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ymptomatic epilepsy

검색결과 9건 처리시간 0.028초

수면중 간질발작을 주소로 하는 증후성 간질 환아 증례 보고 (A Case Report of Symptomatic Epilepsy)

  • 김윤영;민상연;김장현
    • 대한한방소아과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85-93
    • /
    • 2009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port a case which gave various remarkable epilepsy treatment results by using oriental medicine. Methods We treated the patient with acupuncture as a main treatment and herbal medicine. We also recommended to the patient and patient's parents to continue oriental medical treatment for 2 years from now because symptomatic epilepsy is a type of disease which needs long term care. Results The epileptic seizure has been well controlled for 12 months so far, and the results was recorded by EEG. The EEG level was in normal range. Conclusions Even though this is only one case of the study but this case has an important meaning because the epilepsy was treated by oriental medicine, especially acupuncture treatment. The control of the symptomatic epileptic seizure was effective by means of increasing patient's quality of life. Further studies about effective treatment of symptomatic epilepsy would be needed with more various cases.

  • PDF

간질의 분류법에 대한 동서의학적 문헌고찰 및 새로운 제안 (A Critical Review on the Epilepsy-related Classification Systems Delineated in the Literatures both Western and East Asian Medicine : A Suggestion to Develope a New Classification)

  • 손광현;김문주
    • 대한예방한의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35-148
    • /
    • 2010
  • The major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classification of epileptic seizure types and epilepsy described in the literatures of both Western and East Asian medicine, especially based on the two criteria- a theoretical and a practical aspect of the classification systems. Currently, the 1981 classification of epileptic seizure types, and the 1989 classification of epilepsy syndromes and epilepsies which were proposed and approved by the International League Against Epilepsy(ILAE) have been generally accepted worldwide, although a variety of modifications have been consistently suggested. A large proportion of epilepsy cases cannot be easily classified as either 'focal' or 'generalized' or as either 'symptomatic' or 'idiopathic', so they fail to be precisely fallen into any of the ILAE categories. Terms and concepts used in the East Asian medicine are also inadequate to identify epileptic seizure types and epilepsy syndromes as discrete diagnostic entities because of ambiguities in definition and use. Therefore, this article suggests an alternative approach not only more helpful in understanding mechanism of epilepsy but also more easily applicable and effective in clinical value.

소아와 성인의 난치성 간질 환자에서 미주신경 자극술의 효과 (Effects of Vagus Nerve Stimulation on Adults and Children with Refractory Epilepsy)

  • 김천식;노영주;최상용;김대식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141-146
    • /
    • 2006
  • Vagal nerve stimulation (VNS) has been proposed as a possible way to improve the control of refractory epilepsy. We report the effects following VNS treatment in patients with refractory epilepsy. Seventeen patients with a mean age of 12.8 years, ranging from 5 to 29 years, underwent the implantation of vagal nerve stimulation (Cyberonics, Houston, TX). We reviewed the clinical findings before and after VNS in seizure frequency, number of antiepileptic drugs (AED), and quality of life (QOL). All of the patients had intractable seizures, eleven of the patients had additional medical complications, three had hippocampus atrophy, one had encephalomalacia, five had encephalitis, one had pachygyria, and one had schizencephaly. Thirteen patients had symptomatic partial epilepsies, three patients had Lennox-Gastaut syndrome and one had cryptogenic partial epilepsy. The mean follow up duration was 35 months. The mean reduction of seizure frequency compared with baseline before VNS was 26.1% after 3 months (p<0.005), 41.9% after 6 months (p<0.001), 46.9% after 1 year (p<0.001), and 53% at the latest follow-up (p<0.001). Twelve patients showed an improvement of QOL such as mood, language, alertness, expression, and motor function. The most common side effects were transient hoarseness or voice change or cough, which was detected in six patients (35%) and wound infection in one patient (5%). This study has shown a good anti-seizure effect of VNS, decrease in seizure frequency and improvements in QOL. We concluded that VNS is a beneficial therapy in refractory epilepsy with a non-resectable epileptic focus. Further studies should be focused on the prediction of unresponsiveness and the adjustment of VNS parameters for maximum efficacy in patients with various medical histories.

  • PDF

Long-Term Management of Seizures after Surgical Treatment of Supratentorial Cavernous Malformations : A Retrospective Single Centre Study

