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ustainable Urban Development

검색결과 448건 처리시간 0.024초

종사상 지위분류에 따른 산업분포변화: 부산, 1994~2004 (The Change of Industrial Distribution Pattern by Worker Status Classification : Busan, 1994~2004)

  • 강인주;남광우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111-121
    • /
    • 2007
  • 도시산업구조의 진단과 예측은 지속가능한 도시발전계획수립을 위한 주요한 과제이다. 지금까지의 산업관련 도시공간구조 연구들은 주로 도시산업체 자료나 총 종사자수 자료를 활용하여 산업유형별 공간분포의 측정에 집중되어져 왔다. 그러나 최근 비정규직 문제를 포함한 근로자의 종사상 지위가 중요한 이슈가 되는 시점에서 본 연구는 읍면동 단위의 1994년 및 2004년 종사상 지위별 자료를 수집하고 동 변화자료를 기반으로 공간분석 단위를 일치시킨 후 GIS를 활용하여 종사상 지위분류체계 자료를 활용한 도시산업구조의 질적 변화를 공간적 관점에서 해석하였다. GIS환경에서 부산시 산업구조의 종사상지위 유형별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통적인 노동집약적 산업이 한계에 부딪히고, 서비스업 및 도소매업은 영세한 생계형으로 진행되어 부산의 고용흡수력이 떨어질 수밖에 없었으며 통계상으로는 종사자의 수가 증가하였으나 비정규직과 비임금 노동자가 급증하면서 부산지역 일자리의 질이 하락하고 있는 것으로 측정되었다. 둘째, 전통적인 도심지는 쇠퇴하는 반면 신도시나 신흥공업단지가 형성된 지역, 제조업보다 서비스업이 발달한 지역이 일자리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도시발전의 근간이 되는 산업구조의 행태적 패턴 뿐 아니라 종사상지위라는 질적 평가를 통한 장기적 차원의 산업발전계획안 마련을 위한 기초자료로서의 활용을 기대한다.

  • PDF

Design Development of Street Furniture for Improvement of Urban Environment - Focusing on "Y" District, a part of the Seoul Design Street Project -

  • Kim, Kook-Sun
    • 한국가구학회지
    • /
    • 제20권6호
    • /
    • pp.581-589
    • /
    • 2009
  • Under 'The Design Street' Project, one of the urban environment improvement projects of Seoul, the facilities on the street have been greatly varied in terms of design. In addition, the municipal authority has pushed each district to develop its own identity based on the integrated design of the city. This study was aimed to propose a design which could solve the current problem in street furniture in terms of environmental improvement through an analysis on current street conditions in "Y" District as a part of Seoul Design Street Project. It has attempted to propose 11 street furnitures based on the basic strategy of 'Soft City' which has been promoted by Seoul City in accordance with the Seoul Public Facility Guidelines as 1. Airy Design, 2. Integrated Design, 3. Collaborative Design and 4. Sustainable Design. Among them, for the total design in Seoul six facilities - kiosk, manhole, traffic signal controller, public phone, road sign and waste receptacle were proposed by Seoul City have been accepted. For local differentiation, on the contrary, five items - planter bench, bollard, lifter, bike rack and fence have been newly designed and proposed. Furthermore, it is essential to carry out systematic supervision and continuous management on the detail design and construction of current regional design development projects.

  • PDF

북미 역사보존 교육의 발전과정 및 접근방식 - 20세기 중반에서 21세기 초반까지 - (History and Fundamentals of Historic Preservation Education in the United States - From the Mid-20th to Early 21st Century -)

  • 서명수;김수진
    • 교육시설 논문지
    • /
    • 제27권2호
    • /
    • pp.21-34
    • /
    • 2020
  • This study explores the education of historic preservation in the United States. The research examined its history and philosophical and practical approaches within the American urban context, from its historical backgrounds to evolving social perspectives. This case study is to help collegiate educators in understanding the principles of American architectural heritage conservation and why it has been developed in specific directions and, ultimately, to assist in designing preservation education programs for different local contexts. Historic preservation in the United States has been integrated into the architecture and urban planning field as a sustainable development approach incorporating physical, social, and economic matters. First, this study explored the development of the preservation profession, policies, and education since the 1930s. Second, the researchers investigated the three fundamentals of historic preservation, such as authenticity, documentation, and community engagement. Lastly, this research discussed that American preservation deals with living communities and seeks interdisciplinary approaches. The understanding of historic preservation pedagogy from these multiple perspectives would hopefully provide a guide to developing cultural heritage education programs.

