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ummer decline

검색결과 57건 처리시간 0.029초

진동만 미더덕 양식장의 하계 및 동계 탄소 순환 특성 (Characteristics of Carbon Circulation for Ascidian Farm in Jindong Bay in Summer and Winter)

  • 박지혜;조윤식;이원찬;홍석진;김형철;김정배;박정현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211-221
    • /
    • 2012
  • 미더덕은 우리나라에서만 식용 및 양식하는 생물종으로, 2001년 본격적인 수하식 양식이 시작되어 15,084 M/T이 생산되었지만 2011년에는 2,655 M/T으로 생산량이 크게 감소하였다. 생산량 저감의 원인분석을 위해서는 어장 환경에 관한 물질수지 산정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진동만 미더덕 양식장에서 하계와 동계에 현장 관측 장비인 벤틱챔버(BelcI)를 이용하여 미더덕 양식장과 대조구 정점에 대한 침강 flux와 용출 flux를 산정하였다. 7월 양식장, 2월 양식장, 2월 대조구에서 유기 탄소 침강 flux는 각각 72 mmol C $m^{-2}\;d^{-1}$, 93 mmol C $m^{-2}\;d^{-1}$, 34 mmol C $m^{-2}\;d^{-1}$로 나타났고, 유기탄소 산화율은 각각 13 mmol C $m^{-2}\;d^{-1}$, 81 mmol C $m^{-2}\;d^{-1}$, 31 mmol C $m^{-2}\;d^{-1}$로 나타났다. 영양염 용출 flux는 일반적인 경향을 띄었다. 결과적으로 유기탄소 퇴적 flux는 20:4:1의 비를 나타내었다. 탄소 순환의 물질수지 산정을 통해, 양식 생물의 생산량 저감에 관한 원인 분석연구에 기초 자료로써 활용될 수 있다.

하절기 한지형 잔디 재배 시 침수 및 고온으로 인한 잔디의 생육 불량 현상 (Effect of High-Humidity and High Temperature at Kentucky Bluegrass Growth in Summer)

  • 이정호;최준용;이성호;주영규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33-140
    • /
    • 2008
  • 한지형 잔디는 하절기 온도가 $30^{\circ}C$ 이상까지 올라가는 우리나라에서 뿌리와 줄기의 성장이 급격히 저하되고 심하면 고사하게 된다. 기온의 상승으로 인한 지온 상승은 잔디뿌리에 스트레스가 되며 그 스트레스는 호르몬의 불균형적인 형성으로 지상부 생장 및 광합성, 증산작용 등의 여러 매카니즘에 많은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토양내 수분함량을 조절하기도 하고 유기물 함량을 조절하여 지온의 상승을 제한함으로서 잔디의 생육부진을 해소하는 연구도 수행되었다. 본 실험은 토양 수분의 변화에 따른 토양 온도의 변화 양상을 분석하고, 잔디 재배지에서의 토양 깊이와 수분 함량에 따른 열 전도 기작과 열 환경 변화에 따른 직접적인 잔디 생육(생산량, 녹도, 건조피해, 고온피해 등)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공시 초종으로 Kentucky bluegrass(Poa pratensis L.)를 선정하였고 각각의 실험구는 수분함량에 따라 25%, 33%, 40%의 3가지로 구분하여 처리하였다. 토양온도측정 센서를 각 실험구에 깊이 12cm 지점과 2cm 지점에 각각 2개씩 즉, 한 실험구당 4개의 토양온도측정 센서를 설치하여 매 5분마다 온도변화를 측정하였다. 수분함량에 따른 온도변화는 수분함량이 33% 일 때 가장 낮게 측정되었다. 잔디의 생육상태를 비교하여 볼 때 수분 함량이 33% 일 때 생육이 가장 양호하였으며 40% 일 때 가장 생육이 불량하였다. 하절기 고온 환경에서 한지형 잔디인 Kentucky bluegrass의 생육은 토양 수분함량에 따라 큰 영향을 받지만, 장마기에 잔디가 침수된 환경에서 토양 수분 함량을 최소한 33%까지 감소시켰을 경우에는 잔디 생육에 큰 영향을 받지 않을 것으로 사료된다.

