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urgical exposure

검색결과 305건 처리시간 0.023초

개인선량계 분실 사례 및 분실 방지 방안 조사 (Investigation of Personal Dosimeter Loss Case and Measures to Prevent Loss)

  • 박성우;박현식;박영재;이경재;오기백;이성하;김민석;박주언;원문희
    • 핵의학기술
    • /
    • 제27권1호
    • /
    • pp.66-70
    • /
    • 2023
  • Purpose It is intended to improve the management efficiency of personal dosimeters by analyzing and sharing personal dosimeter loss cases and loss prevention measures. Materials and Methods From 2017 to 2021, data on the number of lost personal dosimeters were collected at large hospitals, and the number of personal dosimeters issued and lost were investigated. Results In order to prevent loss by institution, methods such as the use of auxiliary rings, contact stickers and dosimeter necklaces were implemented. Conclusion Hospitals are a business that frequently changes clothes, such as surgical gowns and work clothes, so there is a lot of loss.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loss rate increases as the number of personal dosimeters issued increases.

  • PDF

Parathyroid Hormone-Related Protein Promotes the Proliferation of Patient-Derived Glioblastoma Stem Cells via Activating cAMP/PKA Signaling Pathway

  • Zhenyu Guo;Tingqin Huang;Yingfei Liu;Chongxiao Liu
    • International Journal of Stem Cells
    • /
    • 제16권3호
    • /
    • pp.315-325
    • /
    • 2023
  • Background and Objectives: Glioblastoma (GBM) is an aggressive primary brain tumor characterized by its heterogeneity and high recurrence and lethality rates. Glioblastoma stem cells (GSCs) play a crucial role in therapy resistance and tumor recurrence. Therefore, targeting GSCs is a key objective in developing effective treatments for GBM. The role of Parathyroid hormone-related peptide (PTHrP) in GBM and its impact on GSCs remains unclear.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THrP on GSCs and its potential as a therapeutic target for GBM. Methods and Results: Using the Cancer Genome Atlas (TCGA) database, we found higher expression of PTHrP in GBM, which correlated inversely with survival. GSCs were established from three human GBM samples obtained after surgical resection. Exposure to recombinant human PTHrP protein (rPTHrP) at different concentrations significantly enhanced GSCs viability. Knockdown of PTHrP using target-specific siRNA (siPTHrP) inhibited tumorsphere formation and reduced the number of BrdU-positive cells. In an orthotopic xenograft mouse model, suppression of PTHrP expression led to significant inhibition of tumor growth. The addition of rPTHrP in the growth medium counteracted the antiproliferative effect of siPTHrP. Further investigation revealed that PTHrP increased cAMP concentration and activated the PKA signaling pathway. Treatment with forskolin, an adenylyl cyclase activator, nullified the antiproliferative effect of siPTHrP. Conclusions: Our findings demonstrate that PTHrP promotes the proliferation of patient-derived GSCs by activating the cAMP/PKA signaling pathway. These results uncover a novel role for PTHrP and suggest its potential as a therapeutic target for GBM treatment.

소아의 장회전이상과 중장염전: 진단적 접근, 영상 소견 및 함정들 (Malrotation and Midgut Volvulus in Children: Diagnostic Approach, Imaging Findings, and Pitfalls)

  • 김정주;유소영;전태연;김지혜
    • 대한영상의학회지
    • /
    • 제85권1호
    • /
    • pp.124-137
    • /
    • 2024
  • 장회전이상과 이로 인한 중장염전은 생후 1개월 이내에 호발하는 외과적 응급 질환이다. 전형적인 증상은 급성 담즙성 구토이며, 유아기 이후에는 반복적인 복통과 같은 비특이적인 증상을 호소할 수 있다. 장간막 띠로 인한 십이지장 폐쇄나 고리췌장, 십이지장 전방 문맥과 같은 기형을 동반하기도 한다. 중장염전은 장의 괴사를 일으켜 생명을 위협할 수 있으므로 정확하고 빠른 진단이 중요하다. 상부 위장관 조영술, 초음파 및 CT로 진단할 수 있으며, 초음파는 소아에서 방사선 피폭 없이 빠르고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어 선별검사로 대두되고 있다. 본 임상화보에서는 장회전이상과 중장염전의 핵심적인 영상 소견 및 진단적 접근법에 대해 알아보고, 실제 증례에서 경험한 진단적 오류와 주의할 점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The Value of Computed Tomography Scan in Three-dimensional Planning and Intraoperative Navigation in Primary Total Hip Arthroplasty

