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ynergistic Effect

검색결과 1,188건 처리시간 0.025초

벼의 종자 발아와 생육 및 광합성에 대한 저선량 감마선과 생장조절물질의 상승작용 효과 (Synergistic Effects of Low Dose Gamma Irradiation and Growth Regulators on Seed Germination, Growth and Photosynthesis in Rice (Oryza sativa L.))

  • 백명화;정병엽;김진홍;위승곤;김재성;이인중
    • 환경생물
    • /
    • 제23권1호
    • /
    • pp.64-70
    • /
    • 2005
  • 벼의 유묘 생육과 광합성 효율에 대한 저선량 방사선과 생장조절물질 간의 상승작용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4년 된 종자로 기내실험과 온실실험을 수행하였다. 기내실험에서 관찰한 종자 발아의 경우 방사선을 조사한 IBA 0.001 ppm 처리구에서 가장 높은 값을 보였다. 또한, 파종 6일 후 측정한 유묘 생육은 방사선 무 조사구보다 방사선을 조사한 GA₃와 IBA 처리구에서 대체로 높은 값을 보였으며, 그 중 IBA 0.001 ppm 처리에서 저선량 방사선과 생장조절물질간의 유의성 있는 상승작용 효과를 확인 할 수 있었다. 저선량 방사선을 조사 한 후 IBA 0.001 ppm을 처리하여 관찰한 온실 실험에서도 유묘 생육에서의 상승작용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광합성 효율을 확인하기 위해 측정한 엽록소 형광은 생장조절물질에 의해서만 차이를 보여, IBA 처리에 의해 광계 2의 양자 수율을 나타내주는 Ф/sub PSⅡ/와 광화학적 소멸을 나타내는 qP는 증가하였고 비광화학적 소멸을 나타내는 형광지표인 qN은 감소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저선량 방사선을 조사한 후 생장조절물질을 처리하였을 때 벼의 종자 발아와 더불어 생육이 두 요인간의 상승작용 효과로 촉진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Upregulation of IP-10(CXCL10) mRNA Expression by Interleukin-18

  • ;김희선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24권1호
    • /
    • pp.67-78
    • /
    • 2007
  • Interferon-${\gamma}$ (IFN-${\gamma}$)의 주된 생산세포는 림프구이며 주로 Interleukin-18(IL-18)에 의해 생산이 된다. IP-10은 IFN-${\gamma}$에 의해 유도, 생산되는 대표적인 케모카인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마우스 복강내 대식세포에서의 IL-18에 의한 IP-10의 생산 여부를 관찰하고자하였다. IL-18은 마우스 복강내 대식세포에서 IP-10의 발현을 직접적으로 유도 하지는 않았다. 그러나 대식세포에 지다당질을 처리하기 전 IL-18을 전 처리 시킨 결과 지다당질에 의해 유도된 IP-10의 발현이 항진되어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항진 효과는 IL-18 전처리 16시간에 나타났으며, 이때 NF-${\kappa}B$의 활성이 IP-10의 발현 항진과 일치함을 확인하였다. 비록 IL-18이 IP-10을 직접적으로 발현시키지는 못하나 NF-${\kappa}B$의 활성을 통하여 IL-18의 적정시간에 따른 전 처리시 IP-10 발현의 항진은 케모카인 발현에있어 IL-18의 작용기전을 이해하는데 유용한 자료가 될 것이다.

  • PDF

죽엽(竹葉)과 황금(黃芩) 복합물의 항비만 효과 (Synergistic combination effect of anti-obesity in the extracts of Phyllostachys pubescence Mael and Scutellaria baicalensis Georgi)

