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ugar/Acid Ratio

검색결과 281건 처리시간 0.028초

갈락토스-글루코스 혼합당 수소 발효 (Hydrogen Fermentation of the Galactose-Glucose Mixture)

  • 천효창;김상현
    • 한국수소및신에너지학회논문집
    • /
    • 제23권4호
    • /
    • pp.397-403
    • /
    • 2012
  • Galactose, an isomer of glucose with an opposite hydroxyl group at the 4-carbon, is a major fermentable sugar in various promising feedstock for hydrogen production including red algal biomass. In this study, hydrogen production characteristics of galactose-glucose mixture were investigated using batch fermentation experiments with heat-treated digester sludge as inoclua. Galactose showed a hydogen yield compatible with glucose. However, more complicated metabolic steps for galactose utilization caused a slower hydrogen production rate. The existence of glucose aggravated the hydrogen production rate, which would result from the regulation of galactose-utilizing enzymes by glucose. Hydrogen produciton rate at galactose to glucose ratio of 8:2 or 6:4 was 67% of the production rate for galactose and 33% for glucose, which could need approximately 1.5 and 3 times longer hydraulic retention time than galacgtose only condition and glucose only condition, respectively, in continuous fermentation. Hydrogen production rate, Hydrogen yield, and organic acid production at galactose to glucose ratio of 8:2 or 6:4 were 0.14 mL H2/mL/hr, 0.78 mol $H_2$/mol sugar, and 11.89 g COD/L, respectively. Galactose-rich biomass could be usable for hydogen fermenation, however, the fermentation time should be allowed enough.

시설내의 탄산가스 시용이 딸기의 생육 및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arbon Dioxide Application on the Plant Growth and Productivity of Strawberry in Greenhouse)

  • 이정은;김현도;이규빈;강점순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31권11호
    • /
    • pp.951-958
    • /
    • 2022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optimum level of carbon dioxide to maximize the quality and yields of strawberries cultivated in a greenhouse. Specifically, two strawberry cultivars, namely, 'Seolhyang' and 'Maehyang', were subjected to varying concentrations of carbon dioxide and patterns linked to their productivity were noted. Both cultivars showed improvements across various physical variables (i.e., leaf area, crown diameter, plant height, fresh weight, and dry weight) when carbon dioxide concentrations were at 1,500 ppm. The optimum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for increased fruit yields and quality was 1,000 ppm. When carbon dioxide was at 1,000 ppm the yields of 'Seolhyang' and 'Maehyang' increased by 1.99 and 1.78 times, respectively, compared to control plants. The influence of carbon dioxide on fruit color was negligible. However, the carbon dioxide increased the sugar content and sugar-acid ratio of the experimental fruits compared to control plants. Specifically, the sugar-acid ratio, which is directly related to taste, was at its highest when the concentration of carbon dioxide was at 1,000 ppm (i.e., for both 'Seolhyang' and 'Maehyang'). Overall, the application of carbon dioxide culminated in improved yields and fruit quality for both cultivars of interest.

고화방지제의 첨가가 참다래 동결건조분말의 물리화학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nticaking Agents on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Freeze-dried Kiwifruit Powders)

  • 오현정;임자훈;이주연;오영주;임상빈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178-188
    • /
    • 2014
  • 제주에서 육성된 참다래(한라골드)의 식품 소재화를 위한 방안으로 과육에 고화방지제를 첨가한 분말형 시제품을 제조하였다. 즉, 참다래 과육 페이스트 100%(대조구), 참다래 과육 페이스트 95%+polydextrose 5%, 참다래 과육 페이스트 95%+dextrin 5% 등 3개 시료를 제조한 다음, 동결건조 후 분말화한 각 시제품에 대하여 품질특성을 조사하였다. 참다래 분말 수율은 고화방지제 첨가구가 대조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다. 수분함량, 산도, 총페놀 함량은 고화방지제 첨가구가 대조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았다. 비타민C 함량은 고화방지제 첨가구가 대조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은 반면, 고화방지제 첨가구 간에는 차이가 없었다. 유리당(fructose, glucose, total sugar) 및 유기산(oxalic acid, lactic acid, total organic acid)의 함량은 고화방지제 첨가구간에 차이가 없었다. 전반적으로 색도는 모든 시험군에서 높은 L값과 낮은 a값을 나타내었으며, 고화방지제 종류에 따른 갈변도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과육 분말의 용해도(59.57~64.84%)및 팽윤력은 시료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나, 시간에 따른 흡습성은 고화방지제 첨가구가 대조구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낮음을 보였다. 위의 결과로부터 고화방지제 첨가(5% 수준) 과육 분말은 무첨가 과육분말에 비하여 비타민C의 유지율이 높고, 수분함량이 낮고, 시간에 따른 흡습성이 낮아 우수한 분말 품질 특성을 보였다.

