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uckers

검색결과 72건 처리시간 0.032초

두절기형과 분아형성이 있는 낭미충(=포도낭미충)에 의한 복벽 감염 (An acephalic budding Cysticercus (=Racemose cysticercus) found at the abdominal wall of a man)

  • 조승열;조백기;최원영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23권2호
    • /
    • pp.260-268
    • /
    • 1985
  • 1983년 3월 좌하부 복벽(좌하부 복벽)의 종괴(종괴)를 주소(주소)로 한 26세 남자 환자를 수술하고 병변부위의 육아종(육아종)에서 길이 1.2cm인 낭미충 한마리를 얻었다. 이 낭미충은 낭벽(낭벽)에 비정상적인 분아(분아)를 형성하고 있었고 내번(내번)되어 있는 두절부위(두절부위)에는 빨판과 갈고리가 없는 이상소견을 보이고 있었다. 낭벽의 분아는 조직학적으로 두가지 형태를 하고 있었다. 제 1형은 정상두께인 표피(표피)로 덮여 있고 표피하세포(표피하세포)의 밀도가 정상이면서 분지(분지)하는 분아였고, 제 2형은 표피하세 포가 증식하면서 표피 및 표피하조직이 두꺼워지고 표피 및 표피하조직에 크기가 다른 공동(공동:lacunae)을 여러개 만드는 것이었다. 분아의 조직학적 소견과 두절기형을 기초로 이 충체를 포도낭미충(포도낭미충, racemose cysticercus)으로 동정하였다. 이번 증례는 포도낭미충 감염이 두개강(두개강) 이외의 장소에서도 일어남을 확인하게 한 흥미있는 증례이다.

  • PDF

대추나무의 단근처리가 생육 및 결실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Root Pruning on Growth and Fruit Setting in Zizyphus jujuba var. inermis (Bunge) Rehder)

  • 이종원;김충우;오하경;이경희;이성균;김상희;홍의연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160-164
    • /
    • 2017
  • Background: This study were performed to determine the effect of root pruning of Zizyphus jujuba var. inermis (Bunge) Rehder. Root cutting inhibit vegetative growth and promote reproductive growth as temporarily reducing growth, net assimilation, water potential of leaf and cytokinin level. Methods and Results: The root pruning was treated of the root cutting widths 50, and 80 ㎝ and the root cutting depths 10, and 20 cm. The amount of root pruning and the number of suckers were the highest in the root-pruning treatment at a width of 50 cm and a depth of 20 cm. The blooming time was from June 18 to 20, and no difference was observed in the blooming time among the root-pruning treatments. The number of flowers was rather higher in the root-pruning treatment at a width of 50 cm and a depth of 20 cm and at a width of 80 cm and a depth of 20 cm. The percentage of fruit setting was higher in the plants whose roots were pruned at a depth of 20 cm than in the untreated plants. The fruit size, fruit weight, and sugar content showed no difference among the root-pruning treatments. Conclusions: The results showed that percentage of fruit setting increased with root pruning, while no difference was observed in the growth and fruit quality of plants.

컨테이너에 의한 조경수 생산방식이 이식 후 활착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Containerized Landscape Tree Production Methods on Post-tansplant Strees)

  • 김태진;김학범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152-160
    • /
    • 2001
  • This study i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containerized landscape tree production methods on post-transplant stress. Two types of container such as plastic pot(pot), fabric growing bag(bag) were adopted to restrict tree roots. Each types of containers was divided into seven sub-types. One traditional production method was included as comparison. Two landscape woody plants species (Magnolia denudata, Albizzia julibrissin) were implanted in the 7 sub-types of container. After one or two growing season in the container, each types of container trees was transplanted. Half of the trees were transplanted in the mild spring season, and another half of trees were transplanted in the improper summer season. The data were collected on the crown wilting ratio and trunk die-back ratio. The result of the analysis based on these data were as follows; 1) The container production methods were lower than the traditional production methods by 3 times in the average wilting ratio of summer season's transplanting point. 2) Post-transplant stress was more successfully mitigated, in case the "pot" type as was the "bag" types of container. 3) The effective and economic way of mitigating post-transplant stress by container production methods was selecting container plants of vigorous and deep root systems. 4) The "pot" type of container was to restrict tree roots more successfully, But, winter chilling and low temperature attacked the "pot" type tree's twigs and suckers.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pot" grown container plants should managed carefully during the winter after transplanting. Based up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 subsequent research on the development of container material, growth type of the container trees, and other maintaining method will be required.es, and other maintaining method will be required.

