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ugar ester

검색결과 54건 처리시간 0.022초

Structure-Activity Relationship of Triterpenoids Isolated from Mitragyna stipulosa on Cytotoxicity

  • Tapondjou, Leon Azefack;Lontsi, David;Sondengam, Beiham Luc;Choudhary, Muhammad Iqbal;Park, Hee-Juhn;Choi, Jong-Won;Lee, Kyung-Tae
    •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 /
    • 제25권3호
    • /
    • pp.270-274
    • /
    • 2002
  • Chromatographic separation of the stem bark extract of Mitragyna stipulosa afforded triterpene derivatives ursolic acid (1), quinovic acid (2), quinivic acid $3-O-{\beta}-D-glucopyranoside$ (3, quinovin glycoside C), quinovic acid 3-O-[$(2-O-sulfo)-{\beta}-D-quinovopyranoside$] (4, zygophyloside D) and quinovic acid $3-O-{\beta}-D-quinovopyranosyl-27-O-{\beta}-D-glucopyranosyl$ ester (5, zygophyloside B). These five compounds were subjected to the cytotoxicity on MTT assay system. Compound 1 among tested showed the most potent cytotoxicity. Quinovic acid showed less potent cytotoxicity than ursolic acid and sugar linkages to 2 decreased the cytotoxicity. Compound 4 more potent than 3 with indicate that the sulfonyl group significantly enhances the activity. This indicates that the glycosidic linkage in ursane-type triterpenoids has mainly negative effect on cytotoxicity unlike in oleanane-type glycosides.

폭쇄법을 이용한 목질계 바이오매스의 종합적 이용 (III) - 소나무와 신갈나무 폭쇄재로부터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의 제조 - (Total Utilization of Woody Biomass by Steam Explosion (III) - The Preparation of Acetate from Pine and Oak Exploded Wood -)

  • 이종윤;장준복;양재경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23권2호
    • /
    • pp.26-31
    • /
    • 1995
  • Acetylcellulose(AC) was prepared with steam exploded wood(EXW) and EXW after delignification with sodium chlorite, pine (Pinus densiflora) and oak (Quercus mongolica) woods. The color of acetylated pine and oak exploded wood was brown, degree of substitution(D.S) of pine was 1.47~2.09, and this of oak was 1.49~2.29. The hemicellulose content of acetylated pine and oak exploded wood was 0~3.4% and 1.49~11.3%, individually. The degree of substitution of acetylated wood prepared from delignified EXW in the pine and oak wood was 0.50~0.71 and 0.70~0.88, individually. Hemicellulose content of acetylated EXW with sodium chlorite after delignification in the pine and oak wood was less than 1% and 0.6~2.5%. The color of acetylated wood after delignification was white. IR-spectra of acetylated pine and oak EXW after delignification were found that peaks at around 1740$cm^{-1}$ and 1200$cm^{-1}$ increase markedly, due to ester carbonyl group.

  • PDF

황색종 잎담배의 엽면지질 성분 조성 및 건조중 변화 (Composition of Leaf Surface Lipid in Flue-cured Tobacco and Their Changes during Flue-curing)

  • 지상운;김도연;이문용;김영희;신승구
    • 한국연초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57-63
    • /
    • 1997
  • The composition of leaf surface lipid in Flue-cured tobacco and their changes during curing was investigated. The flue-cured variety, Nicotiana tabacum cv. NC 82 was cultivated at Eumsung experiment station in 1996. The samples of riced leaves with different stalk Position(Lugs, Cutter, Leaf and Tips) and different curing stage at half yellowing(24hr), yellowing(48 hr) , color axing(72 hr), midrib drying(96 hr) and cured(120 hr) were collected for analysis of leaf surface lipid. $\alpha$ - and $\beta$ - 4, 8, 13-Duvatriene-1, 3-diol($\alpha$, $\beta$-DVT) were major components in leaf surface lipid extracted with methylene chloride and sugar ester was detected slightly DVT content was increased with ascending stalk position, but increasing trend of total hydrocarbon was not observed. While DVT was decreased throughout curing of tobacco leaves, hydrocarbon content did not show significant change during curing process. Twenty-two duvane compounds were detected by capillary GC in duvane fraction isolated from leaf surface lipid and of which 11 compounds were identified by GC-MS. These compounds were decreased with curing in all stalk position.