대추 추출물이 첨가된 흑도라지 사과주스의 품질 특성 및 항산화 활성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black Doraji-apple juice mixed with jujube extracts)

  • 김자민;문용선;윤경영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99-205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기능성이 우수한 도라지를 이용하여 흑도라지를 제조하였으며, 흑도라지 추출물, 사과즙, 대추추출물의 혼합비율을 달리하여 흑도라지 사과주스를 제조하고 각각의 품질특성과 기능성을 분석하였다. 흑도라지 사과주스의 pH는 3.90~4.15이었으며, 산도는 1.2에서 1.5 사이를 나타내었다. 당도를 측정한 결과 흑도라지 사과주스 E가 가장 높은 값(9.33 $^{\circ}Brix$)을 나타내었으며, 환원당 함량의 경우 흑도라지 사과주스 E가 85.05 mg/mL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고, 흑도라지 사과주스 B가 41.23 mg/mL로 가장 낮은 함량을 보였다. 당산비 수치의 경우 당도와 환원당 함량이 가장 높은 흑도라지 사과주스 E가 6.98%로 가장 높은 수치를 보였다. 색도는 명도와 황색도는 흑도라지 사과주스 E가 가장 높았으며 적색도는 흑도라지 사과주스 C가 가장 높았다. 관능적 특성을 측정한 결과 향미를 제외한 모든 항목에서 흑도라지 사과주스 C가 가장 우수하게 나타났다. 총 폴리페놀 함량은 흑도라지 사과주스 D가 가장 높은 폴리페놀 함량(706 ${\mu}g/mL$)과 항산화 활성을 보였으나 흑도라지 사과주스 C와 항산화 활성에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따라서 흑도라지 사과주스 C가 관능적 특성 및 항산화 활성이 우수하여, 흑도라지 사과주스 제조를 위해 흑도라지 추출물, 사과주스, 대추추출물을 2:4:1의 비율로 혼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 할 것으로 판단된다.

제주산 온주밀감의 CA저장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controlled atmosphere storage of Unshiu orange)

  • 윤창훈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4권1호
    • /
    • pp.14-20
    • /
    • 1991
  • 제주산 온주밀감의 CA저장에 대한 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일정한 환경가스조성(0,10%, $CO_2$ 2%), 온도 $2{\pm}0.5^{\circ}C$ 및 습도 $86{\pm}3%$의 조건에서 저장중의 과일의 성상 및 성분의 변화를 대조구와 비교 조사하였다. 대조구는 가스대신에 공기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면 동일한 조건이었다. 111일 저장후 공기구의 부패율은 12.7%이었는데 비해, CA구에서는 3.9%로 매우 낮은 부패율을 나타냈으며, 과일의 외관도 양호했다. 중량 감소는 공기구에서 16.4%, CA구에서 17.4%로 양자사이에 큰 차이는 없었고, 과육율은 공기구에서는 저장후 62일까지는 거의 변화가 없었지만, 그후 급격히 감소했다. CA구에서는 공기구보다 다소 낮은 과육율을 나타냈으나 저장말기에 약간 증가했다. 저장기간중 과육의 당도변화는 공기구 및 CA구에서 각각 저장후 23일 및 36일에 최고치에 달한후 감소하였고, 유리산함량은 저장기일이 경과함에 따라서 공기구 및 CA구 모두에서 서서히 감소하였다. 저장기간중의 당조성의 변화를 조사한 결과 자당, 과당 및 포도당 중에서 자당의 함량이 월등하게 높았으며 이들 당류의 총량의 변화는 공기구쪽이 CA구보다 다소 높은 수치를 나타했다. 유기산 조성은 구연산이 주된 산이었으며 저장기간이 경과와 함께 감소하였고, 사과산 및 수산 함량의 변화도 구연산과 유사한 경향을 나타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온주밀감의 저온CA저장은 저온공기저장에 비교하여 과육의 당함량이 다소 낮고, 산함량이 다소 높기는 하지만, 부패율의 억제에 효과적이며 과일 외관도 양호하므로 온주밀감의 저장방법으로써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된다.

