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udangrass Hybrid

검색결과 112건 처리시간 0.027초

중북부지역에서 수수×수단그라스 교잡종의 생산성과 기후요인과의 상관분석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Productivity of Forage Sorghum × Sudangrass Hybrids [Sorghum bicolor (L.) Moench] and Climatic Factors in Central Northern Region of South Korea)

  • 이배훈;박형수;정종성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41권1호
    • /
    • pp.41-46
    • /
    • 2021
  • 본 연구는 중북부지역에서 수수×수단그라스 교잡종의 생산량과 기후요인간에 상관관계를 확인하기 위하여 2017년부터 2019년까지 3년간 실시하였다. 시험장소는 강원도(평창)와 경기도(안성, 화성)로 SX-17(출수형)과 Revolution(BMR) 품종을 이용하였다. 파종시기는 5월 상순에서 중순이며, 수확시기는 출수기로 8월이었다. 수수×수단그라스 교잡종의 평균 초장은 강원도가 경기도보다 유의적으로 작았으며(p<0.05), 평균 건물생산량은 경기도가 강원도보다 유의적으로 많았다(p<0.05). 수수×수단그라스 교잡종의 특성상 파종부터 수확까지 기간 동안 강원도에 비해 유효적산온도가 크고 일조시간이 많은 경기도에서 초장과 건물생산량이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 수수×수단그라스 교잡종의 건물생산량과 기후특성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을 때 월별 온도와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특히 파종시기인 5월(0.67)과 생육초기인 6월(0.76)에서 가장 강한 양의 상관관계(p<0.01)를 나타내고 유효적산온도에서 5~6월에서 각각 0.82와 0.63으로 높게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초기생육에서 온도가 미치는 영향이 중요하다고 판단된다. 최고온도의 경우 5월(0.33)과 6월(0.40)에 양의 상관관계(p<0.05)로 열대성 사료작물인 수수×수단그라스 교잡종이 생육기간에 최고온도가 성장에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여 나타난 결과이다. 강수일수는 건물생산량과 음의 상관을 가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p<0.05).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수수×수단그라스 교잡종의 건물생산량은 평균온도가 낮은 강원도지역보다 경기도 지역에서 많았다. 또한, 기후요건 중 강수일수, 파종에서 수확까지 평균온도, 5~6월 최고온도 및 적산온도와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수수×수단그라스 교잡종의 건물생산량은 평균온도와 적산온도에 영향을 가장 크게 받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으나 강우에 대한 영향은 분명하게 확인할 수 없었다. 향후 기후요소가 수수×수단그라스 교잡종의 생육과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을 정확하게 분석하기 위해서는 강우에 관한 추가적인 연구가 수행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파종량과 재식양식이 수수-수단그라스계 잡종의 생육특성 , 건물수량 및 사료가치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lant Density and Planting Pattern on the Growth Chracteristics , Dry matter Yield and Feeding Value of Sorghum -Sudangrass Hybrid)

  • 전병태;이상무;신동은;문상호;김운식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49-58
    • /
    • 1992
  • 본 실험은 재식밀도와 재식양식이 Sorghum-Sudangrass hybrid(sordan 79)의 생육특성, 건물수량, 조단백질수량, 기호성 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1. 재식밀도가 높아짐에 따라 초장, 엽장, 엽폭(P<0.05), 엽수는 대체적으로 감소하였고, 같은 재식밀도에 있어서는 직사각형구에서 증가하였다.2. 1차 예취시 엽비솔은 밀식구중 직사각형구(30kg/ha, 25cm$\times$4cm)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나 2차 예취시에는 중식구중 정사각형구(15kg/ha, 14cm $\times$14cm)에서 높게 나타났다.3. 고사솔은 재식밀도가 증가될수록 높아졌으며 또한 같은 재식밀도라도 정사각형구가 높았다. 4. 분벽수는 재식밀도가 높아질수록 감소 되었고 같은 재식밀도에서는 직사각형구에서 증가되는 경향이었다. 5. 생초수량과 건물수량은 공히 중식구중 직사각형구(1.5kg/ha, 33cm$\times$6cm)가 가장 높았으며 소식구에서 가장 낮았다. 6. 조단백질 량은 재식밀도가 높아짐에 따라 높은경향을 나타냈으며(P<0.05) 조단백질수량도 재식밀도가 높아질수록 수되었다.7. 경의 굵기는 재식밀도가 높아짐에 따라 가늘어졌고 NDF, ADF함량은 뚜렷한 경향이 없었다. 1차 예취시에 있어서 기호성은 밀식구>중식구>소식구순이었으나 2차 예취시에는 밀식구>소식구>중식구순이었다.식구순이었다.