  • PDF

Physicochemical and Microbial Properties of the Korean Traditional Rice Wine, Makgeolli, Supplemented with Banana during Fermentation

  • Kim, Eunkyung;Chang, Yoon Hyuk;Ko, Jae Youn;Jeong, Yoonhwa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18권3호
    • /
    • pp.203-209
    • /
    • 2013
  • The objectiv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valuate the physicochemical and microbial properties of the Korean traditional rice wine Makgeolli, supplemented with banana during 6 day fermentation. The alcohol contents of the control and banana Makgeolli were 17.0 and 16.5%, respectively. The pH values decreased while total acidity, total soluble solids, and color values increased throughout the fermentation process. An increase in microorganism counts throughout the 6-day fermentation period was noted in all samples. The major free sugar and organic acid detected in all samples were glucose and succinic acid, respectively. There were 39 volatile compounds detected in the control and banana Makgeolli. The major ester detected was ethyl acetate (20.037 and 22.604% for the control and banana Makgeolli, respectively). The major alcohol compounds detected were 3-methylbutanol (20.933%) and 3-methyl-1-butanol (34.325%) in the control. 2-mtehyl-1-propanol (22.289%) and 3-methyl-1-butanol (39.851%) were the highest alcohol compounds detected in the banana Makgeolli.

포도주에 관한 연구 (제2보) - 포도주 양조방법 및 숙성촉진에 대하여 (Studies on the Grape Wines (part II) - On the browing methods and the aging)

  • 박찬조;김성열;오만진
    • 농업과학연구
    • /
    • 제2권2호
    • /
    • pp.451-462
    • /
    • 1975
  • Steuben. Muscat Baily. A, Merlot, Campbell Early 및 Alden으로 포도주를 시양(試釀)하여 품질을 비교하고 Muscat Baily A를 원료로 몇가지 담금법을 검토하였으며 또한 포도주의 인공적 숙성법을 검토하기 위하여 후발효가 끝난 포도주에 가열처리와 초음파 처리를 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품종별 포도주 성분에 있어서 Extract는 Steuben이 2.55%, Alden이 1.88%, 색도(O.D)는 Merlot가 3.5, Alden이 1.05였으며 다른 성분에 있어서는 품종간에 별 차이가 인정되지 않았다. 한편 관능검사 결과에 의하면 Steuden과 Muscat Baily A가 가장 양호 하였고 다음으로는 Merlot, Campbell Early, Alden의 순이었다. 2. 포도주 파쇄물료를 $55^{\circ}C$에서 20분간 처리 함으로서 잡균 번식 억제에 있어서 $SO_2$100ppm 첨가구와 같은 효과가 인정 되었으며 가열처리구의 색도는 $SO_2$ 첨가구에 비하여 훨씬 진하였으나 약간의 혼탁이 있었다. 3. 보당(補糖)재료로서 물엿은 부적당 하였으며 주발효가 끝난 포도주에 소정량의 주정을 첨가하여 후발효 시키면 주질은 대조구에 비슷하였다. 4. Campbell Early로 발효시킨 포도주를 $50^{\circ}C$에서 50분간 처리한 결과 총 Ester는 0.45%에서 0.6%로, 색도(O.D)는 2.8에서 3.17로 증가 하였다. 5. Muscat Baily A로 발효시킨 포도주를 $40^{\circ}C$에서 50분간 처리한 결과 총 Ester는 0.37%에서 0.65%로, 색도(O.D)는 3.7에서 4.20으로 증가 하였다. 6. Muscat Baily A를 발효시킨 포도주를 초음파(15watt, 20kc)로 10시간 처리한 결과 총 Ester가 0.3%에서 0.47%로 증가하였다.

  • PDF

해산 극피동물 중의 당단백질의 특성과 이용 I. 해삼 당단백질 및 황산콘드로이친의 화학조성과 특성 (Chemical Compositions of Glycoprotein and Chondroitin Sulfates from Sea Cucumber(Stichopus japonicus))

  • 류홍수;문정혜;서재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72-80
    • /
    • 1997
  • 식용 및 약용으로 이용한 역사가 오래인데도 불구하고 구성성분의 조성에 대하여 충분한 연구가 되어 있지 않은 해삼에서 당단백질과 황산콘드로이친을 추출정량하여 이들의 화학적 조성과 구조적 특성을 GC. MS및 IR로 검토하였다. 동결건조 해삼분말의 화학적인 조성은 sulfate esters함량이 0.90~l.21%, 다당류 함량이 23.08~26.97%였고 이를 구성하고 있는 구성단당류는 fucose의 함량이 30%이상을 차지하는 것을 비롯하여 glucose, N-acetylglucosamine, mannuronic acid, ribose의 5종이 거의 88%이상을 차지하고 있었고 그외 mannose, galactose, N-acetylgalactosaminne, D-glucuronic acid도 소량 검출되었다. 추출당단백질의 sulfate esters의 함량은 0.96~l.13%, 다당류의 함량은 58.7%~62.7%로 나타나고 주요 구성당은 fucose가 30%내외로 가장 많았으며 mannose, glucose와 ribose가 86%이상을 차지하며 galactose, N-acetylgalactosamine, D-glucuronic acid, N-acetylglucosamine도 소량 함유하고 있었다. 동결건조 해삼분말에서 추출한 황산콘드이친의 황산기의 함량은 3.52~3.72%이었다. 이들의 구성성분은 fucose, N-acetylgalactosamine 및 D-glucuronic acid 이며 IR spectrum에서 1240$cm^{-1}$ /의 S=0신축진동과 850$cm^{-1}$ /나 820$cm^{-1}$ /의 C-O-S 신축진동이 나타나 fucose의 $C_4$의 결합위치를 나타내고 있었다.

