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upratentorial primitive neuroectodermal tumor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25초

Therapeutic Difficulty in a Case of Supratentorial Primitive Neuroectodermal Tumor Diagnosed during Pregnancy

  • Sarica, Feyzi Birol;Tufan, Kadir;Sen, Orhan;Erdogan, Bulent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45권1호
    • /
    • pp.39-42
    • /
    • 2009
  • We report a supratentorial primitive neuroectodermal tumor (sPNET) in 17-year-old primipara in the second trimester her pregnancy. Magnetic resonance imaging revealed a left frontoparietal mass with solid and cystic component. Gross-total resection was achieved via a left frontoparietal craniotomy. It was decided to suspend the radiotherapy and chemotherapy until the 30 weeks of gestation. But, a sudden uncal herniation was developed due to the reccurrence of the tumor and bleeding into the tumor at the 25 weeks of gestation and the patient died after urgent decompressive surgery. sPNETs is an extremely rare brain tumor in pregnancy and only two cases were reported in the literature to date. There is no universally agreed treatment protocol for sPNETs during pregnancy and a multidisciplinary approach is required in treatment. In the present study, the clinical, histopathological features and therapeutical difficulties of sPNETs diagnosed during pregnancy was discussed with the literature review.

Treatment of Supratentorial Primitive Neuroectodermal Tumors (PNETs) in Children

  • Hwang, Jun-Mo;Kim, Dong-Won;Lee, Sung-Yeal;Kim, Il-Man;Lee, Chang-Young;Yim, Man-Bin;Son, Eun-Ik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37권3호
    • /
    • pp.193-196
    • /
    • 2005
  • Objective: Strategies for managing supratentorial primitive neuroectodermal tumors(PNETs) in children include surgical resection, craniospinal irradiation and chemotherapy. This study is performed in order to compare the efficacy of various methods of treatment and to describe its optimal management. Methods: We have reviewed all medical records and pathology slides of six children(four males and two females) with supratentorial PNET from November, 1987 to May, 2003. The extent of resection was confirmed by computed tomography and magnetic resonance studies. Results: The patients were aged 1 to 13 years and treated postoperatively with/without adjuvant therapy. Tumor location included was four cortical, one gangliobasal, and one pineal region. The presenting symptoms and signs consisted of increased intracranial pressure and focal neurological deficits such as seizure and hemiparesis. The treatment consisted of surgical resection alone in one patient, postoperative radiotherapy in one patient, postoperative chemotherapy in one, and postoperative radiotherapy with chemotherapy in three. Five patients lived more than 12 months after diagnosis and one patient among them has been living more than 5 years after diagnosis. Conclusion: We can improve the survival and prognosis of supratentorial PNET patients by radical gross total resection of tumor followed by craniospinal irradiation and aggressive chemotherapy. First of all, gross total resection of tumor is the most important among many factors.

천막상부 원시신경외배엽 종양의 방사선요법 (Radiotherapy of Supratentorial Primitive Neuroectodermal Tumor)

  • 김일한;유형준;조영갑;김대용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15권1호
    • /
    • pp.11-18
    • /
    • 1997
  • 목적 : 원시신경외배엽 종양은 빈번한 국소 재발 및 광범위한 지주막하 전이를 나타내는 종양이기때문에 수술 및 항암 약물요법과 함께 전뇌척수조사를 시행하는 방사선요법으로 치료 성적을 높이고자 꾸준한 노력을 시도하여 왔으며, 이에 저자들은 복합요법을 시행한 환자들의 실패 경향, 장기 생존율과 치료 후유증 등을 분석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 총 18명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분석하였으며, 1세-27세 (중앙값=5세)의 연령분포 로 12명 대 6명의 남녀비를 나타내었다. 수술적 절제범위에 따라 완전절제술이 9명, 부분절제술 이 8명, 단순 조직생검술이 1명이었다. 모든 환자에서 수술후 방사선요법을 시행하였으며 방사선 조사야는 16명에서 전뇌척수조사를, 2명에서는 각각 전뇌조사 및 원발병소조사만을 시행하였고, 조사선량은 원발병소에 3120-5800cGy(중앙값=5460cGy), 전뇌부위에 1500-4200cGy(중앙값=3600cGy), 그리고 전척수부위에 1320-3600cGy(중앙값=2400cy)이었다. 항암약물요법은 13명 의 환자들에 대해서만 실시하였다. 추적관찰기간은 1개월부터 89개월로 중앙값은 45개월이다. 결과 : 치료도중 사망한 1명을 포함 총 9명의 환자에서 0-40개월뒤 재발을 확인하였으며 재발경향은 원발병소 단독 재발이 1명, 두개내의 전이성 재발은 2명, 척수부위 재발은 4명, 광범위한 뇌척수 재발이 1명, 그리고 전신적 다발성 골전이를 나타낸 환자가 1명이었다. 전뇌척수부위 방사선요법을 시행하지않은 2명의 환자중 2명 모두 척수부위 재발을 나타내었으며, 전뇌척수부위 방사선요법을 시행한 IS명의 환자중에서는 3명이 척추부위를 포함한 재발 경향을 보였고, 재발한 9명의 환자는 모두 재발 후 1-13개월내 사망하였다. 전체 환자의 2년 및 5년 생존율은 각각 $61\%,\;49\%$이며, 예후인자 분석에서는 성별, 나이, 종양위치와는 무관하였으나 완전절제술 및 항암 약물요법을 시행한 환자군에서 높은 생존율을 나타내었다. 치료 후 후유증으로는 원발병소에 5580cGy를 조사한 환자 1명에서 40개월 뒤 자기공명영상 및 자기공명분광법으로 방사선괴사로 추정되고 있으며, 생존하는 9명의 환자에서 뇌하수체기능저하증이 2명, 그리고 인지능력저하 1명, 기억장애 2명, 성장저하$(\leq5\%)$는 1명에서 관찰되었다. 결 론 : 천막상부 원시신경외배엽 종양 환자의 치료성적을 높이기 위해서는 가능한한 종양의 완전절제가 필수적이며 수술후 항암 약물요법과 방사선요법의 보조요법이 결과를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며, 방사선치료시 조사부위는 전뇌척수부위를 모두 포함하여 조사하여야 한다.

