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urface wind speed in Korea

검색결과 243건 처리시간 0.024초

공간정보 분석을 통한 건축물의 설계풍속 산정 (Estimation of Design Wind Speed for Building Using Spatial Information Analysis)

  • 이성윤;조현재;이현기;최세휴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23권3호
    • /
    • pp.79-89
    • /
    • 2015
  • 건축물이 일정규모 이상 높아지면 구조설계 시 바람의 영향이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게 된다. 우리나라는 지형적인 특성상 태풍과 같은 위험현상이 자주 발생하는 지역이므로 더욱 중요한 요인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시대적 흐름과 기상변화를 고려한다면 건축물의 합리적인 내풍설계의 필요성이 더욱 부각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1:5,000 수치지형도를 바탕으로 공간정보분석을 이용하여 설계풍하중 산정방법을 제시하였으며 실제 적용사례와 비교분석 하였다. 제안된 방법으로 풍속고도분포계수, 지형계수를 산정할 경우 보다 정량적, 객관적으로 설계풍속을 산정할 수 있었으며 기존의 방법과 비교했을 때 평가에 필요한 시간과 비용을 단축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 건축물의 합리적이고 경제적인 내풍설계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WRF-SWAN모델을 이용한 상세 연안기상 모의 특성 분석 (The Characteristics in the Simulation of High-resolution Coastal Weather Using the WRF and SWAN Models)

  • 손고은;정주희;김현수;김유근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409-431
    • /
    • 2014
  • In this study, the characteristics in the simulation of high-resolution coastal weather, i.e. sea surface wind (SSW) and significant wave height (SWH), were studied in a southeastern coastal region of Korea using the WRF and SWAN models. This analyses was performed based on the effects of various input factors in the WRF and SWAN model during M-Case (moderate days with average 1.8 m SWH and $8.4ms^{-1}$ SSW) and R-Case (rough days with average 3.4 m SWH and $13.0ms^{-1}$ SSW) according to the strength of SSW and SWH. The effects of topography (TP), land cover (LC), and sea surface temperature (SST) for the simulation of SSW with the WRF model were somewhat high on v-component winds along the coastline and the adjacent sea of a more detailed grid simulation (333 m) during R-Case. The LC effect was apparent in all grid simulations during both cases regardless of the strength of SSW, whereas the TP effect had shown a difference (decrease or increase) of wind speed according to the strength of SSW (M-Case or R-Case). In addition, the effects of monthly mean currents (CR) and deepwater design waves (DW) for the simulation of SWH with the SWAN model predicted good agreement with observed SWH during R-Case compared to the M-Case. For example, the effects of CR and DW contributed to the increase of SWH during R-Case regardless of grid resolution, whereas the differences (decrease or increase) of SWH occurred according to each effect (CR or DW) during M-Case.

전산 유체 역학 모델을 이용한 도시지역 흐름 및 열 환경 수치모의 검증 (The Verification of a Numerical Simulation of Urban area Flow and Thermal Environment Using Computational Fluid Dynamics Model)

  • 김도형;김근회;변재영;김백조;김재진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38권7호
    • /
    • pp.522-534
    • /
    • 2017
  • 이 연구의 목적은 강남 선정릉지역에서 전산유체역학모델(CFD)을 사용하여 도시지역의 흐름 및 열 환경 모의를 검증하는 것이고, CFD 모델의 모의결과와 선정릉 지역의 관측 자료와 비교하는 것이다. CFD 모델은 국립기상과학원과 서울대가 공동으로 연구 개발된 모델이다. CFD_NIMR_SNU 모델은 기상청 현업 모델인 국지예보모델(LDAPS)의 바람성분과 온도성분을 초기 및 경계조건으로 적용되었고 수목효과와 지표 온도를 고려하여 2015년 8월 4일에서 6일까지 강남 선정릉 지역을 대상으로 수치실험을 진행하였다. 선정릉지역에서 수목효과 적용 전후의 풍속을 비교하였을 때 평균 제곱근 오차(RMSE)는 각각 1.06, $0.62m\;s^{-1}$로 나타났고 수목효과 적용으로 풍속 모의정확도가 향상되었다. 기온은 LDAPS 과소 모의하는 경향을 나타내고 CFD_NIMR_SNU 모델에 의해 향상된 것을 확인하였다. CFD_NIMR_SNU 모델을 이용하여 복잡한 도시지역의 흐름과 열 환경을 자세하고 정밀한 분석이 가능하며, 도시 환경 및 계획에 대한 정보를 제공 할 수 있을 것이다.

