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ynovitis

검색결과 111건 처리시간 0.049초

관절경을 이용한 주관절 활막 추벽의 제거 (Arthroscopic Resection of Synovial Plica in Elbow)

  • 유연식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10권1호
    • /
    • pp.50-58
    • /
    • 2007
  • 목적: 주관절의 후외측 동통과 탄발음을 유발할 수 있는 주관절의 활막추벽 9예에 대한 관절경적 경험과 해부학적 특징을 보고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9년 5월부터 2004년 1월까지 주관절 관절경을 받은 43명의 환자 중 활막추벽으로 진단되었거나 제거 받은 12개월 이상 추시가 가능했던 8명의 환자 9예를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양측 성을 보인 1명 2예를 포함한 남자가 8예 여자가 1예이었고 평균 연령은 29세 이었다. 모든 환자는 수술 전까지 최소 6개월의 보존적 치료를 받았으며 술 전 활막 추벽이라고 진단했던 경우가 6예, 외상과 염으로 진단했거나 진단이 처음부터 불분명하여 수술 중에 발견했던 경우가 3예이었다. 수술 직 후 관절경 소견으로 추벽의 형태를 분류하였고 최종 추시시점에서 통증 및 탄발음 소실 여부와 함께 Visual Analogue Scale (VAS)의 변화와 환자의 만족도를 조사였다. 결과: 관절경 소견상 전 예에서 외측 활막 추벽과 함께 전 외측에서 국한된 국소적 활막염의 소견이 관찰되었으며 7예에서 요골 두의 연골 연화증 또는 미란 소견을 보였다. 그러나 소두변화는 1예에서만 보였다. 2예를 제외한 7예에서 수술 직후부터 통증과 탄발음이 소실 또는 완화되었으며(VAS<1) 최종 추시 상에의 통증지수는 평균 6.8 에서 0.9로 감소하였다. 그 중 미약한 탄발음이 지속되었던 1예는 불완전한 제거로 판단하여 재수술을 시행하였다. 결론: 주관절의 활막 추벽은 주관절의 잠김 또는 외측 동통을 일으키는 주 진단범주에 포함시켜야할 것이며 특히 오랫동안 지속된 저항성 외 상과염이라면 활막 추벽을 고려해 봐야 할 것이다. 관절경을 통한 추벽의 제거는 매우 안전하고 효과적이었으며 단기 추시에서 매우 우수한 결과를 보였다.

DA-7911, $^{188}Rhenium-tin$ Colloid, as a New Therapeutic Agent of Rheumatoid Arthritis

  • Shin, Chang-Yell;Son, Miwon;Ko, Jun-Il;Jung, Mi-Young;Lee, In-Ki;Kim, Soon-Hoe;Kim, Won-Bae;Jeong, Jae-Min;Song, Yeong-Wook
    •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 /
    • 제26권2호
    • /
    • pp.168-172
    • /
    • 2003
  • Radiation synovectomy is one of the most useful methods for treating patients with refractory synovitis because of its convenience, long-term effects, repeatability and the avoidance of surgery.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toxicity, stability and biodistribution of a rhenium-188 ($^{188}$Re)-tin colloid to evaluate its suitability as a synovectomy agent. Twenty four hours after injecting the $^{188}$Re-tin colloids (74 KBq/0.1 mL) into the tail vein of ICR mice, most of the $^{188}$Retin colloidal particles was found in the lungs. In addition, there were no particle size changes at either room temperature or at $37^{\circ}C$ after injecting the $^{188}$Re-tin colloids in human plasma and synovial fluid. In vitro stability tests showed that the $^{188}$Re-tin colloid remained in a colloidal form without a critical size variation over a 2-day period. We investigated the leakage of $^{188}$Retin colloids from the intraarticular injection site with gamma counting in New Zealand white rabbits. The $^{188}$Re-tin colloids (55.5 MBq/0.15 mL) were injected at the cavum articular and the mean retention percentage of the $^{188}$Re-tin colloid was 98.7% for 1 day at the injection site, which suggests that there was neither change in the particle size nor leakage at the injection sites. In the biodistribution study with the SD rats, the liver showed the highest radioactivity (0.0427% ID/organ) except for the injected knees (99.49%). In the SD rats, mild toxicities including the skin or a synovium inflammation were observed as a result of a radioactivity of 15 mCi/kg at the intraarticular injection site. However, there was no systemic toxicity. In the Ovalbumin (OVA)-induced arthritic rabbits, the $^{188}$Re-tin colloid improved the macroscopic, the histological score and reduced the knee joint diameter when compared to the arthritic control. In conclusion, a $^{188}$Re-tin-colloid is considered as a strong candidate for radiation synovectomy with a superior efficacy and safety.

