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urface angularity

검색결과 8건 처리시간 0.022초

표면평균기울기를 이용한 암석절리면의 3차원 거칠기 분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3D Roughness Analysis of Rock Joints Based on Surface Angularity)

  • 이덕환;이승중;최성웅
    • 터널과지하공간
    • /
    • 제21권6호
    • /
    • pp.494-507
    • /
    • 2011
  • 암석의 절리면 거칠기 평가에 있어서 최적의 거칠기 파라미터를 선택하는 것은 중요한 문제이다. 선행연구에서 절리면 거칠기의 평가는 여러 가지 통계적 방법에 의해 2차원적으로 이루어져왔다. 본 연구에서는 Barton과 Choubey(1977)가 제안한 표준 프로파일(JRC)을 3차원 표면으로 확장하고, 표면평균기울기를 적용하여 절리면 거칠기를 정량화 하였다. 그리고 $Z_2$, Ai파라미터와 비교하여 표면평균기울기를 이용한 거칠기 정량화의 타당성을 검증하였으며, 복제시료를 이용한 절리면 전단시험을 통하여 전단강도와 표면평균기울기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THREE-BODY ABRASIVE WEAR IN A BALL-CRATERING TEST WITH LARGE ABRASIVE PARTICLES

  • Stachowiak, G.B.;Stachowiak, G.W.
    • 한국윤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윤활학회 2002년도 proceedings of the second asia international conference on tribology
    • /
    • pp.199-200
    • /
    • 2002
  • Three-body abrasive wear resistance of mild steel, low alloy steel (Bisalloy) and 27%Cr white cast iron was investigated using a ball-cratering test. Glass beads, silica sand, quartz and alumina abrasive particles with sizes larger than $100{\mu}m$ were used to make slurries. It was found that the wear rates of all three materials tested increased with time when angular abrasive particles were used and were rather constant when round particles were used. This increase in wear rates was mainly due to the gradual increase in ball surface roughness with testing time. Abrasive particles with higher angularity caused higher ball surface roughness. Mild steel and Bisalloy were more affected by this ball surface roughness changes than the hard white cast iron. Generally, three-body rolling wear dominated. The contribution of two-body grooving wear increased when the ball roughness was significant. More grooves were found when round particles were used or the size of the particles was decreased.

  • PDF

지오멤브레인 상의 모래의 전단거동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hear Behavior of Sands on the Geomembranes)

  • 이석원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16권3호
    • /
    • pp.89-89
    • /
    • 2000
  • The shear behavior of any interface is a function of the fundamental properties of both materials at the interface. This study aimed at investigating the effect of planar surface roughness on the stress-horizontal displacement curve at theinterfaces composed of various geomembrane textures and granular materials. In addition, the extent of surfacialscarring on smooth geomembranes against granular materials during shearing induced by plowing effect was studied. It wasobserved that the displacements required to achieve peak and residual interface resistance, and the stress-displacementcurve at the interface vary greatly with the surface roughness of geomembrane. Quantification of surface roughnessvariations on smooth geomembrane due to plowing effect showed that the surfacial scarring during shearing by the soilparticles is directly related to both the normal stress and the angularity of the soil particles at the interface. The findingsof this study can be used to provide the useful information for the design and selection of counterface materials.

The impact of different shapes of aggregate and crumb rubber on the deformation properties of asphalt concrete

  • Felix N. Okonta;Koketso Tshukutsoane;Babak Karimi
    • Geomechanics and Engineering
    • /
    • 제36권1호
    • /
    • pp.39-50
    • /
    • 2024
  • Bitumen and high-quality subangular aggregates, the two principal materials used for asphalt concrete construction, are finite and expensive materials. The general availability of crumb rubber and naturally occurring aggregates of different shapes, especially flat and elongated shapes, indicates that they are feasible alternative materials for expanding the volume of bitumen and utilizing a wider range of aggregate shapes for the development of asphalt concrete, with an associated environmental benefit. The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adding up to 15% crumb rubber and aggregates sorted into different groups, i.e., rounded, elongated, flat, and their combinations, on the rheological and mechanical properties and durability of 50/70 of hot-mix asphalt pavement. The addition of crumb rubber decreased ductility and penetration but increased the softening point. For a 5.5% bitumen content, asphalt concrete briquettes consisting of 7% crumb rubber and three types of aggregate shapes, i.e., 100% rounded, a mix of 75% rounded and 25% elongated, and a mix of 75% rounded, 15% elongated and 10% flat, were associated with high Marshall stability and indirect tensile strength as well as low lateral deformation due to their high solidity and moderate angularity ratio. Also, the addition of 7% crumb rubber resulted in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 tensile strength ratio and rebound strain of briquettes consisting of 75% rounded and 25% elongated aggregates and those with 75% rounded, 15% elongated and 10% flat aggregates. In relation to the parameters investigated, the three groups of briquettes met some of the local (South Africa) requirements for the surface course and base course of low traffic volume roads.

