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ummer crop

검색결과 356건 처리시간 0.03초

The Characteristics of Growth and Green Manure Yield by Different Kinds of Landscape Crops Cultivated in Summer in Upland Soil

  • Cho, Hyeoun-Suk;Seong, Ki-Yeung;Park, Tae-Seon;Seo, Myung-Chul;Kim, Mi-Hyang;Kang, Hang-Won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7권5호
    • /
    • pp.324-331
    • /
    • 2014
  • 경관작물은 봄부터 늦은 가을까지 도로변, 하천변, 화단에 재배되어 우리 주변 환경을 아름답게 꾸며주는 역할을 수행하였으나 최근에는 대면적의 농경지에 재배되면서 넓은 면적에 재배가 가능한 작물들이 각광을 받기 시작하였다. 따라서 여름에 재배되는 작물 중에서 경관작물과 녹비작물로 이용 가능한 작물을 선발하고자 해바라기, 코스모스, 네마장황, 네마황, 세스바니아, 수수의 작물 생육특성, 녹비수량 및 질소생산량을 조사하였다. 경관작물의 초장은 수확시기가 늦을수록 증가하였으며 특히 네마장황, 코스모스, 해바라기, 수수는 100 cm 이상으로 컸다. 네마장황과 코스모스의 개화소요일수는 각각 50일, 53일로 짧아 가장 빨리 개화가 시작되었으며 개화기간은 50일 이상으로 길었다. 해바라기는 개화되는데 52일이 소요되어 짧았으나, 개화기간이 21일로 짧았다. 녹비수량과 질소생산량은 모든 작물에서 수확시기가 늦어질수록 증가하였다. 녹비수량은 네마장황, 수수, 해바라기에서 $7.2{\sim}7.5Mg\;ha^{-1}$로 가장 많았고 세스바니아에서 가장 적었으며, 질소생산량은 네마장황에서 $168.1kg\;ha^{-1}$으로 가장 많았다. 따라서, 개화특성, 녹비수량, 질소생산량을 기준으로 볼 때 여름용 경관작물 중 네마장황이 녹비와 경관 효과가 가장 우수하였다.

오챠드그라스의 하고 경감에 미치는 규산 시용의 효과 (Effect of Silicate Application on the Reduction of Summer Drought Phenomenon of Orchardgrass(Dactylis glomerata L.))

  • 강양순;정연태;정근식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238-241
    • /
    • 1986
  • 규산 시용에 의한 하고기 오챠드그라스의 고온장해 경감 효과를 구명하기 위하여 온냉조절 온실에서 식양질토로서 Pot 재배하여 정상 관리한 상태하에서 오챠드그라스의 생육, 규산흡수능력 및 엽신중 에틸렌 생성량을 분석한 후 재배환경(온도, 토양수분등)이 불량한 야산지 토양에서 실증시험하여 하고기의 수양성과 식료영양가를 검토한 결과 ; 1. Pot 재배에서는 규산 시용량 증가로 오챠드그라스의 초장이 길어졌고 직립화 되었으며 생률중 및 건초중이 증가되었다. 또한 엽신중 규산함량은 증가된 반면 에틸렌 생성은 줄어들어 엽신고사율도 낮아졌다. 2. 야산지 토양에서도 규산 시용으로 에틸렌생성이 현저히 줄었고 사료생산에 있어서도 사료가를 낮추지 않으면서 하고기 이전에는 11 %, 하고기에는 9 %의 증수를 가져와 하고경감(고온장해) 효과가 인정되었다.

  • PDF

An Overview of Teff (Eragrostis teff Zuccagni) Trotter) as a Potential Summer Forage Crop in Temperate Systems

  • Habte, Ermias;Muktar, Meki S.;Negawo, Alemayehu T.;Lee, Sang-Hoon;Lee, Ki-Won;Jones, Chris S.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185-188
    • /
    • 2019
  • The production of traditional cool season grasses in temperate regions is becoming hampered during summer seasons due to water deficit. Thus, incorporating water use efficient warm season annual grasses are generally considered to fill the gap of summer season forage reduction that would offer considerable flexibility and adaptability to respond to forage demand. Teff (Eragrostis teff Zuccagni) Trotter) is, a C4 drought tolerant warm season annual grass primarily grown for grain production, recently gaining interest for forage production particularly during summer season. Previous reports have showed that teff is palatable and has comparable forage biomass and feed quality as compared to other warm season annual grasses which would make it an alternative forage. However, the available data are not comprehensive to explore the potential of teff as forage, hence further assessment of genotype variability and performance along with compatibility study of teff with forage production system of specific environment is key for future utilization.

