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welling index

검색결과 157건 처리시간 0.032초

고구마전분-sucrose 복합물의 레올로지 특성 (Rheological Properties of Sweet Potato Starch-sucrose Composite)

  • 조선아;유병승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184-189
    • /
    • 2008
  • 농도(0, 10, 20, 30%, w/w)를 달리한 sucrose가 혼합된 고구마 전분 페이스트(5% w/w)의 정상유동 특성과 동적 점탄특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평가하였다. 고구마전분-sucrose 복합물의 정상유동 특성은 power law 모델 및 Casson 모델로부터 레올로지 계수를 결정하였다. 일정한 온도(25$^{\circ}C$)에서 모든 시료들은 높은 항복응력과 함께 pseudoplastic과 thixotropic 거동을 나타내었다. 고구마전분-sucrose 복합물의 점조도 지수(K), 겉보기 점도(${\eta}_a$), 그리고 항복응력(${\sigma}_{oc}$) 값들은 control(0% sucrose)에 비해 10% sucrose가 더 높았으며, 또한 sucrose 농도(10-30%)가 증가함에 따라 이들 값들은 감소하였다. 팽윤력은 30% 농도에서 급격한 감소를 나타내었고, 레올로지 계수(K, ${\eta}_a$, ${\sigma}_{oc}$)값이 낮게 나타난 시료는 낮은 팽윤력을 보여주었다. 온도 의존성은 25-70$^{\circ}C$ 온도 범위에서 Arrhenius 관계식에 의하여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또한 동적 점탄특성 측정 결과에 의하면 고구마전분-sucrose 복합물은 약한 젤과 같은 거동을 보여주었으며, G'과 G" 값들은 sucrose 농도와 진동수($\omega$)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Cox-Merz 중첩원리는 30% sucrose 농도를 가진 고구마전분-sucrose 복합물에서 잘 적용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sucrose 첨가에 의해 고구마전분 페이스트의 레올로지 특성이 변화하게 되며, 이들 특성은 sucrose의 농도에 의해 크게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화제로 안정처리 된 울산지역 노상재료의 강도 및 다짐특성 - 주 성분이 CaO와 SO3인 고화제 - (Strength and Compaction Characteristics of Binder-Stabilized Subgrade Material in Ulsan Area - Main Binder Components : CaO and SO3 -)

  • 한상현;여규권;김홍연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34권12호
    • /
    • pp.105-113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고화제를 이용하여 개량된 노상재료의 배합에 따른 공학적 특성과 지지력을 분석하기 위하여 실내 및 현장시험을 실시하였다. 노상토 개량에 고화제로 사용된 재료의 주성분은 CaO와 $SO_3$이다. 고화제를 현장 토공재료인 저소성 점토(CL)와 혼합한 후 입도분포는 체 굵기가 커질수록 상대적으로 통과율이 낮아져 실트질 모래(SM)로 흙의 종류가 바뀌었을 뿐 아니라 소성지수와 수정 CBR 등의 공학적 특성이 노상토에 적합하게 개선되었다. 동일한 에너지로 다짐된 개량토의 다짐곡선으로부터 최대건조단위중량은 현장토 대비 약 6%가량 증가하고 최적함수비는 약간 감소하여 상당히 입도가 개선되었다. 실내 CBR 시험에서도 동일한 다짐에너지에서 적당량의 고화제를 투입한 개량토의 단위중량과 강도 증대효과가 현저히 크게 나타났다. 고화제 투입 후 조립분의 비율이 상대적으로 증가함으로 인하여 현장토 대비 초기다짐 시 팽창비가 3.3배 이상 감소되었고, 최종다짐 시에는 6.5배 이상 작게 나타났다. 시험시공이 이루어진 구간에서 일축압축강도는 설계강도 이상을 확보하면서 균질한 값을 유지하였다. 동일한 시공조건으로 현장에 적용한 후 확인시험 결과에서도 다짐 1일 후 시험한 6개소 모두의 지지력계수가 적절한 수준에서 목표값을 상회하고 그 변동성도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새우 껍질에서 추출한 키토산의 항암 및 면역활성 (Antitumor and Immunologic Activity of Chitosan Extracted from Shell of Shrimp)

