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urgical-site infection

검색결과 189건 처리시간 0.026초

Assessment of the autogenous bone graft for sinus elevation

  • Peng, Wang;Kim, Il-Kyu;Cho, Hyun-Young;Pae, Sang-Pill;Jung, Bum-Sang;Cho, Hyun-Woo;Seo, Ji-Hoon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 /
    • 제39권6호
    • /
    • pp.274-282
    • /
    • 2013
  • Objectives: The posterior maxillary region often provides a limited bone volume for dental implants. Maxillary sinus elevation via inserting a bone graft through a window opened in the lateral sinus wall has become the most common surgical procedure for increasing the alveolar bone height in place of dental implants in the posterior maxillary region.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assess the change of bone volume and the clinical effects of dental implant placement in sites with maxillary sinus floor elevation and autogenous bone graft through the lateral window approach. Materials and Methods: In this article, the analysis data were collected from 64 dental implants that were placed in 24 patients with 29 lacks of the bone volume posterior maxillary region from June 2004 to April 2011, at the Department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ry, Inha University Hospital. Panoramic views were taken before the surgery, after the surgery, 6 months after the surgery, and at the time of the final follow-up. The influence of the factors on the grafted bone material resorption rate was evaluated according to the patient characteristics (age and gender), graft material, implant installation stage, implant size, implant placement region, local infection, surgical complication, and residual alveolar bone height. Results: The bone graft resorption rate of male patients at the final follow-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rate of female patients. The single autogenous bone-grafted site was significantly more resorbed than the autogenous bone combined with the Bio-Oss grafted site. The implant installation stage and residual alveolar height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he resorption rate of maxillary sinus bone graft material. The success rate and survival rate of the implant were 92.2% and 100%, respectively. Conclusion: Maxillary sinus elevation procedure with autogenous bone graft or autogenous bone in combination with Bio-Oss is a predictable treatment method for implant rehabilitation.

BCG 림파선염의 경과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들에 대한 연구 (Factors Affecting Clinical Course of BCG Lymphadenitis)

  • 나경희;임성수;김은영;김경심;김용욱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8권2호
    • /
    • pp.181-190
    • /
    • 2001
  • 목 적 : BCG 림파선염은 BCG 접종의 가장 흔한 부반응으로 다양한 임상 양상과 예후를 보이나 치료에 대한 확실한 정설은 없는 형편이다. 따라서 저자들은 BCG 접종 후 발생한 림파선염 환아에서 결핵 반응 검사 결과와, 림파선염의 크기, BCG 균주, 접종연령, 접종위치, 림파선염의 위치 및 침범한 림파선의 갯수에 따른 임상 경과, 관찰 및 약물치료 후의 임상결과의 차이를 조사하여 치료 방향의 설정에 도움을 얻고자 이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 1997년 1월부터 2000년 5월까지 광주기독병원 소아과 외래에 내원한 환아 중 BCG 접종 후 발생한 림파선염으로 진단된 생후 3개월에서 24개월의 7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의무기록지를 통해 후향적으로 접종균의 종류, 접종 장소, 시기, 림파선염의 크기, 부위별 특징을 알아보았고, 림파선염의 크기에 따라 세 군(A군 : 직경 2.0 cm 미만, B군 : 직경 2.0~3.0 cm, C군 : 직경 3.0 cm 이상)으로 분류하여 조사하였다. 결 과 : 1) BCG 림파선염의 크기와 결핵 반응 검사 경결의 크기, 자연치유율 및 화농화 빈도는 서로 상관 관계가 없었다. 2) 접종연령에 따른 임상경과를 보면, 림파선염의 크기는 1개월 이전 접종군 $22{\pm}2.5mm$, 1개월 이후 접종군 $25{\pm}3.3mm$이고, 화농화 빈도는 1개월 전 접종군 43례 중 17례(39.5%), 1개월 후에 접종군 30례 중 20례(66.6%)로 1개월 이후에 접종시 림파선염의 크기가 더 크고 화농화 빈도도 높았다(P<0.05). 3) 화농화가 된 빈도는 관찰군 29례 중 8례(27.6%), 항결핵제 투여군 14례 중 10례(71.4%), 바늘배농 및 수술적 절제가 요구된 경우는 관찰군의 27.6%(8례), 항결핵제 투여군의 64.3%(9례)로, 항결핵제 투여는 림파선염의 화농화 예방 및 치료에 효과가 없었고, 오히려 항결핵제 투여로 화농화 빈도와 외과적 처치 빈도가 높아졌다(P<0.05). 4) 화농화 유무에 따른 임상경과를 보면 관찰 중 치유된 경우가 비화농성 림파선염 36례 중 23례(63.9%), 화농성 림파선염 37례 중 3례(8.1%)였고, 배농을 비롯한 수술적 처치가 요구된 경우는 비화농성 림파선염은 36.1%(13례), 화농성 림파선염은 91.9%(29례)로 비화농성 림파선염인 경우가 관찰 중 치유된 예가 더 많았고, 수술적 처치 빈도가 낮았다(P<0.05). 5) 접종균주에 따른 경과로는 국내의 결핵협회 연구원이 생산한 French strain 1173 P2 접종군은 다른 접종군에 비해 화농화 경향은 높았지만 통계적인 의미는 없었고(P=0.1), 수술적 처치의 빈도는 더 높았다(P=0.005). 6) 림파선염의 발생 위치에 따른 경과는, 쇄골상와 림파선염이 액와 림파선염에 비해 화농화 빈도가 의미있게 높았고(P=0.04), 림파선염 발생 부위에 따른 수술빈도는 통계적인 차이가 없었다. 7) 림파선염의 갯수와 화농화 빈도 및 수술빈도는 서로 상관관계가 없었다. 결 론 : BCG 림파선염의 임상경과는 화농화의 유무, 접종시 연령, 접종 균주, 접종 위치와 림파선염이 발생한 위치에 영향을 받지만 림파선염의 크기, 림파선염의 갯수에는 영향을 받지 않는다. BCG 접종 후 림파선염 발생시 전신적인 항결핵제 투여는 필요 없고 정기적으로 추적 관찰하여 림파선염의 크기변화 및 화농화 발생을 관찰하는 것이 중요하고, 화농성 림파선염인 경우는 적극적인 외과적 절제가 필요하다 하겠다.

