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usceptible functional fiber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18초

텐셀 혼방 직물의 키토산 가공처리를 통한 감성기능 소재의 개발 (제1보) - 표면구조 분석 및 태 평가 - (Development of Susceptible Functional Fiber through Chitosan Finishing Treatment of Tencel Blended Fabrics (Part I) - Surface Structure Analysis and Hand Value Assessment -)

  • 박연희;배현숙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9권7호
    • /
    • pp.987-996
    • /
    • 2005
  • For cationization, if chitosan, which has the affinity for a human body and reacts easily without inducing any pollution, is used, cationization of Tencel blended fabrics can be expected and further expansion of its use as a new susceptible material can be expected. Therefore, in this study, in order to compare a Tencel/cotton and a Tencel/Cotton/PET as Tencel blended fabrics with a Tencel single fabric, the fabric samples were used and processed with chitosan after NaOH pretreatment and enzyme treatment thereof, and then its adherent efficiency was enhanced by using a crosslinking agent, and then it was got to be finished with a softener. The fibril of Tencel fabric was controlled by enzyme treatment so that the surface of the Tencel blended fabrics got to be smooth. Chitosan adhered to the surface of the Tencel blended fabrics in the form of particles through its processing with chitosan. Chitosan treatment caused little change in the crystal structure thereof and the thermal stability of the Tencel/Cotton/PET fabric was slightly improved. The total hand value(THV) calculated on the basis of the change due to chitosan treatment was increased in all samples.

텐셀 혼방직물의 키토산 가공처리를 통한 감성기능소재의 개발 (제2보) -물성의 변화- (Development of Susceptible Functional Fiber through Chitosan Finishing Treatment of Tencel Blended Fabrics (Part II) -The Change of Physical Properties-)

  • 박연희;배현숙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0권11호
    • /
    • pp.1572-1582
    • /
    • 2006
  • In this study, in order to compare a Tencel/cotton and a Tencel/Cotton/PET as Tencel blended fabrics with a Tencel fabric, the fabric samples were treated with chitosan after NaOH pretreatment and enzyme treatment thereof, And then its adherent efficiency was enhanced by using a crosslinking agent. After that, it was treated with a softener. In chitosan treatment, the functions of moisture regain, tensile strength, air permeability and crease resistance were more improved in the Tencel blended fabrics than in the Tencel fabric. Thus, it may be thought that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Tencel blended fabrics were more effectively modified than those of the Tencel fabric. And the friction charged voltage was very much reduced in all samples, so that chitosan treatment was effective for prevention of electrostatic charge. Further, chitosan finishing treatment improved remarkably the antibacterial activity in all samples regardless of the type of strains.

키토산 가공에 의한 감성기능소재로서의 텐셀 혼방직물의 염색성 변화 (Changes in the Dyeing Property of Tencel Blended Fabrics as Susceptible Functional Fiber through Chitosan Finishing)

  • 박연희;강인숙;배현숙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1권12호
    • /
    • pp.1672-1681
    • /
    • 2007
  • 텐셀 혼방직물의 단점을 보완하면서 새로운 관능기를 도입하기 위해서는 캐티온화가 효과적이다. 이를 위해 인체 친화성이 있고 공해를 유발하지 않으며 반응이 용이한 키토산을 처리하였으며, 이에 의한 캐티 온화를 확인하기 위하여 음이온성 염료에 대한 염색성 변화를 살펴보았다. 먼저, 반응성 염료와의 염색성은 낮은 중성염의 농도에서도 키토산 처리 시료의 염색성이 우수하게 나타나 반응성 염료에 대한 염색 효율이 증대되었다. 이는 키토산의 아민기 도입으로 텐셀 혼방직물이 캐터온화되어 섬유에 치환된 친핵성기에 의해 반응성 염료에 대한 친화력이 향상됨으로서 중성이하의 조건에서도 염색성이 우수하게 나타난 것이다. 한편, 키토산 처리로 도입된 아민기의 작용으로 산성 염료와 친화력이 거의 없는 텐셀 혼방직물의 산성 염료에 대한 염색성이 크게 향상되었다. 또한 키토산 처리로 인하여 텐셀 혼방직물은 반응성 염료와의 친화력이 더 좋아졌고, 텐셀 단일직물의 경우 산성 염료와의 친화력이 더 좋아졌으며, 산성 염료보다 반응성 염료로 염색시 세탁견뢰도가 더 우수하였다.

탈지대두박(脫脂大豆粕)에서 추출(抽出)한 분리대두단백(分離大豆蛋白)의 식품학적(食品學的) 성질(性質) (Functional Properties of Soy Protein Isolates Prepared from Defatted Soybean Meal)

  • 변시명;김철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123-130
    • /
    • 1977
  • 동방유량(東邦流糧)에서 공급(供給)받은 저변성(低變成) 탈지대두박(脫脂大豆粕)을 0.02N NaOH액(液)으로 추출(抽出)하여 Soy Protein Isolate (SPI)의 수율(收率)을 증류수나 염용액(鹽溶液)으로 추출(抽出)할때 보다 높이는 과정(過程)(84 % 수율(收率))을 확립(確立)하였으며 제조(製造)된 SPI는 92.1 %의 단백질(蛋白質)을 함유(含有)하였다. SPI를 $70^{\circ}C$에서 moisture heat를 하면 80분간(分間)에 5 %의 변성(變性)이 일어났으나 $95^{\circ}C$에서는 20분(分) 처리(處理)에 의(依)하여 95 %의 변성(變性)이 일어났다. SPI의 alkali 현탄액 (dope solution)은 SPI의 농도(濃度) 15 %, NaOH 농도(濃度) 0.6 %일때 7분(分)만에 60 poises를 나타내고 계속 안정(安定)된 점도(粘度)를 유지하였다. NaOH의 농도(濃度)가 0.9 %일 때는 시간(時間)이 경과(經過)함에 따라 점도(粘度)는 증가(增加)하였다가 감소(減少)하는 경향(傾向)을 보였다. syringe needle (dia. 0.3 mm)로서 모의(模擬) 실험(實驗) 결과(結果) 점도(粘度)가 $28^{\circ}C$에서 60 Poises일때 가장 적합한 단백질섬유(蛋白質纖維)의 texture를 보여주었다. 가열(加熱)에 의(依)한 SPI의 gelation은 8 %이상(以上)의 SPI농도(濃度)일 때 gel이 형성(形成)되기 시작하였으며 $100^{\circ}C$까지 안정(安定)한 gel을 형성(形成)하였고 SPI의 농도(濃度)가 12 %일때 $120^{\circ}C$에서 30분(分) 가열(加熱)에 의(依)하여 20,000 Poises의 좋은 점도(粘度)를 가졌으나 $120^{\circ}C$이상에서는 gel의 continuity가 떨어져 과립상(果粒上)의 gel이 생성(生成)되었다. SPI의 유화력(乳化力)은 pH가 8.7, NaCl의 농도(濃度)가 2 %일때 가장 큰 유화력(乳化力)을 나타냈다. milk casein과 비교(比較) 실험(實驗) 결과(結果) 유화력(乳化力)은 약간 낮았으나 염(鹽)이 존재(存在)하는 경우는 근사한 유화력(乳化力)을 보였다. 그러나 SPI의 foaming capacity는 foaming stability 면(面)에서 egg albumin이나 milk casein과 비교(比較)하여 양호(良好)한 결과(結果)를 보여주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