  • PDF

황색종 연초 돌연변이 계통 KF8832-85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A New Flue-cured Tobacco Mutant Line KF 8832-85)

  • 조수헌
    • 한국연초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27-32
    • /
    • 1995
  • A new flue-cured tobacco mutant line BU 8832-85 was developed at Taegu Experiment Station, Korea Ginseng and Tobacco Research Institute in 1994. KF 8832-85 was resulted from a cross of flue-cured cultivars NC 95$\times$NC 2326, and developed by a pedigree system of breeding ; initial selection was made by plant type and resistance to bacterial wilt(BW) disease(heudomonas solanaceamm) in the F2 generation under the natural field conditions infested with the pathogen. One white flowered plant was occurred by spontaneous mutation in a certain line among the F3 generatioin while the others were pink. Six plants from the seeds by selfing were selected at the field infested with the pathogen among 240 populations with white flowering in the F4, KF 8832-85 was selected based on yield and leaf quality trials among 6 lines in Fs generation. BCF 8832-85 was compared with its Parent for certain agronomic and chemical characteristics at Taegu Experiment Station in 1993 and 1994. The results showed that KF 8832-85 have white flower, the stalk height was approximately that of NC 2326 but averaged about loom taller than NC 95. It produced ground suckers as much as NC 95, and did not breakdown leaf at the same as WC 2326. KF 8832-85 have high resistance to bacterial wilt disease. Yield of KF 8832-85 was 10 and 18% higher then that of NC 2326 and WC 95, respectively. Price per Kg was equal to that of NC 2326. The contents of nicotine and reducing sugar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from NC 95, while total nitrogen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NC 95. Therefore, the new mutant line is genetically stable for agronomic and chemical characteristics and provides a source of bacterial wilt disease resistance for use in breeding resistant flue-cured cultivars. Key words : Mutant line, White flower, Spontaneous mutation.

  • PDF

Echinostoma mekongi n. sp. (Digenea: Echinostomatidae) from Riparian People along the Mekong River in Cambodia

  • Cho, Jaeeun;Jung, Bong-Kwang;Chang, Taehee;Sohn, Woon-Mok;Sinuon, Muth;Chai, Jong-Yil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58권4호
    • /
    • pp.431-443
    • /
    • 2020
  • Echinostoma mekongi n. sp. (Digenea: Echinostomatidae) is described based on adult flukes collected from humans residing along the Mekong River in Cambodia. Total 256 flukes were collected from the diarrheic stool of 6 echinostome egg positive villagers in Kratie and Takeo Province after praziquantel treatment and purging. Adults of the new species were 9.0-13.1 (av. 11.3) mm in length and 1.3-2.5 (1.9) mm in maximum width and characterized by having a head collar armed with 37 collar spines (dorsal spines arranged in 2 alternative rows), including 5 end group spines. The eggs in feces and worm uterus were 98-132 (117) ㎛ long and 62-90 (75) ㎛ wide. These morphological features closely resembled those of Echinostoma revolutum, E. miyagawai, and several other 37-collar-spined Echinostoma species. However, sequencing of the nuclear ITS (ITS1-5.8S rRNA-ITS2) and 2 mitochondrial genes, cox1 and nad1, revealed unique features distinct from E. revolutum and also from other 37-collar-spined Echinostoma group available in GenBank (E. bolschewense, E. caproni, E. cinetorchis, E. deserticum, E. miyagawai, E. nasincovae, E. novaezealandense, E. paraensei, E. paraulum, E. robustum, E. trivolvis, and Echinostoma sp. IG). Thus, we assigned our flukes as a new species, E. mekongi. The new species revealed marked variation in the morphology of testes (globular or lobulated), and smaller head collar, collar spines, oral and ventral suckers, and cirrus sac compared to E. revolutum and E. miyagawai. Epidemiological studies regarding the geographical distribution and its life history, including the source of human infections, remain to be performed.