  • Fabio Mancino;Andreas Fontalis;Ahmed Magan;Ricci Plastow;Fares S. Haddad
    • Hip & pelvis
    • /
    • 제36권1호
    • /
    • pp.26-36
    • /
    • 2024
  • Total hip arthroplasty (THA) is a frequently performed procedure; the objective is restoration of native hip biomechanics and achieving functional range of motion (ROM) through precise positioning of the prosthetic components. Advanced three-dimensional (3D) imaging and computed tomography (CT)-based navigation are valuable tools in both the preoperative planning and intraoperative execution. The aim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 thorough overview on the applications of CT scans in both the preoperative and intraoperative settings of primary THA. Preoperative planning using CT-based 3D imaging enables greater accuracy in prediction of implant sizes, leading to enhancement of surgical workflow with optimization of implant inventory. Surgeons can perform a more thorough assessment of posterior and anterior acetabular wall coverage, acetabular osteophytes, anatomical landmarks, and thus achieve more functional implant positioning. Intraoperative CT-based navigation can facilitate precise execution of the preoperative plan, to attain optimal positioning of the prosthetic components to avoid impingement. Medial reaming can be minimized preserving native bone stock, which can enable restoration of femoral, acetabular, and combined offsets. In addition, it is associated with greater accuracy in leg length adjustment, a critical factor in patients' postoperative satisfaction. Despite the higher costs and radiation exposure, which currently limits its widespread adoption, it offers many benefits, and the increasing interest in robotic surgery has facilitated its integration into routine practice. Conducting additional research on ultra-low-dose CT scans and examining the potential for translation of 3D imaging into improved clinical outcomes will be necessary to warrant its expanded application.

인조혈관대를 이용한 허혈성 승모판막 폐쇄부전의 수술적 치료 (Simple and Effective Surgical Repair with Vascular Graft Strip for Ischemic MR)

  • 민호기;이승훈;이주현;성기익;박계현;전태국;박표원;이영탁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6권9호
    • /
    • pp.646-650
    • /
    • 2003
  • 허혈성 승모판막 폐쇄부전에 대한 수술적 교정은 그간 많은 수기들이 보고되어 왔다. 본원에서는 인조혈관편을 이용한 후판막륜 성형술을 통하여 좋은 조기성적을 얻었기에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 2001년 12월부터 2003년 1월까지 본원에서 허혈성 승모판막 폐쇄부전으로 진단받고 수술을 시행한 환자에서 유두근 파열에 의한 치환술 환자를 제외한 22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남자는 13명이었다. 술 전 위험인자로는 저좌심실구출률(<35%)이 9예, 당뇨가 7예, 고혈압이 13예, 신부전(Cr>2.5 mg/dl)이 4예였다. 수술 수기는 좌심방이 작은 경우가 많은 이유로 승모판막의 노출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상대정맥과 하대정맥에 각각 정맥캐뉼라를 삽관하고 양대정맥 위아래로 충분히 박리를 시행하였다. 약 6mm 두께의 인조혈관편으로 8∼10개의 단절 수평봉합뜨기를 이용하여 후판막륜을 줄여주었다(비대칭술이 14예, 대칭술이 8예). 동반 술기로는 관상동맥 우회로숭리 21예, Dor 술식이 3예, 삼첨판막 성형술이 1예, 미로술식이 1예, 대동맥-쇄골하동맥간 우회술이 1예 있었다. 결과: 수술 관련되어 사망은 1예가 있었고 이를 제외한 나머지 환자의 평균 역류지수는 2.95에서 0.88로 감소하였다. 그러나 술 전후로 평균 심실구출률은 별다른 변화는 없었다. 퇴원 직전 시행한 심초음파상 승모판막 폐쇄부전이 없었던 경우가 8예, 경미한 경우가 11예, 경도가 2예, 경도에서 중등도 사이가 1예 있었다. 결론: 인조혈관편을 이용한 후판막륜 성형술은 허혈성 승모판막 폐쇄부전의 치료에 있어서 안전하고 경제적인 방법으로 생각되며 향후 승모판막의 기능 평가를 위하여 장기간 추적 관찰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후방 소개흉술을 통한 미숙아 동맥관 개존증의 수술요법 (Dorsal Mini-thoracotomy for PDA Closure in Premature Neonates)

