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uture bridge technique

검색결과 29건 처리시간 0.024초

Fracture of Proximal Humerus in the Lateral Anchor Site after Suture Bridge Repair - A Case Report

  • Park, Kyoung-Jin;Kim, Yong-Min;Kim, Dong-Soo;Choi, Eui-Sung;Keum, Sang-Wook;Kil, Kyoung-Min;Lim, Chae-Wook;Park, Sang-Jun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17권3호
    • /
    • pp.134-137
    • /
    • 2014
  • To report the fracture of proximal humerus in the lateral anchor site after suture bridge repair. A 57-year-old female patient with shoulder pain on the right-side was admitted through the emergency room following a car accident. Seven weeks before the accident, the patient had undergone surgery at a different hospital for the repair of supraspinatus tendon rupture on the right-side via suture bridge technique. Humerus surgical neck fracture was confirmed by X-ray, and proximal humerus fracture at the anchor site was confirmed by magnetic resonance imaging. Following 7 months of conservative treatment resulted in satisfactory bone union and motion of the shoulder joint. We report the need of close observation during and after the arthroscopic repair of the rotator cuff in patients with osteoporosis.

New Retear Pattern after Rotator Cuff Repair at Previous Intact Portion of Rotator Cuff

  • Choi, Chang-Hyuck;Kim, Sung-Guk;Nam, Jun-Ho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19권4호
    • /
    • pp.237-240
    • /
    • 2016
  • Retear patterns after arthroscopic rotator cuff repair are classified into two patterns according to retear location. Type 1 is when the retear pattern occurs directly on the tendon at the bone repair site using the suture anchor repair method. Type 2 is when the retear pattern occurs at the musculocutaneous junction with a healed footprint in patients who undergo the suture bridge method. Here, the authors report another retear pattern, which was identified as a type 2 retear on magnetic resonance imaging in patients who had undergone arthroscopic rotator cuff repair by the suture-bridge technique. This pattern was different from the type 2 retear and occurred at the portion of the cuff away from the healed rotator cuff under the view of the arthroscope.

Arthroscopic transosseous anchorless rotator cuff repair reduces bone defects related to peri-implant cyst formation: a comparison with conventional suture anchors using propensity score matching

  • Hyeon Jang Jeong;Ji Soo Lee;Young Kyu Kim;Sung-Min Rhee;Joo Han Oh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26권3호
    • /
    • pp.276-286
    • /
    • 2023
  • Background: The transosseous anchorless repair (ToR) technique was recently introduced to avoid suture anchor-related problems. While favorable outcomes of the ToR technique have been reported, no previous studies on peri-implant cyst formation with the ToR technique exist. Therefore, this study compared the clinical outcomes and prevalence of peri-implant cyst formation between the ToR technique and the conventional transosseous equivalent technique using suture anchors (SA). Methods: Cases with arthroscopic rotator cuff repair (ARCR) between 2016 and 2018 treated with the double-row suture bridge technique were retrospectively reviewed. Patients were divided into ToR and SA groups. To compare clinical outcomes, 19 ToR and 57 SA cases without intraoperative implant failure were selected using propensity score matching (PSM). While intraoperative implant failure rate was analyzed before PSM, retear rate, peri-implant cyst formation rate, and functional outcomes were compared after PSM. Results: The intraoperative implant failure rate (ToR, 8% vs. SA, 15.3%) and retear rate (ToR, 5.3% vs. SA, 19.3%) did not differ between the two groups (all P>0.05). However, peri-implant cysts were not observed in the ToR group, while they were observed in 16.7% of the SA group (P=0.008). Postoperative functional outcome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two groups (all P>0.05). Conclusions: The ToR technique produced comparable clinical outcomes to conventional techniques. Considering the prospect of potential additional surgeries, the absence of peri-implant cyst formation might be an advantage of ToR. Furthermore, ToR might reduce the medical costs related to suture anchors and, thereby, could be a useful option for ARCR. Level of evidence: III.

관절경적 교량형 봉합 술식을 통한 회전근 개 전층 파열의 치료결과 (Clinical Results of Arthroscopic Repair of Full-thickness Rotator Cuff Tear Using Suture Bridge Technique)

  • 서재성;박성혁;김원호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13권2호
    • /
    • pp.181-187
    • /
    • 2010
  • 목적: 회전근 개 전층 중파열, 대파열 환자에 대하여 관절경적 교량형 봉합 술식을 시행한 후 임상 결과를 분석 보고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7년 11월부터 2008년 10월까지 회전근 개 전층 중파열, 대파열을 관절경적 교량형 봉합 술식으로 치료받은 90예를 대상으로 하였고, 평균 추시 기간은 15개월 (12~23개월)이었다. 파열의 크기는 중파열이 43예, 대파열이 47예였다. 술 전 및 최종 추시 시 KSS, ASES, UCLA, Visual Analogue Scale (VAS)를 이용한 기능평가를 시행하였다. 결과: 휴식 및 운동 시 평균 VAS 점수는 각각 수술 전 2.56, 6.94에서 최종 추시 시 0.96, 1.70으로 현저한 감소를 보였다. UCLA 점수는 수술 전 평균 17.08점에서 최종 추시 시 31.17점으로 향상되었으며, 최우수가 31예 (34%), 양호가 49예 (54%), 불량이 10예 (12%)였다. 최종 추시 시 60세 이하인 경우 31.47점, 61세 이상인 경우 30.69점이었으며 (p=0.344), 중파열인 경우 31.23점, 대파열인 경우 31.11점이었고 (p=0.924), 비외상군이 31.10점, 외상군이 31.23점이었다 (p=0.929). 결론: 회전근 개 전층 중파열, 대파열 환자에서 관절경적 교량형 봉합 술식을 시행하여 동통의 감소 및 견관절 기능 향상의 우수한 결과를 얻을 수 있어 믿을만한 수술적 방법 중 하나라고 생각한다. 수술 당시 연령, 외상력 유무는 치료 결과에 큰 영향을 주지 않았다.