  • PDF

파종량과 재식양식이 수수-수단그라스계 잡종의 생육특성 , 건물수량 및 사료가치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lant Density and Planting Pattern on the Growth Chracteristics , Dry matter Yield and Feeding Value of Sorghum -Sudangrass Hybrid)

  • 전병태;이상무;신동은;문상호;김운식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19.2-19.2
    • /
    • 1992
  • 본 실험은 재식밀도와 재식양식이 Sorghum-Sudangrass hybrid(sordan 79)의 생육특성, 건물수량, 조단백질수량, 기호성 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1. 재식밀도가 높아짐에 따라 초장, 엽장, 엽폭(P<0.05), 엽수는 대체적으로 감소하였고, 같은 재식밀도에 있어서는 직사각형구에서 증가하였다.2. 1차 예취시 엽비솔은 밀식구중 직사각형구(30kg/ha, 25cm$\times$4cm)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나 2차 예취시에는 중식구중 정사각형구(15kg/ha, 14cm $\times$14cm)에서 높게 나타났다.3. 고사솔은 재식밀도가 증가될수록 높아졌으며 또한 같은 재식밀도라도 정사각형구가 높았다. 4. 분벽수는 재식밀도가 높아질수록 감소 되었고 같은 재식밀도에서는 직사각형구에서 증가되는 경향이었다. 5. 생초수량과 건물수량은 공히 중식구중 직사각형구(1.5kg/ha, 33cm$\times$6cm)가 가장 높았으며 소식구에서 가장 낮았다. 6. 조단백질 량은 재식밀도가 높아짐에 따라 높은경향을 나타냈으며(P<0.05) 조단백질수량도 재식밀도가 높아질수록 수되었다.7. 경의 굵기는 재식밀도가 높아짐에 따라 가늘어졌고 NDF, ADF함량은 뚜렷한 경향이 없었다. 1차 예취시에 있어서 기호성은 밀식구>중식구>소식구순이었으나 2차 예취시에는 밀식구>소식구>중식구순이었다.식구순이었다.

재배방식과 예취시기가 수수 X 수단그라스 교잡종의 생육특성, 건물수량 및 사일리지 채식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he Cultivation Method and Cutting Time on the Growth Characteristics, Dry Matter Yield and Voluntary Intake in Sorghum X Sudangrass Hybrid)

