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urface penetrating sealant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17초

Surface penetrating sealant가 치경부 수복물의 미세누출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URFACE PENETRATING SEALANT ON THE MICROLEAKAGE OF CERVICAL RESTORATIONS)

  • 김성원;조용범;홍찬의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26권1호
    • /
    • pp.64-76
    • /
    • 2001
  • Despite the improvements in bond strengths of dentin adhesives and resin-modified glass ionomers, the marginal seal of cervical restorations remains a concern. Microleakage at poorly sealed margins can result in staining, post-operative sensitivity, pulpal irritation, and recurrent carie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 of surface penetrating sealant(SPS) on the microleakage of cervical restorations. 45 extracted human teeth were selected, and Class V preparations were prepared on the both buccal and lingual surface of the teeth to the following dimensions : 1.5mm axially, 3mm mesiodistally, and 3mm incisogingivally. After cervical restoration with composite resin, compomer, glass ionomer each restoration was treated as three methods: No Tx., Scotchbond Multipurpose Adhesive$^{\circledR}$, Fortify$^{\circledR}$. The sections were examined with a stereomicroscope to determine the extent of microleakage at enamel and dentin margin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All groups showed some microleakage. 2. Gingival cavity wall with cementum margin showed significantly higher leakage value than occlusal cavity wall with enamel margin. 3. The group treated with SPS showed significantly lower leakage value than no treated group(p<0.05). But there is no difference between Fortify$^{\circledR}$ and Scotchbond Multipurpose adhesive$^{\circledR}$.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SPS are effective in reducing microleakage of class V restorations. But it is certain that some microleakage still occurred despite the application of SPS.

  • PDF

칫솔질에 의한 레진 표면 강화재의 마모 (THE ABRASION OF SURFACE PENETRATING SEALANT BY TOOTH-BRUSHING)

  • 송주현;한세현;장기택;이상훈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633-642
    • /
    • 2006
  • 본 연구는 레진 표면을 연마한 후 레진 표면 강화재를 도포한 것이 표면 처리하지 않은 군에 비해 칫솔질 마모시 표면 특성 즉, 표면 조도, 표면 자유 에너지, 마모율 등의 변화가 있는지 알아 보기 위해 시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p=0.05). 1. 평균 조도는 Biscover < Forify < Polishing군 순이었다. 마모 전과 6개월에서는 모든 군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1개월, 2개월, 3개월에서는 Polishing군과 Fortify군, Polishing군과 Biscover군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2. 표면 자유 에너지는 마모 전은 Polishing군과 Biscover군, Fortify군과 Biscover군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Biscover < Fortify < Polishing), 1개월에서는 Polishing군과 Fortify군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2개월에서는 각 군간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3개월에서는 Fortify군과 Biscover군에서 유의차를 보였고, 6개월에서는 Polishing군과 Fortify군, Fortify군과 Biscover군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Fortify < Polishing < Biscover). 3. 마모율은 1개월에서 모든 군에서 유의차를 보였으며, 2개월에서는 군 간 유의차가 없었고, 3개월과 $4{\sim}6$개월 평균 마모율은 Polishing군과 Biscover군, Fortify군과 Biscover군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Fortify와 Biscover의 두께를 고려했을 때, Fortify는 2개월 내에, Biscover는 6개월 정도에 거의 소실되었다.

  • PDF

레진전색제의 마모저항성에 대한 평가 (EVALUATION ON THE ABRASION RESISTANCE OF A SURFACE SEALANT)

  • 김수미;한세희;조영곤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2권3호
    • /
    • pp.180-190
    • /
    • 2007
  • 이 연구는 강화형 미세입자 복합레진인 Micronew에 Biscover 레진전색제를 적용한 후 칫솔마모시험을 시행하여 복합레진 표면의 조도와 현미경적 변화를 비교함으로써 레진전색제를 복합레진 표면에 재적용할 시기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분리 가능한 알루미늄 판과 복합레진을 이용하여 $8\times3\times2mm$ 크기의 복합레진 시편 200개를 제작하였다. 복합레진 시편의 양쪽표면을 Sof-Lex disc로 거친 입자에서 중간 입자까지 마무리한 후 실온의 증류수에 24시간 동안 보관하였다. 시편은 disc로 마무리만 시행한 F군 (n = 10)과 마무리 후 레진전색제인 Biscover를 적용한 B군 (n = 190)으로 분류하였다. B군은 다시 칫솔질을 가하지 않은 B-IM군 (n = 10)과 칫솔질을 가한 군 (n = 180, B-1군에서 B-18 군)으로 분류하였다. 칫솔질을 가한 군은 칫솔마모검사기의 수조에 페리오 치약과 증류수를 무게 비 50 : 50으로 혼합하여 부은 다음, 홈이 파진 알루미늄 블록에 각 군의 시편을 위치시키고 칫솔을 고정장치에 부착하여 전, 후 왕복운동을 가하여 칫솔질을 가하였다. 칫솔질은 B-1 군에서 B-18군 까지 각각 900회씩 증가시켜 16,200회 까지 시행하였다 표면조도측정기를 사용하여 각 군의 복합레진 표면의 평균 표면조도 값 (Ra)을 산출한 후 통계적으로 분석하였고, 주사전자현미경하에서 각 군의 대표적인 시편 1개를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F군의 Ra는 $0.898{\pm}0.145{\mu}m$, B-IM군의 Ra는 $0.289{\pm}0.142{\mu}m$를 나타냈으며, B-1 군에서 B-18 군까지의 Ra는 점차적으로 증가하여 B-1 군에서 $0.299{\pm}0.48{\mu}m$, B-18 군에서 $0.642{\pm}0.313{\mu}m$까지 나타났다. 2. Ra 최종 군집중심은 군집 1 $(B-IM\simB-7)$에서 $0.361{\mu}m$, 군집 2 $(B-8\simB-14)$에서 $0.511{\mu}m$, 군집 3 $(B-15\simB-18)$에서 $0.624{\mu}m$를 나타내어 각 군집의 Ra 최종 군집중심 간에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F = 49.705, p = 0.000) 3. B-IM군의 Ra 증감율은 F 군에 비해 210.72%감소되었으며, B-8 군과 B-15군의 Ra 증감율은 B-IM군에 비해 각각 35.49%와 51.35% 증가되었다. 4. FE-SEM 관찰에서 B-IM 군은 매우 평활한 복합레진 표면을 나타내었고, B-8 군은 전체적으로 평활한 복합레진 표면을 보였지만 표면에 수직으로 아주 얕은 흠집을 나타내었다. B-15 군은 복합레진 표면의 중앙에서 B-8군보다 더 넓고 불규칙한 수직의 흠집을 나타내었고, B-18군은 복합레진 표면 전체에 넓은 흠집을 나타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