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Swine house

검색결과 57건 처리시간 0.03초

고상식돈사의 분뇨처리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a Two-storey Pig House for the Control of Manure)

  • 정종원;유용희;박규현;감동환;이문주
    • 한국축산시설환경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175-182
    • /
    • 2008
  • 국내 2층돈사 및 톱밥돈사의 분뇨처리 실태 조사를 토대로 국내 실정에 알맞은 고상식돈사의 적정분뇨 처리방법을 구명하고자 수행하였다. 1. Control 1, T1, T2에서 분뇨처리상 평균 온도는 $25.3{\sim}25.4^{\circ}C$로 차이가 적었고, 공기유동은 Control 1과 T1의 공기유동보다 T2에서 공기유동이 적었으며 먼지 발생량은 Control 1에서 54 cpm로 T1과 T2 보다 많이 발생되었다. 2. 암모니아 농도는 $0.5{\sim}14.5ppm$로 Control 1가 평균 6.0 ppm으로 가장 높았고, T1(2.8 ppm)과 T2(2.6 ppm)에서 낮았으며, 처리간에 유의차(p<0.05)가 있었다. 또한 톱밥살포 전, 후의 암모니아 농도를 비교한 결과 톱밥을 살포하는 Control 1과 T1 처리구에서 감소효과가 있었다. 3. 이산화탄소($CO_2$)의 농도는 T1(581 ppm) 처리구에서 제일 낮았고, 수분함량은 Control 1과 T2에서 적정 수분함량인 65%에 근접하였으며, T1에서는 수분함량과 pH가 가장 높았으며 유기물함량과 탄질비는 가장 낮았다. 4. 두당 톱밥살포량은 Control 1과 T2에서 각각 0.26, $0.27m^3$로 T1 보다 적었고, 브로어 등 경영비에서는 T2 처리구가 좋았다. 따라서 분뇨처리상에서 톱밥을 10 cm 바닥에 덮고, 주기적으로 2층에서 톱밥을 살포하는 T2 처리구가 좋은 것으로 사료된다.

  • PDF

돈분뇨 발효액을 이용한 녹색꽃양배추 및 양미나리 관비재배 실용화 연구 (A Study on the Fertigation of Swine Liquid Manure for Broccoli and Celely Western Vegetables)

  • 김원배;배원호;장석우;권영기;허권;임상철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50-56
    • /
    • 2002
  • 돈분뇨 발효액을 이용하여 녹색꽃양배추, 양미나리 관비재배 효과를 검정하고 이때의 적정 액비농도를 구명하고자 돈분뇨 발효액을 5, 10, 25 그리고 50배 희석(Ef. 5, Ef. 10, Ef. 25, Ef. 50)하여 시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작물 재배 후 토양분석결과 두 작물 공히 산도 및 칼륨은 액비농도가 진한 Ef. 5 처리구에서 낮았으나, Ef. 25, Ef. 50 처리구에서는 높았다. 반면 전기 전도도, 인산, 유기물함량, 그리고 질산태 질소는 액비농도가 낮은 Ef. 50 처리구에서 낮았으며, Ef. 5 처리구에서는 높아지는 경향이었다. 식물체 분석은 두작물 공히 총 질소는 액비농도가 진해짐에 따라 식물체내의 농도가 증가되었다. 유효 인산은 처리구에 관계없이 큰 차이가 없었다. 생육과 수량을 살펴보면 녹색꽃양배추의 경우 엽장, 엽폭 및 초장은 Ef. 50에서 생육이 가장 좋았다. 화뢰고와 화뢰폭은 액비농도가 낮은 Ef. 25와 Ef. 50 처리구에서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화뢰중 또한 무거웠다. 양미나리 는 엽장에서 Ef. 25와 Ef. 50 처리구에서 컸으며 ,수량은 관행대비 Ef. 25와 Ef. 50 처리구에서 각각 2배 증수되었으나, 고농도 처리인 Ef. 5에서 큰 폭으로 감소되었다. 이상의 결과 녹색꽃양배추 및 양미나리의 관비재배시 발효돈분뇨의 희석농도는 25∼50배가 적정한 것으로 나타났다.

