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unken ship

검색결과 35건 처리시간 0.035초

4기 크레인에 의한 첨물 선체의 인양력 계산 (Calculation of 4 Crane Lifting Forces for a Sunken Ship)

  • 이상갑
    • 한국해양공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17-22
    • /
    • 2000
  • This study focuses on a simple analytical approach to calculate crane lifting forces for a sunken ship. The method takes into account the relation of lifting forces acting in wire rope slings to the inclination of the vessel including the effect of lug positions. The importance of the sunken ship salvage is explained from the statistics of ship casualties during last 15 years. Euler angles are introduced to represent the inclination of a sunken ship in developing the static force and moment equations,. Three dimensional examples with one redundant degree of freedom for a GT1500 oil tanker are analyzed and the results show that the information obtained by the method could be useful to salvors to conduct salvage work.

  • PDF

선체 부식 및 손상 부재를 고려한 침몰선박의 구조 안전성 평가에 관한 연구 - 제7 해성호를 중심으로 - (Structural Safety Assessment of a Sunken Ship Considering Hull Corrosion and Damaged Members - Focus on the Sunken Ship 'No. 7 HaeSung' -)

  • 이승현;김원돈;서재준
    • 한국해양환경ㆍ에너지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332-340
    • /
    • 2016
  • 침몰선박은 선체 내에 적재되어 있는 잔존연료 및 유해 화물 등의 유출로 인하여 주변 환경과 선박의 안전 항해에 피해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대부분의 침몰선박은 해저에 침수된 상태로 비교적 안정적인 상태로 놓여있지만 선체 자중, 화물창의 잔존화물에 의한 하중과 해저면과의 접촉상태, 조류 및 해류 등의 영향으로 침몰선박 잔존연료 유출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침몰선박은 침몰 이후 부식이 진행되어 선체 구조부재의 두께가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는 상황이다. 따라서 침몰선박의 붕괴 가능성에 대한 구조안전성 평가가 필요하며 그 결과는 침몰선박의 위해도 평가요소 중 '유출가능성' 평가 항목에 반영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침몰선박의 구조 안전성 평가 방법에 대한 단계별 절차를 제시하고, 집중관리대상 침몰선박으로 분류된 '제7해성호'를 대상으로 선체구조의 붕괴 가능성을 추정하기 위한 구조 안전성 평가 방안을 제시한다. 침몰 당시 선체 손상 상태와 침몰 이후 선체구조 부재의 부식량 추정을 바탕으로 대상 침몰선박의 선체구조 붕괴 가능성을 산정한 결과, 현 상태에서는 전체적인 선체구조 붕괴가 일어날 가능성이 낮은 편으로 추정되지만, 향후 시간에 따른 부식량 증가로 인한 선체구조 붕괴가 일어날 가능성은 다소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부식 및 해양환경 변화가 침몰선체 구조 안전성에 미치는 영향 등의 연구는 지속적으로 수행 되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크레인 로프의 신장을 고려한 침몰선체의 인양력 해석 (Lifting Analysis for a Sunken Ship in Consideration of Elongation of Crane Ropes)

  • 최경식;신맹기
    • 한국해양공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33-38
    • /
    • 2003
  • This study focuses on an analytical approach to calculate crane-lifting forces for a sunken ship, with consideration to elongation of crane ropes. The method takes into account the relation of lifting forces acting in wire rope slings to the inclination of the ship's hull, including the effect of lug positions. For lifting analysis, the Euler angles are defined to represent the inclination of a sunken ship in developing the static force and moment equations. An additional compatibility condition is introduced in order to solve an indeterminate lifting analysis problem with 4 cranes. A set of lifting forces along the 4 crane ropes is calculated. A 3-dimensional example of the G/T 1500 oil tanker is analyzed. The results show that the information obtained by the method could be useful to engineers when conducting salvage work.

다중빔음향측심 자료를 이용한 침몰선박 정밀영상 분석 연구 (Sunken Ship Precision Image Analysis Using Multi-Beam Echo Sounding Data)

  • 이승현;서영교;서재준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2권7호
    • /
    • pp.863-868
    • /
    • 2016
  • 본 연구는 다중빔 음향측심 자료를 바탕으로 침몰선박의 정확한 형상 및 해저지형에 대한 정보를 분석하였다. 다양한 영상 자료처리를 통해 현재 침몰선박의 상태를 분석하였다. 해당 자료와 과거 조사 자료의 비교를 통하여 침몰선박 상태 변화 및 주변지형의 변화를 해석하였다. 분석대상 선박 중 퍼시픽프랜드호의 경우 조류에 의한 침 퇴적으로 인해 선수-선미의 지형변화가 뚜렷하게 나타나는 특징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제7해성호의 경우 2011년 국립해양조사원 영상자료에서는 선수 일부가 유지된 상태였으나, 2015년 조사 영상에서는 선수 일부가 붕괴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오랜 기간 선박이 해저에 방치되면서 조류 및 화물의 하중 등과 지속적인 부식으로 선체가 붕괴된 것으로 추정된다. 따라서 잔존연료 유출 및 주변 해양오염이 발생할 수 있어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침몰선박의 영상분석을 통해 침몰선박이 수심과 조류에 의한 영향을 많이 받은 지역일 경우 지질학적 특성과 퇴적물의 침 퇴적 양상에 따라 침몰선박의 구조 안전성에 상당한 영향을 줄 것으로 판단되며, 부식으로 인한 선체의 변화는 계속적으로 변화될 것으로 추정된다. 따라서 지질학적 특성을 고려한 잔존연료 유출 및 주변 환경 변화에 대하여 침몰선박의 변화에 따라 예측 대응하는 기술의 개발이 필요하다.