  • 이향림;최창휴;손동우;심소연;박국양;박철현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2권4호
    • /
    • pp.434-440
    • /
    • 2009
  • 배경: 미숙아에 있어서 동맥관의 외과적 폐쇄술은 인도메타신 투여 후 치료 실패나 적응증이 되지 않는 경우 일반적으로 시행하고 있다. 그러나 초극소 저출생 체중아(ELBW, <1,000그램)에서는 일반적인 개흉술이나 흉관 삽입 자체 만으로도 사망률이나 이환율에 많은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후방 소개흉술(dosal rninithoracotomy)을 통해 동맥관을 페쇄하고, 흉관을 삽입하지 않은 수술 방법의 단기성적을 조사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6년 3월부터 2008년 11월까지 동맥관의 의과적 폐쇄술을 시행한 재태기간 30주 이하의 미숙아 2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수술은 모두 신생아 중환자실에서 시행하였고 환아를 엎드려 누윈 상태에서 좌흉부를 30도 올려주는 체위를 취하고 견갑골 직하부위에 2 cm크기의 피부절개를 통해 제 3늑간으로 접근하였다. 면봉을 이용하여 벽측늑막 밖에서 조심스럽게 후종격동으로 박리를 시행하여 동맥관 주변조직을 박리 후 클립(Hemoclip)을 이중으로 사용하여 폐쇄 하였다. 늑막층의 손상이 없거나 미세한 경우는 흉관을 삽입치 않고 창상 봉합을 하여 수술을 종료하였다. 결과: 환아의 출생 시 재태기간은 23주에서 30주 사이로 평균 26.5$\pm$2.1주였으며, 수술 시의 평균 연령은 11$\pm$11일(0$\sim$33일)이었고 수술 시 평균 체중은 933$\pm$271그램(570$\sim$1,700그램) 이었다. 18명의 환아가 인도메타신 치료에 실패하고, 6명의 환아는 약물치료의 적응이 되지 않아 수술적 치료를 시행하였다. 모든 환아에서 수술 직후 확인한 단순 흉부 방사선상 의미있는 기흉은 관찰되지 않았으며, 술후 시행한 심초음파에서 2예를 제외하고는 완전한 폐쇄를 확인하였다. 잔존 단락이 있던 예들은 추적 관찰한 심초음파 검사에서 각각 수술 후 5일과 59일에 폐쇄가 확인되었으며 건강하게 퇴원하였다. 8명의 환아가 사망하였으나 수술과 직접적인 관계의 사인은 없었다. 결론: 미숙아의 동맥관 개존증의 수술요법으로 후방 소개흉술은 만족스러운 수술시야를 확보해 동맥관 폐쇄에 어려움이 없으며, 술후 흉관의 삽입을 줄임으로써 안전하고 효과적인 방법으로 여겨진다.

우측 개흉술을 이용한 한국형 인공심장(AnyHeart)의 이식기법 (Surgical Technique for Korean Artificial Heart(AnyHeart) Implantation Using a Right Thoracotomy Approach)