도시임해부의 집합주택에 있어서 거주환경평가에 관한 연구 - 수변공간에 대한 의식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Evaluation of Residential Environment in Apartment Houses in the Urban Coastal Area - Focusing on the Consciousness of the Waterfront Space -)

  • 김주홍
    • 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 /
    • 제34권4호
    • /
    • pp.113-122
    • /
    • 2018
  • Residentialization is in progress in the coastal areas of the cities as the number of apartment houses rapidly increase with the simultaneous provision-centered development. It would be necessary to provide quality residential environments which would not deteriorate and would be chosen by many people as a sustainable residence in the future through the demand-centered development, considering the residents' consciousness. To do so,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residents' consciousness about the residential environment in the coastal area that has differentiated characteristics as a waterfront space through an evaluation of the residential environment, different from the existing residences. This study understands the significance of the waterfront space in the residential environment through people's consciousness when they choose a residence before they reside and people's consciousness when they evaluate the residence after they reside, concerning how the environment of the waterfront space is recognized as compared to other elements of the residential environment according to the ge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coastal area. In addition, this study analyzes the significance of people's consciousness before and after their residence through a comparison according to the change of distance to the waterfront from the perspective of access to the waterfront, the characteristic as a residential environment in the coastal area.

A Real Time Traffic Flow Model Based on Deep Learning

  • Zhang, Shuai;Pei, Cai Y.;Liu, Wen Y.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16권8호
    • /
    • pp.2473-2489
    • /
    • 2022
  • Urban development has brought about the increasing saturation of urban traffic demand, and traffic congestion has become the primary problem in transportation. Roads are in a state of waiting in line or even congestion, which seriously affects people's enthusiasm and efficiency of travel. This paper mainly studies the discrete domain path planning method based on the flow data. Taking the traffic flow data based on the highway network structure as the research object, this paper uses the deep learning theory technology to complete the path weight determination process, optimizes the path planning algorithm, realizes the vehicle path planning application for the expressway, and carries on the deployment operation in the highway company. The path topology is constructed to transform the actual road information into abstract space that the machine can understand. An appropriate data structure is used for storage, and a path topology based on the modeling background of expressway is constructed to realize the mutual mapping between the two. Experiments show that the proposed method can further reduce the interpolation error, and the interpolation error in the case of random missing is smaller than that in the other two missing modes. In order to improve the real-time performance of vehicle path planning, the association features are selected, the path weights are calculated comprehensively, and the traditional path planning algorithm structure is optimized. It is of great significance for the sustainable development of cities.

주거지내 상업화 발생영역에서 군집형성현상과 영향요인 연구 - 가로수길을 대상으로 - (Commercial Cluster Characteristics in Residential District Focusing on Garosu Street)

