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ugar/Acid Ratio

검색결과 281건 처리시간 0.026초

Milk Yield and Its Fat Content as Affected by Dietary Factors: A-Rewiew

  • Sawal, R.K.;Kurar, C.K.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1권3호
    • /
    • pp.217-233
    • /
    • 1998
  • Milk yield and its composition is governed by level of nutrition and the composition of diet. Higher concentrate input improves milk yield, whereas its input at moderate levels improves yield of milk fat. High level of dietary protein improves dry matter intake and milk production, however, CP content above 14% has less advantage. Milk yield is enhanced by the feeding of cottonseed and soyabean meal, whereas milk fat increases by the supplementation of cottonseed. Dietary fat increases energy intake, production of milk and milk fat. Quality and quantity of feeds consumed affect fermentation patterns in rumen. Among the rumen metabolites, volatile fatty acids (VFA) content and propionate proportion have been related positively with milk yield, whereas proportion of acetate and butyrate have been related positively with milk fat content. Dietary carbohydrates through the source of sugar, starch, roughage and fibre affect VFA concentration in rumen. Therefore, concentration of volatile fatty acids could be altered to the advantage of consumer through judicious manipulation of diet.

The Effect of Mixed Cultivation Using Companion Plants on the Growth and Quality of Cherry Tomatoes

  • Lee, Byoung-Kwon;Yun, Hyung Kwon;Hong, In-Kyoung;Jung, Young-Bin;Lee, Sang-Mi
    • 인간식물환경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311-327
    • /
    • 2021
  • Background and objective: Recent urban agriculture meets the needs of urban residents that safety and avoids using chemical pesticid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various factors of companion planting affecting the growth of cherry tomatoes, which will promoting urban agriculture by improving socioeconomic satisfaction with gardening activities through quality. Methods: Four types of companion plants such as marigold, zinnia, spearmint and basil, that have a companion effect with growth, sugar content, and vitamin C content. We obtained th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and tested the significance at a 95% confidence level (p < .05) with Duncan's multiple range test after one way ANOVA and MANOVA. Results: Compared to monoculture of cherry tomatoes, the plant growth in the treatment plots with companion planting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overall(p < .05), but there wasn't interaction effect among companion plants, planting ratio and type. As for the absorption of inorganic components, the companion planting showed better absorption than monoculture of cherry tomatoes, as favorable growth, and there was an interaction effect among the individual factors. The sugar content was higher than the standard sugar content of 5.8 brix in both the treatment plots at the control, and vitamin C content was higher than the control at 26.27mg/100g in all treatment plots, but there wasn't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The soil pH in the cultivation plot ranges from 5.5 to 9.0 and was weakly alkaline in all treatment plots except zinnia, showing low contents of phosphoric acid, exchageable potassium, calcium and magnesium. Conclusion: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various factors such as the growth of cherry tomatoes, contents of inorganic components, sugar content and vitamin C content of fruits, and soil analysis according to companion plants, planting type, and planting ratio. We will study sugar content by measuring the change in growth every phase of fruits.

인삼엽 단백질의 추출 및 영양가 (Protein Concentrate from Ginseng Leaf and its Nutritive Value)

  • 김지화;이무성;남창우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441-445
    • /
    • 1989
  • 인삼엽 단백질의 식량화를 위하여 엽단백질 농축물(LPC)을 조제하여 그 아미노산 조성과 인공소화율을 검토하였다. 인삼엽을 $-20^{\circ}C$ 냉아세톤으로 처리하고 0.2% NaOH(0.5% SDS, 0.5% 2-ME 함유)로 단백질을 추출하며 인삼 LPC를 얻었다. 인삼 LPC의 일반성분으로는 지방과 회분이 1% 미만이었고 단백질은 75% 내외로 많았으며 총 당은 약 5% 이었다. 총 사포닌 함량은 약 1.2%이고 panaxadiol과 panaxatriol의 비는 1.67이었다. 아미노산 조성은 aspartic acid의 함량이 약 13.4%로 가장 많았으며 methionine의 함량은 매우 낮았다. 필수아미노산토 고루 들어 있었고 총 아미노산에 대한 필수아미노산은 54.5%이였고 E/T ratio는 3.02이었다. LPC의 제 1제한아미노산은 함황아미노산이고, 그 amino acid score는 43.1이었다. Pepsin및 trypsin을 사용한 인삼 LPC의 소화율은 비교단백질인 milk casein에 비하며 낮았다.

