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yntagm and Paradigm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19초

한식의 기호학적 특성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Semiotic Characteristics for Korean Food)

  • 이덕영;이은주;김태희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135-144
    • /
    • 2013
  • This study sought to identify unique semiotic codes of Korean cuisine, including table settings, service styles, service ware selection, cooking techniques, and the logic behind menu composition. This research also aimed to verify that yangnyomjang reflects the code of Korean food culture. One of key findings from this study was that hidden codes of Korean food were found in their daily set-up for bapsang (dining table), which was found to decodify polysemic characteristics with an emphasis on harmony. These semiotic codes were influenced by the yin and yang philosophy and impact dining activities in our daily lives. Korean bapsang, composed of bap (rice), guk (soup) and banchan (side dishes), helps every individual diner share the semiotic codes of Korean cuisine within the context of paradigm and syntagm. Yangnyomjang, a major component of the Korean menu, also represents a unique code of Korean cuisine in its structure, main ingredients, production, and usage. This study also mathematically verified that a synchronic table setting of Korean cuisine provides diners with more opportunities for potential flavor combinations, compared to the Western service setting.

기호학적 접근을 통한 조선시대 여자 복식표현연구 (A Study on Women's Costume Representations in $Chos\v{o}n$ Dynasty by the Approach of Semiotics)

  • 김현진;채금석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13-22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feature and phenomena of women's costume in Choson dynasty by the approach of semiotics. In order to do so, F Saussure's linguistic symbol theory, C. Peirce's conception on semiology theory and cultural semiology of R. Barthes ware used as tool to analyse traditional women's costumes in $Chos\v{o}n$ dynasty. And I choose basic conceptions based on their semiotic theory. which were langue & parole. dennotation & connotation, paradigm & syntagm, code, and analysed. structure of sign, communication though the non-language. The fashion of the $Chos\v{o}n$ dynasty contains various meaning as sign symbol system and makes the communication possible as it is mentioned above. We nay understand the sign symbol system described in the fashion sign by analysing the structure and meaning operation of sign on the basis of social, political, and idealistic background of the times, to understand the polysemy quality of the fashion.

드라마 <송곳>의 기호학적 분석 : 이데올로기적 의미를 중심으로 (A Semiotic Analysis of JTBC : Focusing on Significance of Ideology)

  • 태보라;최믿음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6호
    • /
    • pp.54-62
    • /
    • 2016
  • 이 연구는 사회적 갑을관계, 비정규직, 노동조합, 파업, 임금 등 시의성 있는 사회 이슈를 다룬 웹툰 <송곳>을 원작으로 제작된 드라마 <송곳>의 스토리텔링을 기호학적으로 분석하였다. 먼저 소쉬르가 제시한 계열체, 통합체 개념을 바탕으로 드라마의 서사적 구조와 인물 및 소재의 특성을 파악하였다. 나아가 드라마가 사회적 이슈를 어떠한 방식으로 재현하는지, 어떠한 담론 요소를 구성하는지 알아보고자 작품 속에 투영된 이데올로기를 고찰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비판적 다원주의(Critical Pluralism) 접근방식으로서 기존의 지배 이데올로기를 비판하는 저항 이데올로기가 강하게 드러났다. 둘째, 성역할, 영웅, 가족 이데올로기와 같은 고전적 이데올로기를 강화하였다. 마지막으로 자기이해와 상호이해, 이기적 편향 등의 인간 성찰적 이데올로기가 확인되었다.

디자인 표상에 반영된 속성 구조의 전형성 평가 (Typicality Evaluation of Attribution Structure Reflected in Design Representation)

  • 이성남;이철영
    • 디자인학연구
    • /
    • 제19권1호
    • /
    • pp.191-200
    • /
    • 2006
  • 디자인 표상은 디자인 요소가 결합된 하나의 통합체로서 분야별 표상의 전형성을 반영하는 것이다. 그리고 디자인 요소는 분야별 표상의 목적과 가치를 반영하는 계열체로서 속성의 범주를 형성하며 표상의 과정에서 선택과 결합이 이루어진다. 디자인 속성 범주의 선택과 결합은 표상의 과정에서 작용하는 주체의 표상 의식에 근거하며 표상의 목적과 가치에 대한 인식의 내용을 반영한다. 그러므로 분야별 표상은 해당 분야에서 요구되는 표상의 목적과 가치에 따른 속성의 구조를 나타내며, 이들이 결합하고 있는 양태에 따른 분야간 차별화가 이루어지는 것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가정에 대한 사실 검증으로서, 디자인 표상에서 이루어지는 속성 범주의 고려도 측정을 통해 각 분야의 표상을 형성하는 속성 구조의 전형성과 분야간의 차이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결과, 평가의 대상으로 선정한 산업 디자인, 시각 디자인 그리고 환경 디자인 분야의 표상에 반영된 속성 구조는 전형적인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 PDF

TV 드라마 영상표현에 나타난 연출 역량의 변화 (Changes of Directing Capability Displayed in the Visual Expressions in TV Dramas)

  • 노동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8호
    • /
    • pp.50-60
    • /
    • 2014
  • 복합제품인 드라마상품의 창의성은 연출자의 역량'에 의존한다. 작가가 창의적으로 생산한 문자기호를 창의적인 영상기호로 전환하는 것이 연출자의 본질적인 역량이다. 또한 제작환경의 변화에 따라 연출자의 환경적 역량도 변화한다. 연출자의 취향, 선호도, 가치관에 따라 차이가 발생하는 본질적인 역량은 계열체에서의 영상기호 선택 방식과 통합체 결합 방식에서 발생한다. 외주제작방식의 증가, 내수광고시장의 위축, 매체의 증가로 인한 경쟁 심화 등의 환경요인 변화는 광고제도의 변화로 귀결되었다. 제작협찬과 간접광고 제도의 변화는 연출자에게 광고제작자로서의 기능을 요구하고 있다. 이러한 연출자의 환경적 역량변화는 제작비 상승속도를 광고수입의 증가속도가 따라가지 못하는 상황에서 필연적으로 발생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