한국 남해에서 10월과 12월의 수온역전현상이 성층변동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Water Temperature Inversion on the Stratification Variation in October and December in the South Sea of Korea)

  • 이충일;구도형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165-171
    • /
    • 2009
  • 1999년 10월, 12월의 국립수산과학원 정선관측 자료를 이용하여 수온역전 현상이 성층변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10월, 12월 모두 수심 25-75m 사이에서 수온역전현상이 빈번하게 발생하며, 12월에는 표층 부근에도 수온역전현상이 나타났다. 고온, 고염분수인 쓰시마난류의 수평 이류가 10월, 12월에 나타나는 수온역전현상의 주원인으로 작용하며, 12월에는 연안역에서 외양역으로 수송되는 차가운 표층수의 영향이 함께 작용한다. 10월에는 북풍이 지속적으로 불지만 남해연안수가 외해역으로 확장하는 현상이 뚜렷하지 않는 반면, 북서풍계열의 풍속이 강해지고 쓰시마난류의 세력이 약해지는 12월에는 남해연안수가 상층부를 통해 외해역으로 확장하면서 수온역전현상을 나타나게 한다. 10월과 12월 모두 수온역전현상이 발생하는 해역을 따라 성층의 변동폭이 크게 나타난다.

  • PDF

고양력장치 설계 최적화 및 풍동시험 (High Lift Device Design Optimization and Wind Tunnel Tests)

  • 이융교;김철완;조태환
    • 항공우주기술
    • /
    • 제9권1호
    • /
    • pp.78-83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높은 양력을 얻기 위하여 플랩 형상 최적 설계를 시도하였다. 플랩 형태는 플랩 중에서 가장 효율이 좋은 파울러 플랩(fowler flap)이다. 플랩 설계는 최적화 기법을 활용하여 진행하였고 최적화의 초기 형상은 general aviation airfoil과 Wentz 등이 개발한 플랩이다. 최적화 방법으로는 반응면 기법 (Response Surface Method)이 사용되었으며, Hicks-Henne 형상함수가 사용되었고, GA(W)-1 익형과 fowler flap이 조합된 형상의 유동장에 대하여 Navier-Stokes 해석을 수행하였다. 상용 최적화 프로그램인 Visual-Doc, 격자 생성 프로그램인 Gambit/Tgrid, 그리고 유동해석에는 Fluent를 이용하였다. 플랩의 윗면 형상과 gap에 대한 최적화를 수행하여 착륙조건에서의 양력이 증가하였다. 초기 형상과 최적화된 형상의 공력특성 변화를 관찰하기 위하여 항우연의 1m 풍동에서 시험을 수행하였다. 최적화된 형상은 대체로 예측치와 비슷한 경향을 보이나, 이른 실속이 관찰되었다. 또한, 날개와 플랩 간의 간격을 설계치보다 좁혀 줌으로써 양력특성이 향상됨을 알 수 있었는데, 이는 설계시 사용된 난류 모델의 영향이라 판단된다.

Wind-induced Spatial and Temporal Variations in the Thermohaline Front in the Jeju Strait, Korea

  • Han, In-Seong;Suh, Young-Sang;Seong, Ki-Tack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16권2호
    • /
    • pp.117-124
    • /
    • 2013
  • We investigated the short-term and local changes in the thermohaline front in the Jeju Strait, Korea, which is usually formed during winter and spring. To do so, we compared Real-Time Observation System by Ferryboat (RTOSF) data with wind data and routinely collected oceanographic data. During February and April 2007, a thermohaline front formed in the Jeju Strait around the 13-$14^{\circ}C$ isotherms and 33.0-33.5 isohalines. The thermohaline was clearly weakened and began moving southward in mid-March. The variations in the surface temperature and salinity showed a continuous north-south oscillation of the thermohaline front with a period of 3-10 days. The speed of the short-term and local fluctuation of thermohaline front was about 5-30 cm/s. We confirmed these findings by examining the variation in the maximum temperature gradient and $14^{\circ}C$ isotherm during the study period. These short-term and local changes had not been previously detected using serial oceanographic and satellite data. Analysis of local wind data revealed a northerly wind fluctuation with a period of 3-10 days, which was clearly related to the short-term and local changes in the thermohaline front. The short-term and local changes of the thermohaline front in the Jeju Strait originated from local changes in the winter monsoon in this area.

The Study on Influence Factors of Snowfall Enhancement Used by Orographic Cloud Seeding in a Mountainous Area

  • Yang, Ha-Young;Ryu, Chan-Su
    • 통합자연과학논문집
    • /
    • 제7권3호
    • /
    • pp.214-218
    • /
    • 2014
  • The main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analyse the influence factors of snowfall enhancement by glaciogenic seeding in a mountainous area. Twenty-five seeding experiments have been conducted during the period of February to April 2010. To use two rates seeding experiments (SR1: $1.04g\;min^{-1}$, SR2: $2.08g\;min^{-1}$) have been tested to get an appropriate ratio for snowfall enhancement at Daegwallyeong area. The conditions of seeding are able as followings: surface temperature <$0^{\circ}C$, wind speed <5 m/s, wind direction between 0 and $130^{\circ}$. The experiment results indicated that in the case of SR1 was more effective than SR2. The number of small ice particles below 1.0 mm was increased during seeding period measured by PARSIVEL disdrometer near generator. Most of snowfall enhancement by seeding was observed the inflow of the easterly wind blew in toward Gangwon regions from the East Sea and the supersaturated supercooled liquid water due to orographic effect.