  • PDF

계획된 근치적 위암 수술에서 예방적 항생제의 단기 사용 가능성 (The Use of Short-term Antimicrobial Prophylaxis in Elective Surgery for Gastric Cancer)

  • 시윤;허훈;김성근;전경화;진형민;김욱;박조현;박승만;임근우;김승남;전해명
    • Journal of Gastric Cancer
    • /
    • 제8권3호
    • /
    • pp.154-159
    • /
    • 2008
  • 목적: 위암 수술을 시행하는 임상의들은 광범위한 림프절 절제로 인한 수술 후 감염 가능성으로 인하여 대개 수술 후 3일 이상 예방적 항생제를 투여하고 있으나 투여기간의 결정은 임상의 개개인이나 기관에 따라 결정되고 있다. 본 연구는 위암 수술 후의 예방적 항생제의 투여 기간이 환자의 회복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7년 1월 1일부터 2007년 12월 30일까지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성모병원 외과에서 위 선암으로 수술을 받은 환자 중 수술 전 감염이 없어 항생제의 선행투여가 없는 93명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수술 시기에 따라 31명의 환자들은 수술 후 24시간까지만 투여가 계획되었고(A군), 31명의 환자들은 3일간 투여가 계획되었으며(B군), 31명의 환자에겐 대조군으로 5일 이상 항생제 투여가 계획되었다(C군). 세 군 간 수술 후 7일 이내의 감염을 포함한 합병증과 체온, 중성구 개수 변화들을 비교하였다. 결과: 수술 후 감염률은 A군에서는 31명 중 4명(12.9%), B군은 31명 중 5명(16.1%), C군에서는 31명 중 6명(19.4%)로 세 군 간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788). 수술 후 매일 가장 높이 조사된 체온들의 변화와 중성구 개수변화도 차이가 없었다(P=0.119, P=0.855). 결론: 위암 수술을 위한 위 절제 및 재건시의 예방적 항생제 투여는 수술 24시간 이내에만 시행하여도 환자 회복엔 영향이 없을 것으로 보인다.