  • 류병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54-162
    • /
    • 1992
  • 수산물 폐기물을 이용하기 위하여 대롱 새우껍질에서 추출하여 만든 키토산을 마우스에 이식한 sarcoma 180을 이용하여 in vivo와 in vitro에서 항암 효과 및 면역기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실험하였다. 키토산의 sarcoma-180에 대한 고형암 성장 저지율을 40mg/kg투여시 63.84%의 저지율을 나타내었다. 수명 연장효과는 대조군에 비하여 키토산을 40mg/kg 투여하였을 때 26.84%로 그다지 높지 않았다. In vivo에서의 항암효과를 근거로 하여 in vitro에서는 sarco-ma-180에 대한 직접적인 세포의 독성 작용은 거의 없었다. 키토산은 30mg/kg과 40mg/kg을 투여시 혈중 백혈구수와 총복강세포수가 대조군에 비하여 다소 증가 하였고 장기인 간, 비장 및 흉선의 무게도 투여한 용량에 따라 증가하는 용량 의존성 반응을 보였다. 항체 유도염증 반응인 항체매개형 과민반응과 지연형 과민반응은 족척의 두께가 키토산에 의해 거의 정상 수준까지 회복되었다. Macrophage의 식작용에 미치는 영향은 phagocytic index 와 corrected phagocytic index에서 거의 차이가 없었고, 용혈성 반응 세포수(plaque forming cell, PFC)는 대조군에 비하여 PFC/$10^{7}$ spleen의 경우 18.88%와 31.83%로 다소 증가하였다.

  • PDF

지중 열교환기용 멘토나이트 뒤채움재의 화학적, 물리적 영향 요소에 관한 연구 (Chemical and Physical Influence Factors on Performance of Bentonite Grouts for Backfilling Ground Heat Exchanger)

  • 이철호;위지혜;박문서;최항석;손병후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26권12호
    • /
    • pp.19-30
    • /
    • 2010
  • 벤토나이트는 팽윤성이 좋고 투수계수가 낮아 수직 밀폐형 지중 열교환기 시공 시 보어홀(borehole)의 뒤채움재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사용되는 3가지 벤토나이트를 선정하여 배합비에 따른 점도와 열전도도를 평가하였다. 시공 조건에 따라 다양한 벤토나이트 뒤채움재의 함수비를 고려하여 점도와 열전도도 특성을 규명하기 위해 벤토나이트를 배합비(벤토나이트 무게/(벤토나이트+물) 무게) 5%, 10%, 15%, 20%, 25%로 배합하고 시간에 따른 점도와 열전도도를 측정하였다. 그리고 벤토나이트 뒤채움재가 해안지역에서 시공될 경우 지하수의 염도에 의한 영향을 검토하기 위해 배합수의 NaCl 농도가 0.1M, 0.25M, 0.5M일 때 벤토나이트 뒤채움재의 침강 특성을 관찰하였다. 벤토나이트 뒤채움재의 낮은 점도로 인해 천연규사와 같은 첨가재가 지중 열교환기 바닥에 침전될 경우 발생할 수 있는 재료분리 현상을 저점도 벤토나이트 뒤채움재를 사용하여 실험을 통해 규명하였으며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1) 벤토나이트 뒤채움재의 점도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또는 배합비가 증가함에 따라 상승하는 경향을 나타내며 벤토나이트 뒤채움재의 열전도도는 배합비가 증가하면 상승하지만 통일한 배합비에서는 시간에 따른 변화가 미미하다. (2) 벤토나이트 뒤채움재의 팽창지수가 높을수록 배합수의 NaCl 농도에 따른 침강율은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난다. (3) 저점도 벤토나이트 뒤채움재는 첨가재의 재료분리로 인해 보어홀 내의 깊이별 첨가재 분포를 비균질하게 하므로 보어홀 상부의 열전도도가 하부에 비해 작게 나타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

The Protective Effect of Melatonin Administration against Adria-mycin-induced Cardiotoxicity in Rats

