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yntactic

검색결과 717건 처리시간 0.025초

생성문법에서 도출적 접근과 표시적 접근 (Derivational approach and representational approach in generative grammar)

  • 최숙희
    • 영어어문교육
    • /
    • 제10권1호
    • /
    • pp.179-200
    • /
    • 200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adequacy of derivational approach and representational approach to syntactic theories in generative grammar. As the generative grammar is based on the derivational process of syntactic theories, it is suggested that derivational approach is more valid than representational approach. Move, Economy Principle, Local Economy and Label-free Phrase Structure in Minimalist framework support the preference of derivational approach to representational approach with the elimination of computational complexity, minimality, and label-free phrase structure. Syntactic structure is considered as the result of the interaction of the properties of lexical items containing probe and economy conditions constrained by bare output conditions. On the other hand, Pseudogapping in Lasnik(1999) is analyzed in terms of Object Shift, that is, overt raising to Spec of $Agr_o$ and the PF deletion of VP in representational approach. Hence, it is suggested that the combination of derivational and representational approaches to syntactic theories can be admitted in generative grammar.

  • PDF

A Constraint-based Approach to English Gerunds

  • Kim, Yong-Beom
    • 한국언어정보학회지:언어와정보
    • /
    • 제7권2호
    • /
    • pp.117-137
    • /
    • 2003
  • This paper attempts to provide an alternative analysis involving categorical issues related to English gerunds. Especially, this paper rejects Maulof's approach that creates a new syntactic category gerund by mixing nominal and verbal categories. This paper identifies two syntactic structures in English gerunds: nominal gerunds and verbal gerunds. This distinction is based on syntactic and semantic characteristics of each type and is intended to account for the external distribution and endocentricity of the construction. Treating verbal gerunds syntactically as verbal categories, this paper proposes that English verbal gerunds act like other verbal categories such as infinitives whereas nominal gerunds behaves much like derived nominals. This paper proposes a few lexical rules that can take care of the two types of gerunds. The proposal can be extended to prepositional complements as well as sentential subject positions. This proposal not only resolves the issues involving distributional properties of the gerund construction but also captures syntactic parallelism observable between gerunds and other verbal constructions in English.

  • PDF

Interface between Morphology and Syntax: A Constraint-Based and Lexicalist Approach

  • Kim, Jong-Bok
    • 한국언어정보학회지:언어와정보
    • /
    • 제2권1호
    • /
    • pp.177-213
    • /
    • 1998
  • conflicting criterial used in identifying words have called the lexical integrity principle into question. That is, cases where the morphological word does not coincide with the syntactic word have notivated the syntactic view of word derivation, as pointed out by Bresnan and Mchombo(1995). Further, the implicit desire to make the clausal structure of Korean parallel to those posited for English(Chomsky 1991) and French(Pollock 1989) has also led most of the current literature on Korean morphology to claim that Korean verbal inflections head their own functional projections such as AgrP, TP, and MP im syntax. In this paper, I will first argue against such a syntactic view. After reviewing some basic properties of Korean verbal inflections, I will show that the evidence from mismatch phenomena supports the lexical integrity principle over the head-movement theories of word derivation. Then, I will propose a theory of lexical grammar which maintains the lexical integrity principle while retaining the effects of functional projections and syntactic movement.

  • PDF

Encoder Layer를 이용한 의도 분류 성능 비교 (Comparing the Performances of Intent Classifications by Encoder Layer)

  • 안혁주;김혜영
    • 한국정보과학회 언어공학연구회:학술대회논문집(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 /
    • 한국정보과학회언어공학연구회 2021년도 제33회 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학술대회
    • /
    • pp.410-413
    • /
    • 2021
  • 본 논문에서는 분류 모델의 주류로 사용되고 있는 Encoder 기반 사전학습 모델(BERT, ALBERT, ELECTRA)의 내부 Encoder Layer가 하부 Layer에서는 Syntactic한 분석을 진행하고 상부 Layer로 갈수록 Semantic 한 분석을 진행하는 점, Layer가 구성됨에 따라 Semantic 정보가 Syntactic 정보를 개선해 나간다 점에 기반한 기존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Encoder Layer를 구성함에 따라 어떻게 성능이 변화하는지 측정한다. 그리고 의도 분류를 위한 학습 데이터 셋도 분류하고자 하는 성격에 따라 Syntactic한 구성과 Semantic한 구성을 보인다는 점에 착안하여 ALBERT 및 ELECTRA를 이용한 의도 분류 모델을 구축하고 각 데이터 셋에 맞는 최적의 Encoder Layer 구성을 가지는 모델을 비교한 결과, 두 데이터 셋 간에 다른 Layer 구성을 보이는 점과 기존 모델보다 성능이 향상됨을 확인하였다.