  • PDF

제주좁쌀약주의 품질개선을 위한 선발균주에 의한 양조특성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of Jeju Foxtail Millet-wine by Isolated Alcoholic Yeast and Saccharifying Mold)

  • 김지용;고정삼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7권1호
    • /
    • pp.85-91
    • /
    • 2004
  • 제주민속주인 좁쌀약주의 제조를 위하여 전국에서 수집된 35종의 누룩으로부터 분리하여 선발한 균주를 사용하여 균주와 원료 배합비율에 따른 누룩을 제조한 후 양조과정에서의 발효특성을 검토하였다. 좁쌀주의 유기산은 lactic acid와 acetic acid가 대부분이었고, 이외에 citric acid, oxalic acid, tartaric acid, malic acid, fumaric acid도 일부 검출되었다. 유리당은 glucose와 arabinose, maltose가 많은 함량을 나타내었고, 이외에 xylose도 일부에서 검출되었다. 향기성분은 iso-amyl alcohol, iso-butyl alcohol, n-propyl alcohol 등이 주를 이루고 있었으며, 이외에 ethylacetate, acetaldehyde가 검출되었다. iso-buthyl alcohol과 n-propyl alcohol 대조구인 국순당 누룩이 다른 처리구보다 높게 나타났고, iso-amyl alcohol은 펠릿 형태로 제조한 누룩 처리구가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하여 우수균주로 분리하여 제조한 누룩을 사용하여 좁쌀약주를 양조하는 경우, 품질을 유지하면서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었다.

흑미 첨가 막걸리의 항산화 및 발효 특성 (Antioxidant Activity and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Black Rice Wine)

  • 김옥선;박성순;성정민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1권12호
    • /
    • pp.1693-1700
    • /
    • 2012
  • 본 연구는 흑미를 첨가하여 막걸리를 제조하여 항산화 및 발효특성을 살펴보았다. 항산화 활성은 대조구에 비해 흑미 첨가구가 높았으며 특히 DPPH 라디칼 소거능은 안토시아닌 함량과 비례하였다. 발효 3일째, pH는 급격히 감소하였으며 대조구에 비해 흑미 첨가구가 낮았다. 환원당과 유리당은 1일째 급격히 증가하였다가 그 이후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는데 이는 발효 초기에 당화 효소 활성으로 쌀의 전분이 glucose와 maltose 등으로 분해되기 때문이다. 모든 유기산은 발효 동안 증가하였으며 lactic acid가 가장 높은 증가율을 나타내었다. 발효 동안 흑미 첨가 막걸리의 lactic acid와 succinic acid는 대조구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발효 초기 젖산균수가 증가하여 3일째 최대에 달하였으며 이는 lactic acid가 급증한 시기와 일치하였다. 또한 흑미 첨가량이 많을수록 젖산균수가 높았다. 색도는 흑미의 붉은색의 영향으로 대조구에 비해 흑미 첨가구의 a값이 높았다. 관능검사 결과 외관은 흑미 첨가구가 높은 점수를 받았으나 전체적으로 단맛과 신맛의 영향을 받아 대조구와 20% 첨가구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흑미를 첨가할수록 항산화 성분은 증가하나 관능평가 결과로 보았을 때 흑미는 20% 수준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나타났다.

중년 남성의 혈중지질농도 및 지방산조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Influence of Cardiovascular Risk Factors on Serum Lipid Levels and Fatty Acids Composition in Middle-aged Men)