  • 이상무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7-16
    • /
    • 2005
  • This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to determine growth characteristics, dry matter yield and voluntary intake of silage according to growth stage of Sorghum$\times$sudangrass(SSH) hybrid in mono-cropping and inter-cropping(C; com, T1; cutting of SSH at milk stage. T2; cutting of SSH at dough stage, T3; cutting of SSH at yellow ripe stage, T4; cutting of SSH and soybean at milk stage, T5; cutting of SSH and soybean at dough stage, T6: cutting of SSH and soybean at yellow ripe stage). Results obtained from these experiments are as follows; Plant length and leaf length of SSH(T2, T3, T4. T5 and T6)) were higher than C. T1 treatment was lower than it. C showed $2.3\~2.9$ times higher stem diameter as 29.5mm compare to SSH(T1, T2, T3, T4, T5 and T6). soybean(T4, T5 and T6) was lower in $4.3\~5.4$ times. But SSH of inter-cropping treatment(T4, T5 and T6) showed highly comparing with mono-cropping(T1, T2 and T3) at the same maturity. Leaf rate and stem hardness of SSH(T1, T2, T3, T4, T5 and T6) were lower than C. The fresh yield was high line with T2(72,320kg/ha), T1(69,103kg/ha), T3(68,333kg/ha) and C(57,988kg/ha), dry matter yield was high in line with T3(22.413kg/ha), T2(21,479kg/ha), C(19,252kg/ha) and T6(18,175kg/ha), (P<0.05). Protein dry matter yield was higher in T3(1,434kg/ha), C(1,386kg/ha)T5 and T6(1,345kg/ha) it was lower in T1(872kg/ha), (P<0.05). Crude protein of silage of T4 and T5 was higher than C, T2 and T3 were lower than it(P<0.05), while NDF content was not different. ADF content of T6 was higher than those of the other treatment. The highest hemi-cellulose among treatments was shown in T1 whereas T6 showed the lowest. Fresh intake of silge was 160.4, 155.8, 168.7, 172.9, 132.9, 158.7 and 185.2 g/BW for C, T1, T2, T3, T4, T5 and T6, respectively. Dry matter intake was high in line with T6(60.3g), C(153.8g), T3(53.6g), T5(47.8g), T2(46.8g), T4(35.2g) and T1(34.48g/BW), (P<0.05). Crude protein intake was high in line with T6(3.9g), T5(3.4g), C(3.4g), T2(2.9g), T3(2.9g), T4(2.6g) and T1(2.3g/BW), (P<0.05). As mentioned above the results, mono-cropping(T3) and inter-cropping(T5 and T6) could be recommended as increasing method of sorghum $\times$ sudangrass hybrid silage utilization when silage intake of dry matter and crude protein were considered.

옥수수, 수수, 수수-수단그라스 교잡종 및 진주조의 Simazine과 Alachlor에 대한 저항성 (Tolerance of Corn, Sorghum, Sorghum-Sudangrass Hybrid, and Pearl Millet to Simazine and Alachlor)

  • 이석순;최상집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113-119
    • /
    • 1989
  • 옥수수, 수수, 수수-수단그라스, 진주조 등 경지사료작물의 simazine과 alachlor에 대한 저항성과 제초효과를 알기 위하여 1988년 봄에 포장시험, 여름과 가을에 pot 시험을 하였다. 공시품종은 옥수수 진주옥, 수수는 Pioneer(P) 931, P947, P956, 수수-수단그라스는 P855F, P988, 진주조는 수원 1호, 수원 6호이었고 시험에 따라 알맞은 품종을 선택하였다. 제초제는 봄의 포장시험과 여름 pot히험은 simazine 수화제(50% ai, g/10a): alachlor 유제(43.7% ai, ml/10a)를 제품량으로 130:0, 100:0, 70:200, 0:300, 0:400의 비율로 처리하였고, 가을 pot 시험은 수수 P 931에 alachlor를 0, 50, 100, 200, 300, 400ml/10a과 simazine : alachlor를 70(g/10a) : 200(ml/10a)으로 처리하였다. 1. 옥수수는 포장시험과 여름 pot 시험에서 모두 simazine과 alachlor에 의하여 출아률, 입묘률, 유묘의 초장과 건물종, 간장, 건물수량 등에 영향을 받지 않았다. 2. 수수와 수수-수단그라스는 포장시험에서 simazine과 alachlor에 의해 유묘의 생육과 건물수량이 영향을 받지 않았다. Simazine은 여름 pot 시험에서 출아률과 유묘의 생존률에는 영향이 없었으나 초장과 건물종은 감소시켰다. Alachlor는 여름 pot시험에서 출아률은 약간 감소시켰지만 유묘의 생존률, 초장, 건물종을 현저히 감소시켰다. 가을 pot 시험에서 alachlor는 수수의 출아률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100ml/10a 이상에서는 약량이 증가할수록 유묘의 생존률, 초장, 건물종이 감소하였으나 여름보다 생육이 덜 억제되었다. 3. 진주조는 봄의 포장시험에서는 simazine에 의하여 입묘률, 간장, 건물수량에 영향을 받지 않았지만 여름 pot 시험에서는 유묘의 생존률, 초장, 건물종이 다소 감소되었다. Alachlor는 포장에서 입묘률을 감소시켜 수량이 감소하였고, 여름 pot 시험에서는 출아률은 다소 감소하였으나 출아한 개체는 하나도 생존하지 않았다. 4. Simazine은 바랭이, 강아지풀, 피 등 화본두잡초에는 효과가 적었으나 광엽잡초는 방제하였고, alachlor는 화본두 잡초와 쇠비름, 비름 등 광엽잡초는 방제하였으나 깨풀과 명아주는 방제되지 않았다. 수확기의 잡초 잔초량은 simazine과 alachlor의 혼합처리에서 가장 적었으며, 작물의 건물수량이 많으면 잔초량은 적었다.