주관절 병변이 있는 운동 선수에서 관절경적 처치 (Arthroscopic Management in the Athletic Elbow Lesion)

  • 문영래;하상호;유재원;주정용;김동휘
    •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97-101
    • /
    • 2002
  • 목적 : 본연구는주관절동통또는강직을호소하는운동선수에대하여관절경적처치를시행하여그효능을평가하고자하였다. 대상및방법 : 주관절운동이기능적으로제한되며최소6개월동안의물리치료및다른보존적인치료에반응하지않은 13례의운동선수를대상으로하였으며, 증상발현후부터수술시까지의기간은최소8개월에서최장 16개월로다양한분포를가지고있었다. 발견된병변에따라유리체제거술, 구축된 관절낭유리술, 골극제거술등을시행하였다. 결과판정은 Broberg와Morrey 계측방법으로평가하였다. 결과 : 전례에서중등도이상의활액막염을관찰할수있었고, 관절내유리체는9례, 주두및주상돌기골극은2례에서관찰되었다. 전례에서술후관절운동범위의호전및운동시동통의감소를보였고 Broberg와Morrey 계측방법으로술전평균65점에비해술후평균89.4점으로양호한결과를보였다. 결론 : 운동선수의주관절의동통및강직에대하여 관절경적 처치는원인병변의정확한평가가용이하며술후관절주변조직의손상을최소화하여술후빠른재활이가능한효과적인술식중한방법으로사료되었다.

  • PDF

개의 어깨 관절에서 박리성 골연골염의 진단과 치료를 위한 탐색적 관절내시경의 적용 (Exploratory Arthroscopic Treatment to Diagnose and Treat Osteochondritis Dissecans of the Shoulder Joint in a Dog)

  • 김충섭;이해범;최을수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146-149
    • /
    • 2013
  • 6개월 된 수컷 Great Pyrenees (35 kg)가 왼쪽 앞다리에 2주 동안 지속된파행으로 전북동물의료센터에 내원하였다. 파행은 병원 내원 3일 전부터 더욱 심해졌다고 한다. 신체검사 상에서 환자는 왼쪽 어깨 부분에 통증을 보였고, 보행 검사에서 파행을 보이고 있었다. 방사선 검사와 신경계 신체검사에서는 유의적인 소견을 보이지 않았다. 의학적 기왕력과 보행검사를 토대로 박리성 골연골염을 의심하였다. 어깨관절에 대한 확실한 진단을 위해서, 탐색적 관절내시경 수술이 시행되었다. 미미한 두갈래근건초염과, 활막염, 그리고 상완골 머리 후내측에 위치한 박리성 골연골염 병변이 관찰되었다. 연골편의 제거, 연골하골의 변연절제가 관절내시경과 전기 버(electric burr)를 사용하여 실시되었다. 환자는 수술 다음 날에 퇴원하였다. 2주 후, 환자는 술 부를 핥아서 생긴 염증과 피하조직에 생긴 장액종으로 인해 내원하였다. 항생제 처치와 무균적 붕대가 적용되었고, 장액종은 수술적으로 제거되었으며, 관절내시경을 실시한 11주 후 환자의 보행은 정상이었다. 관절내시경은 관절낭 안쪽의 구조물 관찰이 가능하기 때문에 진단이 어려운 관절질환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거라 사료된다.

