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useong amusement park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14초

수성유원지 장소성 인식 요인 인과구조모형 분석 (Causality of Placeness Cognition by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in Suseong Amusement Park)

  • 한재경;엄붕훈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9권10호
    • /
    • pp.961-968
    • /
    • 2020
  •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causality of placeness cognition which includes the place satisfaction, place attachment, place function, and behavioral intention of those who visit Suseong amusement park. A questionnaire survey was administered to 255 individuals who visited in Suseong amusement park. To conduct the analysis, six hypotheses were formulated and tested. While two hypotheses were statistically rejected, four hypotheses were accepted. First, place satisfaction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place function (β=.577, p<0.001). Second, place attachment had a positive effect on behavioral intention (β=.450, p<0.001). Third, place func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behavioral intention (β=.247, p<0.05). Fourth, place function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place attachment (β=.637, p<0.001). Unlike most existing research which has indicated that place satisfaction has a direct effect on behavioral intention this study suggests a that double mediating effect through place function and place attachment between place satisfaction and behavioral intention. In addition to increasing satisfaction through the environment of the Suseong Amusement Park, it is also necessary to improve the function of the place to ensure repeated visits from visitors.

대구광역시 공원형 녹지의 기능적 특성을 고려한 종합 평가 (An Integrated Assessment of Park-Type Green Space Considering Functional Characteristics in Daegu)

  • 이우성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120-140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효율적인 녹지의 계획 및 관리방향 설정을 위한 기초자료 제공을 위해 녹지의 기능적 평가를 실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연구대상지를 대구광역시 공원형 녹지로 설정하였으며, 녹지의 기능은 자연생태적, 환경조절적, 이용적 기능으로 제한하였다. 선행연구 고찰 및 전문가 설문조사에 의한 MCB 분석을 통해 13개 지표를 선정하였으며, 전문가 설문조사에 의한 AHP 분석을 통해 기능별 지표의 가중치를 설정하였다. 공원형 녹지의 기능별 평가 결과를 살펴보면, 자연생태적 기능 평가에서는 냉천유원지, 대구체육공원, 달창유원지의 녹지 평가 점수가 80점 이상으로 높게 분석되었다. 환경조절적 기능 평가의 경우 복현공원, 만촌공원, 천내공원 등 15개 녹지의 평가 점수가 75점 이상으로 높게 나타났고, 이용적 기능 평가에서는 수성공원, 달성공원, 월배공원 등 11개 공원형 녹지의 점수가 80점 이상으로 높게 평가되었다. 이러한 분석결과들은 향후 공원형 녹지의 신규 조성, 지속적인 관리 및 리모델링이 요구될 경우 효율적인 기초자료 및 가이드라인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