  • PDF

중부지역에서 유기조사료 생산을 위한 작부체계 확립 (Establishment of Cropping System for Organic Forage Production in Middle Region of Korea)

  • 박준혁;윤기용;박상수;노진환;이주삼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373-384
    • /
    • 2011
  • 본 실험은 중부지역 작부체계 확립을 위한 유기조사료 생산하여 중부 지방에 적합한 초종을 선별하고 생산성 및 사료가치를 조사하여 가축사육능력을 추정하고자 수행되었고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실험 결과 밭 토양에서는 밭 토양에서의 건물수량은 수수${\times}$수단그라스 교잡종이 10.9 $ton{\cdot}ha^{-1}$이었고 호밀+레드클로버와 호밀+헤어리베치에서 3.3 $ton{\cdot}ha^{-1}$로 가장 높았으며 호밀 단파구에 대한 상대수량이 높아 혼파효과가 입증되었다. 수수${\times}$수단그라스 교잡종이 조단백질(CP) 함량은 6.2%, 상대사료가치(RFV)는 옥수수가 가장 뛰어난 96.6이지만 수수${\times}$수단그라스 교잡종의 84.4와는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호밀+레드클로버에서 TDN(total digestible nutrient) 함량 59.7%로 다른 처리 구보다 높았다. 상대사료가치는 호밀+레드클로버가 83.8로 가장 높았지만 처리 간 유의한 차이는 발생하지 않았다. 밭 토양에서 가축사육능력은 $K_{CP}$ 값과 $K_{TDN}$ 값의 평균이 수수${\times}$수단그라스교잡종이 4.27 head/ha/yr로 나타났다. 동계작물에서는 $K_{CP}$ 값과 $K_{TDN}$ 값의 평균이 호밀+레드클로버가 1.74 head/ha/yr로 가장 높았으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논토양에서 건물수량은 유기볏짚이 3.3 $ton{\cdot}ha^{-1}$이였고 호밀+레드클로버가 4.1 $ton{\cdot}ha^{-1}$로 유의하게 가장 높았다. 논토양에서 유기 볏짚의 조단백질함량은 3.1%였고, 유기볏짚의 TDN 함량은 55%이었다. 호밀+레드클로버에서 TDN 함량은 59.7%로 다른 처리 구보다 높았다. 상대사료가치는 호밀+레드클로버가 83.8로 가장 높았지만 처리 간 유의한 차이는 발생하지 않았다. 논토양에서 가축사육능력은 유기볏짚이 $K_{CP}$ 값과 $K_{TDN}$ 값의 평균 1.04 head/ha/yr. 호밀+레드클로버의 $K_{CP}$ 값과 $K_{TDN}$ 값의 평균이 1.84 head/ha/yr로 가장 높았으나 전 처리 구에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유기조사료 생산을 위한 중부지역의 최적 작부조합은 밭 토양에서 수수${\times}$수단그라스교잡종+(호밀+레드클로버)와 논토양에서는 유기볏짚+(호밀+레드클로버)을 최적의 작부체계라고 판단된다.

