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uruga Bay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18초

Redescription of Haloptilus caribbeanensis (Copepoda: Calanoida) from the Pacific, with Remarks on the Morphology of Antennules in the Genus Haloptilus

  • Soh Ho Young;Suh Hae-Lip;Ohtsuka Susumu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2권2호
    • /
    • pp.129-134
    • /
    • 1999
  • Haloptilus caribbeanensis Park, 1970 (Copepoda, Calanoida, Augaptilidae) is redescribed in detail on the basis of an adult female collected from Suruga Bay, Japan. This is the first record of the species from the Indo-Pacific region. Morphology of the Pacific specimen agrees well with that of the Caribbean Sea and Gulf of Mexico specimens, except for the numbers of mandibular teeth. The former has five teeth and the latter six teeth on mandible. The segmentation and segmental aesthetasc numbers of female antennules of H. caribbeanensis are compared with those of five species of Haloptilus (H. angusticeps, H. fons, H. longicomis, H. ornatus and H. spiniceps). These characters show morphological differentiation at the species level. H. caribbeanensis has no aesthetasc on the proximal segments II, IV, and VI of the female antennules.

  • PDF

심해 해양미생물의 분리 및 분리균의 생태적 특징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Marine Bacteria Isolated from Deep Sea)

  • 이원재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401-411
    • /
    • 1995
  • 일본의 Sagami bay와 Suruga bay의 810-4,000m되는 심해에서 채취한 시료에서 Flavvobacterium sp., Pseudomonas sp., Vibrio sp. 균종을 분리하였다. 이들 중 barophilic과 psychrophilic bacteria인 sp.-86과 sp.-87를 분리동정하고 압력단계별 성장속도를 조사한 결과 400기압에서도 잘 성장하였고 특히 100기압에서 가장 성장속도가 좋았다. 균의 형태는 1기압의 균 형태에 비하여 400기압에서 성장한 간균이 30-50배 이상 긴 간균 형태였으나(Fig. 3), 다시 1기압에 방치하면 단간균으로 균괴(flock)를 형성한다(Fig. 4) 이들 균의 발육온도 범위는 $5-37^{\circ}C$까지 발육하며, NaCl 농도의 범위는 sp.-86은 $0.5-9\%$이고 최적성장 농도가 $3\%$, sp.-87 균주의 지방산 조성은 $C_{20-22}\;C_{16:1},\;C_{16:0}$ 순으로 높은 함량이었고 400기압에서는 $C_{18:1}\;C_{18:0},\;C_{20-22:0}$ 의 함량순을 보였다. sp.-87균주는 $C_{16:1}\;C_{14:0},\;C_{20-22:0}$의 순이었고 400기압에서는 $C_{14:1}\;C_{12:0},\;C_{16:1}$의의 순으로 함량조성이 변하였다. 아미노산 조성은 sp.-86의 깅우 aspartic acid, methionine, glutamic acid 함량순이었고 400기압에서는methionine, glutamic acid, aspartic acid 함량순이었다. sp.-87의 균주는 methionine, glutamic acid, aspratic acid 순이었고 400기압에서는 methionine이 가장 높은 함량이고 glutamic acid, isoleucine 순으로 높은 함량이었다.

  • PDF

Horizontal Distribution And Diel Migration Of A Mesopelagic Micronektonic Fish, Diaphus suborbitalis, In Suruga Bay, Japan

  • Go, You Bong
    • 한국해양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79-88
    • /
    • 1980
  • Diaphus suborbitalis는 일본 준하만에 있어서 중 심층성 어류 micronekton의 주요종이다. 본연구에서는 본종의 생태규명의 일환으로서 지리분포와 일주수직이동의 양식을 밝혔다. 시료는 1971년 5월부터 1977년 4월까지 동경대학 해양연구소 연구선 담청환과 저인망어선에서 채집했다. 채집에는 6ft.의 IKMT, 구경 160cm의 대형플랑크톤네트(ORI), 구경 56cm의 MTD플랑크톤네트와 저인망을 사용했다. 1971년 5∼6월의 만내전역에 걸친 조사에 의하면, 본종은 연안성이 강하여 만의 안쪽부분으로부터 만서부에 있어서의 200∼500m 등심선에 따른 해역에 분포의 중심을 갖고, 만중앙부와 만남동부 및 만입구에서는 출현량이 적다. 이것은 본종이 Sergestes lucens, Diaphus watasei, Maurolicus muelleri등과 함께 만내에서 대륙붕사면 주변해역에 분포의 중심을 갖는 생물군집의 일원임을 나타내고 있다. 어군탐지기와 Net채집에 의한 시료에 의하면, 본종의 층간의 서식층은 수심 200∼400m 전후의 대륙붕사면의 근저층이다. 일몰시부터 음파산란층(DSL)을 형성하는 다른 생물과 함께 상승하기 시작하여, 야간은 수심 50m 전후층을 중심으로 분포한 후 새벽녘에 하강을 개시하여 다시 층간의 서식층으로 이동한다.

  • PDF

하마오카 원자력 발전소 지진 기록 분석을 통한 지진응답의 공간적 변화 평가 (Assessment of Seismic Response Spatial Variation Through the Analysis of Earthquake Records at Hamaoka Nuclear Power Plant)

  • 지혜연;하정곤;김민규;함대기
    • 한국지진공학회논문집
    • /
    • 제26권5호
    • /
    • pp.181-190
    • /
    • 2022
  • In assessing the seismic safety of nuclear power plants, it is essential to analyze the structures using the observed ground motion. In particular, spatial variation in which the characteristics of the ground motion record differ may occur if the location is different within the site and even if the same earthquake is experienced. This study analyzed the spatial variation characteristics of the ground motion observed at the structure and site using the earthquake records measured at the Hamaoka nuclear power plant. Even if they were located on the same floor within the same unit, there was a difference in response depending on the location. In addition, amplification was observed in Unit 5 compared to other units, which was due to the rock layer having a slower shear wave velocity than the surrounding bedrock.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also found in the records of the structure's foundation and the free-field surface. Based on these results, the necessity of considering spatial variation in the observed records was sugges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