간척지의 환경변화가 흰뺨검둥오리 서식에 미치는 영향 (Some effects of environmental changes on Sihwa Reclaimed Land on the inhabit of Spot-billed Ducks)

  • 진선덕;백인환;박치영;최성훈;유재평;백운기;강태한
    • 한국조류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87-93
    • /
    • 2018
  • 시화호 환경변화에 따른 흰뺨검둥오리의 개체수 변화를 확인하기 위해 2008년 1월부터 2014년 12월까지 매월 1회씩 조사하였다. 흰뺨검둥오리의 평균 개체수는 12,204개체이었고 점차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변동지수(Fi)는 2010년에 2.16로 가장 높았다. 개체군 변화경향은 겨울철은 급격한 감소, 가을철과 봄철에는 보통감소, 여름철은 보통 증가경향을 보였다. 주요 서식지로는 북측간척지, 방수제, 탄도수로, 인공습지 이었다. 기온과의 상관관계는 봄, 여름, 가을은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겨울은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간척지 환경변화에 따라 흰뺨검둥오리의 군집에 영향을 미치고 있어 본 연구와 같은 자료를 토대로 효과적인 관리방안이 필요하다.

인공위성영상을 이용한 하천의 퇴적/침식 분석 (Analysis of Accumulation/Erosion in River Using Satellite Image)

  • 양인태;김동문;천기선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37-45
    • /
    • 2006
  • 여름철에는 집중강우에 의한 산사태, 하천범람, 하천구조물의 피해가 심각하다. 특히 토양침식의 증가는 하상퇴적과 저수량 저하 등의 홍수재해를 발생시키며, 상류에서의 침식증가는 토사의 하천범람, 농경지와 시가지 매몰의 형태로 나타난다. 현재까지의 피해현황 조사는 답사 위주의 조사가 주를 이루고 있어 효율적인 피해조사에 한계가 있으며, 따라서 효과적이며 과학적인 모델링 기법이 필요하다. 이 연구에서는 다양한 공간 해상도의 인공위성영상 분석 비교를 통해 고해상도 위성영상을 모니터링 자료원으로의 활용성을 검토하고자 하였으며, 토사재해(침식/퇴적) 피해 현황 정보의 추출 가능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또한 위성영상의 해상도별 분석을 통하여 토사재해 피해현황판독 활용 가능성을 연구하였고, 하천 미세지형 변화의 판독을 위한 KOMPSAT 영상의 활용성을 연구하였다.

생육단계별 Festulolium braunii의 건물수량 및 사료가치 구명 (A Study on the Dry Matter Yield and Qualityof Festulolium braunii at Different Growing Stages)

  • 이인덕;이형석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17-122
    • /
    • 1997
  •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forage yield and quality and the possibility to provide Festulolium bmunii(Festuca pratensis $Huds{\times}Lolium$ mult~jlotum Lam.) as forage source in Korea. The Festuloliurn braunii were harvested at boot, heading and anthesis stage, respectively. The field trials were performed 6om 1994 to 1996 at the forage experimental field, College of agriculture, Chunpam National University. The results obtained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date of boot, heading and anthesis stage of Festulolium bmunii observed in Taejon were May 12, May 23 and June 1 in 1995, and June 1, June 4 and June 9 in 1996, respectively. Winter survival percentage of Festulolium bmunii war ranged 6om 96% to 98% and summer survival percentage were 75-86%. It would suggest that Festulolium brawlii persisted well in the aspect of overwintering, while it wasn' t widely adapted to drought and high temperature in Taejon regions. 2. The CP content and DMD of Festulolium bmunii tended to decline as the growth stage advanced. The CP content and DMD of Festulolium bmunii were high at the boot stage and those at the anthesis stage were low. But fiber contents at the boot stage were lower than those at anthesis stage(P< 0.05). The yields of the DM and DDM with advancing the growing stage tended to increase, while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CPDM yields among stages. On the otherhand, the yields of DM and DDM at the anthesis stage were the highest (P< 0.05), but there was no difference in CPDM yield among stages. Based on the results mentioned above, it is suggested that Festulolium b m n i i has a possibility to use until the anthesis stage under the cutting regimes and that it has a potentiality to provide one of a good forage sources. %'ifqqiZ 43q *(College of Agriculture, Chungnam National Un~versity, Taejon 305-764, Korea)