국산주물사(國産鑄物砂)의 입도분포(粒度分布)와 입형(粒形)에 따른 상온성질(常溫性質)에 관(關)한 연구(硏究) (A Study on the Room Temperature Properties of Domestic Molding Sand depending on the Variations of Sand Grain Distribution and Grain Shape.)

  • 강민전;이계완
    • 한국주조공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5-11
    • /
    • 1984
  • Green compressive strength, permeability, deformation, flowability, compactability and green hardness values at room temperature are dependable on the grain distribution and grain shape. The results obtained under constant moisture (4% for sand) and bentonite (8% for sand) were as follows; 1. With decreasing grain size, surface area of sand grain was increased. 2. With decreasing grain size, coefficient of angularity was increased. 3. As surface area increased from $8926.43cm^2$ to $21211.16cm^2$ , green compressive strength was increased from $210.93\;g/cm^2$ to $449.98\;g/cm^2$, hardness was increased from 76.7 to 82.3, but permeability was decreased from $411.7\;{\frac{\;cc\;{\cdot}\;cm\;}{atm\;{\cdot}\;cm^2\;{\cdot}\;min.}}$ to $113.7\;{\frac{\;cc\;{\cdot}\;mm\;}{atm\;{\cdot}\;cm^2\;{\cdot}\;min.}}$ 4. As surface area increased from $8926.43\;cm^2$ to $21211.16\;cm^2$, flowability was decreased from 82.3% to 80.8%, deformation was decreased from $67.1\;cm\;{\times}\;10^{-3}$ to $54.6\;cm\;{\times}\;10^{-3}$, but compactability was increased from 44.8% to 54.3%. 5. Room temperature properties of molding sand were affected by variation of surface area.

  • PDF

실리카질 재료로서 석분 슬러지를 사용한 콘크리트의 강도 특성 (The Strength Properties of Concrete Used Stone Powder Sludge as Siliceous Material)

  • 정지용;최선미;곽은구;최세진;이성연;김진만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05년도 춘계 학술기술논문발표대회 논문집
    • /
    • pp.85-88
    • /
    • 2005
  • The stone powder sludge occurred at aggregate production process is classified the specified waste, so it is disposed by appropriate method. But the problems of the shortage of the disposal-site, the environment pollution, and the increase of disposal cost can be occurred in handling process, therefore the stone powder sludge is required the development of recycling technique. The stone powder sludge includes SiO2 of about $63\%$. This characteristic is important at the production of hardened specimens under condition of hydro-thermal reaction.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strength properties of concrete used stone powder sludge as siliceous material. The test results under condition of hydro-thermal reaction shows the two main facts. The first, the stone powder sludge is affected to fluidity because the surface of the stone powder sludge has characteristics of flakily and angularity. The second, weight content of the stone powder sludge, is not effective factor to the properties of strength.

  • PDF

골재노출 콘크리트포장의 적정 골재 선정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adequate Aggregate Selection of the Exposed Aggregate PCC Pavements)