  • PDF

소아청소년에서의 심경부 농양에 대한 임상적 고찰: 두 기관에서 도출된 10년간의 경험 (Deep Neck Abscesses in Children and Adolescents: 10 Year Experience in Two General Hospitals)

  • 김은희;전주희;이원욱;김소영;김은령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18권2호
    • /
    • pp.163-172
    • /
    • 2011
  • 목 적:본 연구는 최근 10년간 경험한 심경부 공간에 농양을 형성하여 입원치료를 받은 소아 청소년 환자들을 대상으로 임상적 특징, 원인, 치료 방법 등을 분석하고 다른 문헌들과 비교하여 이 질환에 대한 진단 및 치료에 도움이 되는 정보를 얻고자 시행되었다. 방 법: 2000년 1월부터 2010년 10월까지 서울 성애병원 및 광명 성애병원에서 통증을 동반한 경부 부종, 발열을 주소로 입원 치료하여 심경부 공간에 농양이 진단되었던 19세 미만의 소아 청소년 환자 36명을 대상으로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검토하여 성별과 나이, 동반 증상, 심경부 감염의 부위, 농양 유무, 원인균, 치료 및 예후 등을 분석하였다. 결 과:대상 환아는 남아 21례, 여아 15례로 환아의 평균 나이는 6.5세였다. 선행 질환은 상기도 감염(52.8%), 원인 불명(36.1%)이 많았고, 동반 증상은 통증을 동반한 경부 부종(86.1%), 발열(80.6%)이 많았으며 특히 14세 이상의 환아에서 인후통, 개구 장애, 식욕 감퇴, 두통 등의 증상이 나타났다. 심경부 농양의 발생 부위는 악하 공간, 편도 주위 공간, 인두후 공간 순으로 분석되었고 이 중 13세 이하의 환아에서는 악하 공간에서 14세 이상의 환아에서는 편도 주위 공간에서 각각 농양이 주로 형성되었다. 대상 환아들 중 15례에서 단일 균주가 배양되었고 1례에서는 2가지의 균주가 배양되었다. S.aureus가 6례에서 배양되어 가장 많았고, 그중 5례(83.3%)는 2세 미만이었다. 항생제 감수성을 분석한 결과, 그람 양성균에서는 amoxicillin-clavulanate, vancomycin, cefotaxime, clindamycin, oxacillin에서 그람 음성 구균은 cefotaxime, amikacin에서 각각 항생제 감수성을 나타냈다. 치료는 항생제만을 사용한 경우가 10례, 항생제 및 배농을 병합하여 치료한 경우가 26례였으며, 두 군 간에 입원 기간, 발열 기간, 항생제 치료 기간, 정맥 항생제 치료 기간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고, 특히 악하 공간에 농양이 발생한 경우에 항생제 치료와 배농의 병행하여 치료한 경우가 많았다. 대상 환아 36례 중 추적관찰이 가능한 32례에서 모두 합병증 없이 회복되었다. 결 론:심경부 농양의 형성 부위, 임상 증상, 원인균을 분석한 결과, 소아와 청소년에서 차이가 있었다. 항생제만을 사용하여 치료한 환아 군과 항생제와 배농을 병행하여 치료한 환아 군의 입원 기간, 발열 기간, 항생제 치료 기간에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어 항생제 치료를 우선적으로 고려할 수 있으나 48-72시간 치료를 지속해도 반응이 없는 경우 배농을 고려해야 할 것으로 여겨진다. 이에 본 연구진은 소아와 청소년에서의 증상의 차이를 이해하고 나이에 따른 발생 원인 및 부위에 대한 명확한 파악을 통해 적합한 항생제 치료를 하는 것이 환아의 예후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사료된다.

A multi-institutional analysis of sternoclavicular joint coverage following osteomyelitis

  • Othman, Sammy;Elfanagely, Omar;Azoury, Said C.;Kozak, Geoffrey M.;Cunning, Jessica;Rios-Diaz, Arturo J.;Palvannan, Prashanth;Greaney, Patrick;Jenkins, Matthew P.;Jarrar, Doraid;Kovach, Stephen J.;Fischer, John P.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47권5호
    • /
    • pp.460-466
    • /
    • 2020
  • Background Sternoclavicular joint (SCJ) osteomyelitis is a rare pathology requiring urgent intervention. Several operative approaches have been described with conflicting reports. Here, we present a multi-institutional study utilizing multiple surgical pathways for SCJ reconstruction. Methods A multi-institutional retrospective cohort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patients who underwent surgical repair for sternoclavicular osteomyelitis between 2008 and 2019. Patients were stratified according to reconstruction approach: single-stage reconstruction with advancement flap and delayed-reconstruction with flap following initial debridement. Demographics, operative approach, type of reconstruction, and postoperative outcomes were analyzed. Results Thirty-two patients were identified. Mean patient age was 56.2±13.8 years and 68.8% were male. The average body mass index (BMI) was 30.0±8.8 kg/㎡. The most common infection etiologies were intravenous drug use and bacteremia (both 25%). Fourteen patients (43.8%) underwent one-stage reconstruction and 18 (56.2%) underwent delayed two-staged reconstruction. Both single and delayed-stage groups had comparable rates of reinfection (7.1% vs. 11.1%, respectively), surgical site complications (21.4% vs. 27.8%), readmissions (7.1% vs. 16.6%), and reoperations (7.1% vs. 5.6%; all P>0.05). The single-stage reconstruction group had a significantly lower BMI (26.2±5.7 kg/㎡ vs. 32.9±9.1 kg/㎡; P<0.05) and trended towards shorter hospital length of stay (11.3 days vs. 17.9 days; P=0.01). Conclusions Both single and delayed-stage approaches are appropriate methods with comparable outcomes for reconstruction for SCJ osteomyelitis. When clinically indicated, a single-stage reconstruction approach may be preferable in order to avoid a second operation as associated with the delayed phase, and possibly shortening total hospital length of stay.