  • 강영민;김승형;이영철;김호경;김동선
    • 대한본초학회지
    • /
    • 제29권6호
    • /
    • pp.7-13
    • /
    • 2014
  • Objectives : Anti-obesity drugs that have been developed so far have limited efficacies and considerable adverse effects affecting tolerability and safety. Therefore, most anti-obesity durgs have been withdrawn. We tried to develop anti-obesity agent by combinations from herbs that are used in food ingredients as well as in traditional medicines. Methods : The 80% (v/v) ethanol extracts from Bamboo (Phyllostachys pubescence) leaf (BL) and Scutellaria baicalensis (SB) and their 1:1 combination (BLSB) was evaluated on high fat diet induced obese mice compared to Omega-3 as a positive control. The mice were divided into six groups (n=5), one group fed a normal diet (ND), and the others fed a high fat diets for eight weeks. Two weeks after starting feeding the diets, the high fat diet groups were orally administered vehicle and Omega-3, BL, SB, and BLSB at dosage of 200 mg/kg/day for six weeks. All groups were assayed for body weights, food efficiency ratio, blood biochemistry parameters, and organic tissue weights. Results : BLSB group showed significant reductions in body weight gain and fat weights of liver and epididymal adipose tissue compared to BL or SB alone as well as control. Total-cholesterol and LDL-cholesterol levels significantly decreased, and HDL-cholesterol level increased. In liver tissue, macrovesicular steaotisis was remarkably improved and its fat cell size was also significantly decreased. Conclusions :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a combination preparation of bamboo leaf and S. baicalensis has anti-obesity effect and have synergistic effect compared to bamboo leaf or S. baicalesis.

H1299 인체폐암세포주에서 활성산소종 생성에 의한 황기와 사삼의 항암 시너지 작용 (Reactive Oxygen Species (ROS) Generation Contributes to the Synergistic Anticancer Effect of Astragalus Membranaceus and Adenophora Triphylla Var. Japonica in H1299 Human Lung Carcinoma Cells)

  • 민태린;박현지;박신형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157-164
    • /
    • 2018
  •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mechanism of the synergistic anticancer effect of Astragalus membranaceus (AM) and Adenophora triphylla var. japonica (AT) in H1299 human lung carcinoma cells. A combined treatment of ethanol extract of AM (EAM) and AT (EAT) explosively increased the reactive oxygen species (ROS) generation in H1299 cells compared to the single treatment of each of them. Co-treatment of N-acetyl-L-cysteine (NAC) with EAM and EAT markedly enhanced the cell viability and suppressed apoptosis in H1299 cells, suggesting that ROS generation contributed to the anticancer effect of EAM and EAT. Interestingly, the combined treatment of EAM and EAT down-regulated p-AKT in H1299 cells, which was abrogated by NAC treatment. These results clearly indicated that ROS generation mediated the inactivation of AKT. Co-treatment of LY294002 with EAM and EAT significantly reduced the cell viability at a concentration which EAM and EAT didn't show any cytotoxicity. In addition, the recovery of cell viability by co-treatment of NAC with EAM and EAT was quite reversed by LY294002 treatment, which confirmed that the inactivation of AKT played a pivotal role in ROS-mediated apoptosis. Taken together, our results demonstrated that the synergistic anticancer effect of EAM and EAT was mediated by ROS generation and inactivation of AKT. We provide a valuable preclinical data for the development of more effective combination of AM and AT to treat lung cancer.

$\beta$-Glucosidase 처리된 참깨박 추출물의 항산화 및 상승효과 (Antioxidant and Synergistic Effect of Sesame Oil Cake Extract Treated from $\beta$-Glucosidase)

  • 손종연;강동우;신길만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4권6호
    • /
    • pp.591-595
    • /
    • 2001
  • 참깨 탈지박에 다량존재하는 수용성 lignan화합물을 $\beta$-glucosidase로 처리하여 얻어진 참깨박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및 기존 항산화제들과의 상승효과를 비교, 검토하고자 하였다. 참깨박 추출물 중에서도 sesamin 및 sesamolin이 peak가 확인되었으며, 각각 8.32%(8,315.4mg/100g) 및 0.28%(2,824.5mg/100g)의 함량을 나타냈다. Sesamin과 sesamolin은 배당체의 aglycone으로서 탈지박 중에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참깨박 추출물의 항산화효과는 첨가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되었으며, 이들의 효과는 같은 농도(100ppm)의 $\alpha$-tocopherol이나 ascorbyl palmitate 첨가구보다 항산화효과가 우수하였으나 BHA보다는 다소 약한 효과를 보였다. 또한 가수분해 물은 $\alpha$-tocopherol과 강한 상승 작용을 보여주었으나 ascorbyl palmitate와는 비교적 약한 상승작용을 나타내었다.