  • Dziedzic, Tomasz A.;Koczyk, Kacper;Nowak, Arkadiusz;Maj, Edyta;Marchel, Andrzej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65권3호
    • /
    • pp.415-421
    • /
    • 2022
  • Objective : Seizure recurrence after the first-ever seizure in patients with a supratentorial cerebral cavernous malformation (CCM) is almost certain, so the diagnosis and treatment of epilepsy is justified. The optimal method of management of these patients is still a matter of debate. The aim of our study was to identify factors associated with postoperative seizure control and assess the surgical morbidity rate. Methods : We retrospectively analysed 45 consecutive patients with a supratentorial CCM and symptomatic epilepsy in a single centre. Pre- and postoperative epidemiological data, seizure-related patient histories, neuroimaging results, surgery details and outcomes were obtained from hospital medical records. Seizure outcomes were assessed at least 12 months after surgery. Results : Thirty-five patients (77.8%) were seizure free at the long-term follow-up (Engel class I); six (13,3%) had rare, nocturnal seizures (Engel class II); and four (8.9%) showed meaningful improvement (Engel class III). In 15 patients (33%) in the Engel I group; it was possible to discontinue antiepileptic medication. Although there was not statistical significance, our results suggest that patients can benefit from early surgery. No deaths occurred in our study, and mild postoperative neurologic deficits were observed in two patients (4%) at the long-term follow-up. Conclusion : Surgical resection of CCMs should be considered in all patients with a supratentorial malformation and epilepsy due to the favourable surgical results in terms of the epileptic seizure control rate and low postoperative morbidity risk, despite the use of different predictors for the seizure outcome.

Clinical Features and Treatment of Pediatric Cerebral Cavernous Malformations

  • Ji Hoon Phi;Seung-Ki Kim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67권3호
    • /
    • pp.299-307
    • /
    • 2024
  • Cerebral cavernous malformation (CCM) is a vascular anomaly commonly found in children and young adults. Common clinical presentations of pediatric patients with CCMs include headache, focal neurological deficits, and seizures. Approximately 40% of pediatric patients are asymptomatic. Understanding the natural history of CCM is crucial and hemorrhagic rates are higher in patients with an initial hemorrhagic presentation, whereas it is low in asymptomatic patients. There is a phenomenon known as temporal clustering in which a higher frequency of symptomatic hemorrhages occurs within a few years following the initial hemorrhagic event. Surgical resection remains the mainstay of treatment for pediatric CCMs. Excision of a hemosiderin-laden rim is controversial regarding its impact on epilepsy outcomes. Stereotactic radiosurgery is an alternative treatment, especially for deep-seated CCMs, but its true efficacy needs to be verified in a clinical trial.

미숙아 동맥관 개존증의 외과적 교정에 관한 임상적 고찰 (Clinical Considerations of the Surgical Closure of the PDA in the Premature Infants)

  • 김상익;박철현;현성열;김정철;권진형;박국양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2권8호
    • /
    • pp.702-708
    • /
    • 1999
  • 배경: 미숙아 동맥관 개존증의 약물적 치료로 Indomethacin을 사용하는데 이때 발생하는 합병증, 부적응증, 또는 동맥관이 다시 열릴 경우 외과적으로 교정함으로써 수술에 따른 위험성 및 합병증이 적고 지속적인 동 맥관 폐쇄가 가능하다. 대상 및 방법: 1996년 4월부터 1998년 8월까지 동맥관 개존증을 동반한 미숙아중 수 술 당시의 체중이 1.5 kg 이하인 11명의 환아(남아: 5, 여아: 6)를 대상으로 하였다. 술전 동반질환으로 선천 성 심질환(7), 유리질막증(6), 폐렴(4), 뇌실내 출혈(4), 기흉(3), 고빌리루빈혈증(2), 괴사성 장염(2), 신부전증 (1), 간질(1), 수두증(1) 등이 있었다. 사용된 외과적 술식은 헤모클립을 사용한 경우(8)와 동맥관을 결찰한 경 우(3)가 있었다. 동맥관의 크기는 3~6 mm(5.0$\pm$1.2)였다. 결과: 동맥관을 폐쇄한후 수축기 및 확장기 혈압이 상승하였고 심박동수는 감소하였다. 동맥혈 개스 결과도 호전되었다. 수술과 관련된 합병증은 없었다. 술후 6명의 환아에서 호흡기 증상의 호전과 함께 인공호흡기이탈이 가능했고 모두 외래 추적 관찰중이다(3개월~ 12개월). 술후 5명의 환아가 사망하였는데 사망 원인은 유리질막증(2례), 기관지폐 이형성증과 폐렴(1례), 패 혈증(1례), 심부전증과 특발성 호흡곤란증(1례)이었다. 결론: Indomethacin에 부적응증 혹은 합병증이 있거나, Indomethacin용법에 효과가 없거나 또는 혈역학적으로 의미있는 단락을 동반하는 미숙아 동맥관의 우선 치료 법은 조기 외과적 교정술이다.

  • PDF

항전간제로 조절된 간질 환아에서 약물 중지 후 추적 관찰 - 재발위험인자 (A Follow-Up Study after Discontinuation of Antiepileptic Drug Therapy in Children with Well-Controlled Epilepsy : The Factors that Influence Recurrence)