  • 홍하연;구자훈
    • 지적과 국토정보
    • /
    • 제46권2호
    • /
    • pp.57-77
    • /
    • 2016
  • 본 연구는 주거지 내 상업화가 활발하게 일어나고 있는 가로수길을 대상으로 제인제이콥스의 활성화 가로 요인을 적용하여 활성화 요인들의 공간적 상관관계를 분석하였으며, 동질성을 갖는 특성들끼리 군집을 이루고 있는 유형을 분류하였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연구의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다. 첫째, 가로수길은 의류 및 잡화 등 패션가로의 주된 장소성 기능이 집중되어 특색있는 가로를 형성하고 있었고, 주변 식음용도의 상점들이 그 기능을 받쳐주는 요인이 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건축면적 외 공지의 활용여부를 보면, 메인가로는 쇼윈도 진열 및 상품의 적재가 이루어지고 내부의 음식점 및 카페는 테라스형 좌석 조성, 그리고 간선도로변은 보행공간으로서 이용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간선가로와 메인가로는 물판 위주 및 통과공간으로서의 기능이 강화되고 휴식을 취하거나 체류할 수 있는 공간은 내부 블록에서 형성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셋째, 가로수길 내에서 건축물의 신축과 공실이 이어지는 소모적인 현상은 도심공동화와 가로가 가지는 자체의 정체성을 상실하는 주거환경의 부정적인 효과로 이어질 수 있어서 주거민과 상인이 협력하여 발전시킬 수 있는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Defining a Smart Water City and Investigating Global Standards

  • Lee, Jung Hwan;Jang, Su Hyung;Lee, Yu Jin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22년도 학술발표회
    • /
    • pp.505-505
    • /
    • 2022
  • This study shows the first output of the three-year project (2021-2023) to develop a Smart Water City (SWC) Global Standard and Certification Scheme ley by K-water, International Water Resources Association (IWRA) and Asia Water Council (AWC). There are three major parts in the first year. In Part 1, it investigates the essential features of cities today and details the water challenges currently faced and likely to be confronted in the future. It also investigates the functions that water fulfills in the urban environment, and how ICTs can contribute to improving those functions by each Urban Water Cycle. A definition of a Smart Water City is proposed following a discussion on the meaning of "smart development". This part of the report also presents different city cases from countries around the world to illustrate the urban water challenges and the technological and non-technological solutions that cities have put in place, including national and/or local policies and strategies. In Part 2, it defines what global standards indicators and certification schemes are and identifies their characteristics. Especially, it analyses in detail eight relevant standards and certification schemes measuring sustainable development and/or water resources management in urban settings. Standards elaborated by international organizations are distinguished from those developed by the private sector, non-governmental organizations, and by academia. Finally, this study suggests the right direction to develop SWC global standard frameworks and certification schemes. And then, it shows the main tasks for the Stage 2 (second year) project. Basically, the framework for a future SWC standard (consisting three main pillars: Technical, Governance and Prospective pillars) will be fully defined in Stage 2.

  • PDF

연안정주지 특성에 관한 연구 -부산시 어항(송정항, 구덕포항, 공수항)을 중심으로- (The Characteristics of Coastal Settlements -Focused on the Fishery Ports(Songjeong, Gudeokpo, Gongsu) in Busan-)

  • 권도헌;이석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3호
    • /
    • pp.1770-1777
    • /
    • 2014
  • 연안정주지에는 다양한 유 무형의 지역자산이 있으며 환경적으로도 민감한 곳이다. 연안정주지를 개발하는 과정에서, 지역자산에 대한 가치를 간과하는 경향이 있으며, 이해관계가 다양하고 첨예한 주민에 대한 고려 또한 미흡하다. 그 지역의 상황과 주민의 요구 및 지역적 특성을 고려하지 않고 연안정주지를 개발함으로써 지속가능한 연안정주지 재생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사회적 경제적 문화적 부문을 함께 고려하지 않은 물리적 환경 개선 위주의 연안정주지 개발은 지역주민의 소외와 갈등, 그리고 그 지역이 지니고 있는 고유한 장소성 상실을 초래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지속가능한 재생의 관점에서 연안정주지의 구성요소 및 유형을 구분하여 부산지역 어항(漁港) 일대의 연안정주지 특성을 도출하고자 한다. 이는 연안정주지의 공간적 물리적 재생뿐 아니라 다양한 생활환경을 포함한 지역 문화(전통성과 지역성) 보존, 지역 경제 활성화, 그리고 지역 공동체의 강화 등을 포함한 통합적 재생의 중요한 수단이 될 것이며, 연안정주지의 매력과 경쟁력, 그리고 지속가능한 발전의 기반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개발종료 채석장 부지를 활용한 해외 복합 개발 사례에 대한 고찰 : 영국과 호주 사례 (A Study on Mixed-use Development Cases Using Closed Quarry Site of Overseas; the UK and Australia)

