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ulfenic acid

검색결과 8건 처리시간 0.018초

Base-Catalyzed Rearrangement of Some 1,3-Oxathiolane Sulfoxides: Mechanistic Viewpoint of the Sigmatropic and Elimination Reactions

  • Hahn, Hoh-Gyu;Nam, Kee-Dal;Cheon, Seung-Hoon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25권9호
    • /
    • pp.1379-1384
    • /
    • 2004
  • Rearrangements of 1,3-oxathiolane sulfoxides 8 and 9 in the presence of base are described from a mechanistic viewpoint of sigmatropic and elimination reactions. In the presence of triethylamine the (Z)-sulfoxide 8 gave the corresponding thiolsulfinate 10 by way of dimerization of the sulfenic acid intermediate 2 at room temperature while the (E)-sulfoxide 9 was recovered even after refluxing in ethyl acetate by the reversal of the [2,3]-sigmatropic rearrangement of the sulfenic acid 4. Triethylamine promoted the developing charge separation in the transition state of the sigmatropic rearrangement of the (Z)-sulfoxide 8 to facilitate the ring opening to the sulfenic acid 2. The reason for more facile ring opening of the (Z)-sulfoxide 8 in comparison with the corresponding (E)-sulfoxide 9 is attributable to the differences in the reactivity of the hydrogen adjacent to the carbonyl group. Triethylamine was not strong base to deprotonate the carbonyl-activated methylene hydrogen of the (E)-sulfoxide 9 but enough to catalyze the sigmatropic process of the sulfoxides. The sulfenic acid 2 dimerized to the thiolsulfinate 10 while the sulfenic acid 4 proceeded the sigmatropic ring closure. In the presence of strong base such as potassium hydroxide, the elimination reaction was predominant over the sigmatropic rearrangement. In this reaction condition, both sulfoxides 8a and 9a gave a mixture of the disulfide 12, the isomeric disulfide 14, and the sulfinic acid 13. Under the strong alkaline condition an elimination of activated hydrogen from the carbon adjacent to the carbonyl group to furnish the sulfenic acid 2a and the isomeric sulfenic acid 18. The formation of the transient intermediate in the reaction was proven by isolation of the isomeric disulfide 14. The reactive entity was regarded as the sulfenic acid rather than sulfenate anion under these reaction conditions.

1,3-Oxathiolane-3-oxide로 부터 유도되는 술펜산 (Sulfenic Acid Derived from 1,3-Oxathiolane-3-oxide)

  • 이화석;박외숙
    • 대한화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197-202
    • /
    • 1987
  • cis 및 trans 2-methyl-N-phenyl-1,3-oxathiolane-2-acetamide (b) 및 (c)의 sigmatropic rearrangement에 의하여 생성되는 각각의 sulfenic acid (d) 및 (f)는 deuterium exchange reaction에 의하여 확인되었다. cis와 sulfoxide (b)와 (c)의 이성질화가 중성조건하에서는 일어나지 않으나, 산성촉매 존재하에서는 일어난다는 것이 발견되었다. 중성조건하에서 이성질화가 일어나지 않는 것은 sulfenic acid의 SOH 산소원자와 NH proton 사이의 수소결합이 관여하는 stereospecific recyclization에 기인하거나 기하학적 요구에 기인한다고 설명된다. 한편 cis sulfoxide (b)와 trans sulfoxide (c)의 혼합물을 주는 전구물질 1, 3-oxathiolane의 산화반응에서 benzene seleninic acid를 촉매로 하는 $H_2O_2$의 산화에 의하여 cis sulfoxide (b)가 높은 수율로 선택적으로 얻어졌다.

