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urfactant replacement therapy

검색결과 9건 처리시간 0.045초

성인성 호흡곤란 증후군에 있어서 Surfactant 치료 (Surfactant Replcement Therapy in Adult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 박성수;이정희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0권2호
    • /
    • pp.91-97
    • /
    • 1993
  • Pulmonary surfactant is a lipoprotein complex composed primarily of phospholipid and lung specific apoproteins that reduces surface tension in the alveolus and maintains alveolar stability at low lung volume. Adult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still carries a very high morbidity and mortality. The surfactant system is vital to the maintenance of proper lung function, any type of surfactant deficiency, whether primary or secondary, will contribute significantly to the development of pulmonary pathophysiology. Various mechanisms in adult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may be responsible for such alterations in the surfactant system. Surfactant replacement is now an established treatment for neonatal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reducing both incidence of complications and mortality. With the current knowledge of surfactant physiology and the pathophysiology of the adult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exogenous surfactant treatment or stimulation of endogenous surfactant synthesis and secretion will prove to be beneficial in preventing and treating the adult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The study of clinical surfactant therapy for adult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is just beginnig and this can be viewed as an area with exciting potential. As soon as surfactant preparations become more widely available trials should begin to define the role of surfactant treatment in the adult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as an adjunct to available treatment techniques.

  • PDF

Comparison of minimally invasive surfactant therapy with intubation surfactant administration and extubation for treating preterm infants with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a randomized clinical trial

  • Sabzehei, Mohammad Kazem;Basiri, Behnaz;Shokouhi, Maryam;Ghahremani, Sajad;Moradi, Ali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65권4호
    • /
    • pp.188-193
    • /
    • 2022
  • Background: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RDS) is a common cause of hospitalization and death in preterm infants who require surfactant treatment and respiratory support. Purpose: This study aimed to compare the clinical outcomes of minimally invasive surfactant therapy (MIST) and the INtubation, SURfactant administration, and Extubation (INSURE) technique in preterm infants with RDS. Methods: In this clinical trial, 112 preterm infants born at 28-36 weeks of gestation and diagnosed with RDS randomly received 200-mg/kg surfactant by MIST or the INSURE method. In the MIST group, surfactant was administered using a thin catheter (5F feeding tube); in the INSURE group, surfactant was administered after intubation using a feeding tube and the tracheal tube was removed after positive pressure ventilation was started. Nasal continuous positive airway pressure was applied in both groups for respiratory support and the postprocedure clinical outcomes were compared. Results: The mean hospitalization time was shorter for infants in the MIST group than for those in the INSURE group (9.19±1.72 days vs. 10.21±2.15 days, P=0.006). Patent ductus arteriosus was less frequent in the MIST group (14.3% vs. 30.4%, P=0.041). Desaturation during surfactant administration occurred less commonly in the MIST group (19.6% vs. 39.3%, P=0.023). There were no significant intergroup differences in other early or late complications.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surfactant administration using MIST could be a good replacement for INSURE in preterm infants with RDS since its use reduced the hospitalization time and the number of side effects.

Clinical Outcomes of Minimally Invasive Surfactant Therapy via Tracheal Catheterization in Neonates with a Gestational Age of 30 Weeks or More Diagnosed with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 Seo, Moon Young;Shim, Gyu Hong;Chey, Myoung Jae
    • Neonatal Medicine
    • /
    • 제25권3호
    • /
    • pp.109-117
    • /
    • 2018
  • Purpose: Minimally invasive surfactant therapy (MIST) is currently used as a method of surfactant replacement therapy (SRT) for the treatment of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RDS) in preterm infants with a gestational age of less than 30 weeks. However, few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MIST in neonates with a gestational age of 30 weeks or more. In this study, we compared MIST with endotracheal intubation as a rescue SRT for spontaneously breathing neonates with a gestational age of 30 weeks or more who were diagnosed with RDS. Methods: We investigated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of spontaneously breathing neonates admitted to the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of the Inje University Sanggye Paik Hospital from January 1, 2014 to December 31, 2016. These neonates were born at a gestational age of 30 weeks or more and were diagnosed with RDS. The neonates who were administered surfactant by MIST were categorized into the MIST group (n=16) and those who underwent endotracheal intubation were categorized into the control group (n=45). Thereafter,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between the groups were compared. Result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e MIST group was less likely to require mechanical ventilation within 72 hours (P<0.001). The frequency of bradycardia during SRT was also low in the MIST group (P=0.033). Conclusion: MIST is considered relatively feasible and safe for treating RDS for reducing the need for mechanical ventilation and decreasing the occurrence of bradycardia during surfactant administration in neonates with a gestational age of 30 weeks or more.