  • PDF

Synergistic inhibition of mesothelioma cell growth by the combination of clofarabine and resveratrol involves Nrf2 downregulation

  • Lee, Yoon-Jin;Im, Jae-Hyuk;Lee, David M.;Park, Ji-Sung;Won, Seong Youn;Cho, Moon-Kyun;Nam, Hae-Seon;Lee, Yong-Jin;Lee, Sang-Han
    • BMB Reports
    • /
    • 제45권11호
    • /
    • pp.647-652
    • /
    • 2012
  • We previously reported that MSTO-211H cells have a higher capacity to regulate Nrf2 activation in response to changes in the cellular redox environment. To further characterize its biological significance, the response of Nrf2, a transcription factor that regulates ARE-containing genes, on the synergistic cytotoxic effect of clofarabine and resveratrol was investigated in mesothelioma cells. The combination treatment showed a marked growth-inhibitory effect, which was accompanied by suppression of Nrf2 activation and decreased expression of heme oxygenase-1 (HO-1). While transient overexpression of Nrf2 conferred protection against the cytotoxicity caused by their combination, knockdown of Nrf2 expression using siRNA enhanced their cytotoxic effect. Pretreatment with Ly294002, a PI3K inhibitor, augmented the decrease in HO-1 level by their combination, whereas no obvious changes were observed in Nrf2 levels. Altogether,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synergistic cytotoxic effect of clofarabine and resveratrol was mediated, at least in part, through suppression of Nrf2 signaling.

CO2로부터 5원환 탄산염의 화학적 고정화 반응을 위한 Metal-Organic Frameworks의 촉매적 응용 (Catalytic Application of Metal-Organic Frameworks for Chemical Fixation of CO2 into Cyclic Carbonate)

  • 지훈;카나가라지 나빈;김동우;조득희
    • 공업화학
    • /
    • 제31권3호
    • /
    • pp.258-266
    • /
    • 2020
  • CO2로부터 5원환 탄산염의 합성은 지구 온난화를 문제를 해결하고 정밀한 화학 물질을 생산하는 유망한 방법 중 하나이다. 본 총설에서는 CO2와 에폭시 화합물로부터 5원환 탄산염 합성을 위한 다공성 결정 물질인 metal-organic framework (MOF)의 촉매로써 적용 가능성에 대해 검토하였다. CO2와 에폭시 화합물의 부가 반응에 대하여 MOF의 구조적 기능과 그에 따른 불균일계 촉매로써의 활성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5원환 탄산염 합성에서 MOF 촉매의 산점(acidic site)과 친핵체(nucleophile)의 상승효과(synergistic effect)에 의하여 반응성이 높아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CO2의 부가반응에서 설계된 MOF의 구조에 대한 영향과 반응메커니즘을 조사하여 제시하였다.

db/db mice에 대한 약용 식물추출 혼합물의 항당뇨 상승효과 (Antidiabetic Synergistic Effects of Medicinal Plant Extract Mixtures on db/db Mice)

  • 노상근;최원철
    • 생명과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65-175
    • /
    • 2011
  • 본 연구는 db/db mice에 대한 구아바 잎(Pg), 바나바 잎(Ls) 추출물 그리고 혼합물 A (바나바, 구아바, 뽕, 솔잎 그리고 가시오가피 뿌리 추출물)의 효과를 조사하였다. 4주간 db/db mice에 이들 추출물을 섭취시킨 결과 Pg, Ls 그리고 혼합물 A의 섭취는 당뇨 대조군에 비해 체중, 혈당, 인슐린을 감소시켰으며 이들 중에서 혼합물 A의 감소효과가 가장 높았다. 이들 추출물은 당뇨 대조군에 비해 총 콜레스테롤, 중성지방, 유리지방산을 감소시켰으며 이들 중에서 혼합물 A의 항고지혈증 효과가 가장 뛰어났다. 또한 혼합물 A는 당뇨 대조군에 비해 Langerhans' islets의 손상을 유의하게 감소시켰다. 따라서 혼합물 A는 포함된 구성물질의 상호보완적인 약리작용에 의해 체중증가의 부작용이 없이 고혈당을 개선시키는 유익한 상승효과를 발휘한 것으로 나타났다.