  • PDF

설피리독신과 알파-만노시다제 간의 단백질 결합 특성에 관한 고찰 (Characterization of the Interaction of Sulfiredoxin (Srx1) with a Vacoular Protein $\alpha$-Mannosidase (Ams1) in Saccharomyces cerevisiae)

  • 바란독카랜;김일한
    • 자연과학논문집
    • /
    • 제17권1호
    • /
    • pp.13-29
    • /
    • 2006
  • 산화-환원 활성 단백질중에 하나인 설피레독신과의 결합 단백질을 효모 Two-hybrid 기법을 이용하여 탐색한 결과, 알파-만노시다제가 설피레독신과 특이적으로 결합함을 밝혔다. 알파-만노시다제는 D-만노스 당을 비환원성 말단으로부터 유리시키는 가수분해 효소로서, 세포 원형질에 다량체 형태로 존재한다. 본 연구에서는 설피레독신과 알파-만노시다제간의 단백질결합을 설피레독신의 새로운 생리기능 관점에서 토의했다.

  • PDF

1,3-티아졸리딘술폭시드의 디히드로-1,4-티아진 유도체로의 전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arrangement of 1,3-Thiazolidine Sulfoxides to Dihydro-1,4-thiazines)

  • 이화석;한호규;마혜덕
    • 대한화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247-256
    • /
    • 1989
  • 4-아세틸-5,6-디히드로-2-메틸-1,4-티아진-3-카르복실산 유도체 24를 상응하는 티아졸리딘 술폭시드의 고리확대에 의하여 제조하였다. 2-메틸-1,3-티아졸라딘-2-아세트산 유도체 12를 산화하여 시스와 트랜스 술폭시드, 14 및 15를 얻었으며 이들의 구조는 수소핵자기 공명스펙트럼, 적외선 흡수스펙트럼, 그리고 중수소 치환반응에 의한 regioselectivity에 근거하여 결정하였다. 산촉매 존재하에서 시스와트랜스 술폭시드, 14 및 15는 중간체 술페닌산 18을 거쳐 디히드로-1,4-티아진 24로 전환되었다. 그러나 중성조건($100^{\circ}C$의 DMF)에서 트랜스 술폭시드 15는 중간체 술페닌산 21을 거쳐 isomeric 디히드로-1,4-티아진 27로 전환하였다. 화합물 24와 27의 생성반응기전도 논의하였다.

  • PDF

산화 스트레스에 의존한 식물 및 진핵세포 2-시스테인 퍼록시레독신의 기능 조절 (Oxidative Stress-dependent Structural and Functional Regulation of 2-cysteine Peroxiredoxins In Eukaryotes Including Plant Cells)

  • 장호희;김선영;이상열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33권1호
    • /
    • pp.1-9
    • /
    • 2006
  • 도처에 분포하는 peroxiredoxins (Prxs)은 세포 내 방어신호전달 과정에서 다양한 기능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Prxs는 크게 typical 2-Cys Prx, atypical 2-Cys Prx와 1-Cys Prx의 세 부류로 분류되는데, 이것들은 cysteine 잔기의 수와 촉매기전에 따라 구분된다. 세 종류의 단백질 중, N-말단에 peroxidatic cysteine 잔기를 포함하는 typical 2-Cys Prx는 $H_2O_2$ 분해과정 동안 과산화물-의존적인 sulfenic acid로의 산화와 thiol-의존적 환원과정이 순환되어 일어난다. Sulfenic acid는 고농도의 $H_2O_2$와 Trx, Trx reductase와 NADPH를 포함하는 촉매 요소의 존재하에 cysteine sulfenic acid로 과산화 될 수 있다 과산화된 2-Cys Prx는 ATP 의존성 효소인 sulfiredoxin의 작용에 의해 천천히 환원된다. 세포가 강력한 산화나 열 충격 스트레스에 노출되면, 2-Cys Prx는 LMW 단백질에서 HMW complex로 구조를 변화시켜 peroxidase에서 chaperone으로 기능의 전환을 일으킨다. 2-Cys Prx의 C-말단 부분 역시 이러한 구조적 전환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따라서, C-말단이 잘려진 단백질은 과산화가 되지 않고 단백질의 구조와 기능이 조절될 수 없다. 이러한 반응들은 활성 자리인 peroxidatic cysteine 잔기에 의해 일차적으로 유도되며, 그것은 세포에서 '$H_2O_2$ sensor' 로서 작용하다. 2-Cys Prx의 가역적인 구조와 기능 변화는 세포가 외부자극에 적응하는 수단으로 작용하며, 아마도 세포내 방어신호체계를 활성화 시키는 것으로 생각된다. 특히, chloroplast에 존재하는 식물 2-Cys Prx는 촉매반응 동안 주된 구조적인 변화를 나타내는 역동적인 단백질 구조를 가지고 있어서, 산화-환원 의존적으로 super-complex를 형성하고 가역적으로 thylakoid membrane에 부착한다.