2010년 전국 72개 병원에서 신생아 호흡곤란증후군의 폐 표면활성제 치료 결과: 지난 20년간의 비교 (Surfactant Replacement Therapy for RDS: a Collaborative Study of 72 Multi-center Trials in Korea (2010) and a Review of Korean Experiences over 20 Years)

  • 배종우;한원호;장지영;김성미
    • Neonatal Medicine
    • /
    • 제18권2호
    • /
    • pp.409-411
    • /
    • 2011
  • In Korea, pulmonary surfactant (PS) replacement therapy in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RDS) was started in 1991 since when Surfacten$^{(R)}$ was imported from Japan. At the present time, Surfacten$^{(R)}$, Newfactan$^{(R)}$, Curosurf$^{(R)}$, and Infasurf$^{(R)}$ are available in Korea. The governmental health insurance covers the expense for multiple dose treatment since 2002 and the early prophylactic treatment (BW: <1,250 g or GP: <30 wks) since 2011. We undertook a multi-institutional collective study to evaluate the outcomes of PS over past 20 years in Korea (Period-I; 1990/91, P-II; 1996, P-III; 2002, and P-IV; 2007, P-V; 2010). There were 60 RDS neonates with PS treatment in P-I (16 hospitals), 1,179 in P-II (64), 1,595 in P-III (62), 1,921 in P-IV (57), and 3,160 in P-V (72). Decreased mortality rate, defined as the percentage of neonates who died within 28 days of birth, was seen between periods, P-V vs P-I, II, III, and IV (mortality rate: 10.1% vs. 40.0%, 30.0%, 18.7%, and 14.3%). We conclude that PS therapy contributed to improve remarkable outcome in RDS neonates over the last 20 years in Korea. However, more efforts should be made to optimize PS therapy for better outcome. Multiple PS doses for relapse and poor response, early prophylactic use, and better supportive care for pre-term infants are mandatory.

Surfactant preparations for preterm infants with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past, present, and future

  • Jeon, Ga Won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62권5호
    • /
    • pp.155-161
    • /
    • 2019
  • Following the first successful trial of surfactant replacement therapy for preterm infants with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RDS) by Fujiwara in 1980, several animal-derived natural surfactants and synthetic surfactants have been developed. Synthetic surfactants were designed to overcome limitations of natural surfactants such as cost, immune reactions, and infections elicited by animal proteins contained in natural surfactants. However, first-generation synthetic surfactants that are protein-free have failed to prove their superiority over natural surfactants because they lack surfactant protein (SP). Lucinactant, a second-generation synthetic surfactant containing the SP-B analog, was better or at least as effective as the natural surfactant, suggesting that lucinactant could act an alternative to natural surfactants. Lucinactant was approved by the U. S.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in March 2012 as the fifth surfactant to treat neonatal RDS. CHF5633, a second-generation synthetic surfactant containing SP-B and SP-C analogs, was effective and safe in a human multicenter cohort study for preterm infants. Many comparative studies of natural surfactants used worldwide have reported different efficacies for different preparations. However, these differences are believed to due to site variations, not actual differences. The more important thing than the composition of the surfactant in improving outcome is the timing and mode of administration of the surfactant. Novel synthetic surfactants containing synthetic phospholipid incorporated with SP-B and SP-C analogs will potentially represent alternatives to natural surfactants in the future, while improvement of treatment modalities with less-invasive or noninvasive methods of surfactant administration will be the most important task to be resolved.