  • PDF

Effect of Using QuillBot on the Writing Quality of EFL College Students

  • Hye Kyung Kim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11권4호
    • /
    • pp.42-47
    • /
    • 2023
  • The majority of research on Automated Writing Evaluation (AWE) programs has focused primarily on Grammarly, whereas QuillBot and its use in English as a Foreign Language (EFL) classrooms remains limitedly explored.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iveness of using QuillBot on the writing quality of college students. A total of 26 participants took pre- and post-writing tests, and four analytical tools were applied to assess their writing quality in terms of syntactic complexity, lexical diversity, lexical richness, and readability. Results of the syntactic complexity analysis across the four indices demonstrates that the syntactic complexity of EFL writing increased significantly, and substantial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lexical richness and readability. These results suggest that QuillBot can compensate for the drawbacks of Grammarly and assist EFL writers in improving their overall writing quality.

주어-동사 일치의 통사적 유인 (Syntactic Attraction of Subject-Verb Agreement)

  • 장소영;김양순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7권3호
    • /
    • pp.353-358
    • /
    • 2021
  • 본 연구는 주어-동사 일치에 대한 3가지 유형의 통사적 분석을 제공한다. 주어-동사의 수일치는 주어와 서술어간의 연쇄를 체계적으로 설명하기 때문에 이는 핵-핵 일치 또는 계층적 구조에 작용하는 상방향과 하방향 자질침투라는 순수한 통사적 분석으로 제안되어야 한다. 주어-동사 일치의 오류는 선형적 근접성이나 최소간섭이 아닌 일치의 목표와 국소적 유인자인 명사 사이의 계층적 관계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본 연구의 자료로 수식어로서의 전치사구 PP 또는 관계절 CP를 포함하는 복합 명사구를 분석하며 이때 복수자질 [+PL]이 강 자질로서 일치오류의 국소 유인자이다. 따라서 일치오류는 화자들이 수식어 전치사구의 복수 명사구 때문에 주절의 단수 주어를 복수로 잘못 분석하거나 복수 주어의 영향으로 수식어 관계절안의 단수 주어가 복수로 잘못 분석되어 관계절 안의 동사가 복수형으로 잘못된 일치 오류가 일어나는 경향이 있다. 즉, 주어-동사 일치는 구조가 형성되는 과정에 내재적으로 불일치하는 일은 없고 특정한 구성소 표현이 국소 유인자로 오인되어 단지 언어분석처리 중에 조작되어 나타난다.

선형 혼합 모형을 통해 살펴본 쓰기 능력의 장기적인 발전 양상 탐색 (Investigation into Longitudinal Writing Development Using Linear Mixed Effects Model)

  • 이영주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8권2호
    • /
    • pp.315-319
    • /
    • 2022
  • 본 연구는 선형 혼합 모형을 활용하여 쓰기 능력이 장기적으로 어떻게 발전되어 가는지를 통사적 복잡성(syntactic complexity) 측면에서 4명의 사례 연구자들이 작성한 에세이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사례 연구자들은 자발적으로 Criterion 이라는 자동 쓰기 평가 프로그램의 피드백을 받아 초안과 수정본을 교실 밖에서 매달 한 개 씩 일 년 동안 작성했다. 총 48개 초안 에세이가 본 연구의 분석 대상이고, 통사적 복잡성은 Syntactic Complexity Analyzer의 14개 지표 중에서 추출하여 분석하였다. 선형 혼합 모형 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시간과 T-unit의 평균길이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선형 관계가 있었으며, 이는 연구 참여자들이 시간이 지날수록 길이가 긴 T-uni을 포함한 에세이를 작성했음을 보여준다. 또한 시간과 의존절과 독립절 간의 비율 간에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선형 관계가 있었는데, 이는 연구 참여자들이 일 년 동안 높은 비율의 의존절이 포함된 에세이를 작성했음을 시사한다.

통사적 복잡성과 분석적 척도의 언어 사용 점수간의 관계 탐색 (The Relationship between Syntactic Complexity Indices and Scores on Language Use in the Analytic Rating Scale)

  • 이영주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5호
    • /
    • pp.229-235
    • /
    • 2023
  • 본 연구는 자동화된 통사 구문 분석 프로그램인 TAASSC를 활용하여 통사적 복잡성 지표와 분석적 척도의 언어 사용 점수 간의 관계를 살펴본다. 본 연구에서는 ICNALE 코퍼스에서 영어를 외국어로 학습하는 EFL 학생이 작성한 에세이 440개를 분석하였고, 언어 사용 점수와 Lu의 전통적인 통사적 복잡성 지표, 구 복잡성 지표, 절 복잡성지표 간의 관계를 탐색하였다. 단계적 회귀분석 결과, 구 복잡성 지표가 분석적 척도의 언어 사용 점수를 가장 잘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선행연구와는 달리 언어 사용 점수를 차지하는 변량은 낮았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구수준에서의 통사구문에 대한 지도와 연습이 필요하다는 쓰기 교육의 시사점을 제시한다.

Syntactic Verifier as a Filter to Compound Unit Recognizer

  • Jung, Han- Min;Yuh, Sang-Hwa;Kim, Tae-Wan;Park, Dong-In
    • 한국언어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언어정보학회 1998년도 Language, Information and Computation = Selected Papers from the 12th Pacific Asia Conference on Language, Information and Computation, Singapore
    • /
    • pp.303-309
    • /
    • 1998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