수수 $\times$ 단그라스 교잡종과 대두와의 간작재배시 파종시기가 생육특성 및 수량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eeding Dates on Growth Characteristics and Dry Matter Yield at Intercropping Cultivation of Sorghum $\times$ Sudangrass Hybrid and Soybean)

  • 이상무;류영우;전병태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77-186
    • /
    • 1997
  • A field experiment was conducted to evaluate growth characteristics, dry matter yield and crude protein yield according to different planting dates at sorghum $\times$ sudangrass hybrid(SSH) and soybean intercropping. Planting dates were five treatment of may 6(Tl), may 13(T2), may 20(T3), may 27(T4) and june 3(T5), and cutting frequency was two times a year. 1. Plant length of SSH was the highest at T2 as 253cm, but T5 was the shortest as 203cm. In the soybean, T3 and T4 were the highest as 113cm, respectively. Leaf length of SSH was high at T5. In the soybean, T2 was the highest as 17cm. Average leaf width of T2, T3 and T4 was higher than TI and T5. 2. Leaf number of T3(SSH and soybean) was higher than other treatments, Stem diameter of SSH and soybean showed the highest as 12.3mm and 8.6mrn at T5 and T3, respectively. In the SSY mean stem hardness of TI was the highest as 2.5kg/$cm^2$, but soybean was the highest at T1(8.0kg/$cm^2$) 3. Deed stubble according to move seeding date of SSH were 11.4 percentage at TI, and 3.9 percentage at T5 treatment. 4. Total dry matter yield according to move seeding date was the highest at T3 as 20,937kghq but T5 of late seeding was the lowest as 16,04Okgha(P < 0.05). 5. In the first cutting time, protein content of SSH was the highest at T3 as 9.9 percentage, but T1 was the lowest as 8.4 percentage. In the 2nd cutting, T5 was the highest as 8.7% but T1 was the lowest as 6.2%. In the soybean, T5 was the highest as 19.4% but TI of early seeding was the lowest as 16.2 percentage. Crude protein yield was the highest at T3 as 2,233.5kghq but TI of early seeding was the lowest as 1,579.7kgha (P < 0.05). As mentioned above the results, T2(may 13), T3(may 20) and T4(may 27) treatment could be recommended as the best suitable seeding date when drymatter and protein yield were considered.

  • PDF

논 전환밭에서 토성에 따른 청예사료작물의 생육과 수량 (Growth and Yield of Forage Crops Affected by Soil Texture in Upland Diverted from Paddy Field)

  • 김수형;이호진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9권6호
    • /
    • pp.577-584
    • /
    • 1994
  • 수원지역에서 토성 및 지하수위를 달리하는 서울대 농생대 벼 재배 실험포장(사양토)과 작물시험장 벼 재배포장(식양토)을 선정하여 월동 청예 사료작물 3가지와 하기 청예사료작물 4가지에 대한 생육 및 수량반응을 검정하고 초기 전환밭에서 재배에 적합한 작물의 검색과 토성 및 지하수위에 따른 작물별 반응을 알아보기 위하여 1992년과 1993년에 실시한 실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시험된 7종의 사료작물들은 지하수위가 낮고 상대적으로 사질성인 서울대 농생대 벼 재배포장에서 더 좋은 생육 및 수량을 보였으며, 두 포장 모두 하기 청예용 사료작물의 재배시에는 습해의 위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 월동 청예용 사료작물 중에서는 트리티케일이 평균 1052kg/10a로 가장 높은 건물수량을 나타내었으며 두 포장간의 건물수량 차이도 보이지 않아 전환 밭에서의 월동 작물로 재배가 유리할 것으로 생각되었으며, 호밀은 두 포장간의 차이가 있어서 토성 및 지하수위에 따른 영향이 있었고, 이탈리안라이그라스는 평균 41.6%의 낮은 월동률을 보여 위도가 높은 수원지역에서는 전환밭 재배에 적합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3. 하기 청예사료작물 중에서는 수수-수단그라스 잡종이 평균 1139kg /10a 로 가장 높은 건물수량을 나타내었다. 수수-수단그라스 잡종과 진주조, 사료용 옥수수는 토성간의 건물수량의 차이가 있어서 식양토 전환밭에서는 습해의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생각되며 사료용 피는 두 포장간에 수량차이가 없었다.