  • 이인열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31권3호
    • /
    • pp.315-323
    • /
    • 1998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serum lipid levels and fatty acid composition in middle-aged men and the influence of cardiovscular risk factors on them. Data for dietary intake, anthropometry , blood pressure, and general environmental factors were obtained and their relationship to serum lipid levels and fatty acid composition were analyzed in 303 healthy male subjects with a mean age of 43.8$\pm$6.4 years from June 1 to 22 , 1995. The prevalence of obesity was 26.7% by BMI and 11.2% by WHR criteria . The percentage of hypertensive subjects were 13.5% and 22.4% by systolic and diastolic blood pressure, respectively. Retinol, calcium , and roboflavin intakes were lower than the RDA for Koreans. The ratio of carbohydrate intake to total calories of the subjects was 70%. Ratios of P/M and n-6/n-3 were 1.02/1.05/1.00 and 11.1/1, respectively. The percentage of subjects who had serum TG, TC, LDL-C leves beyond the normal range were 19.5% , 13.5% and 8.6% respectively. Palmitic comprised 26.4% of serum total fatty acids, linoleic acid 19.4% and oleic acid 16.4. The waist circumference and ration of carbohydrate intake were related positively to TG level. Serum cholesterol level had positive relations with waist circumference, DBP, sugar intake, and income. There were positive relationships between SFA and bone fishes and vegetable oil intakes, MUFA and DBP while a negative a negative relationship was observed between PUFA and animal fat intake. Serum n-6 fatty acid was related negatively to carbohydrate intake and hot taste preference. N-3 fatty acid was related positively to fish intake and negatively to egg intake. These results suggest that to maintain adequate serum lipid levels and fatty acid composition, sugar, animal fat, and carbohydrate intakes have to be reduced, while consumption of vegetable oil and fish must be increased. It is also essential to control abdominal fat accumulation and blood pressure.

  • PDF

우엉김치 재료배합비의 표준화 (Standardization of Ingredient Ratios of Wooung (Burdock, Arctium lappa, L) Kimchi)

  • 박건영;최미정;한지숙;이숙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618-624
    • /
    • 1998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standardize ingredient ratios of wooung kimchi. The ingredient ratios of model wooung kimchiwere determined by the survey in Pusan and Kyungnam province and using the literatures including cooking books. Several kinds of wooung kimchi were prepared by adjusting the ingredient ratios fo the model wooung kimchi within standard deviation. The wooung kimchi with different ingredient ratios were fermented for 6 days at 15$^{\circ}C$. The chemical, microbial and sensory properties of the wooung kimchi were investigated. There was little change in pH but the counts of lactic acid bacteria were decreased, as the ratio of pickled anchovy juice became high. The wooung kimchi adding 9.4% pickled anchovy juice obtained high score in appearance and overall acceptability. The counts of lactic acid bacteria were increased in wooung kimchi adding 5% red pepper powder, and there was obtained better result in appearance, texture and overall acceptability than the other groups. The activity, reducing sugar and counts of lactic acid bacteria were increased, as the ratio of glutinous rice paste became high. The wooung kimchi including 6% glutinous rice paste showed the highest score in overall acceptability. The fermentation process of wooung kimchi accelerated, as the ratio of garlic became high. The wooung kimchi adding 3% garlic showed good appearance and acceptability. In addition to these, the addition of 1.3% ginger ehhanced the appearance, texture and overall acceptability fermented anchovy juice, 5.0% red pepper powder, 6.0% glutinous rice paste, 3.0% crushed garlic and 1.3% crushed ginger.

  • PDF

국내산 감자 품종별 영양 성분 비교 (Nutrient Composition of Domestic Potato Cultivars)

  • 권오윤;김현주;오상희;이정희;김형진;윤원기;김환묵;박천수;김미리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6권6호
    • /
    • pp.740-746
    • /
    • 2006
  • The proximates, vitamin C, minerals, and fatty acids of five potato cultivars were evaluated by AOAC methods, the hydrazine method, ICP-AES, and gas chromatography, respectively. The proximate analyses; vitamin C, reducing sugar, and soluble solid contents; and mineral and fatty acid composition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five cultivars. The Superior cultivar contained a higher carbohydrate content and higher Ca/P ratio and lower levels of crude protein and Na. The Atlantic cultivar contained significantly higher amount of energy, carbohydrate, reducing sugar, vitamin C, SEA, and MUFA, and significantly lower amount of minerals and PUFA. The Shepody cultivar contained significantly higher amount of carbohydrate and MUFA, and significantly lower amount of soluble solid, vitamin C, and SFA. In addition, the P, Fe, Mg, Cu, and Al level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Shepody, and Zn content was significantly lower. The Jopung cultivar contained significantly higher levels of moisture and Na, and significantly lower levels of soluble content, reducing sugar, carbohydrate, crude protein, and fat. Finally, the Namsuh cultivar contained significantly higher amount of soluble solid, crude protein, K, Mg, and Al, and significantly lower amount of reducing sugar.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