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uitability Index

검색결과 270건 처리시간 0.03초

바다숲 조성해역의 물리적 환경을 고려한 최적 적지선정 (A Suitability Selection for Marine Afforestation with Physical Environments)

  • 오태건;김대권;김창길;이문옥;조재권
    • Journal of Advanced Marine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34권1호
    • /
    • pp.183-194
    • /
    • 2010
  • 바다숲을 조성하기 위하여 경사도, 퇴적물, 보상심도, 유속 및 파랑 등의 해양물리항목에 대하여 최적적지를 도출하였다. 지형자료 및 물리항목에 대한 공간분포도(GSDM, Gridded Spatial Distribution Map)를 작성하기 위하여 Kriging 보간법을 이용, 래스팅화하였다. 각 항목들은 적지에 부합되는 정도에 따라 적지지수를 부여하였으며, 최적지는 100, 적지후보지는 50, 나머지는 부적지로 처리하여 적지지수(SI, Suitability Index)를 근거로 최적적지를 도출하였다. 각 항목들에 대하여 중첩 분석한 결과 제 1적지는 적지지수 500으로써, 적지면적은 0.25ha였으며, 제 2 및 제 3적지는 400~450의 적지지수를 지닌 곳으로 적지면적은 각각 2.36ha, 1.8ha로 나타났다. 적지분석결과, 제 2 및 3적지에는 보상광량이 낮아도 광합성을 할 수 있는 해조품종과 더불어 사면마찰 안정성이 좋은 시설물을 투여한다면 최적지와 동일한 조성효과를 거둘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서식지 적합지수를 이용한 근소만 갯벌 바지락(Ruditapes philippinarum)의 어장적지평가 (Site Assessment Using Habitat Suitability Index for Manila Clam Ruditapes philippinarum in Geunso Bay Tidal Flats)

  • 최용현;홍석진;전승렬;조윤식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2권5호
    • /
    • pp.511-518
    • /
    • 2019
  • Evaluating the habitat suitability of potential aquaculture sites for cultured species is critical to the sustainable use of tidal flats. This study evaluated the habitat suitability index (HSI) of 12 sites in a tidal flat aquaculture farm at Geunso Bay, Taean, in June 2016. The parameters used to model the suitability index were Growth (water temperature, chlorophyll ${\alpha}$, hydrodynamics), Survival (sediment-sand, mean size, air exposure), and Environment (DO, salinity). The HSI was calculated using weighted and No weighted geometric means. The results showed high habitat suitability at the bay's entrance (HIS; No weighted, 0.60-0.70; weighted, 0.60). Hydrodynamics, air exposure, sediment-sand and mean size are thought to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habitat selection by Manila clams Ruditapes philippinarum. This study explored the optimum habitat for Manila clams by calculating the HSI, providing basic data for tidal flat management.

기본지표와 대안지표를 활용한 토지적성등급 비교분석 - 충청북도 증평군을 대상으로 (Comparative Analyses of Land Appropriateness Degrees Based on the Basic and Alternative Indicators : Focused on Forest Areas Surrounding Management Zones in Chungcheongbuk-Do Jeungpyeong Counties)

  • 이진항;김광주;이명범;이만형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83-93
    • /
    • 2013
  • 토지의 적성평가에 관한 지침에 따라 토지적성평가시 토지의 적성을 비교적 종합적으로 평가할 수 있으나, 기존지침의 평가지표 및 평가방법에 한계가 있다고 판단하였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기본지표가 지역의 다양한 특성을 제대로 반영하기에는 한계가 있기 때문에 지역 특성을 반영할 수 있는 평가지표 및 평가방법이 필요한다고 보고 있다. 이러한 토지적성평가의 한계를 타개하기 토지적성평가시 새로운 지표로평가지표를 대체하였을 때 변화되는 적성등급까지 분석하는 실증적 연구이다. 이 연구에서는 관리지역 경계부 임야지역이 합리적인 평가가 이루어지는가를 확인하고, 토지의 적성평가에 관한 지침에 따른 관리지역 경계부 임야지역의 합리적인 평가방법을 확인하였다. 토지적성평가에 지역특성을 반영하기 위한 대체지표를 추가 하거나, 좀 더 효과적인 대체지표가 어떤 것인지를 확인하기 보다는 토지의 적성평가에 관한 지침에 따라 토지적성평가를 수행하였을 때, 관리지역 경계부 임야지역의 합리적인 평가방법을 제시하였다.