  • 손호성;선경;신재승;이성호;정재승;이혜원;김광택;김승철;원용순;민병구;김형묵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5권5호
    • /
    • pp.329-335
    • /
    • 2002
  • 배경: 한국형 인공심장(AnyHeartTM)은 단심보조장치, 체네 이식형 양심보조장치, 인공심장, 그리고 생명 유지를 위한 체외순환 장치 등 다양한 형태로 사용이 가능한 장치이다. 그 중에서도 체내 이식형 양심보조장치는 가장 독특한 형태이다. 양심보초장치 이식의 외과적 술기는 주로 삽관으로 구성되어 있고, 흉골 정중절개는 외과의사가 심장의 노출을 충분히 할 수 있어서 가장 선호되어 온 방법이다. 그러나 환자가 흉골 정중절개를 이미 시행 받은 경우나, 또는 차후에 환자 대부분이 흉골 정중절개가 필요한 것을 감안하면 재개흉에 따른 합병증은 양심보조장치 이식에 있어서 중요하게 고려해야 할 부분이다. 일반적인 심장 수술의 임상경험에 근거하여, 저자들은 양심보조장치 이식에 있어서, 도관의 상관을 위한 접근이 심장의 우측에서도 가능할 것이라고 가정하였다. 이번 연구의 목적은 동물실험에서 양심보조장치의 이식을 위한 우측 개흉술의 수술 기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지난 2년 동안, 30차례의 AnyHeart$^{TM}$ 이식실험 중 16례가(11 calves, 3 canines, and 2 sheep) 우측 개흉술로 이루어졌다. 기계장치는 14례의 동물에서 체내 이식형 양심보조장치로 시술 되었으며, 체외형 양심보조장치와 체내 이식형 좌심실보조장치로 시술된 경우가 각각 1례씩이었다. 수술은 4번째 늑간를 통하여 우측 흉강으로 진입하였고, 양심보조장치의 경우에 우측 유입 도관은 우심방의 free wall에 삽관 하였고, 유춘도관은 인조혈관을 이용하여 주폐동맥애 측단 문합하였다. 좌측 유입도관은 심방격을 통하여 좌심방에 삽관하였고, 유출도관을 무명동맥에 인조현관을 이장하여 측단 문한하였다. 각각의 도관은 피하터널을 통해 우측 옆구리에 위치한 펌프와 연결하였다. 결과: Fitting test와 초기 실험의 5례를 제외하고 모든 실험 동물은 수술 후 회복되었다. 펌프의 유출량은 최고 6.5L/min였고, 평균 3~3.5L/min로 측정되었다. 수술과 관련된 사망이나 이환율은 없었다. 모든 실험 도물은 부검을 하였으며, 부검 결과 도관이 위치는 모두 각각의 심방내에 적절하게 위치하고 있었다.

흡수성 차폐막과 동종탈회동결건조골 이식에 의한 치조골 재생의 병용효과 (Alveolar Bone Formation in Dogs using Vicryl Absorbable Mesh(Polyglactin 910) and Decalcified Freeze-Dried Bone Grafting)

  • 오은정;정현주;김영준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29권3호
    • /
    • pp.469-484
    • /
    • 199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new bone formation following guided bone regeneration by resorbable and nonresorbable membrane. Six adult mongrel dogs were used. The first, second, third, fourth premolars in the mandible of each dog were extracted. Two months after tooth extraction, a buccal dehiscence defect was surgically created on each edentulous area. The experimental site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according to the treatment modalities ; Group I-a: surgical treatment only ; Group I -b: allogenic decalcified freezed dried bone grafting ; Group II-a : e- PTFE membrane placement only ; Group II-b : allogenic decalcified freezed dried bone grafting and e-PTFE membrane placement ; Group III-a : Vicryl(R) mesh placement only ; Group III-b : allogenic decalcified freezed dried bone grafting and Vicryl(R) mesh placement . The animals were sacrificed at 8 weeks after operation and the specimens were prepared for histologic and histometric examinat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Clinically, all defect sites were healed without exposure of barrier membrane after the eight weeks. In Group I-a, dense connective tissues were impinged in the bony defect area. Well vascularized and fibrous bone marrow indicated that bone formation was still taking place was found. In Group I-b, in areas closer to the periphery, lamellation of the newly formed bone would found. In Group II-a, beneath the e-PTFE membrane a dense layer of connective tissue covering the most external portions of the regenerated tissue was seen. The new bone surfaces were lined with osteoid and osteoblast. In Group II-b, a dense layer of connective tissue covering the most external portions of the regenerated tissue was observed beneath the e-PTFE membrane. A notable amount of alveolar ridge regeneration was seen with new rigdes with well-contoured form. In Group III-a, the new bone surface were lined with osteoid and osteoblast, indicating active bone formation. A clear demarcation could not be noted between the host bone and new bone. In Group III-b, a notable amount of alveolar ridge regeneration was seen with new ridges assuming wellcontoured form. In areas closer to the periphery, lamellation of the newly formed bone would found. As histometric examination, the amount of bone formation was gained from $12.8mm^2$ to $26.3mm^2$. It was significantly greater in group II-b and group III-b compared to other groups(p<0.05) . These results suggest that Vicryl(R) mesh after DFDB grafting used in guided bone regeneration could create and sustain sufficient space for new bone formation.