  • PDF

사료용 수수 1대잡종 육성 모재 선정을 위한 도입 유전자원의 품종군 분류 (Varietal Classification of Introduced Forage Sorghum Germplasm for Parental Line Selection on $F_1$ Hybrid Breeding)

  • 강정훈;이호진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1권3호
    • /
    • pp.266-273
    • /
    • 1996
  • 수수류 청예용 1대잡종 품종육성을 위해서 1986, 1987년에 실시된 수수 유전자원의 특성조사 결과를 평균 연관 군집 분석과 주성분 분석법에 의한 품종군 분류법으로 교배모본을 선정한 결과를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1. 수수$\times$단수수 및 수수$\times$수단그래스 교잡군 육성을 위하여 각 군별로 개화기가 유사한 것 중에서 초고 및 형태적 형질이 다양한 특성을 지닌 것들을 교잡군의 모본으로 선정하였다. 2. 수수류의 품종군 분류에서는 √D$^2$에 의해 3개 계통군으로 분류할 수 있었는데 I 군은 수단그래스, II군은 단수수, III군은 종실용 수수였고, 수단그래스와 종실용 수수와는 원연관계였다. 3. 주성분분석의 결과 제5주성분까지만 취했을 때 전체 성분의 88.3%, 제 1, 2의 2개 주성분만으로는 59.3%를 설명할 수 있었으며, 제 1 주성분에 대하여는 수단그래스와 종실용 수수, 제1, 2주성분에 대하여는 단수수와 수단그래스 및 종실용 수수가 잘 구분되었다. 한편 제1주성분은 이삭밀도와 형태, 백립중, 식물체색, 종실의 영 피복 정도와 높은 상관관계, 제 2주성분은 개화기간, 초고, 까락의 유무와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4. 이상의 결과로 선정된 품종들을 청예용 품종육성을 위한 교배모본으로 사용할 때 F$_1$의 잡종강세가 높고, 그들 양친의 조합능력에서 계통간 현저한 차이를 나타낼 것으로 기대된다.

  • PDF

생육단계별 예취 시기가 수수 X 수단그라스 교잡종의 이용회수, 생육특성, 수량 및 조단백질수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utting Times according to Growth Stage in Sorghum X Sudangrass Hybrid on Frequence of Use, Growth Characteristics, Forage Production and Crude Protein Yield)

  • 전병태;이상무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33-42
    • /
    • 2005
  • A field experiment was conducted to evaluate growth characteristics, forage production and crude protein yield according to cutting time of Soghum ${\times}$ Sudangrass Hybrid, and decide ideal harvesting time for use of soiling and silage. Experiment design was arranged with 7 different treatment T1(150 m), T2(200 cm), T3(boot), T4(heading), T5(milk), T6(dough) and T7(yellow stage), as a randomized block design. The results were as fellows : Cutting times of utilization during the course of a year was 4 times at T1 and T2, 3 times at T3 and T4, and 2 times at T5, T6 and T7. Accumulative plant length was the highest at T2(666cm), but T3 was the lowest as 402 cm. Mean Leaf length was the highest at T5(82.1 m) and lowest at T7(T1.8 m). Mean leaf width was the highest at T2 and lowest at T6. Stem diameter was orderly ranked as T3(10.7 mm)>T1(9.5)>T2, T5(9.3>T6(8.9)>T7(8.6)>T4(8.5). Stem hardness was orderly ranked as $T7(3.2 kg/cm^2$>T5, T6(2.3)>T3, T4(1.5)> T2(0.6)>T7(8.6)>T1(0.5). Mean of leaf number and leaf ratio was the highest at $T3(8.1\%)$ and $T2(45.3\%)$, respectively. The highest yield of fresh and dry matter was obtained at T4 and T6 as 113,246 and 24,249 kg/ha, respectively(P<0.05), and e lowest at T7 and T1 as 82,675 and 13,006 kg/ha, respectively(P<0.05). Crude protein yield was highest at T6(1.456 kg/ha) and lowest at T3 as 1,189 kg/ha. As mentioned above the result T1, T2 and T3 could be recommended as use of soiling, and T5, T6 and T7 as sil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