Alaria alata (Digenea: Diplostomidae) from Korean Raccoon Dog, Nyctereutes procyonoides koreensis, in Korea

  • Lee, Heon Woo;Hong, Eui Ju;Kim, Hyeon Cheol;Ryu, Si Yun;Park, Bae Keun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60권5호
    • /
    • pp.361-365
    • /
    • 2022
  • We report a species of diplostomid fluke recovered from 3 carcasses of wild Korean raccoon dog, Nyctereutes procyonoides koreensis, in Korea. A total of 107 diplostomid flukes were recovered from the small intestines of Korean raccoon dogs, which were obtained from the Gangwon Wildlife Medical Rescue Center. Worms fixed with 10% neutral formalin were subjected to microscopic observation and those fixed in 70% ethanol were used for molecular genomic analysis. The worm was divided into 2 separate parts, forebody and hindbody, with a total length of 3,020-4,090 (3,855) ㎛ and a width of 1,210-1,770 (1,562) ㎛. The boat-shaped forebody has a pair of characteristic tentacular appendage, 2 suckers, holdfast organ, and vitelline follicles. The oval to cylindrical hindbody has reproductive organs. The ovary was round or elliptical and located in the anterior of the testes. Two large testes were slightly segmented and tandemly arranged, occupying almost half of hindbody. The short uterus contained a relatively small number of unembryonated eggs sized 130-140×85-96 ㎛. The partial sequence of 18S rRNA of this fluke was consistent with Alaria alata. Based on the morphological and molecular characteristics, the diplostomid flukes recovered from the small intestine of Korean raccoon dogs were identified as A. alata (Digenea: Diplostomidae).

소향(Nicotiana tobaccum L.)의 재식밀도와 생육, 수량 및 품종 (Effect of Plant Population on the Growth, Yield and Quality of Sohyang (Nicotiana tabaccum L.))

  • 배성국;임해건;손세호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207-211
    • /
    • 1981
  • 재식밀도를 달리하여 소향을 공시하고 생육, 수양 및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2개년(1979, 1980)동안 시험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주당 절대 생장양과 액아 발생량은 소식구보다 밀식구에서 적었다. 2. 엽면적은 소식일수록 컸으나 엽면적지수는 밀식구에서 컸으며 단위 엽면적중은 처리간에 차가 인정되지 않았다. 3. 상대생장률은 소식일수록 후기 생육이 계속되었고, 초형은 밀식인 경우에 양분경합으로 상위엽의 전개가 저해되었으나, 수광율은 본, 상엽에서 광합성작용에 충분한 것으로 보였다. 4. 모용수, Total alkaloid 및 Total nitrogen 함량은 밀식구에서 적었고, 세포간극율, Total sugar 함량은 처리간에 차이가 없었다. 5. 수량은 밀식할수록 많아지는 경향이었으며, 품질은 처리간에 차이가 인정되지 않았다. 따라서 16,666주보다 밀식하여도 품질면에서 지장이 없을것으로 생각된다.

  • PDF

참굴큰입흡충의 피낭유충 및 성충의 표피 미세구조 (Surface ultrastnlcture of metacercaria and adult of Gymnophalloides seoi (Digenea: Gymnnophallidae))

  • 최민호;박원진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33권4호
    • /
    • pp.289-296
    • /
    • 1995
  • 참굴큰입흡충(GMmophoHo썼esseoi)의 피낭유충 및 성충의 표피 미세구조를 주사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피낭유충은 큰 구흡반과 측면돌기를 가지고 있었으며, 크기가 다른 두 종류의 제1형 감각유두가 구흡반 구순을 따라 원을 이루며 분포하고 있었다. 또, 제1형 감각유두가 유충의 복측 양쪽으로 일렬로 길게 배열되어 있었다. 복흡반의 전방에 위치한 ventral pit는 근육성으로 잘 발달하였고 제1형 감각유두가 밀집해 있었다. 복흡반의 구순에는 제1형 감각유두가 분포하였다. 피극은 구흡반과 복흡반 사이의 복측 중앙부를 제외한 전 표피에 분포하였으며 구흡반 주위에는 3-5분지된 피극이 덮혀 있었으나 후방으로 갈수록 피극의 크기와 밀도가 감소하였다. 감염 3일된 성충은 양 말 단이 뽀쪽한 마름모 모양이었으며 감각유두의 분포는 피낭유충에서 관찰되는 양상과 비슷하였으나 피낭유충에서 관찰런 일렬로 배일과 감각유두는 관찰되지 않았다. 피극은 피낭유충의 경우보다 크기가 더 커지고 많이 분지되었다. Ventral pit는 성충이 되면서 현저하게 발달하였으며 감각유두의 수도 증가하였다. 참굴큰입흡충의 표피 미세구조는 나경흡충과(나경흡충과)의 충체들과 차이점이 있었으며. 피낭유충과 성충의 미세구조의 차이가 뚜렷하지 않은 점은 광학현미경에서 관찰된 양상과 비슷하였다. 또 ventral pit의 모양과 감각유두의 분포로 보아 충체가 기생부위에 흡착할 때 역할을 할 것으로 생각되나 주사전자현미경 소견만으로는 정확한 기능을 추측하기 어려웠다.