Effect of Exposing Eggs of Uzi Fly, Exorista bombycis (Louis) (Diptera : Tachinidae) to Volatiles of Allium sativum L. (Liliaceae)

  • Narayanaswamy, K.C.;Dandin, S.B.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23-26
    • /
    • 1998
  • Exposure of freshly laid eggs of Exorista bombycis (Louis) to volatiles emanating from bulbs of Allium sativum L. for different durations resulted in signigicant reduction in their hatchability. Maggots hatched from the eggs exposured for 64 h and 72 h were failed to emerge from host larvae. The duration of development stages of E. bombycis was prolonged besides reduction in rate of pupation and adult emergence as the egg exposure period increased. The findings are interpreted as the chronic effects of volatiles of garlic affecting maggots following developmental defects sustainable during embryonic development. The known major chemical components of A. sativum such as allicin, thioacrolein, ajoune, 2-propene sulfenic acid, 2-propene thiol and propylene were presumed to be responsible for the adverse consequences reported in this paper.

  • PDF

Overview on Peroxiredoxin

  • Rhee, Sue Goo
    • Molecules and Cells
    • /
    • 제39권1호
    • /
    • pp.1-5
    • /
    • 2016
  • Peroxiredoxins (Prxs) are a very large and highly conserved family of peroxidases that reduce peroxides, with a conserved cysteine residue, designated the "peroxidatic" Cys ($C_P$) serving as the site of oxidation by peroxides (Hall et al., 2011; Rhee et al., 2012). Peroxides oxidize the $C_P$-SH to cysteine sulfenic acid ($C_P$-SOH), which then reacts with another cysteine residue, named the "resolving" Cys ($C_R$) to form a disulfide that is subsequently reduced by an appropriate electron donor to complete a catalytic cycle. This overview summarizes the status of studies on Prxs and relates the following 10 minireviews.

1,3-티아졸리딘 술폭시드의 입체구조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tereochemistry of 1,3-Thiazolidine)

  • 마혜덕;박신자;한호규
    • 대한화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119-130
    • /
    • 1993
  • 한 분자 내에 3개의 chiral 중심이 있는 1,3-티아졸리딘 술록시드 1의 입체화학을 중수소치환반응 및 trapping 반응을 통해 밝혔다. 3-아세틸-1,3-티아졸리딘 5의 부분이성질체를 분리한 다음 6과 8을 각각 술록시드로 산화시켜 상응하는 $\alpha$-시스 10, $\alpha$-트랜스 11과 $\beta$ -시스 12, $\beta$ -트랜스이성체 13을 얻었다. 술폭시드 10은 중성 조건하의 환류하는 벤젠 또는 톨루엔 용액 중에서 열역학적으로 보다 안정한 13으로 이성질화하였다. 중수소치환반응에 의해서 술폭시드 13과 술폭시드 11의 2-메틸기의 수소원자는 중수소로 치환되었다. 술폭시드 10과 12로부터 sigmatropic 전위에 의해서 생성된 중간체 슬페닌산 25 및 26은 2-머캡토벤조티아졸(2-MBT)에 의하여 trap되어 디술피드 27 및 28로 전환되었으나 동일한 반응조건하에서 술폭시드 11 및 13은 환팽창 생성물 디히드로-1,4-티아진 29로 전환되었다. 산촉매 존재하에서 술폭시드 10, 11, 12는 술폭시드 13을 통해서 디히드로-1,4-티아진 29로 정량적으로 전환되었다. 술폭시드들의 이성질화 및 29의 생성메카니즘도 기술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