  • PDF

효모종류를 달리한 탁주 술덧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the Mashes of Takju Prepared Using Different Yeasts)

  • 이흥숙;박창숙;최진영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2권1호
    • /
    • pp.56-62
    • /
    • 2010
  • 탁주의 품질을 좌우하는 여러 요인 중 효모의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S. coreanus, S. ellipsoideus, S. carlsbergensis, S. cerevisiae, S. rouxii 각각의 효모를 달리 사용하여 주모를 담금 하여 술덧을 제조하였고 발효 과정 중 효모의 특성이 탁주 술덧의 품질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에탄올 함량은 발효 12일에 S. cerevisiae구와 S. ellipsoideus구에서 각각 13.4, 12.4%로 시험구중 가장 높았다. 미량 알코올의 총량은 nd-0.831 mg/mL 범위로서, 시험구 중에는 S. cerevisiae구가 0.729-0.831 mg/mL 범위로 가장 높았고, 미량 알코올 성분 중 isoamyl alcohol 함량은 발효 12일에 함량 0.123-0.264 mg/mL로 최대치를 보였다. pH는 담금일에 3.41-4.25였으나 발효 2일 후 2.40-2.70으로 크게 저하되었다. 발효 과정 중 시험구 간의 pH 차이는 크게 없었지만 총산 함량에서는 S. rouxii구가 발효 12일에 1.15%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유기산 총량에서도 S. rouxii구가 0.10-1.98%로 가장 높았으며 lactic acid, succinic acid, acetic acid가 탁주 유기산의 주성분으로 나타났다. 총당 함량은 S. coreanus구가 담금일과 발효 12일에 각각 20.16, 5.50%로 가장 높았고 환원당 함량은 발효 12일에 S. rouxii구와 S. coreanus구가 각각 4.52, 4.30%로 가장 높았다. 유리당 총량에서는 S. ellipsoideus구가 담금일에 5.29%로 시험구 중 유리당 함량이 가장 높았던 반면 발효 12일차에는 0.35%로 시험구 중 함량이 가장 낮았는데, 이는 S. ellipsoideus구의 에탄올 함량의 경향과 일치하는 결과였으며, glucose, fructose가 탁주 유리당의 주성분으로 나타났다. 탁주의 품질을 좌우하고 탁주의 보존성이나 향미에 영향을 주는 가장 중요한 성분인 에탄올 함량은 S. cerevisiae구가 가장 높았고, 알코올 등과 결합하여 ester와 같은 향미 형성 등에 이용되어 탁주의 맛, 냄새와 직접 관련되는 성분인 총산과 유기산 총 함량은 S. rouxii구에서 높게 나타났다. 탁주 중의 당분은 에탄올 생성과 감미도에 관여하는 성분으로 중요시되는데, 시험구 중 S. coreanus구와 S. rouxii구가 총당 및 환원당의 함량이 높아 감미가 다소 강한 탁주로 추측된다. 본 실험 결과 효모 종류를 달리하여 제조한 탁주 술덧의 품질 특성이 서로 분명하게 차이를 보임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탁주 발효 시 효모의 단독 사용보다 각각의 효모를 병용하여 발효에 이용한다면 각각의 효모 특색이 상승 작용하여 저장성 향상 및 풍미 증진이라는 탁주의 전반적인 품질 개선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각각의 효모를 조합하여 탁주 술덧을 발효시키고 이에 대한 품질특성을 분석하는 연구에 대한 진행이 앞으로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홍국 쌀 첨가량을 달리하여 제조한 약주의 이화학적 및 관능적 특성 변화 (Changes in Physicochem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Rice Wine, Yakju Prepared with Different Amount of Red Yeast Rice)

  • 김철암;김은수;은종방;왕승진;왕명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309-314
    • /
    • 2007
  • 멥쌀에 홍국 쌀을 각각 0, 10, 20, 30, 40% 첨가하여 제조한 약주의 이화학적 특성 및 관능적 특성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홍국 쌀 첨가량의 증가에 따라 pH는 감소되었고 총산의 함량은 증가된 것으로 나타났다. 총당의 함량은 홍국 쌀 첨가량의 증가에 따라 증가하였고 알코올 함량은 감소하였다. 색도 중 L값은 홍국 쌀 첨가량의 증가에 따라 감소되었으나 a와 b값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향기성분은 esters, aldehydes, alcohols, acids로 분류되었고 과일향의 주성분인 esters의 함량은 10% 홍국 쌀을 첨가한 시험구에서 제일 많이 생산된 것으로 나타났다. 관능검사 결과 전체적 기호도에서 10% 홍국 쌀을 첨가하여 제조한 약주가 제일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화학적 특성이나 관능적 특성으로 보아 10% 홍국 쌀을 첨가하는 약주를 제조하는 것이 적합하다고 생각된다.

