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urgical margin positive

검색결과 57건 처리시간 0.031초

Adjuvant external beam radiation and brachytherapy for vaginal resection margin positive cervical cancer

  • Kim, Donghyun;Ki, Yongkan;Kim, Wontaek;Park, Dahl;Lee, Joohye;Lee, Jayoung;Jeon, Hosang;Nam, Jiho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36권2호
    • /
    • pp.147-152
    • /
    • 2018
  • Purpose: To evaluate the treatment outcomes of adjuvant external beam radiation therapy (EBRT) and vaginal brachytherapy (VB) following radical hysterectomy in cervical cancer patients with involved vaginal resection margin (VRM). Materials and Methods: We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medical records of 21 patients treated with postoperative EBRT and VB for positive VRM FIGO stage IB-IIA cervical cancer between 2003 and 2015. Concurrent platinum-based chemotherapy was administered to all patients. Results: The median whole pelvis EBRT dose was 50.4 Gy (range, 45 to 50.4 Gy). In the VB, the median dose per fraction, number of fractions, and total dose delivered were: 4 Gy (range, 3.0 to 4.0 Gy), 4 fractions (range, 3 to 5 fractions), and 16 Gy (range, 12 to 20 Gy), respectively. At a median follow-up of 46 months (range, 9 to 122 months), local recurrence was observed in 2 patients, and distant metastasis was present in 7 patients. All patients with local recurrence subsequently developed distant metastases. The 5-year local control, disease-free survival, and overall survival rates were 89.1%, 65.9%, and 62.9%, respectively. Of the 21 patients, 7 patients (33.3%) reported grade 2 acute toxicity; however, there were no grade 3 or higher acute adverse events. Grade 1-2 late toxicities were observed in 8 patients. Late grade 3 urinary toxicity was reported in 1 patient. Conclusions: Adjuvant EBRT and VB showed excellent local control and low toxicity in cervical cancer patients with positive VRM. Although limited by its retrospective nature, the findings from our study provide evidence supporting the use of additional VB in pathologically involved VRM.

Characterization and predictive value of volume changes of extremity and pelvis soft tissue sarcomas during radiation therapy prior to definitive wide excision

  • Gui, Chengcheng;Morris, Carol D.;Meyer, Christian F.;Levin, Adam S.;Frassica, Deborah A.;Deville, Curtiland;Terezakis, Stephanie A.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37권2호
    • /
    • pp.117-126
    • /
    • 2019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haracterize and evaluate the clinical significance of volume changes of soft tissue sarcomas during radiation therapy (RT), prior to definitive surgical resection. Materials and Methods: Patients with extremity or pelvis soft tissue sarcomas treated at our institution from 2013 to 2016 with RT prior to resection were identified retrospectively. Tumor volumes were measured using cone-beam computed tomography obtained daily during RT. Linear regression evaluated the linearity of volume changes. Kruskal-Wallis tests, Mann-Whitney U tests, and linear regression evaluated predictors of volume change. Logistic and Cox regression evaluated volume change as a predictor of resection margin status, histologic treatment response, and tumor recurrence. Results: Thirty-three patients were evaluated. Twenty-nine tumors were high grade. Prior to RT, median tumor volume was 189 mL (range, 7.2 to 4,885 mL). Sixteen tumors demonstrated significant linear volume changes during RT. Of these, 5 tumors increased and 11 decreased in volume. Myxoid liposarcoma (n = 5, 15%) predicted decreasing tumor volume (p = 0.0002). Sequential chemoradiation (n = 4, 12%) predicted increasing tumor volume (p = 0.008) and corresponded to longer times from diagnosis to RT (p = 0.01). Resection margins were positive in three cases. Five patients experienced local recurrence, and 7 experienced distant recurrence, at median 8.9 and 6.9 months post-resection, respectively. Volume changes did not predict resection margin status, local recurrence, or distant recurrence. Conclusion: Volume changes of pelvis and extremity soft tissue sarcomas followed linear trends during RT. Volume changes reflected histologic subtype and treatment characteristics but did not predict margin status or recurrence after resection.