  • Han, Jin;Kim, Chung-Hee;Kim, Na-Ri;Park, Ju-Hee;Yang, Young-Churl;Kim, Eui-Yong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and Pharmacology
    • /
    • 제5권4호
    • /
    • pp.333-342
    • /
    • 2001
  • Adriamycin is a commonly used chemotherapeutic agent for cancer, including acute leukemia, lymphoma, and a number of solid human tumors. However, recent studies have recognized severe cardiotoxicity after an acute dose, which are likely the result of generation of free radicals and lipid peroxidation. Therefore, the clinical uses of adriamycin have been limited. Melatonin, the pineal gland hormone known for its ability to modulate circardian rhythm, has recently been studied in its several functions, including cancer growth inhibition, stimulating the immune system, and acting as an antioxidant and radical scavenging effects. In the present study, we evaluated the effect of melatonin administration on adriamycin-induced cardiotoxicity in rat. Heart slices were prepared using a Stadie-Riggs microtome for the measurement of malondialdehyde (MDA) content used as an index of lipid peroxidation and lactate dehydrogenase (LDH) release as an indicator of lethal cell injury. Serious adriamycin-induced lethality was observed in rat by a single intraperitoneal injection in a dose-dependent manner. A single injection of adriamycin (25 mg/kg, i.p.) induced a lethality rate of 86%, with melatonin (10 mg/kg s.c. for 6 days) treatment reducing the adriamycin-induced lethality rate to 20%. The severe body weight loss caused by adriamycin was also significantly attenuated by melatonin treatment. Treatment of melatonin marked reduced adriamycin-induced the levels of MDA formation and LDH release. A cell damage indicated by the loss of myofibrils, swelling of the mitochondria as well as cytoplasmic vacuolization was seen in adriamycin-treated group. Melatonin attenuated the adriamycin-induced structural alterations. These data provide evidence that melatonin prevents adriamycin-induced cardiotoxicity and might serve as a combination with adriamycin to limit free radical-mediated cardiotoxicity.

  • PDF

지방함량 변화에 따른 도토리전분의 이화학적 특성 (Effect of lipid contents on th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acorn starch)

  • 안호경;길훈배;유해의;오두환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3권4호
    • /
    • pp.293-300
    • /
    • 1990
  • 토토리전분의 지방합량 변화에 따른 이화학적 성질 변화를 건조전분, 탈지전분 및 지방산재첨가전분을 제조하여 비교 검토하였다. 탈지와 지방산재첨가에 의한 전분 표면의 손상은 관찰되지 않았으며 건조전분, 탈지전분 및 지방산재첨가전분의 팽화력과 용해도는 측정온도 범위내에서 비슷한 경향을 보이며 증가하였으나 지방산재첨가전분의 경우 두 전분에 비해 그 값이 낮았다. 호화양상의 경우 전처리 조작에 따른 호화개시온도에는 변화가 없었으나 최고점도값과 breakdown값에는 영향이 있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전분의 유동형태는 시료전분 모두 유동거동지수값이 1보다 작고(0$2.19{\sim}2.69Kcal/g\;{\cdot}\;mol$, 탈지전분이 $2.79{\sim}3.75Kcal/g\;{\cdot}\;mol$, 지방산재첨가전분이 $1.70{\sim}2.11Kcal/g\;{\cdot}\;mol$이었다.

  • PDF

미더덕 껍질과 PVA를 혼합한 재료로부터 제조한 복합섬유의 제법과 성질(I) (Preparation and Properties of Regenerated Composite Fibers made from Styela Clava Tunics/PVA Blending(I))

  • 정영진;안병재;김홍성;최해욱;이언필;이재호;김한도;박수민;김성동
    • 한국염색가공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8
    • /
    • 2008
  • Regenerated composite fibers are prepared from solution(styela clava tunics /poly vinyl alchol) using N-methylmorpholine-N-oxide(NMMO)/water(87/13)(wt/wt) as a solvent by dry-wet spinning. The chemical cellulose (94%, ${\alpha}$-cellulose content) used for this study is extracted from styela clava tunics (SCT, Midduck), which are treated in chemical process and mechanical grinding. The structure and physical properties of regenerated composite fibers were investigated through IR-spetra, DSC, TGA and SEM. The optimal blend ratio of SCT/PVA for spinning solution was 70/30 and the total weight was 4% concentrations in NMMO/water solvent system. The fiber density, moisture contents and the degree of swelling were $1.5(g/cm^3)$ 10.2(%) and 365(%), respectively. The crystallinity index of composite fibers are decreased as the PVA contents increased. Thermal decomposition of composite fibers took place in two stages at around $250^{\circ}C$ and $550^{\circ}C$. The best thermal stability was obtained with 30% PVA contents.