양돈사 내 동물 활동도에 따른 암모니아 및 미세먼지 배출농도 특성 분석 (An Investigation of Emission of Particulate Matters and Ammonia in Comparison with Animal Activity in Swine Barns)

  • 박진선;정한나;이세연;최락영;홍세운
    •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
    • 제63권6호
    • /
    • pp.117-129
    • /
    • 2021
  • The movement of animals is one of the primary factors that influence the variation of livestock emissions. This study evalu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animal activity and three major emissions, PM10, PM2.5, and ammonia gas, in weaning, growing, and fattening pig houses through continuous monitoring of the animal activity. The movement score of animals was quantified by the developed image analysis algorithm using 10-second video clips taken in the pig houses. The calculated movement scores were validated by comparison with six activity levels graded by an expert group. A comparison between PMs measurement and the movement scores demonstrated that an increase of the PMs concentrations was obviously followed by increased movement scores, for example, when feeding started. The PM10 concentrations were more affected by the animal activity compared to the PM2.5 concentrations, which were related to the inflow of external PM2.5 due to ventilation. The PM10 concentrations in the fattening house were 1.3 times higher than those in the weaning house because of the size of pigs while weaning pigs were more active and moved frequently compared to fattening pigs showing 2.45 times higher movement scores. The results also indicated that indoor ammonia concentration was not significantly influenced by animal activity.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e sense that it could provide realistic emission factors of pig farms considering animal's daily activity levels if further monitoring is carried out continuously.

보리-고추와 보리-콩 작부체계에서 이산화탄소수지 평가 (Evaluation of CO2 Balance in the Barley-Red Pepper and Barley-Soybean Cropping System)

  • 김건엽;서상욱;고병구;정현철;노기안;심교문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1권6호
    • /
    • pp.408-414
    • /
    • 2008
  • 온실가스의 농도 증가에 따른 지구온난화로 기후변화 및 환경적 영향이 증가하고 있으며, 다른 산업 분야별 온실가스 저감 노력이 계속 되고 있다. 농경지에서 온실가스 배출 저감 및 탄소 수지 연구를 통하여 농업생산 활동이 온실가스를 배출 이외에도 탄소를 고정 또는 축적 기능이 있다는 것을 밝히고자 하였다. 먼저 작물 작부체계에 따른 탄소 수지를 평가하고자 대기 중 이산화탄소 자동측정 장치를 개발하여 $CO_2$ 함량 변화를 조사하였다. 이를 통해 작물 생태계 내에서 보리-콩 및 보리-고추 작부체계의 생태계 순 생산량이 화학비료를 사용한 NPK 처리구와 돈분 퇴비를 추가한 NPK+돈분 퇴비 처리구를 두고 $CO_2$ 함량을 조사하였다. 보리-콩 작부체계의 NPK 및 NPK+퇴비처리구는 각 $6.3,\;10.6ton\;CO_2\;ha^{-1}$ 그리고 보리-고추작부체계에서는 $12.0,\;13.2ton\;CO_2\;ha^{-1}$이 축적된 것 으로 나타났다. 토양 탄소수지 평가에서는 보리-콩 작부체계에서 토양 유기 탄소 축적은 $0.7ton\;C\;ha^{-1}$, 보리-고추에서 $0.5ton\;C\;ha^{-1}$이 토양 중에 저장하였다. 이로써 농경지가 탄소 저장원 역할을 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Production of Porcine Embryos in Different Culture Medium