기관절단면의 결핵성 육아종의 존재여부에 따른 기관지늑막루 발생한 관한 연구 (Clinical Study of the Relation between Bronchial Submucosal Granuloma and Post-resectional Bronchopleural Fistula)

  • 서정욱;정일영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9권5호
    • /
    • pp.524-529
    • /
    • 1996
  • 본 연구는 폐결핵으로 폐절제술을 시행한 200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현미경학적 소견을 바탕으로수술한 환자의 기관지 절단면에서 점막하 결핵성 육아종의 여부를 결정하였다. 기관지늑막루 가 생 긴 6례에서 점막하 육아종과의 연관성을 찾기 위 해 집중적으로 분석하였다. 200례중 19례 에서 점막하 육아종이 있었다. 이 19례중 2례 에서 기관지늑막루가 발생하였고 그 반대로 점막하육아종이 없었던 예에서는 단지 2.2%에서만 기관지늑막루가발생하였다. 점막하육아종이 있는 예에서 술전 객담 도말검사상 결핵균 양성 인 경우가 더 많았고 또한 술후 늑막사강의 빈도도 높았다.

  • PDF

폐암의 기관지 침습에 관한 CT의 정확도 (Accuracy of CT : Evaluation of Bronchial Invasion of Lung Cancer)

  • 나재범;최규옥;정경영;김세규;장준;김성규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4권3호
    • /
    • pp.505-515
    • /
    • 1997
  • 배 경 : 폐암환자에서 기관지 침습에 관하여 CT의 정확도를 알아보고, 수술을 시행한 폐암환자에서 CT의 역할을 알아보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 저자들은 폐절제술을 시행한 95명과 엽절제술을 시행한 61명의 수술전 CT를 분석하였다. 엽절제술을 시행 환자중 7명에서는 절제한 기관지 말단에서 암세포가 발견되어 폐절제술을 시행했다. 또한 저자들은 충분한 생검을 한 수술못한 60명의 수술전 CT도 분석하였다. 3mm 이상의 기관지벽의 비후, 불규칙한 기관지벽의 비후 그리고 기관지 직경의 감소를 기관지 침습으로 정하였다. 절제한 기관지 말단의 암세포 발견(20명), 수술한 기관지 말단에서의 폐암재발(6명) 그리고 기관지 생검상 양성(수술 안한군에서 34명)을 기관지 침습으로 생각하였다. 결 과 : 기관지 침습에 관하여 CT는 예민도 (11.5%), 낮은 양성기대치 (38%), 그러나 높은 특이도 (96%), 그리고 비교적 높은 정확도 (84%)를 나타냈으며, 수술 안한 군에서는 높은 예민도(62%), 양성 기대치를 보였다. 결 론 : 시행한 폐암환자에서 CT는 폐암의 기관지 침습에 대하여 예민도와 양성 기대치가 낮았다. 이와 같은 결과로 기관지 침습에 대한 CT의 유용성은 제한적이라 생각되며, 수술전 기관지경에 의한 기관지벽 생검이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 PDF

Long-term Outcomes of Patients With Early Gastric Cancer Who Had Lateral Resection Margin-Positive Tumors Based on Pathology Following Endoscopic Submucosal Dissection

  • Jun Hee Lee;Sang Gyun Kim;Soo-Jeong Cho
    • Journal of Gastric Cancer
    • /
    • 제24권2호
    • /
    • pp.199-209
    • /
    • 2024
  • Purpose: Long-term outcomes of patients with positive lateral margins (pLMs) after endoscopic submucosal dissection (ESD) for early gastric cancer (EGC).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remnant cancer and survival rates of patients with pLMs compared with those who underwent curative resection. Materials and Methods: A retrospective analysis was performed on consecutive patients with pLMs as the only non-curative factor of expanded indication who underwent ESD for EGC with a follow-up duration of 5 years or more. The rates of remnant cancer, recurrence, and survival were analyzed and compared to those of control patients who underwent curative resection by propensity score matching. Results: Among 3,515 patients treated with ESD between 2005 and 2018, 123 non-curative EGCs were retrospectively analyzed. A total of 108 patients were followed up without endoscopic or surgical resection for 8.2 years. The control group was matched in a 1:1 ratio with patients with EGC who underwent curative resection after ESD. The observation group with pLMs had a higher incidence of remnant cancer (25.9%; 28/108) compared to that in the curative resection group (0/108; P=0.000). The remaining tumors were treated with surgical or endoscopic resection, and no additional recurrences were observed. The overall survival analysis demonstrated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observation and curative resection groups (P=0.577). Conclusions: No difference was observed in the overall survival rate between observation and curative resection groups. Therefore, observation may be a possible option for incomplete ESD with pLMs if continuous follow-up is performed.