생태형이 다른 귀리품종의 파종기별 조사료 생산성 및 사료가치 (Effect of Seeding Dates on Yield and Quality of Various Oat Cultivars for Year-Around Forage Production)

  • 한옥규;박태일;박형호;송태화;황종진;백성범;김대욱;권영업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209-220
    • /
    • 2012
  • 이 시험은 양질 조사료의 연중생산에 알맞은 각 시기별 국내 육성 귀리 적품종을 선발하기 위해 하파용인 하이스피드, 다크호스, 스완(도입종)과 추파형인 삼한, 동한, 조한 및 내한성이 약한 쌀귀리인 선양, 대양, 조양 등 각각 생태형이 다른 9개 품종을 공시하고 3월부터 11월까지 한 달에 2회씩 파종한 후 유숙기에 수확하여 생육, 조사료 수량성 및 사료가치를 평가하였다. 출현 및 출수소요일은 춘파에서 하파로 갈수록 짧아지다가 하파에서 추파로 갈수록 길어지는 경향이었다. 초장은 파종기가 춘파에서 하파로 갈수록 짧아졌으며, 추파의 경우는 파종기가 빠를수록 초장이 길었다. 생초 및 건물수량은 춘파보다 추파에서 많았으며, 춘파와 추파 모두에서 파종기가 늦어질수록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그리고 각 절기별 생산성으로 볼 때 추파에서는 추파형> 쌀귀리> 하파형 귀리, 춘파에서는 하파형> 쌀귀리> 추파형 귀리, 하파에서는 하파형> 쌀귀리> 추파형 귀리 순으로 수량이 높았다. 조단백질 함량은 춘파인 3월 9일 파종구에서 평균 5.4%로부터 하파인 8월 17일 파종에서 평균 13.5%로 파종기가 여름에 가까워질수록 증가하다가 그 이후 추파에서 10% 수준을 유지하였다. NDF, ADF 및 TDN 함량은 춘파나 추파에 비해 8월 17일과 9월 10일에 파종한 하파구에서 NDF와 ADF 함량이 낮고 TDN 함량이 높은 경향을 보였다. 파종기별 TDN 수량은 10월 12일 추파구에서 780 kg/10a로 가장 높았고, 3월 23일 춘파구에서 627 kg/10a로 그 다음이었으며, 8월 17일 하파구에서 182 kg/10a으로 가장 낮았다. 추파구에서는 10월 12일 파종으로부터 만파할수록 TDN 수량이 감소하였다. 각 절기별로 조사료 생산에 적합한 우수 품종은 춘파의 경우 하이스피드 조양 다크호스 스완, 하파에서는 다크호스 스완 조양 하이스피드, 월동용 파종에서는 삼한 조한 동한이었다. 하파용으로 개발된 다크호스, 하이스피드, 스완 (도입종)과 쌀귀리 품종 조양은 춘파에서도 높은 수량성을 보여 춘파나 하파 등에서 광범위하게 활용할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남부지역 논에서 사료맥류-사료용 옥수수-하파귀리 삼모작 시 조사료 생산성 및 사료가치 (Forage Productivity and Feed Value in Triple Cropping Systems with Winter Forage Crops-Silage Corn-Summer Oat Cultivation at Paddy Field in Southern Region of Korea)

  • 송태화;박태일;강현중;박형호;한옥규;조상균;오영진;장윤우;노재환;박광근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87-93
    • /
    • 2014
  • 이 연구는 남부지역에서 동계 사료맥류, 하계 옥수수, 추계 하파귀리 등 삼모작 재배기술 확립하기 위해 옥수수의 앞그루에 적합한 사료용 맥류 맥종 선정과 더불어 옥수수 뒷그루로 귀리를 가을재배 시 생산성 및 사료가치를 검토하고자 실시하였다. 월동 사료작물을 옥수수 파종기에 맞춰 수확할 경우 호밀이 생초수량 32.0톤/ha, 건물수량 5.8톤/ha로 다른 작물에 비해 높은 수량을 보였다. 하계 사료용 옥수수는 생초수량으로 72.1톤/ha, 건물수량으로 20.2톤/ha 수확되었으며, 사료가치는 조단백질 함량이 7.4%, 가소화영양소 함량이 69.3%로 양호한 생육과 사료가치를 보였다. 가을재배용 귀리의 출수기는 10월 10일이었으며, 생초수량은 44.3톤/ha, 건물수량은 8.5톤/ha이었고, 사료가치는 조단백질이 11.3%, 가소화영양소 함량이 59.1%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남부지역에서 조사료 연중 생산을 위해 가을재배용 귀리의 도입으로 삼모작이 가능하며, 하계 옥수수의 최대 안전 생산을 위한 월동 사료작물은 호밀이 가장 유리한 것으로 사료되었다.