  • Lee, S. Y.;Park, Y. H.;Park, C. K.
    • 한국동물번식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동물번식학회 2003년도 학술발표대회 발표논문초록집
    • /
    • pp.67-67
    • /
    • 2003
  • Early development of porcine oocytes fertilized in vitro was examined in different culture conditions. Porcine ovaries were collected from local slaughter-house. Cumulus-oocytes complexes were aspirated from 2 to 6 mm follicles. The collected oocytes were cultured for in vitro maturation in NCSU-23 medium with 5 mM hypotaurine, 0.57 mM cystein, 10% porcine follicle fluid, 10 IU/ml PMSG and 10 IU/ml hCG for 42~44 hrs. The frozen-thawed spermatozoa were washed by centrifigation 2 times at 1, 500 rpm in D-PBS with 5.56 mM glucose, 0.33 mM Na-pyruvate, 100 IU/ml penicillin, 1$\mu\textrm{g}$/ml streptomycin and 1ng/ml BSA. The fertilization medium used mTBM with 2 mM caffeine and 2 mg/ml BSA and adjusted to a pH of 7.2 to 7.4. The final concentration of spermatozoa was adjusted to 2.5$\times$10$^{6}$ cells/ml motile sperm during fertilization in vitro. At 8hrs h after insemination, the oocytes were transferred into NCSU-23 medium with 5.0 mM hypotaurine and 4 mg/ml BSA and cultured for 7 days. In first experiment, the mean numbers of oocytes collected from 20 ovaries were 674.4 oocytes, and 4.1(27.6), 12.5(84.0), 25.4(171.6) and 57.9%(390.8) for A, B, C and D grade in morphological classification. In the second experiment, when culture medium was supplemented with various concentrations of EGF, the proportions of oocytes cleaved were 56.9, 55.7, 61.9 and 54.7% for 0, 5, 10 and 20ng/ml EGF. The higher proportions(15.1%) of oocytes developed to morular stage were obtained at concentration of 10ng/ml than 0 and 5ng/ml EGF (P<0.05). However, the proportions of embryos developed to blastocyst stage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concentrations of EGF. In another experiment, when the medium supplemented with catalase was used, the proportions of oocytes cleaved were higher in the concentration of 0 unit (56.5%, 61/108) than 100 and 1, 000 unit/ml of catalase (P<0.05). Although the developmental capacity of embryos was improved by medium with 0 unit/ml compared with 100, 500 and 1, 000 units/ml of catalase in oocytes developed to morula and blastocyst stage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concentrations of catalase.

  • PDF

이산화염소 가스분무에 의한 양돈장 악취저감 효과 (Conducted to Verify the Effect of Chlorine Dioxide (ClO2) on Odor Reduction at a Commercial Swine Facility)

  • 송준익;전중환;박규현;유용희;김두환
    • 한국축산시설환경학회지
    • /
    • 제17권sup호
    • /
    • pp.43-50
    • /
    • 2011
  • 본 연구는 무창 자돈사 및 육성 비육돈사에 대한 악취 제어를 위하여 이산화염소 가스를 이용한 악취 제어 효율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실험은 일반농장에서 실시하였으며 실험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무창 자돈사는 환기시스템이 덕트입기 방식이어서 즉, 상부 덕트 바로 하부에서의 공기속도는 4.53 m/s로 나타나 입기구를 통하여 들어오는 공기에 의하여 돈방내 전체적인 공기의 흐름이 나타나 효과적으로 환기가 되었다. 그리고 무창 육성비육사는 공기속도의 분포 흐름은 돼지의 생활공간 (하부)에서는 0.26 m/s로 나타났다. 2. 무창 자돈사내부에서의 암모니아 가스는 이산화염소 가스를 분무하기 전에는 9 ppm 전후로 측정되었으나, 이산화염소 가스 분무후 돈사내 암모니아 농도는 3 ppm 이하로 나타나 70% 이상 저감되었지만 황화수소는 검출이 거의 되지 않았다. 3. 무창육성비육돈사의 환기시스템에 의한 유해가스 (암모니아)의 농도를 분석한 결과로써, 돈사내부는 $26mg/{\ell}$로 유지되었지만 돈사외부로 배출된 가스는 이산화염소 가스와 혼합되어 11 ppm으로 감소되었으며 바이오 커텐 외부에서의 측정 결과 1 ppm 이하로 측정되어 암모니아 가스가 거의 측정되지 않았다. 이상의 실험결과를 종합해 볼 때 무창 돈사에 있어서 이산화염소 가스 분무에 의한 돈사 내외부에서 암모니아 등의 악취를 외부에 휘산시키는 농도를 저하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HACCP 적용 농장의 병원성 세균 관리수준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Management Level of Pathogenic Bacteria in HACCP System Implemented Animal Farms)