  • 조승연;임길재;이진영;지상우
    • 자원환경지질
    • /
    • 제54권5호
    • /
    • pp.505-513
    • /
    • 2021
  • 21세기 들어 영국, 호주 등 해외에서도 대도시권의 주택가격 상승문제가 나타나고 있다. 이들 정부는 대도시 인근에 위치한 개발종료 채석장 부지를 택지로 적극 활용하여 주택부족 문제를 해소하고자 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 검토한 영국의 Erith Hill Quarry (The Quarry)나 Plymstock Quarry, 호주의 Lilydale Quarry (Kinley)와 Bombo Quarry는 모두 도시 계획적 제도를 통해 개발이 종료된 채석장을 주택, 상업 등 복합용도로 개발한 사례이다. 영국은 도시계획제도의 틀 안에서 Section 106이라는 계획허가 제도를 통해 지방정부가 개발종료 채석장 부지의 복합개발을 허가하는 대신 지역에 필요한 학교 등의 공공시설과 저렴한 주택을 공급하도록 하고 있다. 호주는 채석장의 토지이용을 산업에서 복합용도로 변경할 수 있도록 지방정부의 허가권한을 활용하고, 개발계획에 저렴한 주거 외에도 도시기반시설, 오픈 스페이스 등이 포함되도록 하고 있다. 특히, 호주의 사례에서 개발계획을 사전에 수립하고, 단계적 개발방식을 통해 상부 표토 및 표석을 채굴적을 메우는 충전재로 활용한 것은 사업비를 절감하는 효과도 있는 것으로 보인다. 영국과 호주 모두 개발종료 채석장 부지를 택지로 공급하는 것이 신규 녹지를 훼손하는 것보다 미래세대를 위한 지속가능한 친환경적 개발이라는 관점에서 바라보고 있다는 점에서 다소 경직된 우리의 도시개발 제도에 정책적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신도시형 혁신도시 문화공간의 복합화 조성 방안 -나주혁신도시를 중심으로- (Building Culture Complex Belt of Innovation City through Mixture of Cultural, Educational and Public Space)

  • 김항집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0권9호
    • /
    • pp.421-431
    • /
    • 2010
  • 지속가능한 국토개발과 지역균형발전을 위하여 세종시(행정중심복합도시), 기업도시(기업중심), 혁신도시(혁신클러스터) 등 다양한 형태의 신도시가 개발되고 있다. 특히, 세종시가 원안대로 추진되게 됨으로써, 혁신도시의 건설은 보다 탄력을 받게 될 전망이다. 기존 수도권의 신도시와는 달리 혁신도시는 공공기관 및 연구기관을 중심으로 혁신클러스터가 조성되고, 주로 지방의 중소도시 및 농촌지역에 신도시가 형성된 다는 측면에서 도시개발의 차이가 있다. 또한 인구는 대부분 2만 내외의 중소규모 신도시 및 신시가지로 개발되고 있다. 그러므로 혁신도시 내의 교육시설 및 문화시설은 도시규모 및 도시기능상 독립적인 수요를 확보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다양한 시설을 복합화하여 문화수요를 확대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기존 모도시와의 공동이용을 도모하는 것이 도시관리의 차원에서 효율적이라고 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 는 다른 혁신도시와는 달리 2개 광역지자체의 공동혁신도시이자 혁신도시 중에서 가장 규모가 큰 신도시형으로 조성되는 나주혁신도시를 사례로, 혁신도시 문화교육시설을 활용한 기능과 공간의 융복합적 복합 문화벨트의 조성을 기존의 분산적 문화시설계획방식에 대한 새로운 대안으로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