  • PDF

뇌척수액에서 진단된 악성 종양세포의 세포학적 분석 (Cytologic Analysis of Malignant Tumor Cells in Cerebrospinal Fluid)

  • 서재희;공경엽;강신광;김온자
    • 대한세포병리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21-28
    • /
    • 1998
  • Cytologic evaluation of cerebrospinal fluid(CSF) is an effective tool in diagnosing many disorders involving the central nervous system(CNS). CSF examination has been found to be of particular value in the diagnosis of metastatic carcinoma, lymphomatous or leukemic involvement of CNS and certain primary CNS tumors. As a survey of metastatic tumors to CSF and an evaluation of the preparation techniques increasing cellular yield in our laboratory, 713 CSF specimens examined between July 1995 and April 1997(1 year 10 months), were reviewed. There were 75 positive and 5 suspicious cases, the latter have had no evidence of tumors clinically. Primary tumors of 75 positive cases were classified as follows; 4(5.3%) as primary brain tumors, 40(53.3%) as secondary carcinomas, 13(17.3%) as leukemias, and 18 (24.0%) as lymphomas. The most common primary site of metastatic carcinomas was the lung in 17 cases(42.5%) followed by the stomach in 13(32.5%), breast in 8 (20.0%), and unknown primary in 2(5.0%). Four primary brain tumors were 3 cerebellar medulloblastomas and a supratentorial primitive neuroectodermal tumor (PNET). All 40 metastatic carcinomas were adenocarcinoma presented as single cells or cell clusters. Although signet ring cells were frequent in the cases of gastric primary cancers, no significant cytologic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primary site were observed. The cytologic features of leukemia and lymphoma were characterized by hypercellular smears presenting as individual atypical cells with increased N/C ratio, presence of nucleoli, and nuclear protrusions. In medulloblastomas and PNET, the principal cytologic findings were small undifferentiated cells arranged singly or in loose clusters with occasional rosettoid features.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CSF cytology is useful in the diagnosis of malignancy, especially metastatic extracranial tumors and the diagnostic accuracy can be improved by increasing cellular yield using cytocentrifuge.

  • PDF

소아 원발성 뇌종양의 치료 결과 : 단일 기관에서의 장기간 추적 관찰 (Results of Treatment for Children with Primary Brain Tumors : Long-Term Follow Up Results of a Single Institute)

  • 최성연;원성철;유철주;오승환;양창현;서창옥;최중언;김병수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5권8호
    • /
    • pp.1016-1023
    • /
    • 2002
  • 목 적: 뇌종양은 소아에서 가장 흔한 고형암종이다. 이번 연구는 15년간의 임상적 고찰을 통해 나이, 성별, 종양의 위치에 따라 소아 뇌종양을 분류해 보았고, 각각의 총생존율을 조사해 보았으며 또한 일부 질환에서는 항암제 추가여부가 생존율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도 조사해 보았다. 방 법 : 1985년 1월부터 2001년 9월까지 세브란스병원에서 진단받고 치료받은 354명의 소아 뇌종양 환자를 대상으로 임상적 기록에 의거하여 후향조사하였다. 결 과 : 소아 뇌종양의 호발 연령은 5-10세와 10-15세가 큰 차이 없이 모두 높았고 남녀비에서는 남자가 조금 우세하였다. 위치별 빈도는 천막상종양(52%)과 천막하종양(48%)에서 비슷하였으나 천막상종양이 근소하게 많았다. 가장 호발하는 종양의 종류는 수모세포종/원시신경외배엽성종양으로 87례(24.6%)였고 다음으로는 소뇌 성상세포종으로 50례(14.1%)였다. 수모세포종, 소뇌 성상세포종, 대뇌 성상세포종은 10년 생존율이 59.4%, 79.3%, 71%로 비교적 예후가 양호하였다. 뇌간교종과 다형성아교모세포종은 10년 생존율이 12.7%, 13.3%로 예후가 불량하였다. 수모세포종의 고위험군에서는 항암제를 사용한 경우에서 사용하지 않은 경우보다 10년 생존율이 유의하게 높았다(54.5%와 40%, P<0.05). 결 론 : 본 연구는 단일기관의 다수의 환자를 대상으로 15년간의 장기간동안 치료 결과를 추적 관찰하여 기타 문헌과의 비교를 해보았다. 수술기법과 방사선, 항암제의 병합요법으로 뇌종양의 생존율 향상이 보고되고 있는바 본 연구에서도 최근 보고처럼 생존율의 향상을 볼 수 있었다. 특히 고위험군 수모세포종의 경우에서는 추가로 항암제를 사용한 경우 생존율이 높아짐을 볼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