  • 이지윤;이주연;백승희;황인진;이경순;김영수;김병훈;김현수;강수철;조재진;박민서;석희진;남인식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3권1호
    • /
    • pp.67-74
    • /
    • 2011
  • 본 연구는 한우, 젖소, 돼지, 산란계 HACCP 적용 농장의 분변, 원유 및 사육환경에서 병원성세균 등 분석을 통하여 HACCP 적용 농장의 생물학적 위해 관리 실태를 파악하고자 하고 이를 농장 HACCP 시스템 적용에 관한 기초 연구 자료로 사용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미생물 시료는 HACCP을 적용 중인 한우, 젖소, 돼지, 산란계농장의 축사바닥분뇨, 퇴비사, 원유탱크, 집란기, 분변 벨트 등에서 채취 하였으며 축산식품의 생물학적 위해인 Pathogenic E. coli, Salmonella spp. S. aureus 등을 분석하였다. 각 축종별 대장균은 분변에서 100% 검출되었으나 Salmonella spp.는 검출되지 않았다. 또한 젖소농장의 원유 냉각기에서도 S. aurues가 검출되지 않았다. 그러나 돼지농장의 돈사바닥 및 퇴비장에서는 검사건수 30건당 각각 2건, 1건의 Salmonella spp.가 검출되었다. 마찬가지로 산란계농장의 계사바닥 및 분변벨트에서도 전체분석 건수 대비 10~20%의 Salmonella spp.가 검출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문헌상 보고되고 있는 일반축산농가의 병원성세균 관리실태와 간접 비교하였을 경우 HACCP 시스템을 적용중인 축산농가에서의 일반축산농가보다 병원성 세균관리가 더욱 철저히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Conjugated Linoleic Acid(CLA) 급여수준과 급여기간이 돈육의 조직감과 지방산 조성에 미치는영향 (Effect of Conjugated Linoleic Acid(CLA) Feeding Levels and Periods on Textural Property and Fatty Acid Composition of Pork)

  • 이정일;하영주;곽석준;이중동;김두환;강근호;허선진;박구부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5권6호
    • /
    • pp.1047-1060
    • /
    • 2003
  • Conjugated linoleic acid(CLA)를 비육돈에 급여하여 비육돈 체조직내에 CLA를 축적시키고, CLA가 축적된 돈육의 품질특성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CLA는 alkaline isomerization 방법으로 식용유를 이용하여 전체 CLA 이성체가 50%인 CLA를 화학적으로 합성하였다. 대조구는 80${\sim}$110 kg 까지는 일반사료회사에서 생산하는 사료를 급여하였으며, 처리구 1은 출하(출하체중:110 kg) 2주전부터 일반사료회사에서 생산하는 사료에 CLA를 1.25% 첨가하여 급여하였으며, 처리구 2는 출하 2주전부터 사료 함량에 CLA를 2.5% 첨가하여 급여하였다. 처리구 3은 사료 함량에 1.25% CLA를 첨가하여 4주간 급여하였으며, 처리구 4는 2.5% CLA를 4주간 급여하였다. 급여기간이 끝난 후 일괄적으로 함양도축장에서 도축하여 돈육의 등심부위를 함기포장하여 냉장온도(4$^{\circ}C$)에서 14일간 저장하면서 각 실험항목을 조사하였다. 저장기간에 따른 돈육등심의 CLA 함량, 콜레스테롤, 지방산 조성, 지방산화, 조직감 및 연도 등을 조사하여 CLA가 축적된 돈육의 저장기간에 따른 품질특성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CLA 급여수준과 급여기간이 전단가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처리구간의 비교에서 저장 8일 까지는 처리구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지만 저장 11일과 14일에는 대조구가 CLA 급여 처리구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낮은 전단가를 보였다(P〈0.05). 모든 처리구들이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낮아지는 결과를 보였다(P〈0.05). 경도는 전 저장기간 동안 처리구간의 비교에서 대조구와 CLA 급여 처리구간에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며, 저장기간의 경과에 따른 변화는 모든 처리구가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점착성은 대조구와 CLA 급여 처리구간에 뚜렷하게 차이나는 경향이 없고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뚜렷한 변화가 없었다. TBARS 변화는 전 저장기간동안 처리구간의 비교에서 CLA를 급여하지 않은 대조구에 비하여 CLA를 급여한 처리구가 유의적으로 낮은 TBARS를 보였다(P〈0.05). 저장기간에 따른 비교에서는 모든 처리구가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콜레스테롤 함량은 저장 2일에 대조구와 비교해서 CLA 급여 처리구가 유의적으로 낮은 콜레스테롤 함량을 나타내었으며(P〈0.05), T4 처리구가 가장 낮은 콜레스테롤 함량을 나타내었다(P〈0.05). 지방산 조성은 전 저장기간동안 CLA 급여수준과 급여기간이 증가할수록 myristic, palmitic 및 stearic acid 함량은 유의적으로 증가하며(P〈0.05), 반면에 oleic, linoleic 및 arachidonic acid 함량은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P〈0.05). CLA 함량을 보면 CLA를 급여하지 않은 대조구는 CLA가 검출되지 않았지만 CLA 급여 처리구에서는 CLA 급여수준과 급여기간이 증가할수록 육내 축적율이 직선적으로 증가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보면 CLA를 육내에 축적시킬 수 있으며, CLA가 축적된 돈육은 저장 중 지방산화를 억제하는 항산화 능력이 있어 고품질 . 고기능성 돈육생산이 가능하다고 사료된다.

