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ummer crop

검색결과 356건 처리시간 0.025초

제주도 밭의 외래잡초 분포 (Distribution of Exotic Weeds on Crop Fields in Jeju-do)

  • 김창석;정영재;이인용;이정란;송희근;오영주
    • Weed & Turfgrass Science
    • /
    • 제4권3호
    • /
    • pp.236-242
    • /
    • 2015
  • 제주도의 밭을 대상으로 141지점을 선정하여 조사를 진행하였다. 제주도 밭에 발생하는 외래잡초 조사결과 18과 50속 64종 2변종, 총 66분류군의 외래잡초가 조사되었고 동계작물 재배지에서는 18과 45종, 하계작물 재배지에서는 16과 50종, 다년생 작물 재배지에서는 17과 39종이 출현하였다. 외래잡초의 생활형은 하계일년생 잡초가 39.4%, 동계일년생은 잡초는 36.4%, 하계일년생과 동계일년생이 모두 가능한 잡초는 7.6%, 다년생 잡초는 16.7%로 분석되었다. 특히 하계작물 재배지에서 하계일년생 잡초의 비율이 높았다. 종의 과별 분포순위는 국화과, 벼과, 아욱과가 우점하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나 다년생 작물 재배지에서는 아욱과는 출현하지 않았다. 제주도의 동계작물 재배지에서 우점하는 외래잡초는 흰명아주, 청비름, 개쑥갓, 냄새냉이, 들개미자리였고 하계작물 재배지에서는 흰명아주, 청비름, 개쑥갓, 방가지똥이었다. 다년생 작물 재배지에서는 큰망초, 선풀솜나물, 개쑥갓, 흰명아주로 조사되어 다른 작물과 차이를 보였다. 제주도 전체 밭에서 발생하는 외래잡초의 우점종은 흰명아주, 청비름, 개쑥갓, 큰망초, 방가지똥 등으로 분석되었다. 제주도에 발생하는 외래잡초의 발생정보는 밭의 지속적인 관리방안을 수립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Effects of dominance frequency of plant species to increase productivity of cattle feed in Japan

  • Yulianto, Roni;Xuan, Tran Dang
    • 한국작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작물학회 2017년도 9th Asian Crop Science Association conference
    • /
    • pp.48-48
    • /
    • 2017
  •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determine the dominance frequency of plant species between spring and summer, to provide useful information toward the conservation to increasing production cattle feed in grazing area in Hiroshima, Japan. The frequency of dominant plant species can adapt in the spring and summer, that consist of Paspalum dilatatum (spring 69.32% and summer 78.98%), Paspalum notatum (spring 47.73% and summer 98.30%), Trifolium repens (spring 73.86% and summer 81.25%). The observed plant species also influenced some productivity, which consists of plant height (spring 16.64 cm and summer 21.55 cm), vegetation cover rates (spring 77.18% and summer 81.36%, chlorophyll content (spring 41.72 mg/g Fw and summer 36.28 mg/g Fw), diversity index (spring 0.94 and summer 0.80), evenness index (spring 0.93 and summer 0.67), and species numbers (spring 32.0 and summer 21.0). It is proposed that Paspalum dilatatum, Paspalum notatum, and Trifolium repens, can be used to increase productivity of plant species as cattle feeds.

  • PDF

여름철 휴경조건에서 잡초의 발생과 몇 가지 두과식물의 녹비로서의 이용성에 대한 비교 (Comparison of Weed Occurrence and Growth of Some Leguminous Plants for Green Manure Cover Crop During Summer Fallow)