신생아 호흡곤란증후군에서 폐 표면활성제 단일 투여군과 재투여군의 임상경과 비교 (Comparison of Clinical Progress between Single- and Multiple-dose Surfactant Treatment in Neonatal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 길창희;전호상;배종우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8권10호
    • /
    • pp.1090-1095
    • /
    • 2005
  • 목 적 : 신생아 호흡곤란증후군에서 폐 표면활성제 보충요법으로 생존률이 향상되고 있다. 신생아 호흡곤란증후군에서 폐 표면활성제 단일 투여군(S군)과 재투여군(M군)의 임상양상을 비교 관찰하기 위하여 본 조사를 실시하였다. 방 법 : 2002년 1월부터 2004년 3월까지 경희의대 부속병원 신생아 중환자실에서 호흡곤란증후군으로 진단받고 폐 표면활성제 보충요법을 실시하였던 48례를 대상으로, 이 중 S군 32례, M군 16례의 임상경과를 비교 검토하였다. 결 과 : 1) 평균 출생체중과 평균 재태기간은 S군이 $1,577{\pm}708g$, $30{\pm}3$주, M군이 $1,755{\pm}921g$, $31{\pm}4$주였다. 출생 초기 pH는 각각 $7.25{\pm}0.15$$7.26{\pm}0.08$로 의미 있는 차이가 없었다. 출생당시 소생술을 실시했는지의 여부와 산전 산모에 있어 스테로이드 투여 유무의 경우도 두 군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Bomsel 기준에 의한 호흡곤란증후군 분류로 볼 때에도 두 군간에 grade II, III, IV의 경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폐 표면활성제 투여 전의 VI는 S군에서 $0.075{\pm}0.08$, M군에서 $0.096{\pm}0.06$으로 M군에서 더 나쁘나 통계적으로는 유의하지 않았고, a/A $PO_2$는 S군에서 $0.22{\pm}0.13$, M군에서는 $0.15{\pm}0.07$로 M군에서 의미있게 나쁜 소견을 보였다(P<0.05). 2) 72시간까지의 VI와 a/A $PO_2$의 변동은 S군에서 M군에 비해 지속적인 개선을 관찰할 수 있었고, M군은 재발양상이 관찰되어 재투여를 한 후 호전되는 소견을 보였다. 3) 평균 인공호흡기 기간은 S군에서 9.7일, M군에서 6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예후에 있어 28일 이내의 사망률은 두 군 모두 6.3%로 동일하였다. 합병증으로 뇌실내출혈, 미숙아 망막증, 괴사성장염, 기관지폐 이형성증, 패혈증 및 파종성 혈관내 응고증은 두 군간에 의미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 론 : 신생아 호흡곤란증후군에서 S군과 M군의 임상경과에서 VI와 a/A $PO_2$의 지속적 호전은 S군에서 현저하였고, M군은 재발양상이 관찰되어 재투여의 필요성이 있었다. 이러한 재발된 경우에도 적극적인 재투여를 실시함으로써 사망률과 합병증의 빈도가 S군과 M군 사이에 차이가 없는 것으로 보아, 재발되는 경우 폐 표면활성제 재투여가 예후의 개선을 가져오기에 재투여의 필요성이 강조되었다.