Measurement of Molecular Weights of Melamine-Urea-Formaldehyde Resins and Their Influences to Properties of Medium Density Fiberboards

  • Jeong, Bora;Park, Byung-Dae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4권6호
    • /
    • pp.913-922
    • /
    • 2016
  • This study attempted to measure molecular weight (MW) of melamine-urea-formaldehyde (MUF) resins prepared by two different synthesis methods: the one-step MUF resins were synthesized in one batch procedure, while the two-step MUF resins were prepared by a physical mixing of urea-formaldehyde (UF) resin with melamine-formaldehyde (MF) resin that had been synthesized in a separate procedure. The properties of medium density fiberboard (MDF) panels bonded with two types of MUF resins were also investigated. MWs of these MUF resins were measured using gel permeation chromatography (GPC). In addition, this study measured the MWs of one-step MUF resin during its synthesis procedure. The performance of two types of MUF resins was evaluated by determining properties of MDF panels prepared in laboratory. As the synthesis procedure progressed, both number average MW ($M_n$) and weight average MW ($M_w$) of one-step MUF resin gradually increased, while the polydispersity index (PDI) decreased. And low Mw species of the resin predominantly decreased as the synthesis step progressed. The one-step MUF resin showed greater $M_n$ and $M_w$ than those of the two-step ones even though the PDI values of both resins were very similar each other. As expected, the one-step MUF resin resulted in better properties of MDF panels than those of two-step resins. In particular, the one-step MUF resin provided better internal bond (IB) strength and thickness swelling (TS) with MDF panels than those of two-step ones, indicating better water resistance of the one-step resin.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preparation method of MUF resins have a great impact on the MW and final panel properties.

질경이 분말첨가가 소맥분의 물리적 특성과 제빵적성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Plantago Powder on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Flour and Dough Rheology of White Pan Bread)

  • 신길만;황성연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4권6호
    • /
    • pp.585-590
    • /
    • 2001
  • 구황식품으로 이용되었으며 약리효과가 있는 질경이를 식품으로 이용하기 위하여 질경이를 분말화하여 소맥분에 첨가한 다음 물성변화를 알아보고 식빵을 제조하여 분말 질경이 첨가가 제방적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초기 호화온도는 질경이 분말 1%이하 첨가하였을 경우 차이가 크지 않았지만 1.2%에서는 70.05$^{\circ}C$로 호화온도가 크게 높아졌으며 치고 점도와 최종 점도는 질경이 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높아졌다. Alveogram에서 반죽의 변형에 필요한 압력인 P값은 질경이 분말 함량이 많을수록 높아졌으며 L값과 G값은 그 반대 경향을 보였다. Farinogram에서 consistency와 흡수율은 질경이 분말 첨가량이 많아질수록 높아졌으며 반죽의 발전시간과 안정도는 점차 낮아지는 모습을 보였다. 빵의 부드러움을 측정하기 위하여 rheometer를 사용한 결과는 식빵제조 후 1일 째에는 Max. G값과 hardness가 증가하였지만 질경이 분말을 0.3~0.9%사용한 경우 3, 6일이 지난 후에 Control에 비하여 낮은 값을 보였는데 이는 질경이 분말의 보습력 때문으로 여겨진다. 관능검사 결과는 질경이 분말 0.6% 사용한 것이 96점으로 가장 좋은 평가를 받았다.

  • PDF

Effects of Herbal Acupuncture of Clematis Mandshurica Maxim. at Sinsu-hyul (BL 23) on Adjuvant Arthritis in Rats.

  • Kim, Kap-Sung;Lee, Seung-Deok;Lee, Chang-Hwan
    • 대한한의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174-181
    • /
    • 2006
  • Objective : Based on the immunological dysfunction in RA and the immunological feature of Clematis mandshurica Maxim. herbal acupuncture solution (CM-HAS), this study examined whether subcutaneous (s.c.) administration of CM-HAS has anti-inflammatory effects on adjuvant arthritis (AA) in the rat. Methods : Complete Freund's adjuvant was used to induce AA in rats. Secondary paw swelling of AA rats was measured, and polyarthritis index was scored. The administration of CM-HAS (2, 5, 10 mg/kg) to the Sinsu-hyul (BL 23) acupuncture point subcutaneously (s.c.) inhibited the inflammatory response and restored the weight of body and immune organs of AA rats. In this study. inhibitory effect of CM-HAS on cyclooxygenase-2 (COX-2) was evaluated. The plant material selected for this study has been used in Korean medicine for the treatment of various diseases that are considered as inflammatory in nature, e.g. asthma, arthritis, rheumatism, fever, edema, infections, snakebite and related inflammatory diseases. Results : There were significant secondary inflammatory reactions in AA rats, accompanied with the simultaneous decrease of body and immune organs weight. The administration of CM-HAS (2, 5, 10 mg/kg, s.c.) improved the above changes significantly. CM-HAS showed inhibitory activity against COX-2, which supports their traditional uses. In this study, aspirin and indomethacin were used to contrast with CM-HAS as the COX-2 inhibitors. Conclus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may explain at least in part why CM-HAS has been traditionally used for the treatment of inflammatory conditions in traditional Korean and Chinese medicin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