  • 이광회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2권2호
    • /
    • pp.169-175
    • /
    • 2007
  • 본 실험은 강원도 영서지역에서 맥류 수확 후 가을채소 파종까지 휴경을 하게 될 경우의 여름 휴경지 관리방안으로 가을채소용 두과녹비작물의 도입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얻기 위하여 수행되었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1. 여름철 휴경을 할 경우 주요 잡초는 바랭이, 방동사니, 쇠비름 그리고 털비름 등 비두과 식물로, 자연적인 두과식물의 출현은 없었다. 2. 두과식물을 6월 중순 로타리 경운 후 파종할 경우 동부와 예팥은 출현율이 높았으나, 돌콩과 헤어리벳치는 출현율이 낮았으며, 동계일년생 두과녹비작물인 헤어리벳치는 하계잡초와의 경합에서 도태되는 경향이었다. 3. 만성형식물인 동부는 잡초의 생육을 가장 크게 억제하였으며, 만성 예팥이나 돌콩, 그리고 헤어리벳치보다 생육량이 많았다. 따라서 우리나라 기상조건에서 여름철 휴경을 할 경우 두과식물의 인위적인 파종이 필요하며, 동부는 여름철 휴경지의 녹비작물로서의 이용 가치가 높은 것으로 판단되었다.

유채 지방산조성 개량육종에 관한 연구 제15보 양질유ㆍ양박 유채 육성계통들의 춘파성 정도 분류 (Breeding for Inprovement of Fatty Acid Composition in Rapeseed, Brassica napus L. Ⅶ. Studies on Classification of Spring Nature Grade of Double Zero Rapeseed Varieties)

  • 이정일;권병선;김상갑;방진기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233-239
    • /
    • 1983
  • 종전에는 Brassica napus에서 성분이 개량되지 않은 유채의 일반 품종들의 Winter type만을 대상으로 춘파성 정도를 분류하고 추태로서 분류기준을 삼았으나 본 시험에서는 같은 B. napus인 Summer type까지를 포함하고 성분이 개량된 양질유ㆍ양박 품종을 공시하여 임실여부로서 분류기준을 삼는 새로운 분류를 시도하여 춘파성 정도를 조사하였던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현재 목포지장에서 보유하고 있는 양질유ㆍ양박 유채(Brassica napus) 품종 및 육성계통들은 8단계 group으로 춘파성 정도를 분류할 수 있었고 춘파성 정도 제Ⅶ group는 Summer type의 계통들이 이에 속하였으며 이들 계통은 Oro, Midas 등의 Summer type의 품종과 교배하여 선발된 계통들이었다. 2. 춘파 파종기에 따른 성숙기변화는 춘파시기가 늦을수록 성숙기는 지연되는 경향이었고 춘파성 정도가 높음에 따라 생육일수와 적산온도가 줄어드는 경향이었다. 3. 춘파성 정도와 내한성 관계는 춘파성 정도가 높을수록 내한성이 낮았으며 춘파성 정도와 초성간에는 춘파성이 높을수록 초성에서 I형에 가깝고 주경의 신장이 분지보다 빈약한 바 이들 모든 상호관계는 고도의 부상관으로 나타났다. 4. 월동에 안전한 추파재배용계통은 춘파성 정도가 낮은 0, I, II group로서 공시품종중 59 품종이 이에 속하였다.

  • PDF

Sentinel-2 위성영상을 이용한 하계 논벼와 동계작물 재배 필지 분류 및 정확도 평가 (Classification of Summer Paddy and Winter Cropping Fields Using Sentinel-2 Images)

  • 홍주표;장성주;박진석;신형진;송인홍
    •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
    • 제64권1호
    • /
    • pp.51-63
    • /
    • 2022
  • Up-to-date statistics of crop cultivation status is essential for farm land management planning and the advancement in remote sensing technology allows for rapid update of farming information.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classification model of rice paddy or winter crop fields based on NDWI, NDVI, and HSV indices using Sentinel-2 satellite images. The 18 locations in central Korea were selected as target areas and photographed once for each during summer and winter with a eBee drone to identify ground truth crop cultivation. The NDWI was used to classify summer paddy fields, while the NDVI and HSV were used and compared in identification of winter crop cultivation areas. The summer paddy field classification with the criteria of -0.195

경운 및 무경운 실험 농업생태계에서의 잡초개체군의 비교 (Comparison of Weed Populations in Conventional Till and No-till Experimental Agroecosystems)