  • PDF

박피 토란(Colocasia antiquorum SCHOTT)의 침지 보관액에 따른 저장효과 비교 (Comparison of Shelf-life on Peeled Taro(Colocasia antiquorum SCHOTT) Stored in Various Immersion Liquids)

  • 정승원;정진웅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154-160
    • /
    • 2002
  • 박피 토란의 저장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전해산화수, 유자과즙을 첨가한 전해산화수 및 명반수를 사용하여 제조한 침지저장액에 따른 저장 효과를 살펴본 결과, 토란 수분함량은 80.05%에서 저장 25일째 수분의 흡수로 인해 82.12~84.24%로 다소 증가하였으나 처리구간의 차이는 거의 없었다. 색도는 전반적으로 L값은 감소하였으며 a, b값이 증가되는 현상을 보여주었으며, 조직감은 모든 처리구에서 초기 4,520$\pm$75 g에서 점차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그 감소 폭이 유자과즙첨가구가 가장 적은 것으로 나타나 저장 25일째 4,160$\pm$80 g의 수준을 보였다. 총 vitamin C함량은 0.5%유자과즙 첨가 구에서 25일째 6.99 mg%로 약 57%의 보존율을 보여 가장 손실이 적었다. 총당은 대부분의 처리구에서 저장 15일째까지 급격히 하강하다가 저장 15일 이후에는 감소속도가 완만한 것을 볼 수 있었으며, 저장 중의 유리당의 함량은 저장기간에 따른 증감의 큰 변화 폭은 관찰할 수 없었다. 단지 sucrose 함량은 저장 중반기인 10일 전후에 일부 감소하다가 다시 증가하여 저장 25일째에는 처리구에 관계없이 저장 초기 값의 1.5~2배 수준에 도달하였으며, fructose, glucose, maltose는 저장기간별 처리구간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박피 토란의 주 아미노산은 aspartic acid와glutamic acid로 각각 1,084.8 mg/100g. 691.8 mg/100g으로 나타났으며, 전해산화수에 침지하여 저장한 경우 aspartic acid 함량이 초기보다 13.9% 수준 증가하였다. 한편, 필수아미노산총량은 유자과즙 첨가구에 저장한 경우가 총당 감소율 측면에서 가장 유리한 것으로 나타났다.

제주산 궁천조생의 특성과 젤리화 식품의 제조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Citrus miyakawa wase Produced in Cheju, and Citrus Jam-making)

  • 고정삼;고남권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139-146
    • /
    • 1995
  • Soluble solids and total carbohydrates of Citrus miyakawa wase harvested middle of November 1993 Topyung-Dong, Seogwipo-si, and Cheju were 10.7 and 8.57%, and carbohydrate was consisted of about 1/2 sucrose, 1/4 glucose and 1/4 fructose, respectively. Acid content of citrus Juice was 1.04%, and citric acid was 74.27% of total organic acids. Fruit weight, peel thickness, soluble solids, pH, hardness and edible part ratio had a good correlation in linear function with increasing fruit size. Total carbohydrate, reducing sugar and vitamin C of citrus jam made on optimum conditions were 65.33%, 27.98%, and 51.40mg/100g , respectively. Microbial growth on the products were not recognized at 3$0^{\circ}C$ for a month. Compared with other related citrus jellying products, the test sample was excellent in appear ance, taste and total preference degree on sensory evaluation.

  • PDF

메주의 발효기간에 따른 재래식 고추장 숙성 중 품질 특성의 변화 (Changes in Quality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Kochujang Prepared with a Meju of Different Fermentation Period during Aging)