  • PDF

Fibricola seoulensis에 실험 감염된 마우스 및 흰쥐 소장의 병리조직학적 연구 (A Histopathological Study on the Intestine of Mice and Rats Experimentally Infected by Fibricola seoulensis)

  • 이순형;유병훈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23권1호
    • /
    • pp.58-72
    • /
    • 1985
  • Fibricola seoulensis는 1964년에 서울에서 잡은 집쥐의 소장에서 처음으로 관찰하여 기록한 이래, 우리나라 내륙에서 집쥐사이에 널리 만연하는 것으로 알려져 왔다 그 후 인체 감염례가 보고되었고, 국내에서 뱀, 개구리, 올챙이 등이 제 2 중간숙주 또는 운반숙주로서 피낭유충을 보유하여 인체의 감염원임이 밝혀진 바 있다. 또한 최근에는 생존 훈련으로 인한 인체 감염 15례가 집단으로 관찰 보고되었다. F. seoulensis를 실험적으로 감염시킨 마우스와 횐쥐의 십이지장을 위와 연결부에서 1cm및 5cm 부위에서 조직절편을 만들어서 염색하여 관찰하였다. 관찰 소견은 다음과 같다. 1. 십이지장의 병변에서 마우스와 횐쥐의 숙주에 다른 차이나 십이지장 내에서의 부위에 따른 차이가 없었다. 2. 충체는 감염 1일 째부터 점막 융모 사이에 깊숙히 파고 들어 구흡반이 기저부의 점닥 상피세포틀 물고 있었다. Tribocytic organ은 감염 3일째부터 상피세포층을 파괴하고 융모의 기질층으로 파고 들어가고 있었다. 충체의 전반부는 복측 만곡을 이용하여 융모를 감싸면서 융모 사이에 끼어 충체의 장벽 부착력을 강화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3. 점막의 병변은 감염 3일 째부터 관찰되었다. 점막 융모의 병변으로는 높이의 감소, 끝의 둔화, 부종에 의한 폭의 증가, 융모의 유착 또는 불균형 배열 등이었고, 상피세포의 결손, 위축 및 편평화가 관찰되었다. 기질충의 소견으로는 부종, 모세혈관의 충혈, 현미경적 출혈, 임파관의 확장, 염증세포 침율등이 었고, 연중세포로 형질세포, 임파구, 호산구가 관찰되었다. 염증세포가 감염 부위의 점막하층에서도 관찰되었고 근육층과 장막층에까지 파급된 경우도 관찰되었다.

  • PDF

동계피복이 모시풀의 생육 및 섬유수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Winter Mulching on Growth and Fiber Yield of Ramie Plant)

  • 권병선;김상곤;정동희;임준택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208-212
    • /
    • 1993
  • 지표에서 l0cm 내외의 토층에 분포되어 있는 모시풀 지하동(흡지)의 안전 월동을 위한 도장 피복의 좋은 방법을 알고자 재식3년~4년째의 백피종의 성국에서 실험한 피복시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관행인 볏짚 1,000kg/10a 피복구의 맹아기 4월 15일에 비하여 투명비닐 피복구는 18일 이나 빠른 3월 28일이었고 볏짚, 구비 또는 왕겨 반양 (500kg/10a)에 투명비닐을 복합 피복한 경우에도 약 2주일이 발랐으며 흑색비밀 피복구도 9일정도 빨랐다. 2. 투명비닐 단용피복은 맹아기는 가장 빨랐으나, 맹아세가 균정하지 못하였고 벗짚, 구비 및 왕겨 반양 + 투명비닐 복합피복구는 맹아도 균일하였다. 3. 투명비닐 피복구는 관행 피복구에 비하여 경수가 50% 증가하였고 볏짚, 구비 또는 왕겨 반양 + 투명 비닐 복합피복구의 경수도 35~39% 증가 발생하였다. 4. 섬유수량에 있어서는 관행 피복구의 137.9kg/10a에 비하여 벗짚 또는 왕겨 반양 + 투명 비닐 복합피복의 경우 36~37% 증수로서 가장 효과적이었다. 5. 무피복구는 맹아기도 24일이 지연된 5월 9일 이었으며 생육도 극히 불진하고 섬유수량도 관행 피복구의 54%에 불과하였다. 6. 모시풀의 주요 작물학적 형질간에는 고도의 정상관관계가 있었으며 맹아기의 조만으로 그해의 생육 및 수양을 예측할 수 있을 것으로 여겨졌다.

  • PDF