Brassinolide와 Auxin과의 상호작용의 생물검정에 의한 평가 (Interaction between Brassinolide and Auxins on Bioassays)

  • 최충돈;김순철;이수관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58-64
    • /
    • 1990
  • 최근 국내에서 연구가 시작되고 있는 신규 식물생장조정제인 brassinolide류와 기존의 auxin류를 혼용하였을 경우 상호작용성을 구명하여 농업적 이용의 기초자료를 얻고자 몇가지 생물검정법을 이용하여 상호작용의 결과를 분석해 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간다. 1. 벼 엽신기부굴절검정에서는 두 화합물의 저농도 혼용조합에서 길항적인 반응을 보였으나, 대부분의 조합에서는 상가 또는 상승작용을 하였으며, 고농도의 혼용일수록 상승효과가 높았고, IAA가 2, 4-D에 비해 다소 혼용효과가 높았다. 2. 귀리 자엽소신장검정에서는 HBR의 농도에 관계없이 IAA 0.1ppm 이하에서는 상승작용을 하였으나 0.3ppm 이상의 혼용에서는 상가적인 반응을 나타내었다. 3. 무 하배축신장검정에서는 자엽의 유무에 의해 반응이 다르게 나타났는데, 자엽을 제거한 절편에서는 IAA 3ppm과 HBR과의 혼용조합을 제외하고는 대부분의 혼용조합이 길항적인 반응을 보였다. 4. 이상에서와 같이 검정방법간 혼용효과가 뚜렷한 차이가 있었으며, 공시재료에 따라 상호작용의 효과가 다르게 나타났는데 auxin의 함량이 비교적 높은 생장점을 가진 절편에서는 대체로 길항작용을 보인 반면, 선단부를 제거하여 내생호르몬이 불안정한 절편에서는 상가 또는 상승작용을 보였다.

  • PDF

Hard tissue formation after direct pulp capping with osteostatin and MTA in vivo

  • Ji-Hye Yoon;Sung-Hyeon Choi ;Jeong-Tae Koh ;Bin-Na Lee ;Hoon-Sang Chang;In-Nam Hwang; Won-Mann Oh;Yun-Chan Hwang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46권2호
    • /
    • pp.17.1-17.9
    • /
    • 2021
  • Objectives: In recent in vitro study, it was reported that osteostatin (OST) has an odontogenic effect and synergistic effect with mineral trioxide aggregate (MTA) in human dental pulp cells. Therefor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whether OST has a synergistic effect with MTA on hard tissue formation in vivo. Materials and Methods: Thirty-two maxillary molars of Spraque-Dawley rats were used in this study. An occlusal cavity was prepared and the exposed pulps were randomly divided into 3 groups: group 1 (control; ProRoot MTA), group 2 (OST 100 μM + ProRoot MTA), group 3 (OST 10 mM + ProRoot MTA). Exposed pulps were capped with each material and cavities were restored with resin modified glass ionomer. The animals were sacrificed after 4 weeks. All harvested teeth were scanned with micro-computed tomography (CT). The samples were prepared and hard tissue formation was evaluated histologically. For immunohistochemical analysis, the specimens were sectioned and incubated with primary antibodies against dentin sialoprotein (DSP). Results: In the micro-CT analysis, it is revealed that OST with ProRoot MTA groups showed more mineralized bridge than the control (p < 0.05). In the H&E staining, it is showed that more quantity of the mineralized dentin bridge was formed in the OST with ProRoot MTA group compared to the control (p < 0.05). In all groups, DSP was expressed in newly formed reparative dentin area. Conclusions: OST can be a supplementary pulp capping material when used with MTA to make synergistic effect in hard tissue form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