  • 오훈일;박종면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9권6호
    • /
    • pp.1166-1174
    • /
    • 1997
  • 본 연구에서는 고추장의 품질향상과 전통 고추장과 유사한 관능적 요인을 갖는 고추장을 제조하기 위해 고추장으로 유명한 전라북도 순창지방의 고추장을 모델로 설정하여 순창 현지의 미생물, 기후 등의 자연환경을 반영한 메주를 0, 20, 40, 60일 발효시켜 고추장을 제조하여 발효기간을 달리한 메주가 고추장 숙성 중 품질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40일 발효 메주 고추장의 경우 숙성 90일 경과 후 총유기산의 함량이 다른 시험구에 비해 $1.14{\sim}2.54$배 높은 함량인 584.23 mg%를 나타났으며, 특히 lactic acid, succinic acid, citric acid의 함량이 다른 시험구에 비해 높았고, 바람직하지 못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pyroglutamic acid의 함량은 적었다. 고추장 숙성기간 중 유리당은 fructose, glucose, sucrose, maltose가 검출되었으며 숙성이 진행되면서 이당류인 maltose와 sucrose는 감소하여 검출되지 않았으나 glucose와 fructose는 전체 유리당에 $82.27{\sim}100%$를 차지하는 것을 볼 때 고추장의 주요한 유리당으로 생각된다. 유리아미노산은 Asp를 포함한 17종이 검출되었으며 이 중 Glu의 경우 0, 20일 발효 메주 고추장과 40, 60일 발효 메주 고추장간에 큰 함량차이를 보여 Glu가 고추장에 있어 구수한 맛의 주체 일 것으로 사료된다. 관능검사결과 고추장 품질에 바람직한 특성으로 생각되는 단맛, 구수한 맛, 알코올냄새 등은 숙성기간이 증가하면서 모두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바람직하지 못한 특성인 쓴맛은 감소하였고 매운맛과 퀘퀘한 냄새는 불규칙한 증감현상을 보였다. 분산분석 실시 결과 고추장 숙성 30일부터 시료간의 유의성을 인정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맛보다는 냄새의 유의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기호도 측면에서 볼 때 모든 시험구에서 숙성이 진행됨에 따라 냄새, 맛 모두 좋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40일 발효 메주를 이용한 고추장의 경우 숙성 30일부터는 다른 고추장에 비해 냄새, 맛 모두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농경잔류물로부터 헤미셀룰로오스 가수분해물 생산을 위한 산촉매 열수 분별공정의 특성 비교 (Comparison of Characteristics of Acid-catalyzed Hydrothermal Fractionation for Production of Hemicellulose Hydrolyzate from Agricultural Residues)

  • 황종서;오경근;유경선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60권3호
    • /
    • pp.414-422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대표적인 농경잔류물인, 볏짚과 보릿짚을 이용하여 헤미셀룰로오스 부분의 최대 가용화를 위한 산 촉매 열수 분별공정의 타당성을 조사한 것이다. 1.2-2.9 범위의 반응가혹도(CS; Combined reaction severity)에서 다양한 분별 조건들을 사용하여 초기 반응조건 기준을 설정했다. 볏짚의 경우, 160 ℃의 반응온도, 0.75%(w/v)의 H2SO4, 20분의 반응시간, 그리고 1:15의 고체/액체 비율을 가진 반응 조건에서 56.6%의 헤미셀룰로스 당 수율을 얻을 수 있었으며, 보릿짚의 경우, 150 ℃ 반응온도, 0.75%(w/v) H2SO4, 15분의 반응시간, 1:10의 고체/액체 비율에서 83.0%의 헤미셀룰로스 당 수율을 얻었다. 따라서, 볏짚과 비교하여 보릿짚의 경우 산촉매 열수분획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었다. 분별과정 후 남은 분획된 고형분은 볏짚과 보릿짚에서 각각 48.5%와 57.5%였다. 분별된 볏짚과 보릿짚의 XMG(Xylan+Mannan+Galactan) 함량은 17.3% 및 17.6%에서 6.0% 및 2.6%로 각각 감소하였으며, 이는 원료 짚 기준으로 각각 16.7% 및 8.5%에 해당한다. 또한, 보리 짚의 산촉매 열수분별 과정에서 과도한 분해로 인해 셀룰로오스 및 XMG의 5.6% 및 8.5%만 손실된 반면, 볏짚의 셀룰로오스 및 XMG 손실은 6.4% 및 26.6%이었다. 볏짚의 헤미셀룰로스 당은 산 촉매 열수 분별공정중, 다소 높은 반응가혹도로 인해 심하게 과분해된 것에 기인한다.