SAPHO 증후군에서 골신티그라피의 유용성 (The Usefulness of Bone Scintigraphy in SAPHO Syndrome)

  • 임석태;손명희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255-260
    • /
    • 2002
  • 목적: SAPHO 증후군은 전흉벽의 골관절에 주로 위치하는 혈청학적 검사상 음성을 보이면서 다양한 피부증상을 동반하는 골관절 질환으로 질병의 특성에 대한 폭넓은 이해를 통하여 조기진단을 함으로써 불필요한 수술이나 장기간의 비효율적인 항생제 치료를 피하는 것이 임상적으로 중요점이라 할 수가 있겠다. 이에 저자들은 SAPHO 증후군으로 진단받은 환자에서 골신티그라피의 소견의 특징을 알아보고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다발성 관절통과 반복적으로 재발되는 피부증상이 있어 임상적으로 SAPHO 증후군으로 진단 받은 5명의 환자(모두 남자, $22.8{\pm}4.75$세)를 대상으로 하였다. 모든 환자에서 저에너지 고해상도 조준기가 장착된 이중헤드 감마카메라(ECAM, Siemens, Germany)를 이용하여 전신영상을 얻었고, 2명의 환자에서는 척추 관절의 이상 유무를 확인하기 위하여 SPECT 영상을 얻었다. 골신티그라피상 섭취증가를 보이는 관절을 알아보고 호발빈도와 단순 X선과 관절 침범 유무를 진단하는 성능을 비교하였다. 결과: 골신티그라피상 모든 환자에서 이상소견을 보인 관절은 흉쇄골 관절, 천장골 관절, 수부의 소관절이었다. 흉쇄골 관절이상은 양측성이 3/5 (60%)이고 일측성이 2/5 (40%)로 관찰되었다. 천장골 관절에서는 양측성이 4/5 (80%) 이고 일측성이 1/5 (20%)로 관찰되었다. 척추 관절의 이상은 4/5 (80%)에서 관찰되었는데 이 가운데 요추 이상은 4명 모두에서 볼수가 있었고 흉추의 이상은 3명, 경추의 이상은 1명에서 보여 척추에서는 요추의 침범이 가장 많았다. 척추골 SPECT는 2명에서 시행되었는데 추체나 척추경 보다는 후관절에 이상을 초래함을 평면영상에 비하여 보다 상세히 알 수가 있었다. 결론: SAPHO 증후군은 피부증상과 함께 다양한 골관절을 침범하는 질환으로 골신티그라피를 시행함으로써 관절의 이상을 조기에 진단하여 불필요한 수술이나 장기간의 비효율적인 항생제 치료를 피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Reduction of headache intensity and frequency with maxillary stabilization splint therapy in patients with temporomandibular disorders-headache comorbidity: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 Manrriquez, Salvador L.;Robles, Kenny;Pareek, Kam;Besharati, Alireza;Enciso, Reyes
    • Journal of Dental Anesthesia and Pain Medicine
    • /
    • 제21권3호
    • /
    • pp.183-205
    • /
    • 2021
  • This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aimed to analyze the effectiveness of maxillary stabilization splint (SS) therapy to reduce headache (HA) intensity and HA frequency in patients with temporomandibular disorders (TMD)-HA comorbidity.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RCTs) using full-arch coverage, hard resin, and maxillary SS therapy were included. Electronic databases, including Cochrane Library, MEDLINE through PubMed, Web of Science, and EMBASE, were searched. The risk of bias was analyzed based on Cochrane's handbook. The search yielded 247 references up to January 28, 2020. Nine RCTs were included at a high risk of bias. The comparison groups included other splints, counseling, jaw exercises, medications, neurologic treatment, and occlusal equilibration. Four studies report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reduction in HA intensity, and five studies reported significant improvement in HA frequency from baseline at 2-12 months in patients with TMD-HA comorbidity treated with a full-arch hard maxillary SS. HA frequency in tension-type HA (TTH) comorbid with TMD diagnoses of myofascial pain (MFP) or capsulitis/synovitis improved significantly with SS than that with full-arch maxillary non-occluding splint (NOS) in two studies. Comparison groups receiving hard partial-arch maxillary splint nociceptive trigeminal inhibition (NTI)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s in HA intensity in patients with mixed TMD phenotypes of MFP and disc displacement comorbid with "general HA." Comparison groups receiving partial-arch maxillary resilient/soft splint (Relax)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s in both HA intensity and frequency in patients with HA concomitant with MFP. The meta-analysis showe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improvement of pain intensity at 2-3 months with comparison of the splints (partial-arch soft [Relax], hard [NTI], and full-arch NOS) or splint use compliance at 6-12 months with comparison of the splints (partial-arch Relax and full-arch NOS) versus the SS groups in patients with various TMD-HA comorbidities. In conclusion, although SS therapy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ecrease in HA intensity and HA frequency when reported, the evidence quality was low due to the high bias risk and small sample size. Therefore, further studies are required.