Polymerase chain reaction을 이용한 실험적 감염 돼지의 혈액과 조직으로부터 Toxoplasma gondii 검출 (Detection of Toxoplasma gondii in experimentally infected porcine blood and tissues by polymerase chain reaction)

  • 신명득;신기욱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41권1호
    • /
    • pp.89-98
    • /
    • 2001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ct the toxoplasma specific-DNA in circulating blood and organs collected from slaughtered pigs at slaughtering house and experimentally infected pigs with Toxoplasma gondii tachyzoites by polymerase chain reaction(PCR), and also PCR was applied to diagnose for acute phase of swine toxoplasmosis as a newly developed diagnostic test. The sensitivity of oligonucleotide primer, T-1 & T-2, designed from toxoplasma B1 gene amplification method was compared with Tp parasite detection by mouse inoculation(MI). On the other hand, latex agglutination test(LAT) was conducted to detect the serum antibodies comparing with the detection of toxoplasma by PCR and MI. The results obtained were summarized as follows. PCR was able to determine at the lowest level of $10^0/ml$ T. gondii in blood samples which were blended with a serial diluted T gondii in vitro. On the other hand, $10^2/5g$ of T gondii could detect from a variety of tissues including lung, diaphragm, liver, heart, spleen and brain in vitro. The primer was proved to specifically determine T gondii in blood and tissues in vitro but it did not detect Neospora caninum used as a negative control. DNA of T. gondii was effectively extracted by freezing, thawing and grinding twice both tissues mixed with T gondii in vitro and in experimentally infected pig's tissues. PCR detected specific DNA in the blood of experimentally infected pigs at 108 hrs and 120 hrs post-infection, it was the same time that the pigs showed fever and parasitaemia. In case of tissue, specific DNA was, however, detected only lung from experimentally infected pigs. Even though the duration of acute phase was from 3 to 7 days post-infection, but the latex agglutination test (LAT) results appeared from 8 days post-infection. A comparison of sensitivity in determining T gondii in blood samples between PCR and MI, PCR positive rate ranged from 25 to 33.3%, but that of MI covered from 75 to 100%.

  • PDF

적외선 센서를 이용한 돼지 체온 모니터링 (Monitoring of Pig Body Temperature Using Infrared Sensors)

  • 장진철;이준엽;이상윤;김혁주;최동윤;이성현;김현태
    • 한국축산시설환경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91-96
    • /
    • 2014
  • The temperature of a pig is the most key point in determining, it's health status. We wanted to monitor the body temperature of pig to find out if any changes would occur, we used 3 minipigs (about 20 kg) who were feed using a feeding system while being confined in a pig house. The infrared testings were taken from a height of 30 cm above the pigs backs over a period of 28 days. We were able to conclude that the results between the back and indoor temperature were y = 0.5487x + 18.459. These values were compared with the values found after infrared sensor results were taken. We found an error range of $0.004{\sim}1.82^{\circ}C$ and an average of $0.58^{\circ}C$. In conclusion, using an infrared thermometer made monitoring of pigs back possible. This system seems to be feasible and effective in monitoring pig tempera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