 및 T형 단면형상을 갖는 단일벽 및 병렬벽 실험체에 대하여 실험 연구를 수행하였다. 실험 결과, 이중강판합성벽은 주기하중에 대하여 핀칭이 없이 우수한 에너지소산능력을 나타냈다. 벽체하단부 기초의 접합상세와 단면형상에 따라 파괴모드 및 변형능력의 차이를 보였으며, 주로 벽체기초 또는 연결보 용접부의 파단과 강판국부좌굴에 의하여 파괴되었다. 적절한 용접 및 보강 상세를 갖는 실험체들은 2.0~3.7% 층간변형각의 변형능력을 보였다. 또한 벽체와 연결보의 비탄성강도를 고려하여 단일벽 및 병렬벽 실험체의 하중재하능력을 평가하였으며, 이를 실험결과와 비교하였다.

와이어로프와 T 강판으로 비부착 보강된 철근콘크리트 기둥의 중심 축하중 거동 (Axial Behavior of Reinforced Concrete Columns Externally Strengthened with Unbonded Wire Rope and T-Shaped Steel Plate)

  • 양근혁;심재일;변항용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20권2호
    • /
    • pp.221-229
    • /
    • 2008
  • 와이어로프와 T형 강판을 이용한 개선된 비부착형 기둥보강 공법이 개발되었다. 제시된 절차에 따라 보강된 기둥 8개와 동일한 조건의 무보강 기둥 1개가 중심 축하중 하에서 실험되었다. 주요 변수는 와이어로프 체적비와 T 강판의 플랜지 폭 및 배치 형상이다. 실험된 기둥의 축하중 내력과 연성비는 각각 ACI 318-05의 예측값과 Chung et al.에 의해 수행된 일반 띠기둥의 실험 결과와 비교되었다. 게다가 와이어로프와 T 강판으로 구속된 콘크리트의 응력-변형률 관계를 평가하기 위한 모델이 제시되었다. 실험 결과로부터 기둥의 축하중 내력과 연성은 와이어로프의 체적비와 T 강판의 플랜지 폭의 증가와 함께 증가하였다. 특히 동일 횡보강근 지수에서 와이어로프 체적비가 0.0039 이상일 때 보강된 기둥의 연성비는 띠철근 기둥에 비해 현저히 높았다. 개발된 보강기술에 의해 구속된 콘크리트의 응력-변형률 관계 모델이 제시되었다. 예측된 응력-변형률 관계는 실험 결과와 잘 일치하였다.

철근콘크리트 T형보의 전단 보강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hear Strengthening Characteristic of Reinforced Concrete T-shaped Beams)

  • 김정섭;신용석;문금환;유명환;이창현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16권2호
    • /
    • pp.10-18
    • /
    • 2012
  • 기존 보강에 대한 연구는 대부분 장방형 보에 대해 휨 보강에 대한 연성 및 내력 증대에 대하여 주로 연구가 되었다. 그리고 일반적으로 철근콘크리트 보-슬래브 구조에서는 시공의 특성상 보와 슬래브의 콘크리트가 동시에 부어넣기되기 때문에 경화 후 일체가 되어 인접한 슬래브는 보의 플랜지를 이루어 보의 강성을 높이고 압축응력을 지지하는 면적을 넓혀 주는 T형보단면을 갖지만 T형보의 휨 거동에 대해 유용한 자료는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철근콘크리트 T형보를 제작하여 보강재 종류와 위치별로 전단 보강을 실시하여 보강효과 및 구조적 특성을 파악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각종 실험결과를 종합한바, 탄소섬유막대 보강은 콘크리트 내부에 매입되어 일체 거동함으로써 파괴시 거동 및 내력 및 강성 향상 면에서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강판 보강은 강성 및 전단내력은 증대 되었으나 보강강도는 큰데 반해 콘크리트와 부착성 저하에 의해 낮은 보강효과를 보였다. 섬유시트 보강은 보강효과는 우수하나 파괴 시 부착성의 한계로 의해 계면박리가 나타나 이에 대한 대책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와이어 스크린 리브이 열전달과 마찰계수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the Wire-screen Rib on Heat Transfer and Friction Factors)

  • 오세경;안수환;이대희
    • Journal of Advanced Marine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35권2호
    • /
    • pp.196-203
    • /
    • 2011
  • 유체 유동에 수직인 방향으로 반복적 리브이 설치된 사각 채널에서 열전달 계수와 마찰계수를 측정하기 위해 실험을 수행하였다. 시험부의 치수는 198 mm(폭)과 40 mm(높이) 그리고 길이가 712mm인 직사각형 채널이다. 시험부 채널의 형상비는 4.95이고 수력 직경 $D_h$은 6.66 cm이었다. 4종류의 와이어 스크린 리브(rib)과 한 개의 일체형 리브을 사용하였다. 0.1 mm 두께의 스테인레스 강판 히터와 T형 열전대를 사용하였다. 레이놀즈 수의 범위는 20,000에서 60,000이었다. 수력직경($D_h$)과 리브의 높(e)이 비($e/D_h$)는 0.075이고 리브 간격(p) 대 높이(e)으 비(p/e)는 10이다. 연구결과 일체형 리브이 누셀트수와 마찰계수 모두 가장 컸다.

고인장 합금재를 활용한 철근콘크리트 기둥의 내진보강공법 개발에 관한 실험적 연구 (Experimental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 Seismic Reinforcement Method for Reinforced Concrete Columns using High-tensile Alloy Materials)

  • 김도연;장일영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20권2호
    • /
    • pp.411-418
    • /
    • 2024
  • 연구목적: 본 연구에서는고인장 합금재를 활용하여 기존 철근콘크리트 기둥의 내진성능 향상이 가능한 새로운 형식의 볼트 체결식 내진보강재를 개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고인장 합금재인 SUS304 및 일반 구조용 강재인 SS275를 이용하여 T형 단면 강판을 제작하고 이를 SCM435의 고장력 볼트로 체결한 내진보강재 실험체를 제작하여 휨 실험을 통해 재료적 특성이 내진 보강성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비교 분석한다. 연구결과: SUS304를 사용한 실험체가 7% 높은 최대 강도와 22% 높은 항복 강도를 보이며, 360MPa 더 높은 압축응력을 나타낸다. 또한 중립축의 변화도 더 미소하여 더 우수한 내력을 가진 것으로 판단된다. 결론: 동일한 단면에서 SUS304를 사용한 내진보강재가 휨 강도, 항복강도, 인장강도, 중립축 변화, 연성능력 측면에서 더 우수한 것으로 판단되며 추후 연구에서 철근콘크리트 기둥 실물 실험체에 적용함으로써 기둥-보강재간 일체 거동에 대한 실험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