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upraclavicular lymph node(SCLN)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16초

No-fat diet for treatment of donor site chyle leakage in vascularized supraclavicular lymph node transfer

  • Seong, Ik Hyun;Park, Jin-Woo;Woo, Kyong-Je
    • 대한두개안면성형외과학회지
    • /
    • 제21권6호
    • /
    • pp.376-379
    • /
    • 2020
  • Supraclavicular lymph node (SCLN) flap is a common donor site for vascularized lymph node transfer for the treatment of lymphedema. Chyle leakage is a rare but serious complication after harvesting SCLN flap in the neck. We report a case of chyle leakage at the SCLN donor site and its successful management. A 52-year-old woman underwent SCLN transfer for treatment of lower extremity lymphedema. After starting a regular diet and wheelchair ambulation on the 3rd postoperative day, the amount of drainage at the donor site increased (8-62 mL/day) with the color becoming milky, which suggested a chyle leak. Despite starting a low-fat diet on the 4th postoperative day, the chyle leakage persisted (70 mL/day). The patient was started on fat-free diet on the 5th postoperative day. The amount of drainage started to decrease and the drain color became more clear within 24 hours. The drainage amount remained less than 10 mL/day from the 8th postoperative day, and we removed the drain on the 12th postoperative day. There was no seroma or other wound complications at follow-up 4 weeks after the operation. The current case demonstrates that a fat-free diet can be a first-line treatment for low output chyle leakage after a SCLN flap.

소세포암 병기판정시 예후인자로서 쇄골상관절종 침범과 흉막삼출의 의의 (Prognostic Significance of Supraclavicular Lymph Nodes and Pleural Effusion in Small Cell Lung Cancer)

  • 김미정;한승범;곽진호;권두영;김민수;최원일;전영준;박재용;정태훈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50권1호
    • /
    • pp.84-93
    • /
    • 2001
  • 연구배경 : 소세포폐암은 항암화학요법과 방사선 치료의 병행 이외에도 수술적 치료, 골수이식 등 환자의 생존율을 개선시킬 가능성이 있는 새로운 치료법이 소개된 이후 전통적인 소세포폐암 분류를 재평가하고자 하는 노력이 시도되고 있다. 저자등은 국한성병기 소세포폐암의 표준 치료인 항암화학요법과 방사선조사 병용치료시 단일 방사선 조사 범위내에서 효과적으로 방사선 치료를 할 수 있는지에 대한 논란의 여지가 많은 쇄골상관절종 침범과 악성흉막삼출의 예후인자로서의 의의를 조사하고자 하였다. 방법 : 1994년 1월부터 1998년 6월까지 계명대학교 및 경북대학교 의과대학 병원에서 조직학적으로 소세포폐암으로 확진된 252명 중 병기판정과 추적 관찰이 가능한 215예를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 쇄골상관절종의 경우는 전체환자 대상군과 치료 대상군 모두 림프절 침범 음성군이 양성군보다 전체 생존 기간의 중앙값이 긴 경향을 보였으나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 악성흉흉막삼출의 경우 전체환자 대상군으로 조사시에는 악성흉막삼출 음성군이 양성군보다 전체생존기간의 중앙값이 유의하게 걸었으나 치료 대상군만으로 한정하여 조사하였을 정우에는 양군간의 통계적 유의성이 관찰되지 않았다. 쇄골상관절종과 악성흉막삼출 모두 원격전이와는 관련성이 없었고 병기와 운동수행능력이 독립적으로 생존기간에 영향을 미치는 유의한 예후인자였다. 결론 : 소세포폐암에서 쇄골상관절종 침범 음성군과 악성흉막삼출 음성군이 양성군보다 생존기간이 긴 경향을 보였으나 치료 유무에 상관없이 전체환자군에서 악성흉막삼출 유무에 따른 생존기간의 차이 이외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생존기간의 차이를 보이지 않아서 쇄골상 관찰종 침범과 악성흉막삼출은 예후인자로서의 역할은 적을 것으로 사료되나 더 많은 환자를 대상으로 추가적조사가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