  • PDF

맹출장애를 가진 상악 제1대구치의 치료 (TREATMENT OF MAXILLARY FIRST MOLARS WITH ERUPTION FAILURES)

  • 권순연;김현정;김영진;남순현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281-287
    • /
    • 2009
  • 유치열이 혼합치열기를 거쳐 영구치열로 교환되는, 소아 및 청소년기에서는 맹출장애가 흔히 관찰된다. 이로 인해 치아의 맹출시기를 놓치게 되면 심미적 문제 인접치아의 전위 및 치근흡수, 부정교합 등의 많은 문제를 야기한다. 치아 중 제1대구치는 특히 교합 및 발육에 중요하게 관여하며 기능적, 형태적으로 건전한 교합의 발육 및 유지에 필수적인 치아이다. 그러므로 이들 이상증례를 조기에 파악하고 문제점에 대응하는 것은 보다 적절한 교합관리에 중요한 부분이라 할 수 있다. 상악 제1대구치의 맹출장애는 크게 맹출지연, 매복, 일차정체 및 이차정체로 나누어서 생각할 수 있다. 매복의 원인 중 물리적 장애물이 존재할 경우 우선 이를 제거하고 치아발육 상태에 따라 제거 후 관찰, 외과적 노출 또는 교정적 견인 등으로 치료가능하며 이소맹출에 의 한 매복일 경우 brass wire, pendulum applinace, 제2유구치 발치후 공간 유지 및 공간확보 등으로 치료를 할 수 있다. 본 증례들은 혼합치열기의 환아로서 맹출장애를 보이는 상악제1대구치의 진단 및 그에 따른 치료를 통해 양호한 치료결과를 보여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 PDF

Effects of remifentanil preconditioning on factors related to uterine contraction in WISH cells

  • Kim, Cheul-Hong;Lee, Sang-Hoon;Kim, Eun-Jung;Ahn, Ji-Hye;Choi, Eun-Ji;Yoon, Ji-Uk;Choi, In-Seok
    • Journal of Dental Anesthesia and Pain Medicine
    • /
    • 제19권6호
    • /
    • pp.343-351
    • /
    • 2019
  • Background: Preterm labor and miscarriage may occur in stressful situations, such as a surgical operation or infection during pregnancy. Pharyngeal and buccal abscess and facial bone fractures are inevitable dental surgeries in pregnant patients. Remifentanil is an opioid analgesic that is commonly used for general anesthesia and sedation. Nonetheless, no study has investigated the effects of remifentanil on amniotic epithelial cells. This study evaluated the effects of remifentanil on the factors related to uterine contraction and its mechanism of action on amniotic epithelial cells. Methods: Amniotic epithelial cells were preconditioned at various concentrations of remifentanil for 1 h, followed by 24-h lipopolysaccharide (LPS) exposure. MTT assays were performed to assess the cell viability in each group. The effects of remifentanil on factors related to uterine contractions in amniotic epithelial cells were assessed using a nitric oxide (NO) assay, western blot examinations of the expression of nuclear factor-kappa B (NF-κB), cyclooxygenase 2 (COX2), and prostaglandin E2 (PGE2), and RT-PCR examinations of the expression of the proinflammatory cytokines interleukin (IL)-1β and tumor necrosis factor-alpha (TNF-α). Results: Remifentanil did not affect viability and nitric oxide production of amniotic epithelial cells. Western blot analysis revealed that remifentanil preconditioning resulted in decreased expressions of NF-κB and PGE2 in the cells in LPS-induced inflammation, and a tendency of decreased COX2 expression. The result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only at high concentration. RT-PCR revealed reduced expressions of IL-1β and TNF-α. Conclusions: Preconditioning with remifentanil does not affect the viability of amniotic epithelial cells but reduces the expression of factors related to uterine contractions in situations where cell inflammation is induced by LPS, which is an important inducer of preterm labor. These findings provide evidence that remifentanil may inhibit preterm labor in clinical setting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