준 만삭 이상아에서 폐표면 활성제 보충요법의 성적 (The outcome of surfactant replacement therapy in above nearterm neonates with severe pulmonary disease)

  • 손수민;이보영;김천수;이상락;권태찬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0권12호
    • /
    • pp.1200-1205
    • /
    • 2007
  • 목 적 : SRT는 주로 RDS이 있는 미숙아에서 시행되어 왔다. 저자들은 폐질환을 주소로 인공 환기 요법이 필요했던 재태 주령 36주 이상의 신생아에서 폐표면 활성제를 이용한 보충요법의 투여 성적를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 1999년 7월부터 2004년 6월까지 계명대학교 동산의료원 신생아 집중치료실에 입원한 후 폐질환을 주소로 인공 환기 요법을 받았던 재태 주령 36주 이상의 환아 중 SRT를 시행 받았던 48명의 환아를 대상으로 원인 질환에 따라 MAP군과 RDS군 그리고 PN군으로 나누어서 후향적으로 의무기록을 분석하였다. 모든 대상 환아들에서 SRT를 시행하였으며 폐표면 활성제(Newfacten: 유한양행, Seoul, Korea)는 120 mg을 생리식염수 2-4 mL에 용해하여 평균 120 mg/kg 용량으로 투여하였는데, RDS 군에서는 투여 6시간 후에도 임상적 호전이 미약할 때는 1회 더 투여하였다. 각 군에서 폐표면 활성제 사용 전 후의 임상지표(흡입 산소 농도 및 산소화 지수)와 폐표면 활성제 투여 시점으로부터의 총 인공 환기기 사용 및 산소 투여 기간을 알아보았으며 성적(합병증 및 생존율)를 분석하였다. 결 과 : 총 48례의 환아 중 MAP 군: 15명, RDS 군: 27명, PN 군: 6명 이었다. 폐표면 활성제 투여 전의 산소화 지수는 MAP 군이 $21.8{\pm}3.2$, RDS 군에서 $18.3{\pm}4.5$, PD 군에서 $18.6{\pm}6.0$였고, SRT 후 12시간째의 산소화 지수는 MAP 군이 $8.61{\pm}6.75$, RDS 군에서 $4.98{\pm}0.69$, PD 군에서 $5.8{\pm}1.19$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개선되었다(P<0.05). 총 인공 환기기 사용기간은 MAP 군이 $4.9{\pm}1.2$일, RDS 군이 $5.5{\pm}2.8$일, PN 군이 $7.2{\pm}4.8$일 이었고 산소 투여기간은 MAP 군이$9.4{\pm}1.7$일, RDS 군이 $8.8{\pm}3.5$일, PN 군이 $10.3{\pm}5.6$일 이었다. 기흉, 신생아 폐 고혈압 지속증 등의 합병증 발생은 MAP 군에서 20%, RDS 군에서 25.9%, PD 군에서 50%로 나타났으며, 이중 RDS 군에서 SRT를 처음 시행한 시간에 따른 합병증의 발생 정도는 생후 12시간 전에 시행한 경우의 발생률이 15례 중 2례(13.3%)로 12시간 이후에 시행한 경우의 12례 중 7례(58.3%) 보다 유의하게 낮았다(P<0.05). 생존율은 MAP 군이 86.7%, RDS군과 PN 군이 모두 100%로 모든 군에서 양호한 예후를 보였다. 결 론 : 중증 폐 질환을 주소로 인공 환기 요법이 필요한 임신기간 36주 이상의 준 만삭 이상아에서의 폐표면 활성제 보충요법은 좋은 임상경과를 가지며 특히 RDS인 경우 생후 12시간 내 투여가 합병증을 줄여서 치료성적의 향상에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중증 양수 흡인성 폐렴의 임상양상 및 폐표면 활성제 보충요법의 효과 (Clinical findings of severe amniotic fluid aspiration pneumonia and effects of surfactant replacement therapy)