A Study on the Prevention of Spill of Fuel Oils and Lubricating Oils for Sunken Ships

  • Han, Won-Heui;Ju, Hae-Ji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309-314
    • /
    • 2015
  • A sunken ship often involves an oil spill. This paper was carried out to minimize environmental and cost damages stemming from oil spil of sunken shipl. Through the analysis of both the standards of the oil tank system and installation, we have identified potential oil spill sites and proposed a remedy of prevention. The result of study, the air pipes of the oil tank are a vulnerable point for oil spill. Also, the remote control devices of emergency shut-off valve have poor accessibility at abandon ship, making it difficult to shut off the emergency shut-off valve. Thus, we propose the addition of a remote quick closing valve in the air pipe and the building of a central control system.

크레인 로프의 신장을 고려한 침몰선체의 인양력 해석 (Lifting Analysis for a Sunken Ship in Consideration of Elongation of Crane Ropes)

  • 최경식;신맹기
    • 한국해양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공학회 2003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79-184
    • /
    • 2003
  • This study focuses on an analytical approach to calculate crane lifting forces for a sunken ship in consideration oj elongation of crane ropes. The method takes into account the relation of lifting forces acting in wire rope slings to the inclination of the ship's hull including the effect of lug positions. For lifting analysis, the Euler angles are defined to represent the inclination of a sunken ship in developing the static force and moment equations. An additional compatability condition is introduced in order to solve an indeterminate lifting analysis problem with 4 cranes and a set of lifting forces along the 4 crane ropes is calculated. A 3-dimensional example of the G/T 1500 oil tanker is analyzed and the results show that the information obtained by the method could be useful to engineers to conduct salvage work.

  • PDF

우리나라 인적재해 유형별 손상 분석 (Analysis of Injury Types in Korean Disaster)

  • 신동민;이인수;백미례
    • 한국응급구조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179-187
    • /
    • 2004
  •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jury types in Daegu subway fire accident, Sampung department store collapse, Mokpo airport civil aircraft accident, and Buan sunken ship disaster. The conclusion obtained from these analyses are as following. 1. The total of victims were Sampung department store collapse(l440 people). Buan sunken ship disaster(355 people), Daegu subway fire accident(340 people), and Mokpo airport civil aircraft accident(110 people). 2. The total of dead people were Sampung department store collapse(502 people), Buan sunken ship disaster(287 people), Daegu subway fire accident(192 people), and Mokpa airport civil aircraft accident(66 people). 3. The total of injured people were Sampung department store collapse(938 people), Daegu subway fire accident(148 people), Mokpo airport civil aircraft accident(84 people), and Buan sunken ship disaster(67 people). 4. The major types of victims presented smoke inhalation such as coughing, dyspnea, and sore throat in Daegu subway fire accident. 5. The major types of victims presented crushing(multiple fractures), vertebral, and soft tissues injuries in Sampung department store collapse. 6. The major types of victims presented multiple fractures. In addition to, a lot of people showed vertebral injuries and shock symptoms in Mokpo airport civil aircraft accident. 7. The major types of victims presented drowning as well lots of hypothermia patients in Buan sunken ship disaster. There were a wide variety of types in human disaster. Therefore, the most important disaster training program need to each disaster aspect in the local emergency medical services system. Moreover, the emergency medical services personnel should be understand and training for injury types of each human disaster.

  • PDF

침몰 유조선 경신호의 추가 해양오염 가능성에 관한 연구 (Analysis of the risk of further oil spill from Sunken lanker, 'Kyung-Shin')

  • 최혁진;변성훈;이문진;강창구
    • 한국해양환경ㆍ에너지학회지
    • /
    • 제5권4호
    • /
    • pp.63-73
    • /
    • 2002
  • 본 논문은 1988년 2원에 포항 앞바다에서 침몰한 총톤수 995톤의 유조선 경신호에 대한 수중 조사 작업과 그 결과를 다루고 있다. 조사는 경신호에 의한 추가 해양오염가능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2001년 9원에 약 10일간의 일정으로 수행되었으며 첨단 해양조사장비인 ROV와 유인잠수정, 초음파 투께 계측장치 등을 이용하여 선체상태와 기름의 유출상황, 선체외판의 부식상태 통을 조사하였다. 조사 결과, 선체에서 계속적으로 소량의 기름이 유출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선체의 부식 상태 조사를 위해 선체의 일부에서 선체 두께 측정이 이루어졌다. 조사 결과와 기존 사고 보고서의 내용을 바탕으로 잔존유의 양을 추정하였을 때, 조사당시 선체에는 약 600㎘의 기금이 잔존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되었으며 향후 선체외판의 부식으로 인해 잔존유가 추가 유출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이와 함께 유출유 확산 예측시뮬레이션을 통해 특정한 기상상태에서는 유출된 기름이 주변해역을 오염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