Chronic Recurrent Multifocal Osteomyelitis Associated With Inflammatory Bowel Disease Successfully Treated With Infliximab

  • Kwak, Shinhyeung;Kim, Dongsub;Choi, Joon-sik;Yoon, Yoonsun;Kim, Eun Sil;Kim, Mi Jin;Yoo, So-Young;Shim, Jong Sup;Choe, Yon Ho;Kim, Yae-Jean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29권2호
    • /
    • pp.96-104
    • /
    • 2022
  • Chronic recurrent multifocal osteomyelitis (CRMO)는 소아에서 호발하는 비감염성 염증성 골질환으로 염증성장질환, 건선, 베게너 육아종, SAPHO 증후군 등의 다른 자가 면역 질환이 병발하기도 한다. 13세 중앙아시아 인종의 남자환자가 18개월 동안 반복되는 하지 관절 통증과 연조직 염증 증상을 주소로 내원하여 CRMO로 진단 하 비스테로이드성소염제 치료를 시작하였다. 5개월 간 약물 복용하였으나 근골격계 증상 악화, 새롭게 발생한 위장관 증상에 대해 CRMO에 크론병이 병발한 것으로 진단되었으며, 이에 대해 infliximab을 투여하였다. 본 증례에서는 크론병이 병발한 CRMO 환자에서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제 치료에 실패한 후 infliximab을 이용하여 효과적으로 치료된 증례를 보고하는 바이다.

Vitamin D Attenuates Pain and Cartilage Destruction in OA Animals via Enhancing Autophagic Flux and Attenuating Inflammatory Cell Death

  • JooYeon Jhun;Jin Seok Woo;Ji Ye Kwon;Hyun Sik Na;Keun-Hyung Cho;Seon Ae Kim;Seok Jung Kim;Su-Jin Moon;Sung-Hwan Park;Mi-La Cho
    • IMMUNE NETWORK
    • /
    • 제22권4호
    • /
    • pp.34.1-34.19
    • /
    • 2022
  • Osteoarthritis (OA) is the most common form of arthritis associated with ageing. Vitamin D has diverse biological effect on bone and cartilage, and observational studies have suggested it potential benefit in OA progression and inflammation process. However, the effect of vitamin D on OA is still contradictory. Here, we investigated the therapeutic potential of vitamin D in OA. Six-week-old male Wistar rats were injected with monosodium iodoacetate (MIA) to induce OA. Pain severity, cartilage destruction, and inflammation were measured in MIA-induced OA rats. Autophagy activity and mitochondrial function were also measured. Vitamin-D (1,25(OH)2D3) and celecoxib were used to treat MIA-induced OA rats and OA chondrocytes. Oral supplementation of vitamin D resulted in significant attenuations in OA pain, inflammation, and cartilage destruction. Interestingly, the expressions of MMP-13, IL-1β, and MCP-1 in synovial tissues were remarkably attenuated by vitamin D treatment, suggesting its potential to attenuate synovitis in OA. Vitamin D treatment in OA chondrocytes resulted in autophagy induction in human OA chondrocytes and increased expression of TFEB, but not LC3B, caspase-1 and -3, in inflamed synovium. Vitamin D and celecoxib showed a synergistic effect on antinociceptive and chondroprotective properties in vivo. Vitamin D showed the chondroprotective and antinociceptive property in OA rats. Autophagy induction by vitamin D treatment may be a promising treatment strategy in OA patients especially presenting vitamin D deficiency. Autophagy promoting strategy may attenuate OA progression through protecting cells from damage and inflammatory cell death.

Lipopolysaccharide로 유발된 생쥐 무릎관절낭 염증에 관한 형태학적 연구 - 윤활관절막과 섬유관절막의 변화를 중심으로 - (The Morphological Study on Inflammation of Murine Knee Joint by Lipopolysaccharide - Based on the Morphological Changes of Synovial Membrane and Fibrous Membrane -)