  • PDF

도암만 수질의 부유물질 농도와 화학적 산소요구량의 시·공간적 특성 및 상관관계 (Seasonal and Stational Variation of SS and COD and Their Relationship in Doam Bay)

  • 장지승;장지혜;조미선;강형일;정재성;안삼영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3권5호
    • /
    • pp.973-984
    • /
    • 2014
  • Seasonal and stational variation of SS and COD were investigated from February 2008 to December 2010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m was discussed. During three years monitoring, SS decreased significantly (46% decline) possibly due to the increase of precipitation and thereby resulting salinity drop. COD on average was the highest in 2009. SS was the highest in autumn and the lowest in winter, and over 72% of SS was FSS. While SS is high in the upper sampling stations of the bay with shallow water, COD values do not show any relationship to the geo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COD_{ins}$, which was defined as COD after filtration, ranged 56%(winter) ~ 44.6%(summer) and showed no correlation with SS. It indicates that high SS concentration is not necessarily related to the high $COD_{ins}$. The seasonal $COD_{ins}$/SS data, which can be interpreted as COD density in SS, shows that SS in winter contains the dense COD materials compared to the other seasons.

Effect of Cool Drinking Water on Production and Shell Quality of Laying Hens in Summer

  • Glatz, P.C.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4권6호
    • /
    • pp.850-854
    • /
    • 2001
  • Feed intake, egg weight, rate of lay and shell quality characteristics were measured in an Australian tinted egg laying strain from 31-42 weeks of age, housed at $30^{\circ}C$ and provided drinking water at 5, 10, 17 and $30^{\circ}C$. In a second experiment a European brown egg laying strain (59-66 weeks of age) housed at $30^{\circ}C$ were provided drinking water at 5, 10, 15 and $30^{\circ}C$. Brown egg layers given cool drinking water (5, 10 and $15^{\circ}C$) consumed more (p<0.05) feed and produced significantly (p<0.05) thicker and heavier shells than hens given drinking water at ambient temperature ($30^{\circ}C$). However the tinted egg layers given chilled drinking water only consumed more (p<0.05) feed and produced thicker (p<0.05) and heavier (p<0.05) shells when consuming drinking water at $5^{\circ}C$. As the tinted egg layers acclimatised to the environmental temperature there was a decline in the influence of cool drinking water on feed intake and shell quality. For brown egg layers, however, cool drinking water resulted in an improvement (p<0.05) in feed intake and shell quality over the entire period birds were provided cool water. These studies suggest that there is potential for using cool drinking water to improve feed intake and shell quality of hens housed under hot conditions. The combination of high ambient temperature and high drinking water temperature, a common occurrence in Australian layer sheds, should be avoided.

낙동강 하구에 이식된 잘피(Zostera marina)의 환경변화에 따른 성장특성 (Growth Dynamics of Zostera marina Transplants in the Nakdong Estuary Related to Environmental Changes)

  • 박정임;이근섭;손민호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4권5호
    • /
    • pp.533-542
    • /
    • 2011
  • Numerous seagrass habitat restoration projects have been attempted recently due to the remarkable decline in seagrass coverage. Seagrass transplants tend to adapt to a new environment after experiencing transplanting stress during the early stages of transplantation. Once acclimated, the transplants grow into healthy seagrass beds via vegetative propagation. The establishment and growth dynamics of transplanted seagrasses in bays and coasts are widely reported, but few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estuaries in Korea. We transplanted Zostera marina in November 2007 and November 2008 in the Nakdong estuary using the staple method, and monitored the survival, adaptation, and growth dynamics of the transplants as well as environmental factors every month for 1 year. Both transplants adapted well to the new environment without initial losses and showed rapid productivity during early summer. However, density of transplants increased 320% in 1 year from the previous year's transplants but that decreased to 59% during the following year. This significant reduction in density in the second year may have been caused by exposure to low salinity (10 psu) for 3 weeks during the unusually long monsoon season. While the survival and growth dynamics of seagrass transplants planted in bays and coasts are mainly controlled by underwater photon flux density and water temperature, salinity was the critical factor for those planted in Nakdong estuary.