서식지 평가 방법을 이용한 바다숲 조성 해역의 적지 선정 (A Suitability Selection for Marine Afforestation Using Habitat Evaluation Procedure)

  • 오태건;김이청;양용수;김창길;이문옥
    • Journal of Advanced Marine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34권6호
    • /
    • pp.894-905
    • /
    • 2010
  • 바다숲 조성 해역에 대상 해조류의 최적 적지를 도출하기위해 서식지 평가 방법을 이용하였다. 서식지 평가 방법은 HEP(Habitat Evaluation Procedure)를 이용하여 대상 해조류가 서식하기에 적합한지를 고려하여 수행하였다. 그 결과 바다숲 조성 해역에서 바다숲을 시설하기에 최적으로 예측되는 곳을 계량적으로 선정할 수 있었으며, 적지 선정에는 수심의 변화에 따른 인자인 광조건과 파랑의 변화 여부가 적지의 공간적 변동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선정된 적지의 총 면적은 18ha로 분석되었으며, 서식 적합 지수(Habitat Suitability Index, HSI)에 의해 분석된 서식지의 질을 계량화한 결과 0.55~0.907(최고치는 1.0) 사이의 범위를 보였고, 선정된 적지가 등 수심선 방향을 따라 분포하고 있기 때문에 바다숲 조성지에 기반 시설인 해중림초를 투하할 때, 수심에 수평 방향의 띠 형태로 시설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할 것으로 판단된다.

우크라이나 밀 재배 면적 및 수량의 공간적 변이 평가를 위한 기후적합도 모델의 활용 (Application of a Climate Suitability Model to Assess Spatial Variability in Acreage and Yield of Wheat in Ukraine)

  • 오진영;현신우;현승민;김광수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75-88
    • /
    • 2024
  • 우리나라는 수요 곡물의 대부분을 수입으로 의존하기 때문에 주요 곡물 수출 국가의 재배 면적과 생산량 예측을 통해 식량안보를 증진시킬 수 있다. 특히, 밀 주요 수출국인 우크라이나를 대상으로 재배지역의 변화 전망을 파악하는 것이 장기적인 밀 수급에 대한 미래 정책 결정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작물의 기후적합도를 예측하는 Fuzzy Union 모델을 사용하여 과거 기후조건(1970~2000)에서 우크라이나 지역의 밀의 기후적합도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우크라이나 통계청으로부터 밀 생산량과 재배면적 통계자료를 수집하였다. 또한, 위성영상을 활용하여 작물의 재배면적과 수량에 대한 공간자료인 EarthStat 자료를 수집하였다. 모델로 계산된 기후적합도와 밀 관측지점과 비교하여 임계값을 설정하였다. EarthStat 자료와 실제 관측자료를 비교한 결과 일정 지역에서 재배면적과 수량이 일치하지 않는 지역들이 존재하였다. 과거 기후 조건에서 산출된 기후적합도의 경우에도 지역적인 차이를 보였다. 예를 들어, 우크라이나의 서북부 지역에서 0.8 이상의 높은 기후적합도의 분포를 보였으나 동남부 지역에서는 0.15 수준의 낮은 기후적합도를 보였다. 그러나, 기후적합도의 행정구역별 통계량과 실제 밀 재배면적과 생산량을 비교한 결과 일정 수준의 상관관계를 가졌다. 특히, 단위면적당 생산량과 기후적합도의 상관계수는 0.647로 중위 정상관을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는 기후적합도를 활용하여 재배면적 추정 및 단위면적당 수량 예측이 가능함을 시사하였다.

외부공간 설계에 있어 "프라이버시" 개념의 응용 및 측정"모델"의 개발에 관한 연구 (Privacy ; Concept and Estimation Model in Outdoor Space Design)

  • 엄붕훈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95-109
    • /
    • 1995
  • All human spatial behavior and psychological stress are affected by the 'Privacy'of each space. This Paper deals with the theoretical review of 'privacy'concept and establishment of 'Privacy Model' that can be a useful design tool. 'Privacy Index(Pl)' model of 10 point scale, which is based on 'Hierarchic system of Privacy' in urban spaces by Chermeyeff and Alexander(1963), was established as a hypothetical model in this study. And'Activity Suitability', based on each hierarchy of primacy level, was investigated at each site to construct the validity of 'Privacy Model'. Total 67 sites were investigated by on.-site questionnaire in 3 types of outdoor spaces, (Park), (Campus), and (Garden) respectively. The major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P7rivacy level of earth spaces, distributed from to in and . and (Groun Private> spaces are dominant In , spaces are dondnant 2, Privacy level, based on , showed higher privacy level than that of . This means the criteria of each privacy level should be modified for more specific space. The . could be derived from the (Activity Suitability) of each space. 3.The cognition of privacy level. by user group,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dach group by sex, age, education, and job, respectively.

  • PDF

화포천 습지보호지역 토지 매수 우선순위 산정 - 깃대종 서식지 적합성 지수를 고려하여 - (Prioritizing Land Purchase in Hwapocheon Wetland Protection Area - Based on Habitat Suitability Index for Flagship Species -)

  • 심윤진;홍진표;이길상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59-71
    • /
    • 2019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ioritize land purchase in Hwapocheon wetland protection area by reflecting the conservation value of wetlands considering HSI(Habitat Suitability Index) for flagship species.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flagship species, Oriental White Stork and Been Goose, which can represent the Hwapocheon wetland protection area, were selected through selection criteria and expert feedback. Based on the habitat requirements of the selected flagship species, SI(Suitability Index) for the flagship species was reviewed and the conservation value of wetlands was assessed. The conservation value of the wetlands was divided into five grades from very high to very low. The areas with high conservation value were mainly distributed around wetlands and waters in upstream and downstream of Hwapocheon wetland protection area. The land purchase priorities were divided into five grades by overlapping the thematic maps of the conservation value of wetlands, the economics, and the urgency of restoration. The arable lands which can disrupt wetland ecosystems are analyzed as priority areas where priority purchasing is required. Relatively well-preserved wetlands and areas have low land purchase prioritie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biodiversity is considered in land purchase priorities.