Biomechanical Test for Repair Technique of Full-thickness Rotator Cuff Tear

  • Lim, Chae-Ouk;Park, Kyoung-Jin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19권1호
    • /
    • pp.51-58
    • /
    • 2016
  • The arthroscopic rotator cuff repair is now considered a mainstream technique with highly satisfactory clinical results. However, concerns remain regarding healing failures for large and massive tears and high revision rate. In recent decades, various repair strategies and construct configurations have been developed for rotator cuff repair with the understanding that many factors contribute to the structural integrity of the repaired construct. The focus of biomechanical test in arthroscopic repair has been on increasing fixation strength and restoration of the footprint contact characteristics to provide early rehabilitation and improve healing. These include repaired rotator cuff tendon-footprint motion, increased tendon-footprint contact area and pressure, and tissue quality of tendon and bone. Recent studies have shown that a transosseous tunnel technique provides improved contact area and pressure between rotator cuff tendon and insertion footprint, and the technique of using double rows of suture anchors to recreate the native footprint attachment has been recently described. The transosseous equivalent suture bridge technique has the highest contact pressure and fixation force. In this review, the biomechanical tests about repair techniques of rotator cuff tear will be reviewed and discussed.

회전근 개 층간 분리 파열에서 관절경을 이용한 층상 교량형 봉합술의 임상 결과 (Clinical Result of Layered Suture Bridge Technique in Arthroscopic Repair for Delaminated Rotator Cuff Tear)

  • 최의성;박경진;김용민;김동수;손현철;조병기;박지강;김동환;금상욱;차정권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16권2호
    • /
    • pp.84-93
    • /
    • 2013
  • 목적: 저자들은 회전근 개 파열 중 층간 분리 파열의 새로운 수술 방법인 층상 교량형 봉합술을 고안하고, 이 수술법을 이용하여 치료한 환자들의 임상 결과와 회전근 개 치유 정도에 대해 전향적으로 연구하였다. 대상 및 방법: 회전근 개 전층 파열로 층상 교량형 봉합술을 이용하여 수술한 환자 66명(67예)을 대상으로 하였다. 평균 추시 기간은 33개월이었으며, 임상적 결과의 평가는 수술 전과 수술 후 KSS점수, UCLA점수, ASES점수를 이용하였고, 수술 후 6개월째 자기공명영상 검사를 촬영하였다. 결과: KSS점수, UCLA점수, ASES점수는 각각 54.4점에서 90.7점, 15점에서 31.3점, 50.2점에서 92.3점으로 큰 호전을 보였다. 수술 후 6개월째 자기공명영상 검사를 추적 관찰한 38명의 환자에서 92%의 높은 비율의 해부학적 치유를 보였으며, 재파열(IV, V단계)의 비율은 7.9%였다. 결론: 회전근 개 전층 파열 환자 중 층간 분리 파열의 경우 관절경적 층상 교량형 봉합술을 이용한 수술시 해부학적으로 회전근 개의 우수한 치유 결과를 얻었으며, 임상적, 기능적으로도 우수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회전근 개 파열 봉합술에서의 최신 지견 (What's New in Rotator Cuff Repair)

  • 황정택;고덕환;박진영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98-103
    • /
    • 2012
  • 회전근 개 파열의 봉합술은 최근 들어 괄목할만한 발전을 보여주고 있다. 회전근 개 파열의 자연사를 관찰하면 대부분의 경우에서 시간이 지남에 따라 크기가 증가하는 양상이 관찰되었다. 회전근 개 파열의 후기에 오는 지방 침윤 및 광범위 회전근 개 파열 후 발생하는 회전근 개 파열 관절증은 회전근 개 파열의 봉합술에서 예후를 예측하거나 수술 시기를 결정하는데 중요한 요소라 할 수 있다. 회전근 개 파열시 증상 발생 후 3년 뒤에 중등도의 지방 침윤이 발생하는 것으로 관찰되어 그 이전에 회전근 개 파열의 봉합술을 시행하는 것이 추천되고 있으며, 또한 회전근 개 파열 관절증에서도 견봉상완골 간격이 감소하기 전에 봉합술을 하는 것이 권장되고 있다. 회전근 개 파열의 관절경하 봉합술은 크게 일열 봉합술 및 이열 봉합술로 나눌 수 있으며, 시간과 비용 면에서는 전자가 장점이 있으나, 생역학적이 관점에서는 후자가 더 우수하다. 이열 봉합술의 생역학적인 장점을 유지하면서 보다 적은 시간에 회전근 개의 봉합을 가능하게 한 교량형 봉합술이 개발되어 최근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교량형 봉합술 내에서도 파열의 특성에 따라 몇 가지 다른 술식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