  • 박상우;김천수;이상락;권태찬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2권4호
    • /
    • pp.429-434
    • /
    • 2009
  • 목 적 : 중증의 양수 흡인은 출생 직후 신생아에서 호흡부전을 일으키는 원인이 된다. 저자들은 인공환기요법이 필요했던 중증 AFAS를 가진 환아를 대상으로 이 질환의 임상양상과 SRT 효과를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 최근 7년간(2000-2006) 계명대학교 동산의료원 신생아 중환자실에 입원한 후 중증의 AFAP으로 인공환기요법을 받았던 28명의 환아를 대상으로 의무기록과 방사선 영상소견을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양수가 태변에 오염된 경우에는 대상에서 제외하였다. 결 과 : 대상 환아는 대부분 만삭아(82.1%)였고 제왕절개술로 분만된 경우(85.7%)가 많았으며, 1분과 5분 Apgar 점수는 각각 $6.5{\pm}1.2$점, $7.5{\pm}1.3$점으로 비교적 양호하였다. 이들에서 출생 초기 성대 이하의 기도에서 흡인한 양수 양은 $16.0{\pm}10.1$ mL였다. 모든 예에서 SRT (modified bovine-derived surfactant; 120 mg/kg/dose)가 시행되었으며 1회 투여가 대부분(75%)이었다. SRT 전과 비교에서 인공환기요법에 따른 OI ($8.0{\pm}9.6$ vs. $18.9{\pm}7.3$)는 SRT 12시간 후에 감소하였고(P<0.001), 대부분의 예에서 SRT 후 12시간 경 흉부 방사선 영상의 통기소견이 시행 전에 비해서 호전되었다. 심폐계 합병증을 동반한 예(46.4%)가 많았지만 전체적으로 높은 생존율(96.4%)을 보였다. 결 론 : AFAP는 준 만삭아와 만삭아에서 심한 호흡곤란의 중요한 원인이 될 수 있으며, 인공 환기요법이 필요한 중증의 AFAP에 대한 SRT는 좋은 임상경과와 치료성적의 향상에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되나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

중증 태변흡입증후군의 임상적 특성 (Clinical characteristics of severe meconium aspiration syndrome)

  • 최창원;김병일;이현주;정경은;심규홍;임인숙;이진아;김이경;김한석;최중환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1권7호
    • /
    • pp.713-721
    • /
    • 2008
  • 목 적 : 본 연구에서는 48시간 이상의 기계 환기요법이 필요한 중증 태변흡입증후군(meconium aspiration syndrome, MAS)의 임상적 특성과 시간의 경과에 따른, 또한 폐표면 활성제 투여 전후의 호흡 부전 정도와 방사선 영상 소견의 변화를 분석해보고자 하였다. 방 법 : 2004년 1월부터 2007년 7월까지 분당서울대학교병원 신생아중환자실에 중증 MAS로 입원하였던 12명의 환아를 대상으로 후향적인 분석을 하였다. 결 과 : PPHN의 발생은 긴 입원기간과 긴 총 기계 환기요법 적용기간에 독립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인자였다. 폐표면 활성제는 RDS의 방사선 영상 소견이 있었던 경우에만 투여되었다. RDS의 방사선 영상 소견이 있었던 8명(75%)의 환아들에서는 그렇지 않았던 경우에 비해 고빈도진동환기기 적용기간이 유의하게 길었다. PPHN은 8명(75%)의 환아들에서 발생하였고 이들은 PPHN이 발생하지 않았던 환아들에 비해 기계 환기요법 기간이 유의하게 길었다. 폐표면 활성제를 투여 받은 환아들은 투여 후 12시간 이내에 모두 방사선 영상 소견의 호전을 보였으나 같은 기간 동안 호흡 부전 정도의 유의한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다. PPHN이 발생하지 않은 환아들에서는 폐표면 활성제를 투여한 후 12시간 이내에 유의한 호흡 부전 정도의 감소가 관찰되었으나 PPHN이 발생한 환아들에서는 그렇지 않았다. 결 론 : 중증 MAS의 임상경과는 PPHN의 발생여부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RDS에 합당한 방사선 영상 소견이 동반되었던 환아들에서의 폐표면 활성제의 투여는 방사선 영상 소견의 호전을 가져왔지만 이들의 임상경과에는 유의한 영향을 주지 못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