불완전 절제된 위암의 방사선 치료 (Radiotherapy in Incompletely Resected Gastric Cancers)

  • 김종훈;최은경;조정길;김병식;오성태;김동관;장혜숙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16권1호
    • /
    • pp.17-25
    • /
    • 1998
  • 목적 : 위암치료에 있어 완전절제수술후 임상적 국소재발이 $30-40\%$에 이르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나 수술 후 항암화학요법이나 방사선 치료의 시행은 아직 그 역할이 분명치 않다. 반면 완전절제가 이루어지지 않은 위암에서는 원발병소 부위의 국소발소 위험성이 매우 높아 추가적인 국소치료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으나 이에 대한 구체적인 연구는 아직 미미한 실정이다. 이에 저자 등은 불완전 절제된 위암에서 수술후 방사선치료가 국소재발을 줄일 수 있는지, 또한 생존율향상을 얻을 수 있는지 알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91년 7월부터 1996년 8월까지 울산의대 서울중앙병원에서 위암 진단하에 근치적 절제수술을 시행하였으나 불완전 절제된 25명의 환자에서 수술후 방사선 치료를 시행하였다. 전체 25명의 환자 중 선세포암이 23명, 평활근육종이 2명이었고, 수술은 위전절제수술(Total gastrectomy) 5명, 위부분절제술(Subtotal gastrectomy) 20명이었다. 병기별로는 I B 1명, II 2명, III A 11명, III B 10명, IV 1댕이었으며 불완전 절제부위는 원위절제면(dlstal resection margin) 17명, 근위절제면(proxlmal resection margin) 5명, 간 절제면 1명 및 기타 장기 절제면 2명이었다. 방사선 치료는 총 6회의 FP 항암화학요법중 회차와 동시에 시작되는 것을 원칙으로 하였으며 조사선량은 44.6Gy-59.4Gy 범위였고 중앙선량은 55.8Gy였다. 결과 : 1명을 제외한 모든 환자가 정해진 양의 방사선 치료를 마칠 수 있었으며, 3명의 환자에서 $15\%$ 이상의 체중감소가 있었고 중증도 3 이상의 혈액학적 독성은 5명에서 관찰되었다. 최소 추적관찰기간은 12개월이었다. 전체 25명중 12명에서 재발이 있었으며 조사야내 국소재발은 7명에서 발생하였고 이들은 문합부위재발 3명, 인접조직 3명, 임파절 1명이었다. 반면 원격전이는 10명에서 발생하였고 이들은 복막전이 6명, 간 전이 2명, 쇄골상임파절 및 대동맥 임파절등 원위임파절 전이가 3명이었다. 환자의 현 상태는 무병생존 11명, 위암과 관련 없는 사망 2명, 위암으로 인한 사망 10명, 재발상태의 생존 2명 등이다. 4년 무병생존율과 질병관련생존율(disease specific survival)은 각각 $48\%$$40\%$였으며 중앙생존값은 35개월, 중앙무병생존값은 26개월이었다. 원발병소 위치, T-stage, N-stage, Stage, 방사선량 등은 생존율에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결론 : 수술후 방사선치료와 항암화학요법은 큰 부작용 없이 시행되었으며 치료후 실패양상은 원격전이가 가장 많았고 국소재발은 7명($28\%$)에서 발생하여 문헌상 관찰된 완전절제수술후 국소재발수치과 비슷하거나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추적관찰 기간이 짧고 환자 수가 적어 단정짓기는 어렵지만 불완전 절제수술 후 원발병소 부위에 잔류암세포가 존재하는 상태인 점을 고려할 때, 불완전 절제된 위암에서 방사선치료가 국소재발을 억제에 기여했을 가능성이 크다고 생각된다.

  • PDF

Appropriate Timing of Surgery after Neoadjuvant Chemo-Radiation Therapy for Locally Advanced Rectal Cancer

