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upervised learning

검색결과 747건 처리시간 0.022초

인용분석에서의 모호한 저자명 식별을 위한 방법들에 관한 고찰 (Review of Author Name Disambiguation Techniques for Citation Analysis)

  • 김현정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5-17
    • /
    • 2012
  • 서지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인용분석연구를 진행하기 이전에 이루어져야 할 과정 중 하나가 모호한 저자명의 식별이라고 할 수 있다. 대부분 서지 데이터베이스에는 저자의 성(姓)과 이름의 이니셜만을 표기하는 경우가 많은데, 중국이나 한국 등 아시아 국가 출신의 연구자들은 같은 성을 가진 사람이 매우 많고, 이름의 이니셜까지 같은 경우도 상당히 많아서 이름검색만으로 찾고자 하는 저자를 식별해내기가 쉽지 않기 때문이다. 아시아 국가 출신의 학자들이 유난히 많은 연구분야들에서는 이러한 문제들이 더더욱 큰 문제가 되며, 인용분석 뿐만 아니라 일반적인 정보검색에서도 매우 중요한 요인이 될 수 있다. 모호한 저자명을 식별해내는 방법에는 자동화된 알고리듬을 이용하여 각각의 저자를 식별해내는 방법과 저자 클러스터링을 얻어내기 위해 일일이 수작업으로 데이터셋을 구축하는 방법, 그리고 두 가지 방법을 혼용한 반자동화된 방법 등이 있다. 본 연구는 "모호한 저자명 식별"을 위해 개발된 여러 가지 방법들을 고찰해보기로 한다.

신경회로망을 이용한 직류전동기의 센서리스 속도제어 (Sensorless Speed Control of Direct Current Motor by Neural Network)

  • 김종수;강성주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7권8호
    • /
    • pp.1743-1750
    • /
    • 2003
  • 근래에는 정확성과 신뢰성이 강한 센서리스 속도추정방법으로 전동기를 구동하기 위한 노력이 전개되고 있으며, 본 논문은 외란에 대한 강인성이 뛰어난 신경회로망을 이용하여 직류전동기의 센서리스 속도제어를 실현한 연구 결과이다. 〔6­8〕 신경회로망은 사람의 뇌가 경험을 통해 학습하듯이 주어진 입력에 대해 학습을 통하여 최적의 출력을 발생한다. 학습은 직류전동기의 수식모델을 통해 얻어진 전압$.$전류 및 회전자 속도를 입$.$출력 데이터로 사용하여 역전파 학습 알고리즘〔8〕을 통해 행하여지며, 학습 완료 후 얻은 최적의 연결강도를 이용하여 속도를 추정한다. 신경회로망에 의한 방식은 복잡한 알고리즘을 사용하지 않고도 정확한 속도 추정이 가능하며, 직류전동기의 문제점인 회전자 권선의 열에 의한 전동기의 성능 악화 및 속도 제어의 어려움을 해소하여 운전 조건에 따른 외란 등에도 강인한 제어 특성을 가질 뿐만 아니라 전 속도 영역에서 속도 응답 특성이 우수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Multimodal Biometrics Recognition from Facial Video with Missing Modalities Using Deep Learning

  • Maity, Sayan;Abdel-Mottaleb, Mohamed;Asfour, Shihab S.
    • Journal of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s
    • /
    • 제16권1호
    • /
    • pp.6-29
    • /
    • 2020
  • Biometrics identification using multiple modalities has attracted the attention of many researchers as it produces more robust and trustworthy results than single modality biometrics. In this paper, we present a novel multimodal recognition system that trains a deep learning network to automatically learn features after extracting multiple biometric modalities from a single data source, i.e., facial video clips. Utilizing different modalities, i.e., left ear, left profile face, frontal face, right profile face, and right ear, present in the facial video clips, we train supervised denoising auto-encoders to automatically extract robust and non-redundant features. The automatically learned features are then used to train modality specific sparse classifiers to perform the multimodal recognition. Moreover, the proposed technique has proven robust when some of the above modalities were missing during the testing. The proposed system has three main components that are responsible for detection, which consists of modality specific detectors to automatically detect images of different modalities present in facial video clips; feature selection, which uses supervised denoising sparse auto-encoders network to capture discriminative representations that are robust to the illumination and pose variations; and classification, which consists of a set of modality specific sparse representation classifiers for unimodal recognition, followed by score level fusion of the recognition results of the available modalities. Experiments conducted on the constrained facial video dataset (WVU) and the unconstrained facial video dataset (HONDA/UCSD), resulted in a 99.17% and 97.14% Rank-1 recognition rates, respectively. The multimodal recognition accuracy demonstrates the superiority and robustness of the proposed approach irrespective of the illumination, non-planar movement, and pose variations present in the video clips even in the situation of missing modalities.