  • 정사준;정혜전;최영미;조의현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5권12호
    • /
    • pp.1559-1570
    • /
    • 2002
  • 목 적 : 간질 치료에 있어서 치료 중 무 발작 기간이 장기간 지속되는 환자에서 항전간제를 언제까지 투여할 것인가에 대한 답은 아직 확실히 제시된 바없다. 따라서 무 발작기간이 지속되는 환자들에서 항전간제 투여 중지 후 재발에 관계된 위험인자를 분석-평가함으로서 항전간제 중지시기에 대한 안내 지침에 도움이 되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 1993년부터 1998년 6월까지 경희대학교 의과대학 부속병원에서 간질로 진단받고 항전간제 투여 후 최소 2년 동안 무 발작으로 조절되어 약물투여가 중지된 환아 169명(남자 102명, 여자 67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간질의 진단은 임상 병력, 신경학적 및 이학적 소견, 검사실 소견과 발작 간기에 기록한 뇌파를 기준으로 하였으며 필요한 경우 뇌의 구조병변의 유무를 규명하기 위하여 두부 전산화 촬영이나 자기공명상을 실시하였다. 재발 위험 인자는 성별, 초 발작 연령, 간질 가족력, 열성 경련의 병력, 간질의 원인, 발작형, 치료 전 발작 횟수, 신경학적 이상 여부, 발작 발생부터 치료 시작까지의 기간, 항전간제 사용에서 최종 발작까지의 기간, 총 약물 치료 기간, 약물 치료 중 재발여부, 항전간제 치료 중지 직전의 뇌파, 항전간제의 수, 항전간제 중지 시 연령, 무 발작 기간, 등 총 16가지를 선정하여 Kaplan-Meier 생존 분석에 의한 단 인자분석(전체, 특발성, 증후성)과 Cox-regression 모형에 의한 다 인자 분석을 각각 시행하였다. 결 과 : 대상 환아 총 169명 중 재발한 경우가 49명(28.9%)에서 나타났으며, 항전간제 치료기간은 평균 4.1년(2-13년)이었고 항전간제 치료 중지 후 평균 추적 관찰 기간은 4.1년, 무 발작 기간은 평균 3.3년(2-5년)이었다. 각 위험인자에 따른 단 인자 분석에서 초 발작 연령이 1세 미만인 경우, 간질의 원인이 증후성, 발작형이 영아연축 및 레녹스 증후군>부분 발작군>전신 발작군=롤락딕 발작군 순으로 재발률이 높았다. 또한 신경학적 이상을 보인 군과 발작 조절기간이 0인 경우보다 2년 이상인 군과 조절에 사용한 약물수가 2개 이상인 경우, 약물 중지 시 연령이 6세 이하인 군과 무 발작 기간이 2년>3-4년>4년 이상인 순으로 재발율이 높게 나타났다. 결 론 : 항전간제로 치료 시작 후 2년을 초과한 기간동안 무 발작이 계속되고 있는 6세 이상의 간질 환아에서는, 발작초발 연령이나 발작형, 사용하고 있는 항전간제의 수, 치료 시작 후 발작조절에 걸린 기간, 총 치료기간, 발작의 원인, 신경학적 이상 여부 등을 고려하여, 또 항전간제를 끊고자 하는 환아나 보호자의 의지 등에 따라 항전간제의 중단을 고려하여야 한다.

첫 경련으로 발현된 소아기 간질지속상태(status epilepticus)의 임상 특성과 예후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outcomes of status epilepticus as an initial seizure in children)

  • 김미정;김영옥;김선희;최우연;변형석;김찬종;우영종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9권6호
    • /
    • pp.659-664
    • /
    • 2006
  • 목 적 : 영아 및 소아기에 SE는 발생률이 어른에 비해 높고 첫 경련으로 나타나는 경우가 많으며 뇌 손상을 일으키기 쉽다. 본 연구에서는 첫 경련이 SE로 발현한 소아 환자들을 대상으로 경련의 원인, 임상 특성 및 예후를 알아보고, 초기 발병 연령이 2세 미만과 이상인 경우와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비교해 보고자 하였다. 방 법 : 2000년 1월부터 2004년 1월까지 전남대학교병원 소아과를 방문한 생후 1개월부터 15세 사이의 소아들 중 첫 경련이 SE로 진단되어 입원하였던 78명(2세 미만 39례와 이상 39례)을 대상으로 하였다. 결 과 : 5세 미만이 62례(79.5%)로 대부분이었으며, 남녀 비는 1.3 : 1이었다. SE의 원인은 발열성이 27례(34.6%)로 가장 많았으며, 발열성 원인은 2세 미만군(46.1%)에서 2세 이상군(23.1%)에 비해 유의하게 많았다(P<0.05). SE의 발작 형태는 전신 강직, 간대, 강직간대발작이 총 67례 (85.9%)로 가장 많았다. SE로 인해 총 5례가 사망하여 사망률은 6.4%였다. SE 후 간질의 발생은 19례(24.4%)에서 볼 수 있었으며 연령군에 따른 차이는 볼 수 없었다. SE 이전에 정상 발달을 보였던 62례(2세 미만 32례, 2세 이상 30례) 중 총 20례(32.3%)에서 SE 후 신경학적 후유증이 관찰되었으며, 2세 이상군에서 보다 높은 발생 빈도를 보였다(2세 미만 7례, 21.9% vs. 2세 이상 13례, 43.3%)(P<0.05). 결 론 : 소아에서 첫 경련이 SE로 발현한 경우 2세 미만군이 2세 이상군에 비해 신경학적 후유증 발생 및 사망률이 의의 있게 낮았으며 이는 SE의 원인 질환의 차이에 기인하는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