동결농축 참외와인의 품질 특성과 휘발성 향기 성분 (Quality Characteristics and Volatile Flavor Compounds of Oriental Melon Wine Using Freeze Concentration)

  • 황희영;황인욱;정신교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4권9호
    • /
    • pp.1347-1355
    • /
    • 2015
  • 본 연구는 참외 착즙액을 동결농축 하여 열수 처리 및 아스코르브산 처리 후 갈변 억제에 의한 이화학적인 품질 특성과 휘발성 향기 성분을 분석하였다. 동결농축 공정에 의한 참외 와인은 발효 과정에서 열수 처리가 아스코르브산 처리에 비해 가용성 고형분 함량 및 환원당 감소가 빠르며, 알코올 생성 또한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갈변도와 색차 측정 결과 갈변 억제 효과가 열수/아스코르브산 병용 처리구> 아스코르브산 처리구> 열수 처리구> 대조구 순이었으며, 아스코르브산 처리 참외와인은 숙성 후에도 갈변 억제 효과가 유지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리당은 fructose만 검출되었으며, 유기산은 citric acid, malic acid, succinic acid 모두 아스코르브산 처리구에서 함량이 많게 나타났다(P<0.05). 항산화능은 DPPH 라디칼 소거 활성, FRAP 활성이 아스코르브산 처리구에서 높았으며, 총 페놀성 화합물의 함량은 아스코르브산 처리구에서 가장 높았고,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대조구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SPME head-space 법에 의한 비동결농축 및 동결농축 참외와인의 휘발성 향기 성분 분석 결과 총 33종의 향기 성분이 동정되었으며, ester 류가 10종으로 가장 많이 검출되었다. 동결농축 참외와인에서는 총 29종의 향기 성분이 동정되었으며, 비동결농축 참외와인에서는 총 23종이 동정된 것으로 나타났다. 과일 향을 나타내는 ethyl formate, ethyl butyrate, butyl alcohol 등의 향기 성분이 비동결농축 참외와인에서 검출되지 않은 것으로 보아 동결농축 참외와인은 비동결농축 참외와인에 비해 과일 특유의 향과 같은 다양한 향기 성분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열수 처리 및 아스코르브산 병용 처리는 동결농축 참외와인의 갈변 억제에 효과적이며, 항산화 활성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농도 Galactose로부터 에탄올을 생산하는 Saccharomyces cerevisiae 균주의 육성 (Development of Ethanol Producing Saccharomyces cerevisiae Strain Using High Concentration Galactose)

  • 김주혜;윤민호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4권1호
    • /
    • pp.41-46
    • /
    • 2011
  • 에탄올을 생성하는 고농도 galactose 발효 효모 Saccharomyces cerevisiae No. 9를 선발하여 비교균주인 S. cerevisiae NRRL Y-1528과 함께 glucose, mannose, galactose에서 순치배양하고, 이어서 이들 3개의 탄소원을 기질로 사용하여 발효 효율을 평가하였다. 모균주인 No. 9의 에탄올 생산은 초기 12시간에는 천천히 상승하다가 18시간 후에 가장 높은 수준에 도달하였으며, 그 수율은 $[EtOH]_{max}/Sugar]_{ini}(g/g)$을 퍼센트로 환산하였을 때 glucose, galactose, mannose의 3개 기질에서 비교용 균주 NRRL Y-1528와 비슷한 36~38%로 수준이었고 실험한 3 균주 모두 galactose 발효에 있어서 탄소원의 종류에 따라 순치배양 조건이 에탄올 수율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전통적인 EMS 처리에 의하여 모균주인 galactose 발효성 효모 S. cerevisiae No. 9로부터 에탄올 발효력이 향상된 변이주 Mut-5 (SJ1-40), -17 (LK4-25) 및 -24 (LK2-48) 3개주를 선발하였다. 기질인 10, 15, 20% galactose를 이용한 에탄올 발효능을 실험 하였을때 모균주 No. 9 및 변이주에서도 galactose의 농도를 증가시킬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Galactose 20% 농도에서 변이주는 모균주보다 에탄올 발효율이 39.9~51.6% 높았으나, 비교용 균주 S. cerevisiae NRRL Y-1528의 에탄올 발효력에는 미치지 못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