이미지 인식 기반의 지도학습을 활용한 생산관리 효율화 방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roduction Management Efficiency Method using Supervised Learning based Image Cognition)

  • 장우식;이건우;이상덕;김영곤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21권5호
    • /
    • pp.47-52
    • /
    • 2021
  • 최근 제조 산업에서 생산공정 관리에 대한 인공지능 솔루션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제조산업의 AI 솔루션 적용을 통하여 POP, MES와 같은 레거시 스마트공장 솔루션의 한계가 존재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이미지 인식 시스템에 인공지능 개념인 지도학습을 적용하여, 생산관리 효율을 향상시키고자 하였다. 시스템 흐름에서는 As_is To be를 구분하여 실제 업무 흐름을 적용하였으며, 전체 생산성 효율을 위하여 프로세스 개선을 하였다. AI 지도학습을 위한 사전 전처리 계획을 수립하고 관련 AI 모델 설계, 개발,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여, 그 결과로는 97%의 인식률을 확인하였다.

오토 인코더 기반의 단일 클래스 이상 탐지 모델을 통한 네트워크 침입 탐지 (Network Intrusion Detection with One Class Anomaly Detection Model based on Auto Encoder.)

  • 민병준;유지훈;김상수;신동일;신동규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22권1호
    • /
    • pp.13-22
    • /
    • 2021
  • 최근 네트워크 환경에 대한 공격이 급속도로 고도화 및 지능화 되고 있기에, 기존의 시그니처 기반 침입탐지 시스템은 한계점이 명확해지고 있다. 지능형 지속 위협(Adavanced Persistent Threat; APT)과 같은 새로운 공격에 대해서 시그니처 패턴은 일반화 성능이 떨어지는 문제가 존재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기계학습 기반의 침입 탐지 시스템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실제 네트워크 환경에서 공격 샘플은 정상 샘플에 비해서 매우 적게 수집되어 클래스 불균형(Class Imbalance) 문제를 겪게 된다. 이러한 데이터로 지도 학습 기반의 이상 탐지 모델을 학습시킬 경우 정상 샘플에 편향된 결과를 가지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불균형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오토 인코더(Auto Encoder; AE)를 활용해 One-Class Anomaly Detection 을 수행하여 이를 극복한다. 실험은 NSL-KDD 데이터 셋을 통해 진행되었으며, 제안한 방법의 성능 평가를 위해 지도 학습된 모델들과 성능을 비교한다.

표의 테두리 유사 라벨을 활용한 문자 영역 검출 방법 (Text Region Detection Method Using Table Border Pseudo Label)

  • 한정훈;박세진;문영식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4권10호
    • /
    • pp.1271-1279
    • /
    • 2020
  • 문자 영역 검출이란 수기 혹은 인쇄된 문서에서 문자의 영역을 검출하는 기술이다. 검출된 문자 영역들은 인식 단계를 거쳐 디지털화되며 이는 활용 목적에 따라 다양한 곳에서 활용된다. 하지만 문자 단위의 검출 결과는 대용량 문서를 인식해야 하는 산업 현장의 문자 인식 단계에는 적합하지 않다. 또한, 문서 내 존재하는 표는 문자 영역 검출 단계에서 오검출을 야기하며 이는 문자 인식 단계에서 악영향을 끼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표의 테두리 정보를 활용한 문자 영역 검출 방법을 제안한다. 표의 테두리 정보를 활용하기 위하여 제안하는 방법은 2개 디코더를 추가하고 간접적인 학습을 유도하기 위하여 각 디코드의 흐름을 조절하였다. 실험을 통해 표의 테두리 유사 라벨을 이용한 약지도 학습 방법이 성능 향상에 도움이 됨을 보였다.

Accuracy of Phishing Websites Detection Algorithms by Using Three Ranking Techniques

  • Mohammed, Badiea Abdulkarem;Al-Mekhlafi, Zeyad Ghaleb
    •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Science & Network Security
    • /
    • 제22권2호
    • /
    • pp.272-282
    • /
    • 2022
  • Between 2014 and 2019, the US lost more than 2.1 billion USD to phishing attacks, according to the FBI's Internet Crime Complaint Center, and COVID-19 scam complaints totaled more than 1,200. Phishing attacks reflect these awful effects. Phishing websites (PWs) detection appear in the literature. Previous methods included maintaining a centralized blacklist that is manually updated, but newly created pseudonyms cannot be detected. Several recent studies utilized supervised machine learning (SML) algorithms and schemes to manipulate the PWs detection problem. URL extraction-based algorithms and schemes. These studies demonstrate that some classification algorithms are more effective on different data sets. However, for the phishing site detection problem, no widely known classifier has been developed. This study is aimed at identifying the features and schemes of SML that work best in the face of PWs across all publicly available phishing data sets. The Scikit Learn library has eight widely used classification algorithms configured for assessment on the public phishing datasets. Eight was tested. Later, classification algorithms were used to measure accuracy on three different datasets for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long with the Welch t-test. Assemblies and neural networks outclass classical algorithms in this study. On three publicly accessible phishing datasets, eight traditional SML algorithms were evaluated, and the results were calculated in terms of classification accuracy and classifier ranking as shown in tables 4 and 8. Eventually, on severely unbalanced datasets, classifiers that obtained higher than 99.0 percent classification accuracy. Finally, the results show that this could also be adapted and outperforms conventional techniques with good precision.