낙동강 중류 보 구간에서의 시 · 공간적 수질 분포 특성 연구 (A Study on Spatial and Temporal Patterns of Water Quality in the Middle Area of the Nakdong River, Korea)

  • 나은혜;박수영;김종하;임성수;김경현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31권6호
    • /
    • pp.723-731
    • /
    • 2015
  • We investigated the spatial and temporal patterns of water quality in the Gangjung-Goryoung weir that is located in the middle area of the Nakdong river, Korea. The monitoring results indicated that there are discernible vertical differences in water quality during the pre- and post-monsoon periods (May to September). During this period, it was observed that the weak thermal stratification formed at the maximum level, and pH, Chl-a, and DO concentrations in the surface layer were higher than those in the bottom layer. This vertical difference was especially noticeable for DO concentrations: there were DO depletions at the bottom layer in late June to early August. During the summer monsoon period with heavy rainfall, there was a decline in vertical differences in water quality. From this study, it was suggested that continuous monitoring of vertical profiles could become a useful tool for identifying the spatial and temporal distributions of water quality and for developing the best management policy for water quality in the Nakdong river.

하계 동중국해에서의 용존 및 입자유기탄소의 분포 특성 (Distribution of Dissolved and Particulate Organic Carbon in the East China Sea in Summer)

  • 김수강;최영찬;김진석
    • 한국해양환경ㆍ에너지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124-131
    • /
    • 2008
  • 2003년 8월과 2004년 9월 제주도 남서부해역과 중국 연안해역을 대상으로 실시된 본 연구는 용존무기영양염류와 용존 및 입자유기탄소의 분포 특성을 조사하였다. 하계에 동중국해의 영양염의 분포 형태는 수괴 및 식물플랑크톤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밝혀졌다. 하계에 동중국해내 수괴들은 중국의 연안해역을 제외하고 상하수직혼합이 잘 일어나지 않아 표층수에는 영양염의 유입이 감소하고, 저층수에는 표층에서 유입되는 유기물이 분해되어 영양염의 축적이 일어나 높은 농도를 나타내고 있었다. Chlorophyll a의 농도가 높은 해역에서 영양염의 농도가 낮은 값을 보였으며, Chlorophyll a의 농도가 감소하는 수심이하에서 영양염의 농도가 증가함을 보여 높은 생물활동에 의한 무기영양염류 등이 조절되고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연구해역내 용존유기탄소의 분포는 염분이나 수온에 대해 다소 산만한 분포를 보여 수괴에 따른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조사되었고, 양자강 영향 정점에서 $100{\mu}M$이상의 높은 값을 보인 반면, 제주도 남서부 해역에서는 낮은 농도를 보였는데, 이것은 양자강 유출수가 동중국해 용존유기탄소의 공급원으로 작용하고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연구해역 입자유기탄소의 분포특성은 양자강 유출수가 영향을 미치는 중국연안해역에서 평균 $9.23{\mu}M$로 가장 높은 농도를 보였으며, 대마난류수의 영향을 받는 제주도 남동부해역에서 $3.04{\mu}M$로 낮은 농도를 보였으며, 중앙부해역에서 $7.23{\mu}M$의 입자유기탄소량을 나타내, 양자강 유출수가 자생적 기원이외의 입자유기탄소 공급원으로 작용하고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제주도 남서부해역에서의 입자유기탄소는 Chlorophyll a의 농도와 높은 상관성을 보여 자생적 기원으로 볼 수 있지만 그 해역에서의 염분도가 저염(30%o 이하)을 나타내고 있어 자생적 기원보다는 육상기원에 의한 영향으로 생각되어진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