  • 김영규;채성욱;이승우;유태석
    • 한국도로학회논문집
    • /
    • 제9권4호
    • /
    • pp.117-127
    • /
    • 2007
  • 골재노출 콘크리트포장은 저소음 포장으로서 유럽, 일본등지에서 성공적으로 사용되어 왔다. 골재노출 콘크리트포장은 콘크리트 표면의 모르타르를 제거하여 표면에 굵은 골재를 노출시키기는 공법이다. 타이어-노면간의 소음을 저감시키는 표면특성도 중요하지만 포장표면이 공용중에 지속적으로 적정한 미끄럼저항을 확보하여야 한다는 점이 간과되어서는 안된다. 반복적인 타이어-노면간 마찰은 표면조직을 마모시켜서 미끄럼저항값을 감소시키게 된다. 골재노출 콘크리트포장의 경우 노면에 굵은 골재가 노출되어 타이어와 접촉되므로 노면에 노출된 굵은 골재의 암종과 형상이 노면마모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다. 일반적으로 골재마모특성에 대한 평가시험은 로스앤젤레스시험기에 의한 마모시험과 Accelerated Polishing Machine에 의한 마모시험이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다섯 가지 암종의 굵은 골재에 대하여 두 시험법으로 마모를 평가하였다. 실험결과 두 시험법은 실험골재특성뿐만 아니라 마모특성에 따라 상반된 마모저항결과를 도출하였다. 도로노면의 마모는 타이어와 반복된 마찰에 의해 발생하는데 로스앤젤레스에 의한 굵은 골재 마모시험은 굵은 골재의 전체표면과 철구간 충격에 인하여 마모감량이 나타나서 형상에 따라 마모에 대한 저항성을 평가하기 때문에 도로노면의 마모를 파악하기에는 적합하지 않다고 판단된다. 반면에 APM에 의한 굵은 골재 마모시험은 실험법 자체가 노출된 굵은 골재와 타이어의 반복 마찰로 인하여 마모에 대한 저항성을 평가하기 때문에 APM에 의한 굵은 골재 마모시험이 골재노출 콘크리트포장의 노면에 노출된 굵은 골재의 특성에 따른 마모에 대한 저항성을 파악하는데 보다 효과적이라고 사료된다. APM에 의한 마모저항 결과로부터 골재 암종, 비중, 하나 이상의 파쇄면을 가진 골재의 백분률, 편장석 함유율등이 골재의 마모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파악할 수 있었다.을 나타냈으며, 그 중 물 추출물에서는 다호조생 품종이 지름 13mm의 저해환을, 알코올 추출물에서는 청목노상 품종이 지름 15mm의 저해환으로 효과가 가장 우수하여 천연 항균제 및 생리활성 물질로의 이용가능성을 추측할 수 있었다.이나 세포핵 및 동양모세혈관등에 병리학적인 변화가 관찰되지 않았으며 간세포대의 배열도 규칙적이었다. 따라서 돼지감자의 이눌린, 연잎분말, 허브의 쐐기풀분말 및 유칼립투스 잎의 분말을 사용한 병합다이어트식이 급여가 비정상적인 지방 축적으로 인한 비만을 효과적으로 예방하고 개선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관리 영역의 평균은 1.7/2.0점(85%)으로 나타났고, 농산물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p<0.05). 가장 취약한 항목은 '전처리'에서 '세척용수의 온도관리' 항목에서 0.7점이었고, 더욱이 농산물은 0.4점으로 평가되었다. 농산물 업체는 '세절시 이물 혼입방지'와 수산물의 '냉장 냉동식품의 절단시 품온관리'가 문제시되었다. 7. 용수관리 영역의 평균은 2.0/2.0점(100%)으로 가장 높았다. 개인위생관리 영역의 평균은 1.8/2.0점(90%)이며, 모든 항목이 잘 관리되고 있었다. 검사관리 영역은 평균 1.4/2.0점(70%)으로 가장 낮게 평가되었으며, '적정 검사시설 및 기구 구비' 항목은 공산품에서 평균 0.2점으로 평가되어 타품목에 비해 현저히 낮았고(p<0.01), 평가한 93개 항목 중 가장 불량한 상태로 관리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검사용 장비 및 기구의 검교정' 항목은 농산물이 0.4점으로 관리상태의 개선이 필요하며, 품목별로 볼 때 낮은 점수로 평가되었다(p<0.05).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볼 때, 원재료의 입고 및 반품관리와 검사관리는 가장 관리가 미비한 영역으로 규명되었다. 구입되는 원재료의 안전성을 위해서는 입고 및 반품 기준이 정확하게 설정되어야 하고, 검사관리를 통해 원재료와 최종제품의 안전성이

  • PDF

담양지역 영산강 지류 하천 퇴적층의 특성에 대한 연구 (A study on alluvial deposits of tributaries of Yungsan river, near Damyang.)

  • 김종연;홍세선
    • 한국지형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51-70
    • /
    • 2013
  • 전남 담양군 서부 지역에 있는 병풍산, 삼인산과 같은 산지를 개석하는 영산강 지류인 대전천과 수북천이 형성한 퇴적층의 성격을 조사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퇴적 환경을 분석하기 위하여 현장 조사와 최근에 이뤄진 한국지질자원연구원의 시추 조사 결과를 이용하였다. 영산강 주변의 지류 유입 부분과 상류 부분의 퇴적층의 심도는 지금까지 추정되던 것보다 얇은 4~7m내외인 것으로 나타났다. 퇴적층의 기저는 기반암의 풍화대로 이루어져 있으며 전반적인 기복 경사는 현재의 지표면과 상당히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영산강의 유로가 퇴적물로 피복되기 이전에 비하여 급격히 변화하지는 않은 것으로 사료된다. 한편, 지류 주변의 퇴적물은 각력으로 입자의 크기가 크고 점토 등이 포함되어 분급이 불량한 산지 홍수성 퇴적층이다. 산록면이나 배후 산지의 전면부에 단구 퇴적물 또는 사면 퇴적물의 형태로 존재하는 사면 물질이 주된 퇴적물의 공급원 이었다. 일부에서는 다각형 구조가 나타나 퇴적물의 생산과 공급과정에 다양한 지형 형성이 과정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퇴적층으로 구성된 평야에 산재하는 구릉들은 주로 기반암의 풍화 산물로 구성되어 있으며, 구릉의 말단부에서 퇴적층이 나타나는 경우 층후가 매우 얇았다. 따라서 현재 수북천과 대전천 유역 가운데 퇴적이 우세한 구역은 기복면이 얇게 피복한 지형으로 부분적으로 기반암 풍화대의 기복에 의해 지배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