전통누룩으로 빚은 발효주의 품질 평가 (Quality Assessment of Yakju Brewed with Conventional Nuruk)

  • 이미경;이성우;윤태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78-89
    • /
    • 1994
  • To evaluate of quality of Yakju brewed with different types of fermenters(Nuruk) and brewed by a method described in Sallymkyungjae, blucoamylase and protease and protease activities of Nuruk were measured, and proximate composition , coloring degree, acetaldehyde , alcohol , , fusel oils , amino acid content , mineral content and sugar composition of Yakju samples were also determined. It was foung that the lower the pH, the lower the glucoamylase acitvity in Nuruk samples A to E . In A, B, D and H, protease activity washigher at ph 5.5 than at pH 5.0 . Yakju sampels 1 to 5 during fermentation , total acidity and amino acid content were high at the first step and were getting lower gradually at the second step. In Yakju samples 6 to 11 , ethanol content was high in 6b, 7b, 8a, 8b and 11b. At the second step, residual sugar content was getting higher gradually in 7 a, 11 a and 11b. The coloring degree of Yakju wasinfluenced by not only color of Nuruk but also Fe content in Yakju . Of the Yakju examined , only 9a and 9b contained acetaldehyde in trace amounts. Thanol content was the highest in 8a and 8b. Fusel oil content was high in 8a and 8b. In samples 6 to 9 , aspartic acid content was higher in treatment a than treatment a than treatment b, but tyrosine , histidine and proline contents were higher in treatment a than treatment b. The levels of frucose, melibiose, sorbitol, and arabinose in Yakju brewed from unsteamed rice were higher than in Yakju brewed from steamed rice. K content was the lowest in 9a and 9b. Na content was higher in treatment a than in treatment a than in treatment b. In only 6a, Ca/P ratio was more than one.

  • PDF

더덕 부위별 세포벽 물질의 페놀성화합물과 항산화 활성 (Phenolic Compounds and Antioxidant Activity in Cell Wall Materials from Deodeok (Codonopsis lanceolata))

  • 강윤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1권3호
    • /
    • pp.345-349
    • /
    • 2009
  • 더덕의 육질과 껍질의 부위별 세포벽 물질(CWM)로부터 uronic acid, 총 당, 비섬유성 중성당, 페놀성 화합물 함량 및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였다. 더덕의 육질과 껍질의 uronic acid와 중성당의 비는 4, 6이었다. 총 당 함량은 육질과 껍질에서 각각 788.6, 824.9 ${mu}g/g$ CWM이었다. 주요 비섬유성 중성당은 galactose와 arabinose였다. 더덕 CWM으로부터 분석된 주요 페놀성 화합물은 vanillic acid, p-OH-benzaldehyde, vanillin, ferulic acid 및 8-O-4' diferulic acid 였다. 이들 중 p-OH-benzaldehyde, vanillin, 8-O-4' diferulic acid는 더덕에서 처음으로 동정된 것으로 인삼의 세포벽 페놀성 화합물 조성과 유사하였다. 더덕의 껍질 AIR에 함유된 8-O-4' diferulic acid의 함량은 56.1 ${mu}g/g$ CWM이었다. 더덕의 CWM로부터 얻은 ethanol 분획, ethanol 분획의 ethanol-NaOH 분획, ethanol 분획 후 잔사로부터 얻은 AIR 분획의 항산화 활성의 크기는 ethanol-NaOH 분획이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AIR 분획, ethanol 분획의 순으로 나타났다.

Physicochemical Characters of Ultra Violet Ray Resistant Deinococcus sp. Isolated from Air Dust

  • Nalae, Yun;Lee, In-Jeong;Lee, Young-Nam
    • 미생물학회지
    • /
    • 제30권6호
    • /
    • pp.483-487
    • /
    • 1992
  • Among a few number of UV-resistant isolated form various environmental sources (10), we made a comparative physio-chemoanalytical study on one of spherical bacteria isolated from air dust, presumably Deinococcus sp. (CM strain 29) with an UV resistant bacterium, Deinococcus radiophilus ATCC 27603 as the reference strain. Our isolate of UV resistant coccus, Deinococcus sp. CM 29 and D. radiophilus ATCC 27603 showed more than 75% matching coefficient in metabolic activity of various substrates. The most predominant cellular fatty acid of both strains was palmitoleic acid (C 16 :1, cis 9), but the detail fatty acid profiles were slightly dissimilar to each other. Cell-bound arange pigment seemed to be an identical chemicals on spectrophotometric analysis. L-ornithine was detected as cell-wall amino acid in both strains. Galactose was detected as cell-wall sugar in D. radiophilus ATCC 27603, whereas glucose in Deinococcus sp. CM 29. G-C molar ratio of both strains was comparable, 63-65%.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