Incorporating a continuous suction system as a preventive measure against fistula-related complications in head and neck reconstructive surgery

  • Chang, Hsien Pin;Hong, Jong Won;Lee, Won Jai;Kim, Young Seok;Koh, Yoon Woo;Kim, Se-Heon;Lew, Dae Hyun;Roh, Tae Suk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45권5호
    • /
    • pp.449-457
    • /
    • 2018
  • Background Although previous studies have focused on determining prognostic and causative variables associated with fistula-related complications after head and neck reconstructive surgery, only a few studies have addressed preventive measures. Noting that pooled saliva complicates wound healing and precipitates fistula-related complications, we devised a continuous suction system to remove saliva during early postoperative recovery. Methods A continuous suction system was implemented in 20 patients after head and neck reconstructive surgery between January 2012 and October 2017. This group was compared to a control group of 16 patients at the same institution. The system was placed orally when the lesion was on the anterior side of the retromolar trigone area, and when glossectomy or resection of the mouth floor was performed. When the orohypopharynx and/or larynx were eradicated, the irrigation system was placed in the pharyngeal area. Results The mean follow-up period was $9.2{\pm}2.4$ months. The Hemovac system was applied for an average of 7.5 days. On average, 6.5 days were needed for the net drain output to fall below 10 mL. Complications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ir causes and rates. A fistula occurred in two cases in the suction group.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noted in the surgical site infection rate (P<0.031). Conclusions Clinical observations showed reduced saliva pooling and a reduction in the infection rate. This resulted in improved wound healing through the application of a continuous suction system.

개에서 내시경을 이용한 경위장관 담낭절제술 1예 : 자연개구부 내시경수술 (Transgastric Endoscopic Cholecystectomy in a Dog : Natural Orifice Transluminal Endoscopic Surgery)

  • 정성목;김영일;이재연;지현철;박지영;박종헌;김지연;이상일;김명철;신상태;이영원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315-319
    • /
    • 2007
  • 1년령, 암컷, 15 kg의 잡종견에서 위내시경을 이용한 경위장관 담낭절제술을 최소한의 복강경 도움아래에서 성공적으로 수행하였다. 내시경용 바늘 절개도를 이용하여 배쪽 유문부에서 위절개를 실시하였다. 위절개부를 통하여 내시경을 복강내로 진입한 다음 뒤쪽으로 돌려서 담낭쪽 시야를 확보하였다. 술야의 확보를 위해 복강경용 겸자를 이용하여 담낭의 바닥부위를 부드럽게 들어올렸다. 담낭관과 동맥을 내시경용 endoclip을 이용하여 3중 결찰하였다. 담낭관과 동맥을 절단한 후 내시경용 소작겸자와 바늘 절개도를 이용하여 담낭을 간으로부터 분리하였다. 분리된 담낭은 내시경을 이용해 입을 통하여 제거하고, 위절개부위는 내시경용 endoclip을 이용하여 봉합하였다. 술후 3일째 방사선검사 및 혈청화학검사를 통해 위봉합부위의 천공이 없음과 담즙의 누출이 없음을 확인하였다. 술후 16일째 위내시경과 복강경 검사를 실시하였다. 위내시경검사 결과 봉합부위가 완전히 유합 되었음을 확인하였고 복강경 검사를 통해 담낭절제부위와 위절개부의 장막에 대망막이 유착되어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개에서 자연개구부 내시경수술(NOTES)을 이용한 담낭절제술의 최초 보고로써 새로운 방법에 의한 담낭절제술에 대한 가능성을 제시한다.