  • Garrer, Waheed Yousry;Hossieny, Hisham Abd El Kader El;Gad, Zeiad Samir;Namour, Alfred Elias;Amer, Sameh Mohammed Ahmed Abo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7권9호
    • /
    • pp.4381-4389
    • /
    • 2016
  • Background: Surgery is the corner stone for the management of rectal canc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monstrate the optimal time of surgical resection after the completion of neoadjuvant chemo-radiotherapy (CRT) in treatment of locally advanced rectal cancer. Materials and Methods: This study compared 2 groups of patients with locally advanced rectal cancer, treated with neoadjuvant CRT followed by surgical resection either 6-8 weeks or 9-14 weeks after the completion of chemo-radiotherapy. The impact of delaying surgery was tested in comparison to early surgical resection after completion of chemo-radiotherapy. Results: The total significant response rate that could result in functional preservation was estimated to be 3.85% in group I and 15.4% in group II. Some 9.62% of our patients had residual malignant cells at one cm surgical margin. All those patients with positive margins at one cm were in group I (19.23%). There was less operative time in group II, but the difference between both groups was statistically insignificant (P=0.845). The difference between both groups regarding operative blood loss and intra operative blood transfusion was significantly less in group II (P=0.044).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both groups regarding the intra operative complications (P=0.609). The current study showed significantly less post-operative hospital stay period, and less post-operative wound infection in group II (P=0.012 and 0.017). The current study showed more tumor regression and necrosis in group II with a highly significant main effect of time F=61.7 (P<0.001). Pathological TN stage indicated better pathological tumor response in group II (P=0.04). The current study showed recurrence free survival for all cases at 18 months of 84.2%. In group I, survival rate at the same duration was 73.8%, however none of group II cases had local recurrence (censored) (P=0.031). Disease free survival (DFS) during the same duration (18 months) was 69.4 % for patients in group I and 82.3% for group II (P=0.429). Conclusions: Surgical resection delay up to 9-14 weeks after chemo-radiation was associated with better outcome and better recurrence free survival.

자궁경부암에서 수술 후 방사선치료의 역할 (Role of Postoperative Radiation Therapy in the Management of Cervical Cancer)

  • 전하정;이명자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22권4호
    • /
    • pp.265-270
    • /
    • 2004
  • 목적: 자궁경부암 환자에서 수술 후 방사선치료의 효과를 평가하고 생존율에 영향을 미치는 예후인자를 알아보고자 함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대상 및 방법: 1992년 5월부터 2000년 4월까지 본원에서 수술 후 방사선치료를 받은 81명의 자궁경부암 환자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42명은 IB 병기였고 IIA 병기는 17명, IIB 병기는 22명이었다. 조직학적 분류는 상피세포암이 76명, 선암이 5명이었다. 자궁기질내 침범은 7 mm 이하가 20명 8 mm 이상이 61명이었고, 자궁주위조직의 침범은 16명에서 발견되었다. 8명은 수술 절제연에 양성이었고 12명에서는 림프혈관강이 침범되었다. 모든 환자에서 외부 방사선만으로 치료하였으며 대부분의 환자에서 총 5,500 cGy를 원발부위에 조사하였다. 최소 추적기간은 4년이었다. 결과: 모든 대상 환자의 2년 및 5년 생존율은 95% 및 ,89%였으며, IB 병기, IIA 병기 및 IIB 병기의 5년 무병생존율은 각각 97%, 87% 및 70%였다. 5명에서 국소재발을 보였으며 국소재발률은 3년에 6%였다. 자궁기질내 침범에 따른 생존율은 의미있는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자궁주위 조직을 침범한 환자(72% vs 92%)와 수술 절제연에서 양성인 환자(64% vs 94%)에서는 5년 무병생존율이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다. 그러나 림프혈관강의 침범은 생존율에서 의미있는 차이를 관찰할 수 없었다. 결론: 고위험인자를 가진 자궁경부암 환자에서 수술 후 방사선치료가 효과적인 것으로 생각되며 자궁주위조직의 침범 및 수술절제연의 침범이 의미있는 예후인자임을 알 수 있었다.

Long-Term Treatment Results in Soft Tissue Sarcomas of the Thoracic Wall Treated with Pre-or-Postoperative Radiotherapy - a Single Institution Experience