  • 김진택;안상현;최난희;정재만;박인식;강윤호;김호현;이해풍
    • 동국한의학연구소논문집
    • /
    • 제7권2호
    • /
    • pp.107-120
    • /
    • 1999
  • 본 연구는 관절염 유발시 일어나는 관절낭의 형태학적 변화를 조사하기위해 lipopolysaccharide(LPS) 주사로 인위적 관절낭 염증을 유발시킨 후 시간경과에 따른 윤활관절막과 섬유관절막의 향태 변화를 관찰하였다. BALB/C 암컷 생쥐 오른쪽 무릎관절낭에 LPS $300{\mu}g/kg$를 주사한 후 3, 7 그리고 14일에 무릎관절을 얻었다. 무릎관절은 4주동안 EDTA용액에 탈회한 후 통상적 방법으로 paraffin에 포매하였다. 또한 윤활관절막의 미세구조변화는 embed812로 포매한 후 관찰하였다. LPS 주사후 관절연골인접부위의 윤활관절막에서 시작된 세포과형성(hyperplasia)은 시간 경과후 전체 윤활관절막으로 확대되었다. 윤활관절막내의 미세구조의 변화로는 윤활포식세포(type I)가 관절강내로의 많은 돌기(filopodia)를 내었고, 잘 발달된 과립형질내세망을 가지는 type 2 윤활분비세포의 숫적 증가가 보였다. 한편 LPS 주사후 섬유관절막에서 나타나는 형태학적 변화는 collagen fiber 생성에 의한 섬유화가 증가되며, 이러한 섬유화를 주도하는 섬유모세포의 이주증가가 관찰되었다. 또한 혈관 주위에서는 백혈구의 이주 증가가 나타났으며, 탈과립형(degranulated type) 비만세포가 많이 관찰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LPS 주사로 관절낭에서 염증이 유발되어 윤활관절막과 섬유관절막에서 헝태학적 변화가 나타났다. 이러한 일련의 형태학적 변화는 발병초기 류마티스성 관절염에서 나타나는 병리학적 소견과 동일한 결과로서, 앞으로 진행될 치료제 개발과 유발기전에 관한 해석을 위한 in vivo 실험의 적절한 모델로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슬관절 관절경 검사 시 초음파 검사의 유용성 (Ultrasonographic Utility for Arthroscopic Examination of Knee)

  • 변기용;이광진;김경천;김동규;김보건
    • 대한정형외과 초음파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18-23
    • /
    • 2009
  • 목적: 슬관절 이상 시 자기공명영상 촬영 등의 검사를 하지 않고, 초음파 검사만을 시행 후 이상소견 발견 시 관절경 검사를 시행하여 초음파 검사 상 이상 소견과 실제 병변과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7년 7월부터 2008년 7월까지 본원에서 슬관절 관절경 시술을 받았던 환자 중 류마티스 관절염 이나 패혈성 관절염과 인대 손상이 의심 되는 환자는 제외하고 시술 전 초음파 검사만을 시행한 42명의 환자 49례를 대상으로 하였다. 전례에서 이학적 검사 및 단순 방사선 검사와 슬관절의 초음파 검사를 시행 후 초음파 검사 상 이상소견이 있는 환자에 대해 관절경 검사를 시행하였고, 시술 전 자기공명영상 촬영 검사는 시행하지 않았으며, 관절경 검사 상 이상소견 발견 시에는 이에 적절한 수술적 치료를 시행하였다. 결과: 초음파 검사 시 전례에서 슬개상 주머니(Suprapatellar Pouch)에 삼출액(effusion)소견이 관찰되었으며 그 크기는 다양하였다. 그 외 내측 반월상 연골판 이상소견 11례, 외측 반월상 연골판 이상소견 16례, 낭종소견 2례였다. 관절경 검사 시 내측 반월상 연골판 파열 14례, 외측 반월상 연골판 파열 20례, 연골손상 15례였고, 내측 활액막 추벽 9례, 관절 내 유리체 2례, 연골 연화증 5례, 낭종 2례, 활액막염 2례였다. 초음파 검사상 슬개상 주머니에서 삼출액 소견이 있을 경우, 어떤 병변이든지 실제 슬관절 병변이 있을 확률은 100% 이었고, 초음파 검사상 내측 반월상 연골판 이상 소견이 있을 경우, 실제 병변이 있을 확률은 90.9%, 외측 반월상 연골판 이상 소견 시 실제 병변이 있을 확률은 81.2% 이며 낭종 소견은 100%에서 정확도가 있었다. 결론: 슬관절의 초음파 검사는 관절경 시술을 시행하기 전에 관절 내 병변 의심 시 시행할 수 있는 아주 유용한 검사방법으로 사료 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