도시 열환경 개선을 위한 취약지역 선정 및 바람길 조성 방안: 창원시를 대상으로 (A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Wind Corridor Construction forImproving Urban Thermal Environment: A Case study of Changwon, South Korea)

  • 김종성;강정은
    • 환경영향평가
    • /
    • 제30권4호
    • /
    • pp.187-202
    • /
    • 2021
  • 본 연구는 경상남도 창원시의 열환경 개선을 위해 열환경, 찬공기의 생성·유동성 및 지리적 특성을 분석하여, 지역 맞춤형 바람길 조성 방안을 검토하였다. 공간분석(spatial analysis), 원격탐사(remote sensing) 기법을 활용하여 창원시의 지표면온도, 토지피복 및 토지이용, 바람장, 경사도를 측정하고 이를 통해 바람길 분석모형을 구성하였다. 2020년도를 기준으로 분석한 결과, 창원시는 전반적으로 찬공기 생성에 유리한 토지피복 특성을 가지고 있으나, 대부분의 도심지 지역의 기온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북창원 생활권, 진북면, 웅동, 웅천동 등 지역의 기온이 비교적 높으며, 산지지역에서 평균 풍속이 높고, 시가지에서 평균 풍속이 낮은 전형적인 경향을 보였다. 이에 따라 북창원 생활권, 구 창원 도심지, 호계리·평성리 지역, 창포만 지역을 열환경 개선지역으로 도출하고 각 지역의 특성을 고려한 지역 내 찬공기 유입 및 주변 산지, 저수지, 공원 지역 등과의 바람 유동성 확보를 통해 기온저감 및 대기질을 개선할 수 있는 다양한 방안들을 제안하였다.

Long-Term Analysis of Tropical Cyclones in the Southwest Pacific and Influences on Tuvalu from 2000 to 2021

  • Sree Juwel Kumar Chowdhury;Chan-Su Yang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9권4호
    • /
    • pp.441-458
    • /
    • 2023
  • Tropical cyclones frequently occur in the Southwest Pacific Ocean and are considered one of the driving forces for coastal alterations. Therefore, this study investigates the frequency and intensity of tropical cyclonesfrom 2000 to 2021 and their influence on the surface winds and wave conditions around the atoll nation Tuvalu. Cyclone best-track and ERA5 single-level reanalysis data are utilized to analyze the condition of the surface winds, significant wave heights, mean wave direction, and mean wave period. Additionally, the scatterometer-derived wind information was employed to compare wind conditions with the ERA5 data. On average, nine cyclones per year originated here, and the frequency increased to 11 cyclones during the last three years while the intensity decreased by 25 m/s (maximum sustained wind speed). Besides, a total of 14 cyclones were observed around Tuvalu during the period from 2015 to 2021, which showed an increase of 3 cyclones compared to the preceding period of 2001 to 2007. During cyclones, the significant wave height reached the highest 4.8 m near Tuvalu, and the waves propagated in the east-southeast direction during most of the cyclone events (52%). In addition, prolonged swells with a mean wave period of 7 to 11 seconds were generated in the vicinity of Tuvalu, for which coastal alteration can occur. After this preliminary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waves generated by cyclones have a crucial impact in altering the coastal area of Tuvalu. In the future, remotely sensed high-resolution satellite data with this wave information will be used to find out the degree of alterations that happened in the coastal area of Tuvalu before and after the cyclone events.

대구시의 고농도 오존 발생 일에 나타나는 기상학적 특성 (Meteorological Characteristics of High-Ozone Episode Days in Daegu, Korea)

  • 손임영;김희종;윤일희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23권5호
    • /
    • pp.424-435
    • /
    • 2002
  • 이 연구에서는 1997년부터 1999년 3년 간 대구광역시의 시간별 O$_3$ 농도 자료와 기상자료를 분석하여, 대구시의 고농도 오존 발생 일에 나타나는 기상학적 특성을 알아보고자 한다. 고농도 오존 발생 일의 선정은 우리나라 환경기준치인 1시간 평균 오존 농도 100ppb를 초과한 지점이 대구시의 6개 측정 지점 중 한 지점이라도 있는 경우로 정했다. 고농도 오존 발생 일은 13일이었으며, 5월과 9월이 가장 그 빈도가 높았다. 고농도 오존 발생 일의 하루 평균 최대 오존 농도는 81.6ppb이었으며, 8시간 평균 농도는 58.6ppb이었다. 이는 대구의 오존 오염이 연속적으로 그리고 광범위하게 일어났고 있음을 의미한다. 하루 최고 오존 농도는 일사량, 최고 온도와 양의 상관을 보였으며, 상대 습도, 풍속, 구름양과는 음의 상관을 보였다. 일사량과의 상관계수가 0.45로 가장 높았다. 고농도 오존 발생 일의 기상 값과 그 날을 포함하는 월평균 값과의 차이를 보면, +1.58hPa(해면 기압), +3.45${\circ}$C(최고 기온), -5.69%(상대 습도), -0.46ms$^{-1}$(풍속), -1.79(구름양), +3.97MJm$^{-2}$(일사량)을 각각 보였다. 이는 0700${\sim}$1100LST사이의 높은 일사량, 낮은 풍속, 무강수가 고농도 예측의 중요특징임을 나타낸다. 이는 이 시간의 정체와도 연관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