  • Oksuz, Didem Colpan;Ozdemir, Sevim;Kaydihan, Nuri;Dervisoglu, Sergulen;Hiz, Murat;Tuzun, Hasan;Mandel, Nil Molinas;Koca, Sedat;Dincbas, Fazilet Oner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5권22호
    • /
    • pp.9949-9953
    • /
    • 2014
  • Objective: To evaluate the long term results among patients with soft tissue sarcoma of the thoracic wall. Materials and Methods: Twenty-six patients who were treated with pre-or postoperative radiotherapy between December 1980-December 2007, with a diagnosis of soft tissue sarcoma of the thoracic wall were retrospectively evaluated. Results: The median age was 44 years (14-85 years) and 15 of them were male. A total of 50% of patients were grade 3. The most common histologic type of tumor was undifferentiated pleomorphic sarcoma (26.9%). Tumor size varied between 2-25 cm (median 6.5 cm). Seventeen of the cases had marginal and 9 had wide local resection. Four cases received preoperative radiotherapy and 22 postoperative radiotherapy. Six of the patients with large and high grade tumors received chemotherapy. Median follow-up time was 82 months (9-309 months). Local recurrence and metastasis was detected in 34.6% and 42.3% of patients, respectively. Five-year local control (LC), disease-free survival (DFS), overall survival (OS), and disease-specific survival (DSS) were 62%, 38%, 69%, and 76% respectively. On univariate analysis, the patients with positive surgical margins had a markedly lower 5-year LC rate than patients with negative surgical margin, but the difference was not significant (43% vs 78%, p=0.1). Five-year DFS (66% vs 17%) and DSS (92% vs 60%) rates were significantly worse for the patients who had high grade tumors (p=0.01, p=0.008 respectively). Conclusions: Tumor grade and surgical margin are essential parameters for determining the prognosis of thoracic wall soft tissue sarcoma both in our series and the literature.

악성 말초신경막 종양의 치료와 생존율 (Treatment and Survial Rate of Malignant Peripheral Nerve Sheath Tumors)

  • 이종석;전대근;조완형;이수용;오정문;김진욱
    •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131-138
    • /
    • 2003
  • 서론: 악성 말초 신경막 종양(Malignant peripheral nerve sheath tumor, MPNST)에 대하여 수술, 항암제 투여, 방사선 치료 등을 시행하고 이에 따른 종양학적 결과를 분석하여 보다 합리적인 치료 방법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재료 및 방법: 1986년 2월부터 1996년 11월까지 본원에 등록된 MPNST 환자 34례를 대상으로 하였다. 남자가 17례, 여자가 17례였고 평균연령은 41세(18세~74세)였다. 종양의 위치는 하지가 17례, 상지 11례, 체간부 4례, 후복막 2례였다. AJC(American Joint Committee on Cancer) 분류에 의한 종양의 병기는 stage IA가 2례, stage IIA 2례, stage IIB 6례, stage III 16례, 그리고 stage IV가 8례였다. 치료 방법으로는 26례에서 수술과 항암제 투여 그리고 때에 따라서 방사선치료를 시행하였고 3례에서는 수술만, 3례에서는 항암제 투여나 방사선 치료만 시행하였다. 평균 추시 기간은 33.5개월(5.6개월~141.1개월)이었다. Kaplan-Meiyer 법으로 생존율을 구하였고, log rank test로 비교 분석 하였다. 결과: 최종 추시상 질병 상태는 14례에서 CDF(continuous disease free)였고, 2례가 NED(no evidence of disease), 2례 AWD(alive with disease), 그리고 14례가 DOD(died of disease)였다. 실제(actuarial) 5년 생존율과 10년 생존율 은 53.5 %와, 35.7%였다. 수술 후의 국소 재발율은 24.1%였다. 병기별 5년 실질 생존율은 stage I이 100%, stage II 85.7%, stage III 55.9%였고 stage IV의 경우 2년 실질 생존율이 14.3%였다(p=0.04). Stage II, III에서 수술한 경우 21례에서, 광범위 이상의 절제연을 얻었던 경우가 15례로 5년 실질생존율이 76.0%였고 병소내이거나 변연부 절제연의 경우는 6례로 40.0%였다(p=0.26). 4회차 이상의 항암화학요법제를 투여한 군(8례)의 5년 실질생존율은 71.4%였고 3회차 이하의 불충분한 항암제투여를 시행한 군(6례)의 3년 실질생존율은 83.3%였다(p=0.96). Stage II, III 중 방사선 치료 없이 수술 받은 19례에서 병소내 절제나 변연부 절제를 시행했던 5례는 3례가 국소 재발하였고(60.0%) 광범위 절제를 시행한 14례는 4례가 국소 재발하였다(28.6%). 수술 전 또는 후에 방사선치료를 시행하였던 8례에서는 국소재발이한 예도 없었다. 결론: 외과적 절제연(surgical margin)이 국소 재발에는 중요한 요인이었고, 통계적으로 의미있는 수치는 아니었지만 생존율에도 영향을 주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기존의 항암제 투여는 국소 재발이나 생존율상에 통계적으로 의미있는 차이를 보이지 못하였다. 수술전과 수술후 시행하였던 방사선치료는 국소 재발을 줄이는데 어느 정도의 효과를 보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