다시점 준지도 학습 기반 3차원 휴먼 자세 추정 (Multi-view Semi-supervised Learning-based 3D Human Pose Estimation)

  • 김도엽;장주용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27권2호
    • /
    • pp.174-184
    • /
    • 2022
  • 3차원 휴먼 자세 추정 모델은 다시점 모델과 단시점 모델로 분류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다시점 모델은 단시점 모델에 비하여 뛰어난 자세 추정 성능을 보인다. 단시점 모델의 경우 3차원 자세 추정 성능의 향상은 많은 양의 학습 데이터를 필요로 한다. 하지만 3차원 자세에 대한 참값을 획득하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이러한 문제를 다루기 위해, 우리는 다시점 모델로부터 다시점 휴먼 자세 데이터에 대한 의사 참값을 생성하고, 이를 단시점 모델의 학습에 활용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또한, 우리는 각각의 다시점 영상으로부터 추정된 자세의 일관성을 고려하는 다시점 일관성 손실함수를 제안하여, 이것이 단시점 모델의 효과적인 학습에 도움을 준다는 것을 보인다. Human3.6M과 MPI-INF-3DHP 데이터셋을 사용한 실험은 제안하는 방법이 3차원 휴먼 자세 추정을 위한 단시점 모델의 학습에 효과적임을 보여준다.

합성곱 신경망 기초 실습 사례 개발 (Development of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Basic Practice Cases)

  • 허경
    • 실천공학교육논문지
    • /
    • 제14권2호
    • /
    • pp.279-285
    • /
    • 2022
  • 본 논문에서는 비전공자들을 위한 교양과정으로, 기초 합성곱신경망 과목 커리큘럼을 설계하는데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합성곱신경망 기초 실습 사례를 개발하였다. 개발된 실습 사례는 합성곱신경망의 동작원리를 이해시키는 데 초점을 두고, 시각화된 전체 과정을 확인할 수 있도록 스프레드시트를 사용하였다. 개발된 실습 사례는 지도학습 방식의 이미지 훈련데이터 생성, 입력층, 컨볼루션층(합성곱층), 풀링층 그리고 출력층을 차례대로 구현하고, 신규 데이터에 대해 합성곱신경망의 성능을 테스트하는 것으로 구성되었다. 본 논문에서 개발한 실습사례를 확장하여 인식하려는 이미지 개수를 확장하거나, 고화질의 이미지에 대한 압축률을 높이는 합성곱신경망을 만드는 기초 실습 사례를 만들 수 있다. 따라서, 본 합성곱신경망 기초 실습 사례의 활용도가 높다고 할 수 있다.

Novel Intent based Dimension Reduction and Visual Features Semi-Supervised Learning for Automatic Visual Media Retrieval

  • kunisetti, Subramanyam;Ravichandran, Suban
    •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Science & Network Security
    • /
    • 제22권6호
    • /
    • pp.230-240
    • /
    • 2022
  • Sharing of online videos via internet is an emerging and important concept in different types of applications like surveillance and video mobile search in different web related applications. So there is need to manage personalized web video retrieval system necessary to explore relevant videos and it helps to peoples who are searching for efficient video relates to specific big data content. To evaluate this process, attributes/features with reduction of dimensionality are computed from videos to explore discriminative aspects of scene in video based on shape, histogram, and texture, annotation of object, co-ordination, color and contour data. Dimensionality reduction is mainly depends on extraction of feature and selection of feature in multi labeled data retrieval from multimedia related data. Many of the researchers are implemented different techniques/approaches to reduce dimensionality based on visual features of video data. But all the techniques have disadvantages and advantages in reduction of dimensionality with advanced features in video retrieval. In this research, we present a Novel Intent based Dimension Reduction Semi-Supervised Learning Approach (NIDRSLA) that examine the reduction of dimensionality with explore exact and fast video retrieval based on different visual features. For dimensionality reduction, NIDRSLA learns the matrix of projection by increasing the dependence between enlarged data and projected space features. Proposed approach also addressed the aforementioned issue (i.e. Segmentation of video with frame selection using low level features and high level features) with efficient object annotation for video representation. Experiments performed on synthetic data set, it demonstrate the efficiency of proposed approach with traditional state-of-the-art video retrieval methodolog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