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upertainer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15초

컨테이너 터미널의 차세대 안벽크레인 생산성 비교분석 (A Comparative Study on Productivity of Next Generation Quay Crane in Container Terminal)

  • 하태영;최용석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04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297-302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수직배치형 블록을 가지는 컨테이너 터미널을 대상으로 안벽에서 컨테이너의 양${\cdot}$적하 작업을 담당하는 안벽크레인(Q/C)에 대한 하역생산성을 비교분석하였다. 분석 대상이 되는 안벽크레인의 유형은 기존의 싱글트롤리 타입외에 차세대 안벽크레인으로 인식되고 있는 듀얼트롤리, 더블트롤리, 수직순환식의 하역방식을 가지는 장비에 대한 하역생산성을 순작업시간당 생산성 측면에서 이들 하역장비의 성능을 측정해 보았다. 이들 차세대 컨테이너 크레인은 기존의 싱글트롤리 타입의 장비에 비해 기계적 싸이클 타임이 짧으며, 선회방식이 상이하여 현재의 싱글 트롤리타입보다 하역생산성이 매우 높을 것으로 보고 있다. 본 연구의 결과로 제시된 4가지 유형의 안벽크레인에 대해 작업싸이클타임과 시뮬레이션 기법을 이용하여 기계적생산성과 순작업생산성을 산출하였다.

  • PDF

고성능 안벽크레인의 터미널 하역 생산성 비교분석 (A Comparative Study on Productivity of High Performance Quay Crane in Container Terminal)

  • 하태영;최용석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29권6호
    • /
    • pp.547-553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수직배치형 장치장 블록형태의 자동화 컨테이너 터미널을 대상으로 안벽에서 컨테이너의 양${\cdot}$적하 작업을 수행하는 안벽크레인(Q/C)에 대한 하역생산성을 평가해 보았다. 분석 대상이 되는 안벽크레인의 유형으로 기존의 싱글트롤리 타입외에 차세대 안벽크레인으로 인식되고 있는 듀얼트롤리 더블트롤리, 수직순환식의 하역방식을 가지는 네 가지 장비이다. 이들은 각기 다른 방식으로 선박의 컨테이너를 하역하며, 이들 각각에 대해 기계적 생산성과 순작업 생산성을 산출해 보았다. 특히, 안벽크레인의 순작업 생산성을 산출하기 위해 각 장비에 대한 시뮬레이션 모델을 수립하고 이를 적용한 시뮬레이션 시스템을 개발하였으며, 개발된 시뮬레이션 시스템을 통해 내 가지 안벽크레인에 대한 다양한 시뮬레이션이 수행되었다.

Comparing Cycle Times of Advanced Quay Cranes in Container Terminals

  • Phan-Thi, Mai-Ha;Ryu, Kwangyeol;Kim, Kap Hwan
    • Industrial Engineering and Management Systems
    • /
    • 제12권4호
    • /
    • pp.359-367
    • /
    • 2013
  • The amount of international trade is rapidly increasing as a result of globalization. It is well known that as the size of a vessel becomes larger, the transportation cost per container decreases. That is, the economy-of-scale holds even in maritime container transportation. As a result, the sizes of containerships have been steadily increased for reducing transportation costs. In addition, various handling technologies and handling equipment have been introduced to increase the throughput capacities of container terminals. Quay crane (QC) that carries out load/unload operations plays the most important role among various handling equipment in terminals. Two typical examples of advanced QC concepts proposed so far are double trolley QC and supertainer QC. This paper suggests a method of estimating the expected value and the standard deviation of the container handling cycle time of the advanced QCs that involve several handling components which move at the same time. Numerical results obtained by the proposed estimation procedure are compared with those obtained by simulation studies. In order to demonstrate the advantage of advanced QCs, we compared their expected cycle times with those of a conventional Q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