C-arm 형광투시를 이용한 하악관절돌기골절의 비관혈적 도수정복 (Closed Manual Reduction of Mandibular Condylar Fracture Assisted by C-arm Fluoroscopy)

  • 최의철;강상규;정성균
    • 대한두개안면성형외과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131-134
    • /
    • 2009
  • 저자들은 보편적으로 보존치료가 불가능 하여 관혈적 정복술이 필요한 하악의 관절돌기골절 증례에서 당뇨, 고혈압의 병력, 고령으로 인한 절개 및 박리, 전신마취 시간증가로 발생할 수 있는 합병증을 줄이기 위해 우선적으로 시행한 형광투시하의 비관혈적 도수정복만으로 정확한 정복에 성공할 수 있었고 이후 골 유합까지 유지하여 만족스런 결과를 얻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한국산 잡견에서의 실험적 심장 이식술 (II) (Experimental cardiac transplantation in the mongrel dogs (II))

  • 이정렬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3권5호
    • /
    • pp.844-853
    • /
    • 1990
  • We have performed 27 cases of orthotopic homologous cardiac transplantation using Korean mongrel dogs and one case of sham operation for the evaluation of harmful effect of cardiopulmonary bypass itself on the dog from April, 1989 to June, 1990. Our previous reports have already demonstrated basal hemodynamic and hematologic data on the canine homologous heart transplantation and the fundamental principles of transplantation of the heart. The mean body weight of recipients was 13.2$\pm$1.2kg with a rage of 11 ~ 15kg, and the hemodynamic and hematologic pictures were almost same as the result of previous reports from our hospital, except marked decrease in postoperative platelet count[from 3.18 $\pm$0.80x106/mm3 to 1.41$\pm$0 37x 106/mm3]. Mean survival time was 24.82$\pm$49.40 hours with the longest survival of 264 hours. Donor cardiectomy included coronary vasodilatation with diltiazem, potassium arrest, and the rapid cooling of the heart suspending in the specially designed ice-bath. Median sternotomy provided excellent exposure of the surgical field. 6 \ulcorner0 prolene suture was used for the anastomosis of both atrial cuffs and the great arteries, and we found the fact that stenosis, bleeding, thrombus formation around the anastomotic site could be decreased with the use of everted horizontal mattress suture techniques. Immunosuppression was done with a combination of lower dose Cyclosporin-A, Azathioprine, methyl-prednisolone, but our cases still showed too short survival to worry about graft rejection. Still poor was our quality control of experimental animal, we had much difficulties in postmortem evaluation of the dogs. Low cardiac output due to biventricular failure, intractable supraventricular or ventricular tachyarrhythmia, postoperative massive bleeding, sepsis were most frequent findings that could be thought as a cause of death. A few cases showed subendocardial patch hemorrhage in both ventricular cavity or atrial septum at autopsy, suggesting acute subendocardial infarction. Although our team overcome most of the technical problems of orthotopic heart transplantation, we should pile up further knowledges about donor heart preservation, quality control of animal, infection, rejection, the effect of the cardiopulmonary bypass to improve the results.

  • PDF

변형된 경피적 술식을 이용한 아킬레스 건 봉합술의 임상적 결과 (Clinical Result of Modified Percutaneous Repair Technique of Ruptured Achilles Tendon)

  • 백종륜;곽지훈;원준성;박홍기
    • 대한족부족관절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144-148
    • /
    • 2011
  • Purpose: To investigate the results of percutaneous repair technique of Achilles tendon ruptures, and to describe the surgical technique. Materials and Methods: We retrospectively analyzed the outcomes of 73 patients with ruptured Achilles tendon from October 1995 to September 2009. 28 patients were excluded due to short follow up period. 34 patients were male and 11 patients were female. The mean patient age was 37.19 (10~62) years. The location of rupture site was 6.58 cm proximal to the tendon insertion into the calcaneus on average. Mean follow up period was 55 months and All patients were surgically repaired using percutaneous technique with sural nerve isolation. Results: Arner-lindholm score were excellent in 32 (71%), good in 12 (27%), poor in 1 (2%) case. 44 cases (98%) had the score more than good. Mean American Orthopedic Foot and Ankle Society (AOFAS) Ankle-Hindfoot function score was 92.93 (67~100). We had 1 case of superficial infection, 1 case of soft tissue irritation by suture knot. Conclusion: Percutaneous repair with sural nerve isolation in treating ruptured Achilles tendon showed low complication rate and reliable clinical outco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