여우(Vulpes vulpes)의 서식지 적합성 지수(HSI) 모델 개발 (Development of a Habitat Suitability Index for Vulpes vulpes)

  • 어여경;이상돈
    • 환경영향평가
    • /
    • 제31권4호
    • /
    • pp.265-270
    • /
    • 2022
  • 여우 복원 사업이 시행됨에 따라 자연에 방사된 여우의 개체수가 증가하고 있어 앞으로는 여우 개체들이 다른 지역으로 분산되어 인간 생활 지역에서도 출몰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에 따른 영향을 예측하고 대비하고자 여우의 서식지 적합성 지수(HSI)를 개발하였다. 문헌 조사를 통하여 주요 환경 변수를 추출한 뒤, GIS를 이용해 분석한 결과, 총 5가지의 적합 지수(Suitability Index, SI)를 구축하였다. 임상과 경사, 향, 수계 및 도로로부터의 거리가 주요 변수이며, 임상도에 2배의 가중치를 주어 산술 평균한 값이 HSI 결과이다. 전국자연환경조사 자료와 비교한 결과, 여우 좌표들이 평균 0.64의 HSI의 값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나며, 0.53 이상일 때에 출현 확률이 높은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 결과를 활용하여 여우의 분포를 사전에 예측하여 앞으로의 복원 계획의 기초 자료로 사용하거나 추후 환경영향평가 시 분포 파악 및 저감 방안 마련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공릉천에서의 어류와 저서무척추 동물에 대한 복합 서식처 적합도 지수의 계산 (Computation of composite suitability index for fish and macroinvertebrate species in the Gongneung River)

  • 김승기;최성욱
    •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 /
    • 제4권2호
    • /
    • pp.105-114
    • /
    • 2017
  • 본 연구는 공릉천에서 서식하는 어류와 저서무척추 동물을 대상으로 물리서식처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대상 어류는 밀어와 피라미, 저서무척추 동물 종은 깔따구류와 줄날도래종을 선정하였다. 어류와 저서무척추 동물의 서식처 적합도 지수는 2010년 수생태계 건강성조사 및 평가사업을 통하여 구축된 생태모니터링 자료를 사용하였다. 복합서식처 적합도 지수의 계산은 가중치법을 이용하였으며, 저서무척추 동물의 경우 계층화분석법을 이용하여 산정된 가중치를 적용하였다. 흐름모의는 2차원 흐름모형인 River2D 모형을 사용하였다. 모의 대상하천의 갈수량, 저수량, 평수량, 풍수량에 대하여 어류와 저서무척추 동물의 복합서식처지수의 분포를 모의하였다. 모의결과 깔따구류와 줄날도래는 각각 소와 여울의 서식처를 선호하였으며, 피라미와 밀어는 여울의 서식처를 선호하는 것으로 모의되었다.

한강 및 금강수계 하천에서 어류의 물리서식처 적합도지수 비교 (Comparision of Physical Habitat Suitability Index for Fishes in the Rivers of Han and Geum River Watersheds)

  • 강형식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2권1B호
    • /
    • pp.71-78
    • /
    • 2012
  • 서식처적합도는 어류의 서식처 분포 및 그 크기를 결정하는데 있어 매우 중요한 인자이다. 또한 어류 서식에 필요한 생태유량 산정에서도 핵심 인자로 작용된다. 따라서 서식처 해석을 위해서는 정확한 서식처적합도지수를 반영할 필요가 있다. 일반적으로 어류 서식처는 수심과 유속과 같은 물리적 조건 뿐만 아니라 영양염 및 부착조류 등의 생화학적 조건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각 수계 및 지천별로 이러한 서식처 조건이 변화할 것으로 예상된다. 본 연구에서는 한강과 금강수계에서 지난 2007-2010년 간의 현장 모니터링 데이터를 이용하여 서식처적합도지수를 산정하고, 피라미, 참갈겨니, 쉬리에 대한 지수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피라미는 두 수계에서 서로 유사한 분포를 갖지만, 참결겨니와 쉬리의 경우 두 수계에서 매우 다른 분포 형태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피라미에 대하여 한강 지천인 청미천, 달천, 홍천강에서의 적합도지수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청미천에서의 적합도지수가 다른 두 지천과 매우 다른 분포를 갖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이는 청미천이 다른 지천에 비해 영양염의 유입이 더 크기 때문인 것으로 예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