  • Park, Tae Yoon;Eugene P. Odum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18권4호
    • /
    • pp.471-481
    • /
    • 1995
  • The weed population dynamics as affected by contrasting conventional tillege (CT) and no-tillage (NT) practices with a minimum herbicide application was studied in Athens, Georgia, U.S.A. Common chickweed (Stellaria media) was the most common spring weed while johnsongrass (Sorghum halepense), sicklepod (Cassia obtusifolia), and pigweed (Amaranthus retroflexus) accounted for 89∼97% of net production during summers of 1983 and 1984. Total weed production in summer of 1984 was 2∼5 times greater than that of 1983. Weed production was greater in NT plots than in CT plots in summer of 1983, but reverse was the case in summer of 1984. In spring, net production in NT plots was greater than that in CT plots, especially, in 1985. Species diversity was consistently higher in NT plots, but in the wet summer of 1984 the pattern was different, with higher diversity in CT plots. Weed species diversity was higher in the spring rye crop than in the summer grain sorghum crop. The larger but less diverse weed populations in summer of 1984 indicated that these populations experienced competitive exclusion. Under the favorable summer moisture conditions the three dominant species grew so vigorously and quickly as to exclude many less common species that were able to survive under the drier conditions in 1983. The three dominant species not only excluded other weeds in 1984 but also greatly reduced crop production. The perennial johnsongrass was equally successful, or even more so, in CT plots as in NT plots. Plowing did not kill johnsongrass rhizomes but tended to break them up, thus increasing the number of individual plants that appear after the plowing. It means that johnsongrass was not controlled by the plowing. In summer of 1983, a moderate amount of weedy growth was maintained with a minimum amount of gerbicide application in NT and CT plots. It is possible that a small mixed weed population would be beneficial by providing cover for predatory and parasitic arthropods, and by reducing soil temperature and moisture losses.

  • PDF

남부지역 논의 밀 이모작에서 하계 곡실작물 도입의 적합성 (Compatibility of Double Cropping of Winter Wheat - Summer Grain Crops in Paddy Field of Southern Korea)

  • 서종호;황정동;오성환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66권1호
    • /
    • pp.18-28
    • /
    • 2021
  • 남부지역 논에서 식량작물을 최대로 생산하기 위해 밀양시 국립식량과학원 시험포장에서 2015~2018년의 4년 동안 겨울밀-벼, 겨울밀-콩 및 겨울밀-곡실용옥수수의 이모작 체계의 생육기간 및 생산성을 비교하였다. 밀의 수확적기는 6월 중순으로 하작물은 6월 하순에 파종(이앙)이 가능하였다. 벼의 6월 하순 이앙 시 안전출수와 벼의 수량성 확보에는 지장이 없었지만 가을에 성숙기가 늦어 뒷그루 밀 파종에는 지장이 많았으며, 특히 중만생종 벼의 경우 수확기가 11월 상순으로 늦추어져 밀의 적기파종이 어려웠다. 콩은 6월 하순이 파종적기이므로 작기상 큰 문제가 없었으며 성숙기도 10월 중순으로 11월 상순의밀 파종에 큰 무리가 없었다. 곡실용옥수수는 6월 하순 파종 시 성숙기가 가장 빨라 밀과의 이모작에서 작기상 가장 유리하였다. 겨울밀-하작물 이모작에서 밀은 콩과 곡실용옥수수 후작에서는 안정적인 수량성을 얻을 수 있었지만 벼의 후작에서는 강우가 많은 해에는 수량이 감소할 위험성이 있었다. 벼, 콩, 곡실용옥수수의 수량성은 각각 600, 350, 800 kg/10a로 높은 수량성 확보가 가능하였고 중생종과 중만생종간의 수량성에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아 중생종이 만생종보다 이모작에 유리하였다. 토양 물리성에서도 콩과 옥수수 등 밭작물의 도입 시 물리성이 좋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남부지역 논에서 밀-콩/곡실용옥수수 이모작은 작기 연결성 및 토양개선, 소득성(콩)에서 밀-벼 이모작보다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