Carbohydrate and Ginsenoside Changes in Ginseng Roots Grown in the Bay of Plenty, New Zealand

  • Follett John M.;Proctor John T.A.;Walton Eric F.;Boldingh Helen L.;McNamara Catherine;Douglas James A.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28권4호
    • /
    • pp.165-172
    • /
    • 2004
  • Ginseng is traditionally cultivated worldwide in cold continental climates. It is now also being cultivated in maritime environments such as New Zealandis. This paper reports a number of growth and quality parameters for plants grown under those conditions over two growing seasons and the intervening winter dormant period. While shoot biomass peaked mid-summer, in contrast, root biomass peaked late autumn/early winter. Starch, sucrose, fructose, glucose and inositol were detected in the roots. Starch concentrations were highest in early autumn (mean 470 mg $g^{-1}$ dry weight) and lowest in mid spring (218 mg $g^{-1}$ dry weight). Sucrose concentrations were low during early summer until late autumn but increased rapidly with the onset of winter and peaked during mid spring (168 mg $g^{-1}$ dry weight). Fructose and glucose concentrations were similar and peaked in late spring (5.3 and 6.2 mg $g^{-1}$ dry weight). Inositol concentrations peaked in mid summer (1.7 mg $g^{-1}$ dry weight). Starch/sugar ratios were high during summer and autumn and low during winter and spring. Ginsenoside concentrations and profiles showed that the six major ginsenosides, Rgl, Re, Rb1, Rc, Rb2 and Rd, were present, but Rf was absent. Concentrations did not vary with sampling date. The most abundant ginsenosides were Re (15.9 to 17.5 mg $g^{-1}$ dry weight) and Rb1 (10.7 to 18.1 mg $g^{-1}$ dry weight). Combined, they accounted for < $75{\%}$ of total ginsenoside concentrations. Limited taste tests indicated that highest root quality occurred during late autumn, after the shoots had senesced. However, quality could not be related to plant chemistry.

전남 갈곡천과 인천강 하구역의 식물플랑크톤의 분포 및 현존량 (The Distribution and Standing Crop of Phytoplankton at the Estuaries of Galgok Stream and Incheon River in Jeollanam-do)

  • 이옥민;유미선;이병인;임안숙
    • ALGAE
    • /
    • 제23권4호
    • /
    • pp.257-268
    • /
    • 2008
  • Species composition, standing crop and dominant species of phytoplankton were investigated at 6 sites of Galgok stream and Incheon river which run into Gomso Bay, Jeollanam-do in April, August and November 2007. Total of 210 taxa were found which were classified as 6 classes, 12 orders, 25 families, 66 genera, 177 species, 27 varieties, 5 forms and 1 unidentified species. These river and stream had lower concentration of T-N and T-P compared to that of others; however, the site 2 of Galgok stream in summer was hypertrophic in T-P and also near hypertrophic in TN, and the site 1 in Incheon river during fall appeared to be hypertrophic in T-N, and the site 3 in summer showed near hypertrophic level in T-P. Determining the trophic status of the water quality based on chlorophyll a (chl-a), the site 3 of Galgok stream in spring and the site 3 of Incheon river in fall were oligotrophic; moreover, 6 sites including the site 2 and 3 of Galgok stream in summer were mesotrophic, and 9 sites including all sites of Galgok stream in fall turned out to be eutrophic. Particularly, the site 1 of Galgok stream in summer was hypertrophic, having 58.19 mg chl-a m$^{-3}$. There was a conspicuous difference between two values of standing crops based on chl-a and cell counting. This discrepancy may have occurred because of abundant cyanophytes and exclusion of picoplankton cells in cell counting. In the study, 5 cyanophytes, Synechocystis aquatilis, Microcystis aeruginosa, M. flos-aquae, Oscillatoria angustissima, O. limnetica and 2 diatoms, Thalassiosira bramaputrae and Navicula viridula var. rostellata were abundant. Based on the T-N, T-P values, standing crops and cell counting in Galgok stream and Incheon river were between mesotrophic and eutrophic conditions.

Simulation of IWR Based on Different Climate Scenarios

  • Junaid, Ahmad Mirza;Arshad, M.;Choi, Kyung-Sook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6년도 학술발표회
    • /
    • pp.519-519
    • /
    • 2016
  • Upper Chenab Canal (UCC) is a non-perennial canal in Punjab Province of Pakistan which provides irrigation water only in summer season. Winter and summer are two distinct cropping season with an average rainfall of about 161 mm and 700 mm respectively. Wheat-rice is common crop rotation being followed in the UCC command area. During winter season, groundwater and rainfall are the main sources of irrigation while canal and ground water is used to fulfil the crop water requirements (CWR) during summer. The objective of current study is to estimate how the irrigation water requirements (IWR) of the two crops are going to change under different conditions of temperature and rainfall. For this purpose, 12 different climatic scenarios were designed by combining the assumptions of three levels of temperature increase under dry, normal and wet conditions of rainfall. Weather records of 13 years (2000-2012) were obtained from PMD (Pakistan Meteorological Department) and CROPWAT model was used to simulate the IWR of the crops under normal and scenarios based climatic conditions. Both crops showed a maximum increase in CWR for temperature rise of $+2^{\circ}C$ i.e. 8.69% and 6% as compared to average. Maximum increment (4.1% and 17.51% respectively) in IWR for both wheat and rice was recorded when temperature rise of $+2^{\circ}C$ is coupled with dry rainfall conditions. March & April during winter and August & September during summer were the months with maximum irrigation requirements. Analysis also showed that no irrigation is needed for rice crop during May and June because of enough rainfall in this area.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